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갱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갱요는 순무를 지낸 연하령의 아들로, 강희제 시대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옹정제 즉위 후 돈숙황귀비의 오빠로서 옹정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변방 안정에 기여하고 조정의 아우들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아 군사 및 정치적으로 막강한 권력을 누렸다. 1723년 칭하이의 반란을 진압하고 일등공에 봉해졌으나, 이후 옹정제와의 불화로 인해 몰락하여 1726년 사형을 선고받고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희 39년 경진과 진사 - 장정옥
장정옥은 청나라 3대에 걸쳐 활약한 한족 관료로, 옹정제의 신임을 받아 군기처의 초기 구성원이 되어 주요 정책 결정에 관여하고 《명사》 편찬을 주도했으며, 사후 태묘에 배향되는 영예를 누렸으나 만년에는 건륭제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 청나라의 천섬총독 - 푸차 푸헝
푸차 푸헝은 건륭제 시대의 만주족 고위 관료로, 황후의 남동생이자 황실 부마의 형으로서 황실과 깊은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사후 대중 문화 속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 청나라의 천섬총독 - 악종기
 - 자살형으로 죽은 사람 - 은전군
은전군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와 경빈 박씨의 아들이자 정조의 이복 동생이며, 생모가 사도세자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을 겪고 정조 즉위 후 노론 벽파에 의해 왕으로 추대될 뻔했으나 관련 혐의로 사사되었다. - 자살형으로 죽은 사람 - 수완구왈기야 싱포
수완구왈기야 싱포는 청나라 말기 장군으로, 태평천국의 난과 념군 진압에 참여하고 신유정변에서 서태후를 지지했으며, 관직에 진출하여 태평천국군과 념군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실패와 탄핵으로 자결했다. 
| 연갱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연갱요 | 
| 한자 표기 | 年羹堯 | 
| 중국어 병음 | Nián Gēngyáo | 
| 자(字) | 양공(亮功) | 
| 아호(雅號) | 쌍봉(雙峰) | 
| 만주어 표기 | ᠨᡳᠶᠠᠨ ᡤᡝᠩ ᠶᠣᡠ (niyan geng yoo) | 
| 출생 | 1679년 | 
| 사망 | 1726년 1월 13일 (47세) | 
| 출생지 | 청나라 안후이성 펑양 부 화이위안 현 | 
| 사망지 | 청나라 직례성 베이징 | 
| 아버지 | 연하령(年遐齡) | 
| 형제자매 | 동복 형 연희요(年希堯), 이복 누이동생 돈숙황귀비(敦肅皇貴妃) | 
| 친척 | 생질 애신각라 복의(愛新覺羅 福宜) | 
![]()  | |
| 경력 | |
| 소속 | 청나라 군사 | 
| 복무 기간 | 1715년 ~ 1725년 | 
| 최종 계급 | 서북대장군(西北大將軍) | 
| 지휘 | 대장군 |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옹친왕 윤진의 황궁내 정변 | 
| 관직 | |
| 소속 | 청나라 | 
| 기적(旗籍) | 한군 양백기 한군 양황기  | 
| 관직 | 천섬총독 | 
| 임기 시작 | 1721년 | 
| 임기 종료 | 1725년 | 
| 이전 | 자신(사천총독에서 승진) | 
| 이후 | 악종기 | 
| 관직 1 | 사천총독 | 
| 임기 시작 1 | 1718년 | 
| 임기 종료 1 | 1721년 | 
| 이전 1 | 오해 (섬감총독으로서) | 
| 이후 1 | 자신 (섬감총독으로 승진) | 
| 기타 정보 | |
| 옹정제와의 관계 | 옹정제 후궁 돈숙황귀비의 배다른 둘째 오라비 | 
2. 생애
연갱요는 순무를 지낸 연하령(年遐齡)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700년 과거 시험 중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하였고, 옹친왕 시절 배다른 누이동생을 왕부에 측실로 들여보내 훗날 돈숙황귀비가 되게 하였다.
옹정제 옹립 후 변방을 안정시키는 등 혁혁한 군공을 세워 권세가 날로 높아졌으며, 조정의 안정을 위해 옹정제의 아우들을 감시하는 역할도 맡았다. 옹정제의 등극 공신으로서 막강한 신임과 군사적 공적, 그리고 누이의 총애를 믿고 군사와 정치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였다.
