맨위로가기

효의인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의인황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강희제의 생모인 효강장황후의 질녀이자 외사촌 누이이다. 강희 16년(1677년) 귀비로 책봉되었으며, 효소인황후 사후 황귀비로 진봉되어 육궁을 통솔했다. 1683년 황녀를 낳았으나 요절했고, 강희 28년(1689년) 중병으로 황후로 책봉되었으나 다음 날 사망했다. 최종 시호는 효의온성단인헌목화각자혜봉천좌성인황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희제의 황후 - 효성인황후
    효성인황후는 강희제의 황후로, 색니의 손녀이며, 강희제와 혼인하여 내명부를 관장하고 두 아들을 낳았으며, 산후병으로 사망 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 강희제의 황후 - 효공인황후
    효공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정제의 어머니이며, 덕비, 황태후를 거쳐 효공인황후로 추봉되어 경릉에 안장되었다.
  • 한군 기인 - 돈숙황귀비
    돈숙황귀비 연씨는 옹정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시절부터 그의 측실이었으며 옹정제 즉위 후 귀비, 황귀비로 책봉되었으나 요절한 자녀가 많았고 사망 후 돈숙황귀비라는 시호를 받았다.
  • 한군 기인 - 연갱요
    연갱요는 청나라 초기 옹정제의 총애를 받으며 권세를 누렸으나 오만함으로 옹정제의 분노를 사 자결한 무관으로, 옹정제 즉위 기여, 사천 및 칭하이 반란 진압 등의 공을 세웠으나 권력 남용과 오만함으로 몰락하여 청나라 초기 권력 다툼과 옹정제 통치 스타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퉁기야 할라 - 각혜황귀비
    각혜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이자 효강장황후의 조카이며, 귀비에 책봉된 후 황귀비, 황조수기황귀태비로 추존되었고, 숙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 퉁기야 할라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효의인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강희제의 후궁
강희제의 후궁
상세 정보
효의인황후(孝懿仁皇后)
로마자 표기Hyo-ui-in Hwanghu
만주어 표기hiyoošungga fujurungga gosin hūwangheo
출생1656년경
사망1689년 8월 24일 (강희 28년 7월 10일)
사망 장소자금성 승건궁
묻힌 곳청동릉 경릉
씨족동가(佟佳), 후에 동기야(佟佳)로 변경
아버지동국유
어머니허셔리씨(赫舎里氏)
배우자강희제
자녀8녀 (요절)
생애
재위 기간1689년 8월 23일 – 1689년 8월 24일 (강희 28년 7월 9일 - 7월 10일)
시호효의온성단인헌목화각자혜봉천좌성인황후(孝懿溫誠端仁憲穆和恪慈惠奉天佐聖仁皇后)

2. 생애

강희제의 생모인 효강장황후 동가씨의 질녀로 강희제에게는 외사촌 누이가 된다. 본래 성은 동씨로 한족 출신이나, 강희제의 즉위를 전후해 만주 성인 동가씨로 성을 바꾼 고모 효강장황후와 같은 이유로 동가씨가 되었다.[8] 강희 재위 연간에 입궁하여 강희 16년(1677년) 귀비(貴妃)로 책봉되었다. 강희 17년(1678년) 효소인황후가 사망하자 강희 20년(1681년) 황귀비(皇貴妃)로 진봉되어 황후 대리로서 육궁(六宮)을 통솔했다.

강희 22년(1683년) 황녀를 낳았으나 생후 1개월 만에 요절하였다. 일설에 따르면 자식이 없던 나머지 효공인황후 소생의 강희제의 사남 옹정제 윤진을 매우 총애하여 죽을 때까지 윤진의 교육에 신경을 썼다고 한다. 강희제가 정무를 보는 도중에 붓을 놓거나 옥새를 가져오는 등 강희제의 잔시중을 들게 하여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어주었다고 한다.

황귀비 시절


강희 28년(1689년) 7월 중병으로 위급하자 특별히 황후로 진봉되었으며 이튿날 사망했다. 시호는 "효의황후"이며, 10월 경릉 동쪽에 있는 '''효동릉'''(孝東陵)에 안장하고 위패를 별전에 따로 모셔 적후인 효성인황후효소인황후보다 차등을 두었다.

