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동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동가리는 몸길이 약 15cm의 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로, 몸은 타원형이고 흰색 줄무늬가 특징이다. 태평양과 인도양의 산호초 지역에서 말미잘과 공생하며, 클라크흰동가리는 다양한 색깔 변이를 보인다. 흰동가리는 자웅동체이며 잡식성으로, 동물플랑크톤, 조류 등을 먹는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와 영화 '니모를 찾아서'의 영향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흰동가리속 - 흰동가리아과
흰동가리아과는 인도-태평양 열대 산호초에 사는 해수어류로, 말미잘과 공생하며, 선명한 색과 흰색 가로줄을 가진 약 30종의 물고기이다. - 1830년 기재된 물고기 - 준치
준치는 밴댕이와 유사한 외형을 가진 50cm 정도의 어류로, 얕은 바다에 살며 맛이 뛰어나 예부터 인기가 많았고 '썩어도 준치'라는 속담의 유래가 되었으며,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고단백 식품이자 상업적으로 어획되는 중요한 종이다. - 1830년 기재된 물고기 - 그린크로미스
그린크로미스는 녹색 빛깔의 관상어로, 인도양과 태평양의 산호초에 서식하며, 최대 10cm까지 성장하고, 잡식성으로 해조류 등을 먹으며, 수컷은 번식기에 노란색으로 변하여 둥지를 만들고 알을 보호한다.
| 흰동가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Amphiprion clarkii |
| 명명자 | J. W. Bennett, 1830 |
| 일반명 | 흰동가리 |
| 영어 이름 | yellowtail clownfish |
| 라틴어 이름 | Amphiprion clarkii |
|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 | 관심 필요 |
| 상태 (페르시아 만) | 위기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기어강 |
| 상목 | 극기상목 |
| 목 | 농어목 |
| 과 | 자리돔과 |
| 아과 | 흰동가리아과 |
| 속 | 흰동가리속 |
| 학명 이명 | |
| 기타 | |
| 해양 생물 종 등록 | 212783 |
2. 외관
몸길이는 일반적으로 10cm에서 18cm 사이이며, 암컷이 수컷보다 커서 최대 15cm까지 자라기도 한다.[4][6][15] 몸은 긴 타원형이고 옆으로 납작하며, 몸 높이가 높은 편이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약간 튀어나와 있다.[24] 등지느러미의 가시는 연조(마디가 있고 끝이 갈라진 부드러운 지느러미 줄기) 부분보다 낮거나 길이가 비슷하며, 가시 10개와 연조 15~16개로 이루어져 있다. 뒷지느러미는 가시 2개와 연조 13~14개로 구성된다.[16]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는 가운데가 움푹 들어가거나 반달 모양을 띤다.[24]
흰동가리는 인도양, 태평양, 홍해의 따뜻한 바다에 널리 분포하며, 호주 북서부, 동남아시아, 괌 등지에서도 발견된다.[25] 이들은 주로 수온 25°C에서 28°C 사이, 수심 12m를 넘지 않는 얕은 산호초나 석호에서 서식하지만[25][4], 일부 성체는 수심 60m 깊이의 암초 주변에서도 발견된다.[17]
몸 빛깔은 매우 다양하여, 종, 서식지, 성별, 나이, 그리고 공생 관계를 맺는 숙주 말미잘의 종류에 따라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 또는 검은색 등 여러 색을 띤다.[4] 많은 종에서 흰색의 넓은 줄무늬나 반점이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등 쪽이 흑갈색, 가슴과 배가 주황색이며 몸통과 꼬리자루에 흰색 가로띠가 3개 있는 경우도 있다.[24]
특히 클라크흰동가리(''Amphiprion clarkii'')는 다른 어떤 흰동가리보다 색 변이가 두드러진다.[7] 일반적으로 등 쪽은 검은색, 배 쪽은 주황색이나 노란색을 띠며, 나이가 들수록 검은색 부분이 넓어진다.[7][17] 주둥이는 주황색 또는 분홍색이다.[8][18] 몸에는 눈 뒤와 항문 위에 걸쳐 흰색의 수직 줄무늬 두 개가 있다.[7][18] 등지느러미는 주황색 또는 노란색이며,[8] 꼬리자루와 꼬리지느러미는 보통 흰색이거나 몸의 다른 부분보다 밝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을 띤다.[8][9][18][19][21] 어린 개체는 보통 주황색이나 노란색 바탕에 흰색 수직 줄무늬를 가진다.[8][18] 숙주 말미잘의 종류에 따라서도 색이 달라져, 아라비아말미잘(''Stichodactyla mertensii'')과 함께 사는 개체는 배 부분까지 검은색을 띠기도 한다.[20]