1723년 칭하이(青海)에서 롭잔 단진(羅卜藏丹津)이 이끄는 코쇼트(和碩特)족 반란을 진압할 때, 낙종기(岳鍾琪) 장군의 도움을 받아 승리하여 칭하이를 청 제국에 편입시켰다. 이 공로로 연갱요는 일등공(一等公)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막강한 군권을 틀어쥐고 오만방자하게 굴던 서북대장군 연갱요는 1726년(옹정 4년) 옹정제의 명에 따라 독주를 마시고 자결하였으며, 사후 옹정제에 의해 가산이 몰수되었다.
연갱요는 《연장군병법》(年將軍兵法) 등 군사 전술에 관한 세 권의 저서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모두 다른 사람이 쓴 것을 그에게 허위로 귀속시킨 것으로 보인다. 그는 종실보국공(宗室輔國公) 아이신기오로 수연(蘇燕)의 딸[3][4]과 만주 평황기(滿洲鑲黃旗) 나란흥덕(納蘭性德)의 딸과 결혼했다.[5]
2. 1. 초기 생애와 출세
연갱요는 순무를 지낸 연하령(年遐齡)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연씨 가문은 본래 한족 출신이었으나, 1709년 3월 가문이 속한 깃발 부대가 훗날 옹정제가 되는 친왕 윤진(胤禛) 휘하에 배속되면서 청 황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연갱요의 누이동생이 윤진의 첩이 되었는데, 이가 바로 훗날 돈숙황귀비가 되는 인물이다.[5]연갱요는 강희제 때인 1700년 과거 시험 중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그는 한림원(翰林院)의 학사(學士)로 선발되었고, 1709년 10월에는 사천순무(四川巡撫)에 임명되어 점차 강희제의 눈에 띄게 되었다.
2. 2. 강희제 시대의 활동
1709년 10월, 연갱요는 사천순무(四川巡撫)에 임명되어 강희제(康熙帝)의 눈에 띄게 되었다. 이후 16년간 사천순무로 재임하며 사천 서부 원주민들의 여러 반란을 진압했다.[3] 1718년에는 사천총독(四川總督)으로 승진하여 군사 업무를 지휘할 권한을 얻었다.[3] 강희제의 아들 순친왕 운티(允褆)가 서북면평정대장군(西北面平定大將軍)에 임명되자, 연갱요가 윤진에게 충성하는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3] 정서장군(定西將軍) 연갱요는 티베트에서 칭장( צְװַಂಗ རབ་ཏན)과 싸운 운티의 원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 1721년 6월, 연갱요는 열하(熱河)에서 강희제를 알현하고 사천총독과 산서총독(陝西總督)으로 승진했다.[3]2. 3. 옹정제 시대의 권력과 몰락
옹정제 즉위 후, 연갱요는 변방 안정 등의 군사적 공적으로 큰 신임을 얻었다. 특히 1723년 칭하이(青海)에서 롭잔 단진(羅卜藏丹津)이 이끄는 코쇼트(和碩特)족 반란을 진압할 때, 낙종기(岳鍾琪) 장군의 도움을 받아 승리, 칭하이를 청 제국에 편입시켰다.[3] 이 공로로 연갱요는 일등공(一等公)으로 승격되었다.그러나 연갱요는 막강한 군권을 바탕으로 점차 오만하고 방자해졌다. 1724년 말, 연갱요가 베이징에서 옹정제에게 경의를 표했을 때, 옹정제는 일등왕(一等王)에게 주어지는 영예와 특권을 부여했으나, 이는 많은 관리들의 증오와 질투를 불러일으켰다.
1725년 1월, 연갱요는 충성심을 주장하며 옹정제의 자비를 간청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옹정제의 형이자 정적이던 운탕(運塘)과 비밀 서신을 주고받은 사실이 밝혀져 상황이 악화되었다. 결국 연갱요는 항주(杭州)의 타타르 장군(Tartar General)직으로 전보되었고, 지휘하던 군대는 낙종기에게 넘어갔다. 이후 계급이 강등되어 깃발병(bannerman-at-large)이 되었고, 1726년 초 92가지 죄목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 옹정제는 자결할 특권을 주었으나, 장남 연부(年富)는 참수, 다른 아들들은 유배되었다.[3]
3. 가족 관계
- 아버지: 연하령(年遐齡) - 명(明) 숭정 15년(1642) 출생, 옹정 5년(1727) 사망. 호광 순무. 일등공작.[32][33]
 - 형: 연희요(年希堯) - 연하령의 장남. 필첩식(筆帖式)에서 공부 시랑으로 승진(후에 면직), 내무부총관, 좌도어사 등을 역임. 옹정 13년(1735)에 강소 순무 고기탁(高其倬)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고, 건륭 3년(1738)에 사망.[34]
 - 여동생: 옹친왕(雍親王) 인진(胤禛, 후의 옹정제)에게 시집가 옹정 원년(1723)에 귀비로 책봉되었고, 옹정 3년(1725) 11월에 위독해져 이듬해 12월에 사망, 시호는 돈숙황귀비(敦肅皇貴妃).[35]
 - 처: 나란씨 - 만주 평황기(滿洲鑲黃旗) 나란흥덕(納蘭性德)의 딸.[5]
 - 처: 아이신기오로씨(愛新覚羅氏) - 연갱요의 자살에 따라 옹정제의 명으로 친가로 돌아갔다.[31]
 