옹정 원년(1723년)에 효성인황후효소인황후의 시호에 강희제의 시호 마지막 글자인 "인(仁)"이 추가되면서 효의인황후 역시 특별히 시호가 가상되어 '''효의온성단인헌목봉천좌성인황후'''(孝懿溫誠端仁憲穆奉天佐聖仁皇后)로 추봉되었으며 위패가 태묘에 부묘됐다. 건륭제 시기에 "화각"(和恪)을, 가경제 시기에는 "자혜"(慈惠)라는 시호를 추시되어 최종 시호는 '''효의온성단인헌목화각자혜봉천좌성인황후(孝懿溫誠端仁憲穆和恪慈惠奉天佐聖仁皇后)'''이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강희제의 생모인 효강장황후 동가씨의 질녀로 강희제에게는 외사촌 누이가 된다. 본래 성은 동씨로 한족 출신이나 강희제의 즉위를 전후해 만주 성인 동가씨로 성을 바꾼 고모 효강장황후와 같은 이유로 동가씨가 되었다.[8]

강희 재위 기간에 입궁하여 강희 16년(1677년) 귀비(貴妃)로 책봉되었다. 강희 17년(1678년) 효소인황후가 사망하자 강희 20년(1681년) 황귀비(皇貴妃)로 진봉되어 황후 대리로서 육궁(六宮)을 통솔했다. 강희 22년(1683년) 황녀를 낳았으나 생후 1개월 만에 요절하였다. 일설에 따르면 자식이 없던 나머지 효공인황후 소생의 강희제의 사남 옹정제 윤진을 매우 총애하여 죽을 때까지 윤진의 교육에 신경을 썼다고 한다.

그녀의 가족은 본래 한족(漢族) 정람기(正藍旗) 출신이었다.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동궈웨이(佟國維)황제의 호위대장(領侍衛內大臣)을 지냈고, 일등공(一等公) 작위를 받았다. (1719년 사망)
외조부동투라이(佟圖賴)정1품 무관(都統)을 지냈고, 일등공(一等公) 작위를 받았다. (1606년~1658년)
외조모격거씨(Lady Gioro)
고모효강장황후강희제의 어머니 (1638년~1663년)
어머니혜서씨(Lady Hešeri)
형제예커슈(叶克书) 외 5명예커슈는 순안언의 아버지, 둘째 동생 더커시(德克新)는 삼등 호위대장(三等侍衛)을 지냈다. 셋째 동생은 륭과다(1728년 사망), 여섯째 동생 칭푸(庆復)는 정1품 무관, 양강총독 등을 역임하고 문화전대학사(文华殿大学士)를 지냈다.(1747년 사망)
여동생궤휘황귀비(1668년~1743년)


2. 2. 강희제와의 만남과 후궁 생활

강희제의 생모인 효강장황후 동가씨의 질녀로 강희제에겐 외사촌 누이가 된다. 본래 성은 동씨로 한족 출신이나, 강희제의 즉위를 전후해 만주 성인 동가씨로 개성(改姓)한 고모 효강장황후와 같은 이유로 동가씨가 됐다.[8] 강희제의 생모인 효강장황후의 동생 동국유(佟国維)의 딸이며, 어머니는 정처인 혜서리씨(赫舍里氏)이다.[6] 여동생은 강희제의 숙혜황귀비이다.

강희 재위 연간에 입궁하여 강희 16년(1677년) 귀비(貴妃)로 책봉되었다. 당시 황제의 후궁들 중 귀비는 유일한 인물이었기에 다른 후궁들과 구별하기 위한 시호는 받지 못했다. 강희 17년(1678년) 효소인황후가 사망하자 황제의 후궁들을 관리할 사람이 없게 되었고, 귀비는 그 역할을 맡아 사실상 황궁의 수장이 되었다.

강희 20년(1681년) 황귀비(皇貴妃)로 진봉되어 황후 대리로서 육궁(六宮)을 통솔했다. 같은 해 강희제의 또 다른 후궁인 효공인황후(소공인황귀비)가 아들인 옹정제(윤진)를 낳았다. 전통적으로 황후는 자신의 친생모 여부와 관계없이 황제의 모든 자녀의 양육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는데, 당시 강희제의 후궁들 중 가장 높은 지위에 있던 귀비는 옹정제의 양육을 맡게 되었다. 일설에 따르면 자식이 없던 효의인황후는 효공인황후 소생의 강희제의 사남 옹정제 윤진을 매우 총애하여 죽을 때까지 윤진의 교육에 신경을 쓰고 강희제가 정무를 보는 도중에 붓을 놓거나 옥새를 가져오는 등 강희제의 잔시중을 들게 하여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어주었다고 한다.

강희 22년(1683년) 황녀를 낳았으나 생후 1개월 만에 요절하였다.

2. 3. 황후 책봉과 죽음

강희제의 생모인 효강장황후 동가씨의 질녀로 강희제에겐 외사촌 누이가 된다. 본래 성은 동씨로 한족 출신이나, 강희제의 즉위를 전후해 만주 성인 동가씨로 개성한 고모 효강장황후와 같은 이유로 동가씨가 되었다.[8] 강희 재위 연간에 입궁하여 강희 16년(1677년) 귀비(貴妃)로 책봉되었다.