3. 분포와 생태
흰동가리는 야생에서 말미잘과 독특한 공생 관계, 특히 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상리공생 관계를 맺고 살아간다.[4] 말미잘은 흰동가리에게 안전한 서식처와 먹이를 제공하고, 흰동가리는 말미잘을 포식자나 기생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자세한 생태적 특징과 공생 관계는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생태
흰동가리는 인도양, 태평양, 홍해의 따뜻한 바다에 있는 얕은 수심의 산호초나 석호에서 주로 서식한다.[4] 이들은 말미잘과 독특한 상리공생 관계를 맺고 살아간다. 흰동가리는 말미잘의 독침 촉수에 면역이 있어 영향을 받지 않으며, 말미잘은 흰동가리에게 포식자로부터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하고 먹이 찌꺼기나 죽은 촉수를 통해 먹이를 공급한다. 대신 흰동가리는 말미잘을 공격하는 포식자나 기생충을 쫓아내며 서로 돕는다.[4] 말미잘을 이용할 수 없을 때는 바위 그늘에 숨기도 한다.[23]
흰동가리 무리는 엄격한 우위 서열을 가진 모계 중심 사회를 이룬다. 무리에서 가장 크고 공격적인 개체가 암컷이며, 번식은 이 암컷과 수컷 한 마리만이 체외 수정을 통해 담당한다. 흰동가리는 자웅동체(웅성선숙)로, 태어날 때는 수컷의 생식 기관을 가지지만 성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이다. 12개월에서 24개월이 지나면 수컷으로 완전히 성숙하며, 무리의 암컷이 죽으면 수컷 중 가장 우세한 개체가 암컷으로 성전환을 한다.[22] 이는 다른 곳에서 새로운 암컷을 찾는 것보다 무리 내에서 성을 바꾸는 것이 종족 보존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성전환 방식은 리본장어와 유사하다.
흰동가리는 한 번에 700~800개의 알을 낳지만, 부화 성공률은 낮은 편이다. 필리핀 해안 산호초에서 관찰된 바에 따르면, 흰동가리는 주로 추운 달인 11월부터 5월 사이에 번식하며, 달의 위상이 삭망(그믐이나 초하루)에 가까울수록 산란량이 증가하고 보름달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온대 지역에 사는 다른 흰동가리 종들과 유사한 번식 패턴이다.[5] 흰동가리의 수명은 약 13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26]
흰동가리의 크기는 10cm에서 18cm 사이이며[4], 종에 따라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 또는 검은색 바탕에 흰색 줄무늬나 반점을 가지고 있다. 색깔은 서식 분포, 성별, 나이, 공생하는 말미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잡식성으로 동물플랑크톤과 조류를 먹으며[21],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물고기이다. 자신의 세력권을 지키려는 경향이 있어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23]
흰동가리는 여러 종류의 말미잘과 공생할 수 있으며, 특히 다음 10종의 말미잘과 함께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 학명 | 한국어 이름 |
|---|---|
| Cryptodendrum adhaesivum | 붙은말미잘 |
| Entacmaea quadricolor | 흰말미잘 |
| Heteractis aurora | 구슬말미잘 |
| Heteractis crispa | 흰줄말미잘 |
| Heteractis magnifica | 장수말미잘 |
| Heteractis malu | 혹말미잘 |
| Macrodactyla doreensis | 얼룩흰줄말미잘 |
| Stichodactyla gigantea | 큰말미잘 |
| Stichodactyla haddoni | 혹큰말미잘 |
| Stichodactyla mertensii | 아라비아큰말미잘 |
때로는 흰동가리[22]나 흰줄말미잘고기[16]와 같은 다른 종과 함께 하나의 말미잘을 공유하기도 한다.