연갱요에게는 많은 자녀가 있었으나, 연갱요가 옹정제의 노여움을 사자 그 자녀들 또한 처벌받았다. 연부는 참수되었고, 그 외 15세 이상의 자녀들은 병졸로서 유배되었다. 연갱요 사후 옹정제의 용서를 받아 연갱요의 아버지 연하령에게로 데려가졌다.[31]
- 아들: 연희 - 장자(일설에는 개명하여 연덕주).[37]
 - 아들: 연빈
 - 아들: 연부 - 아버지 연갱요의 전공으로 일등 아사하니하번(一等男爵)에 봉해졌으나, 연갱요와 함께 단죄되어 참수되었다.[32]
 - 아들: 연흥
 - 아들: 연수
 - 손자: 연왕신 - 아버지 불명.[11]
 
4. 평가
연갱요는 초기에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옹정제의 총애를 바탕으로 높은 지위에 올랐다. 1700년 진사가 된 후, 사천순무, 사천총독 등을 역임하며 서부 원주민 반란을 진압하고, 티베트에서 ཙོང་ཁ་བཀྲ་ཤིས་འཁྱིལ།|총카 다시이킬bo(청장)을 격퇴하는 등 군사적 공을 세웠다.[3] 1723년에는 羅卜藏丹津|나복장단진중국어이 이끄는 칭하이(青海)의 코쇼트(和碩特) 반란을 진압하여 칭하이를 청 제국에 편입시키는 큰 공을 세워 일등공(一等公)에 봉해졌다.[3]
그러나 연갱요는 권력을 남용하고 오만한 태도를 보여 옹정제의 신임을 잃었다. 옹정제의 형이자 정적이었던 允禟|윤당중국어과 비밀 서신을 주고받은 사실이 밝혀지면서, 1725년 항주(杭州)의 타타르 장군(Tartar General)직으로 강등되었다.[3] 이후 계급이 계속 강등되어 깃발병(bannerman-at-large)이 되었고, 결국 1726년 92가지 죄목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3] 옹정제는 그에게 자살할 특권을 주었지만, 그의 장남은 참수되었고 다른 아들들은 유배되었다.[3]
연갱요의 몰락은 그의 군사적 재능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감각 부족과 오만함이 초래한 비극적인 결말이었다. 그의 저서로는 『치평승산전서』, 『회도병법』, 『본초류방』, 『연갱요주첩』 등이 있다.[38] 장정옥과는 진사 동기였지만, 한쪽은 문관으로 성공하고 다른 한쪽은 무관으로 몰락하는 대조적인 최후를 맞이했다.[39]
5. 기타
- 연씨 가문은 대대로 명나라에 봉사하며 환관을 배출한 가문이었다.[33]
 - 장정옥과는 강희 39년(1700년)에 함께 진사가 된 동기였지만,[39] 장정옥은 문관으로 강희, 옹정, 건륭 삼조에 봉사하여 대묘에 배향되었고, 연갱요는 무관으로 출세하였으나 일문번까지 좌천된 끝에 자결하였다는 대조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연갱요는 베이징 성문인 선무문 안쪽 오른쪽 구석에 저택을 하사받았고, 문에는 “방가지광”( 邦家之光, 국가의 빛)이라고 쓴 편액이 걸려 있었다. 후에 날마다 거만해지는 연갱요의 저택 앞을 지나던 유식한 선비는 편액을 보고 “가개서 ‘패가지선’”( 敗家之先, “몰락한 자의 선구자”로 고쳐 써야 한다)이라고 중얼거렸다고 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연갱요는 옹정제의 노여움을 사 여러 차례 강등되었다.[40]
 - 옹정제의 노여움을 사 대장군에서 항주 주방 방어의 직책으로 강등된 후에는, 날마다 용금문 옆에 앉아 있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땔나무 장수나 채소 장수가 “연대장군재야”(대장군께서 계시다)라고 말하며 문을 통과하는 것을 꺼릴 정도로, 옛날의 위엄은 여전했다고 한다. 도광 연간(19세기 중반)에 『소정잡록(嘯亭雜錄)』을 저술한 소련(누르하치 증손)은 “실근일훈신소미유야”(실로 최근의 훈신에게는 없는 일이다)라고 감회를 남겼다.[41]
 