강희 17년(1678년) 효소인황후가 사망하자 강희 20년(1681년) 황귀비(皇貴妃)로 진봉되어 황후 대리로서 육궁(六宮)을 통솔했다. 강희 22년(1683년) 황녀를 낳았으나 생후 1개월 만에 요절하였다. 일설에 따르면 자식이 없던 나머지 효공인황후 소생의 강희제의 사남 옹정제 윤진을 매우 총애하여 죽을 때까지 윤진의 교육에 신경을 썼다고 한다.

강희 28년(1689년) 7월 중병으로 위급하자 특별히 황후로 진봉되었으며 이튿날 사망했다. 시호는 "효의황후"이며, 10월 경릉 동쪽에 있는 '''효동릉'''(孝東陵)에 장사하고 위패를 별전에 따로 모셔 적후인 효성인황후효소인황후보다 차등에 두었다.

옹정 원년(1723년)에 효성인황후효소인황후의 시호에 강희제의 시호 마지막 글자인 "인(仁)"이 추가되면서 효의인황후 역시 특별히 시호가 가상되어 '''효의온성단인헌목봉천좌성인황후'''(孝懿溫誠端仁憲穆奉天佐聖仁皇后)로 추봉되었으며 위패가 태묘에 부묘됐다. 건륭제 시기에 "화각"(和恪)을, 가경제 시기에는 "자혜"(慈惠)라는 시호를 추시되어 최종 시호는 '''효의온성단인헌목화각자혜봉천좌성인황후(孝懿溫誠端仁憲穆和恪慈惠奉天佐聖仁皇后)'''이다.

2. 4. 사후

강희제는 1689년에 중병으로 위급한 황귀비를 황후로 책봉하였으나, 책봉 이튿날 사망했다. 시호는 "효의황후"이다.[8] 옹정제 즉위 후 1723년에 효성인황후효소인황후의 시호에 강희제의 시호 마지막 글자인 "인(仁)"이 추가되면서 효의황후 역시 시호가 가상되어 '''효의온성단인헌목봉천좌성인황후'''(孝懿溫誠端仁憲穆奉天佐聖仁皇后)로 추봉되었으며 위패가 태묘에 부묘됐다. 건륭제 시기에 "화각"(和恪)을, 가경제 시기에는 "자혜"(慈惠)라는 시호를 추시하여 최종 시호는 '''효의온성단인헌목화각자혜봉천좌성인황후(孝懿溫誠端仁憲穆和恪慈惠奉天佐聖仁皇后)'''이다. 효의황후는 경릉 동쪽에 있는 효동릉(孝東陵)에 안장되었으며 위패는 별전에 따로 모셔 적후인 효성인황후효소인황후보다 차등을 두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아버지동궈웨이(佟國維)? ~ 1719년황제 호위대장(領侍衛內大臣), 일등공(一等公)
외조부동투라이(佟圖賴)1606년 ~ 1658년정1품 무관(都統), 일등공(一等公)
외조모격거씨(Lady Gioro)
고모효강장황후(孝康章皇后)1638년 ~ 1663년강희제(康熙帝)의 어머니
어머니혜서씨(Lady Hešeri)
형제자매이름출생 - 사망비고
첫째 동생예커슈(叶克书)순안언의 아버지
둘째 동생더커시(德克新)삼등 호위대장(三等侍衛)
셋째 동생롱커도(隆科多)? ~ 1728년
넷째 동생홍산(洪善)
다섯째 동생칭위안(庆元)
여섯째 동생칭푸(庆復)? ~ 1747년1727년 ~ 1733년 정1품 무관(都統), 1741년 양강총독(兩江總督), 운남총독(雲南總督), 양광총독(兩廣總督), 문화전대학사(文华殿大学士)
여동생궤휘황귀비(謙惠皇貴妃)1668년 ~ 1743년
자녀이름출생 - 사망비고
팔녀1683년 7월 13일 ~ 8월 6일요절. 이름과 작호, 묘 없음. 화장 후 유골을 빈터에 뿌림.


4.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 1987년 드라마 《청사》에서 哈赤占|하치찬중국어이 연기하였다.[1]
  • 2011년 드라마 《》에서 张欣|장신중국어이 연기하였다.[2]
  • 2011년 드라마 《명궁》에서 姚子羚|요자릉중국어이 연기하였다.[3]

참조

[1] 문서 康熙十六年 八月 二十二日 null
[2] 문서 康熙二十年 十二月 二十日 null
[3] 문서 康熙二十八年 七月 九日 null
[4] 문서 康熙二十八年 九月 二十二日 null
[5] 문서 雍正元年 六月 null
[6] 서적 雪屐尋碑録 康熙皇帝諭祭国舅佟国維妻一品夫人何奢礼氏碑文
[7] 서적 張誠日記
[8] 서적 청사고(淸史稿) 卷二百十四 列傳一 后妃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