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베르투스 판 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베르투스 판 무크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부총독을 역임한 인물이다. 자바에서 태어나 라이덴 대학교에서 인도학을 공부한 그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자치권 확대와 인종 평등을 지지했다. 1941년 부총독으로 임명되어 일본의 네덜란드령 동인도 점령 시기에는 망명 정부에서 활동했으며, 인도네시아 독립 후에는 네덜란드와 인도네시아 간의 관계를 조율하려 했다. 그는 연방 인도네시아를 지지하며 수카르노의 공화국을 비판했으나, 1948년 사임하고 유엔에서 일하다 프랑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총독 - 헨드릭 브라우어르
헨드릭 브라우어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선장이자 총독으로서 브라우어르 항로 개척, 일본과의 관계 개선, 아유타야 왕국과의 무역 관계 확립,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분쟁 해결 노력, 태평양 탐험 지원, 칠레 발디비아 재점령 원정 등을 통해 네덜란드 동인도 제국 확장에 기여했다. -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총독 - 얀 반 리베크
얀 반 리베크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지휘 아래 희망봉에 보급 기지를 건설하고 케이프타운을 건설하여 남아프리카 지역 역사에 영향을 미친 네덜란드 출신 탐험가이자 케이프 식민지의 초대 사령관이다. - 스마랑 출신 - 엔하 디니
엔하 디니는 여성의 시각으로 사회 문제를 조명하고 프랑스 문학을 번역한 인도네시아 소설가이자 번역가로, 《두 개의 세상》, 《내 이름은 히로코》 등의 작품을 썼으며 동남아시아 작가상을 수상했다. - 스마랑 출신 - 밤방 파뭉카스
밤방 파뭉카스는 인도네시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공격수로 활약하며 페르시자 자카르타와 슬랑고르 FA에서 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37골을 기록하며 2002년 타이거컵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현재는 페르시자 자카르타의 감독을 맡고 있다.
후베르투스 판 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휘베르투스 요하네스 판 무크 |
출생일 | 1894년 5월 30일 |
출생지 | 네덜란드령 동인도 스마랑 |
사망일 | 1965년 5월 10일 |
사망지 | 프랑스 릴쉬르라소르그 |
직업 | 정치인 외교관 작가 |
모교 | 레이던 대학교 |
직책 | |
임기 시작 | 1942년 3월 8일 |
임기 종료 | 1948년 10월 15일 |
군주 | 빌헬미나 여왕 율리아나 여왕 |
전임 | 알리디우스 차르다 판 스타켄보르흐 |
후임 | 루이스 빌 (고등판무관) |
식민지 장관 | 네덜란드 망명 정부 |
임기 시작 | 1942년 5월 21일 |
임기 종료 | 1945년 2월 23일 |
총리 | 피터르 스요르츠 헤르브란디 |
전임 | 피터르 스요르츠 헤르브란디 |
후임 | 요세프 슈무처 |
2. 일생
판 무크는 자바섬 스마랑 출신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태어난 많은 네덜란드인과 인도인처럼 식민지, 특히 자바를 고향으로 생각하였다.[16] 1942년 일본의 인도네시아 점령으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판 무크를 그 지역의 총독으로 임명했지만,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인근에 위치한 망명 정부였다.[17] 판 무크는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적 성향과 열정을 보였으나, 많은 보수적인 네덜란드인들은 그의 정책을 불신하여 총독의 모든 명칭을 부여하지 않았다.[18]
1945년 10월 1일, 판 무크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민간 행정부 관리들과 함께 자바로 돌아왔으나, 이들의 귀환은 네덜란드 식민 통치 복구에 반대하는 인도네시아인들의 분노를 일으켰다.[16] 판 무크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당연하게 여겼지만, 네덜란드와 강력한 정치적, 경제적 관계를 맺는 연방 인도네시아 합중국을 지지했다. 그는 수카르노의 공화국이 경제적으로 미숙하고, 인도네시아 화교, 인도네시아 인도인, 그리고 새롭게 떠오르는 인도네시아 공산당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19]
이러한 요인들과 체리본 협정(링가자티 협정) 위반은 1947년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가 오퍼레이션 프로덕트라는 경찰 행동을 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KNIL과 왕립 네덜란드 육군은 자바섬과 수마트라섬 대부분을 점령하였고, 인도네시아 공화국군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0] 그러나 네덜란드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와 미국의 압력으로 공화국 전체를 정복하는 것을 포기하고 휴전을 요청받았다.[21] 이는 1948년 1월 휴전 선언과 공식적인 정전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네덜란드 내부 문제로 간주되던 것이 국제적인 문제로 확대되었다. 렌빌 협정은 인도네시아 군의 네덜란드군 점령 지역 철수와 반 무크 라인이라 불리는 휴전선 설립을 규정했다.[22] 그러나 인도네시아 군대는 비밀리에 휴전 지역으로 돌아와 게릴라 작전을 수행했고, 이는 1948년 12월 오퍼레이션 크라이라는 경찰 행동으로 이어졌다.[23] 이후 1949년 인도네시아는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판 무크는 이후 유럽으로 돌아왔으며, 1965년 5월 10일 프랑스 남부에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후베르투스 판 무크는 1894년 5월 30일 네덜란드령 동인도 (현재 인도네시아) 자바섬의 스마랑에서 태어났다.[2] 라이덴 대학교에서 인도학을 공부한 후 네덜란드령 동인도로 돌아와 식민 행정에 참여했다.[3] 1931년 식민 행정부가 설립한 자문 기구인 Volksraad의 일원이 되어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더 큰 자치권과 다양한 인종의 평등한 대우를 지지했다.[3]2. 2. 정치 경력