| 방영년도 | 원제 | 한국어 제목 | 배역 | 
|---|---|---|---|
| 1999 | 옹정왕조 | 옹정왕조 | 두지궈(杜志国) | 
| 2010 | 궁쇄심옥(宮鎖心玉) | 궁パレス〜시대를 뛰어넘는 궁녀〜 | 리친둥(李沁東) | 
| 2011 | 젠환전(甄嬛伝) | 궁정의 쟁이 여 | 쑨닝(孫寧) | 
| 2017 | 화락궁정착류년(花落宮廷錯流年) | 꽃이 지는 궁정의 여인들~사랑과 배신의 생애~ | 정탁강(鄭拓疆) | 
5. 1. 저술
연갱요는 군사 전술에 관한 책인 《연장군병법》(年將軍兵法) 등을 저술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책들은 모두 다른 사람이 쓴 것을 연갱요에게 허위로 귀속시킨 것으로 보인다.[38]그 외에도 『치평승산전서』(治平勝算全書) 전 28권, 『회도병법』(繪圖兵法) 전 20권, 『본초류방』(本草類方) 전 10권, 『연갱요주첩』(年羹堯奏貼) 등을 저술했다는 기록이 있다.[38]
5. 2. 연표
| 연도 | 사건 | 
|---|---|
| 1700년 | 진사가 되어 한림원 학사로 선발됨.[7] | 
| 1703년 | 한림원 검토로 승진.[8][9] | 
| 1705년 | 사천 향시 정고관(시험관)으로 전임.[9] | 
| 1708년 | 광동 향시 정고관으로 전임.[10] | 
| 1709년 | 내각학사로 승진, 예부 시랑 겸임.[12] 사천순무에 임명됨.[13] | 
| 1711년 | 악승룡의 부대와 합류하여 원주민 토벌 칙지를 받았으나, 중도 귀환하여 면직 위기에 처했으나 유임.[14] | 
| 1718년 | 사천총독으로 승진하여 군사 지휘 권한을 얻음.[15] | 
| 1721년 | 섬서총독 겸임.[17] | 
| 1723년 | 이등 아달하하번 세습 관직과 태보 칭호를 받음.[18][19] 삼등공으로 봉해짐.[20] 롭잔 단진 토벌을 위해 부원대장군에 취임.[21] 고록 평정의 공로로 이등공으로 승진.[22] | 
| 1724년 | 청해 평정의 공로로 일등공으로 승진.[23] 일등 아사하니하번(일등 남작에 해당)으로 승진.[24] | 
| 1725년 | 옹정제에게 석양조건이라고 쓴 상소를 올려 옹정제의 분노를 삼.[27] 절강항주 장군으로 강등.[28] 악종기의 탄핵으로 이등공으로 좌천.[29] 전문경의 탄핵으로 삼등공으로 좌천.[30] | 
| 1726년 | 92가지 죄목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옹정제의 특권으로 자결.[31] | 
참조
[1] 
ECCP
 
Nien Kêng-yao
 
[2] 
pdf
 
Gregory_georgetown_0076D_13086.pdf
 
https://repository.l[...] 
[3] 
서적
 
清朝權臣回憶錄
 
https://books.google[...] 
遠流出版
 
[4] 
서적
 
世界歷史戰事傳奇
 
https://books.google[...] 
華志文化
 
2012-05-17
 
[5] 
뉴스
 
清代第一战神是谁? 年羹尧和岳钟琪谁的成就更高?
 
http://www.lishi.com[...] 
2016-03-07
 
[6] 
학술지
 
〈論説〉ロブザンダンジンの反乱について
 
[7]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8]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9]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10]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11] 
웹사이트
 
年羹堯
 
https://newarchive.i[...] 
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2024-02-10
 
[12]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13]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14]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15]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16]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17]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
 
[18]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19]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20]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21]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22]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23]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24]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25] 
서적
 
重編國語辭典修訂本
 
https://dict.revised[...] 
中華民國教育部
 
[26] 
서적
 
重編國語辭典修訂本
 
https://dict.revised[...] 
中華民國教育部
 
[27]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28]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29]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30]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31] 
서적
 
世宗憲皇帝實錄
 
-
 
[32] 
서적
 
清史稿
 
https://zh.wikisourc[...] 
清史館
 
[33] 
웹사이트
 
年遐龄
 
https://www.ahhy.gov[...] 
怀远县人民政府
 
2024-02-01
 
[34] 
서적
 
清史稿
 
清史館
 
[35] 
서적
 
清史稿
 
https://zh.wikisourc[...] 
清史館
 
[36] 
웹사이트
 
素嚴(奉恩輔國公)
 
http://www.axjlzp.co[...] 
2024-02-11
 
[37] 
문서
 
『永憲録』巻二上、夏四月乙卯、「除山陝楽籍」の条
 
[38] 
웹사이트
 
年羹尧 (清抚远大将军)
 
https://www.ahhy.gov[...] 
怀远县人民政府
 
2024-02-01
 
[39]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不詳
 
[40] 
서적
 
嘯亭續錄
 
https://zh.wikisourc[...] 
不詳
 
[41] 
서적
 
嘯亭雜錄
 
https://zh.wikisourc[...] 
不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