3. 2. 먹이
동물성 플랑크톤, 해조류, 웜, 갑각류 등을 먹는 잡식성이다.[27]3. 3. 공생
흰동가리는 야생에서 말미잘과 공생 관계, 특히 서로 이익을 얻는 상리공생 관계를 맺는 물고기이다. 이들은 숙주 말미잘의 독침 촉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말미잘은 흰동가리에게 포식자로부터 안전한 서식처를 제공하며, 말미잘이 먹고 남긴 찌꺼기나 때때로 죽은 말미잘 촉수를 통해 먹이를 얻기도 한다. 반대로 흰동가리는 말미잘을 나비고기과와 같은 포식자나 기생충으로부터 보호한다.[4] 또한, 약해진 물고기를 말미잘 촉수 가까이 유인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17]흰동가리 중 클라크흰동가리(*Amphiprion clarkii*)는 특정 말미잘 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아, 흰동가리가 서식하는 다음 10종의 말미잘과 모두 공생 관계를 맺을 수 있다.[7][10][17]
| 학명 | 한국어 이름 (영문/다른 이름) |
|---|---|
| Cryptodendrum adhaesivum | 붙은말미잘 |
| Entacmaea quadricolor | 흰말미잘 (버블팁 말미잘) |
| Heteractis aurora | 구슬말미잘 |
| Heteractis crispa | 흰줄말미잘 (세바에 말미잘) |
| Heteractis magnifica | 장수말미잘 (화려말미잘) |
| Heteractis malu | 혹말미잘 (섬세말미잘) |
| Macrodactyla doreensis | 얼룩흰줄말미잘 (긴촉수말미잘) |
| Stichodactyla gigantea | 큰말미잘 (거대카펫말미잘) |
| Stichodactyla haddoni | 혹큰말미잘 |
| Stichodactyla mertensii | 아라비아큰말미잘 (멀텐스 카펫말미잘) |
때로는 한 개체의 말미잘을 다른 흰동가리[22]나 흰줄말미잘고기[16]와 같은 다른 종과 함께 공유하며 서식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4. 인간과의 관계
흰동가리는 애니메이션 영화 니모를 찾아서의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대중에게 친숙한 물고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관상어로서 수요가 급증하였으나, 이는 야생 흰동가리의 무분별한 포획으로 이어져 개체군 감소의 한 원인이 되었다. 또한, 지구온난화와 같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해양 환경 변화는 흰동가리의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과 함께 흰동가리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4. 1. 동물 복지 문제
지구온난화로 인해 바닷속 이산화탄소 양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해양 산성화는 흰동가리의 후각을 둔화시킨다. 이로 인해 흰동가리는 공생 관계인 말미잘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또한, 애니메이션 영화 니모를 찾아서 시리즈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흰동가리를 키우려는 수요가 급증했고, 이로 인해 야생 흰동가리를 마구잡이로 포획하여 공급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흰동가리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호주의 퀸즐랜드대와 플린더스대 공동 연구팀은 '니모 구하기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흰동가리 보존 기금을 모아 흰동가리에 대한 교육과 인식 개선 활동을 펼치고, 사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야생 물고기 포획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제로 흰동가리 암컷은 한 번에 많은 알을 낳기 때문에, 굳이 야생에서 포획할 필요가 없는 종이다.[28]
4. 2. 보존 노력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양산성화는 흰동가리의 후각을 둔화시켜 말미잘을 찾는 능력을 저하시키고,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 시리즈의 인기로 인해 사육 수요가 급증하면서 야생 흰동가리 포획이 늘어나는 등 여러 요인으로 흰동가리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호주의 퀸즐랜드대와 플린더스대 공동연구팀은 '니모 구하기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흰동가리 보존 기금을 모금하고, 흰동가리에 대한 교육 및 인식 개선 활동을 펼치며, 사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야생 물고기 포획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제로 흰동가리는 암컷 한 마리가 한 번에 많은 알을 낳기 때문에, 번식력이 높아 굳이 야생에서 포획할 필요가 없는 어종이다.[28]