판 무크는 자바섬 스마랑에서 태어났으며,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성장한 많은 네덜란드인과 인도인처럼 식민지, 특히 자바를 고향으로 생각했다.[16] 1931년 판 무크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자문 기구인 폴크스라드(Volksraad)의 의원이 되었다. 그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더 큰 자치권과 다양한 인종의 평등한 대우를 지지했다. 1937년부터 1941년까지 판 무크는 경제 담당 이사를 역임했다.[3] 1941년 12월 29일, 판 무크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 대행으로 임명되었다.[4]1942년 일본의 침공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는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으로 망명했다.[17] 1944년 9월 14일, 판 무크는 다시 부총독으로 임명되어 임시 동인도 정부를 설립했다.[6] 그의 자유주의적 성향과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에 대한 공감 때문에, 많은 보수적인 네덜란드인들은 그의 정책을 불신했고 그는 총독의 정식 직함을 받지 못했다.[18]
1945년 10월 1일, 판 무크는 네덜란드령 인도 민정청 관리들과 함께 자바로 돌아왔다. 그러나 그들의 귀환은 네덜란드 식민 통치의 복구에 반대하는 인도네시아인들의 분노를 일으켰다.[16] 판 무크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당연하게 생각했지만, 네덜란드와 강력한 정치적, 경제적 관계를 맺는 연방 인도네시아 합중국을 지지했다. 그는 수카르노의 공화국이 경제적으로 미숙하고, 인도네시아 화교, 인도네시아 인도인, 그리고 새롭게 떠오르는 인도네시아 공산당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보았다.[19]
이러한 요인들과 링가자티 협정의 위반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가 1947년 오퍼레이션 프로덕트라는 경찰 행동을 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KNIL과 네덜란드 왕립 육군이 자바섬과 수마트라섬 대부분을 점령하였고, 인도네시아 공화국군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0] 그러나 네덜란드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와 미국의 압력으로 인해 공화국 전체를 정복하는 것을 포기하고 휴전을 요청받았다.[21]
이는 1948년 1월 휴전 선언과 공식적인 정전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네덜란드 내부 문제로 간주되던 것이 국제적인 문제로 확대되었다. 렌빌 협정으로 불리는 종전 협정은 인도네시아 군이 네덜란드군 점령 지역에서 철수하고 판 무크 선이라 불리는 휴전선 설립을 규정했다.[22] 그러나 시간이 지난 후, 인도네시아 군대는 비밀리에 휴전 지역으로 돌아와 게릴라 작전을 수행했다. 이는 오퍼레이션 크라이로 불리는 1948년 12월의 경찰 행동으로 이어졌다.[23]
2. 3.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1945년 10월 1일, 판 무크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민간 행정부 관리들과 함께 자바로 귀환했다. 그러나 이들의 존재는 네덜란드 식민 통치 복원에 반대하는 인도네시아인들의 분노를 일으켰다.[16] 판 무크는 네덜란드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연방 형태의 인도네시아 합중국 수립을 구상했다. 그는 수카르노가 이끄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경제적으로 무능하고 인도네시아 공산당의 확산을 막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반대 세력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려 했다.[19]
이러한 요인들과 링가자티 협정 위반을 이유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는 1947년 오퍼레이션 프로덕트로 알려진 경찰 행동을 개시하여 인도네시아 공화국 지역을 공격했다. 네덜란드령 동인도 왕립군(KNIL)과 왕립 네덜란드 육군은 자바 섬과 수마트라섬 대부분을 점령하였고, 인도네시아 공화국군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0] 그러나, 네덜란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미국의 압력으로 군사 행동을 중단해야 했다.[21] 이는 1948년 1월 휴전 선언 및 렌빌 협정 체결로 이어졌다. 이 협정은 반 무크 라인이라 불리는 휴전선 설립과 인도네시아 군의 네덜란드 점령 지역 철수를 규정했다.[22]
그러나 인도네시아 군대는 비밀리에 휴전 지역으로 돌아와 게릴라전을 수행했고, 이는 1948년 12월 오퍼레이션 크라이로 불리는 두 번째 경찰 행동으로 이어졌다.[23] 한편, 판 무크는 네덜란드 내부 반발과 지역 지도자 간 갈등으로 인해 1948년 사임했다.[10]
2. 4. 말년
판 무크는 이후 인도네시아와 모국과의 관계를 끊고 유엔에서 일했다.[10]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1965년 5월 10일 프랑스에서 사망하였다.[10]3. 훈장
리본 바 | 훈장 | 국가 | 날짜 | 비고 |
---|---|---|---|---|
오라녜나사우 훈장 대십자 기사 | 네덜란드 | 1947년 8월 29일 | 사령관에서 승격 | |
네덜란드 사자 훈장 기사 | 네덜란드 | |||
찬란한 옥 훈장 3등급 | 중화민국 | 1939년 7월 22일 | ||
![]() | 해방자 훈장 대수장 | 베네수엘라 | 1944년 8월 22일 |
참조
[1]
서적
2003
[2]
서적
2007
[3]
서적
2004
[4]
서적
1955
[5]
서적
2007
[6]
서적
1955
[7]
서적
2003
[8]
서적
2007
[9]
서적
2003
[10]
서적
2004
[11]
서적
2008
[12]
서적
2005
[13]
서적
2003
[14]
서적
1995
[15]
서적
2003
[16]
서적
2007
[17]
서적
2007
[18]
서적
2003
[19]
서적
2003
[20]
서적
2008
[21]
서적
2005
[22]
서적
2003
[23]
웹인용
Agressi II: Operatie Kraai. De vergeten beelden van de tweede politionele actie. Orig. edn. - ZWEERS, L
https://web.archive.[...]
Antiqbook.nl
2012-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