5. 어원
종소명과 일반명은 모두 베넷의 저서 ''실론 해안에서 발견된 가장 주목할 만하고 흥미로운 어류 중에서 선택된 것들''(A Selection from the most remarkable and interesting Fishes found on the Coast of Ceylon, from drawings made in the Southern part of that Islandeng)에 그림을 제공한 스코틀랜드의 판화가 존 헤비사이드 클라크(John Heaviside Clark, 1771–1836)를 기리고 있다.[11]
참조
[1]
IUCN
Amphiprion clarkii
2022-12-09
[2]
IUCN
Amphiprion clarkii (Persian Gulf assessment)
2024-10-09
[3]
WRMS
Amphiprion clarkii
2014-01-27
[4]
웹사이트
Clown Anemonefish
http://animals.natio[...]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1-12-19
[5]
논문
The reproductive seasonality and fecundity of yellowtail clownfish (Amphiprion clarkii) in the Philippines
[6]
서적
What Fish?: A Buyer's Guide to Marine Fish
Interpet Publishing
[7]
웹사이트
ADW: Amphiprion clarkii: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Animaldiversity.ummz.umich.edu
2014-01-27
[8]
웹사이트
SOUS LES MERS : Amphiprion clarkii - poisson-clown de Clark
http://fran.cornu.fr[...]
Fran.cornu.free.fr
2014-01-27
[9]
EoL
Amphiprion clarkii
2013-02-14
[10]
서적
Field Guide to Anemone Fishes and Their Host Sea Anemones
http://jjgeisler.com[...]
Western Australian Museum
[11]
웹사이트
Order CICHLIFORMES: Family POMACENTR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4-08-15
[12]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Amphiprion clarkii (Bennett, 1830)
http://www.marinespe[...]
Marinespecies.org
2014-01-27
[13]
서적
魚の名前
東京書籍
[14]
서적
野外観察図鑑4 魚
旺文社
[15]
서적
What Fish?: A Buyer's Guide to Marine Fish
Interpet Publishing
[16]
FishBase
[17]
웹사이트
ADW: Amphiprion clarkii: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Animaldiversity.ummz.umich.edu
2014-01-27
[18]
웹사이트
SOUS LES MERS : Amphiprion clarkii - poisson-clown de Clark
http://fran.cornu.fr[...]
Fran.cornu.free.fr
2014-01-27
[19]
서적
魚
保育社
[20]
서적
ヤマケイポケットガイド16 海辺の生き物
山と渓谷社
[21]
웹사이트
Facts about Clark's Anemonefish (Amphiprion clarkii) - Encyclopedia of Life
http://eol.org/pages[...]
Eol.org
2013-02-14
[22]
논문
Protandrous Hermaphroditism, in Six Species of the Anemonefish Genus Amphiprion in Japan
http://www.wdc-jp.bi[...]
[23]
서적
What Fish?: A Buyer's Guide to Marine Fish
Interpet Publishing
[24]
웹인용
흰동가리
https://www.doopedia[...]
2022-11-24
[25]
웹인용
흰동가리
https://terms.naver.[...]
2022-11-24
[26]
웹인용
흰동가리
https://terms.naver.[...]
2022-11-24
[27]
웹인용
흰동가리
https://terms.naver.[...]
2022-11-24
[28]
뉴스
니모를 찾아서? 멸종 위기의 니모 구하기!
https://www.dongasci[...]
동아사이언스
2016-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