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치는 몸길이 약 50cm의 물고기로, 밴댕이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얕은 바다의 중층에 서식하며, 새우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 산란기는 4-6월이며, 맛이 뛰어나 '썩어도 준치'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 황해, 남해, 일본 열도, 중국 대륙 등지에 분포한다.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 가치가 높으며,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으로 어획량이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0년 기재된 물고기 - 그린크로미스
 그린크로미스는 녹색 빛깔의 관상어로, 인도양과 태평양의 산호초에 서식하며, 최대 10cm까지 성장하고, 잡식성으로 해조류 등을 먹으며, 수컷은 번식기에 노란색으로 변하여 둥지를 만들고 알을 보호한다.
- 1830년 기재된 물고기 - 가지굴
 가지굴은 도입부 작성을 위한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관련 내용, 참고 자료, 외부 링크 등을 통해 핵심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 청어과 - 청어속
 청어속은 청어과에 속하며 은색 몸체, 부드러운 등지느러미, 튀어나온 아래턱을 가진 약 200여 종의 어류로, 식용 어획 및 경제적 중요성을 가지지만 한반도에서는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
- 청어과 - 전어
 전어는 맛이 좋아 돈을 아끼지 않고 사 먹는다는 설이 있는 물고기로, 가을에 특히 즐겨 먹으며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고, 일본에서는 코노시로라고 불린다.
- 태국의 물고기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태국의 물고기 - 뱀상어
 뱀상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호랑이 무늬를 가진 흉상어목의 큰 상어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기회주의적 포식자이지만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다.
| 준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학명 | Ilisha elongata | 
| 이명 | Pellona elongata Bennett, 1830 Ilisha abnormis Richardson, 1846 Ilisha affinis Gray, 1830 | 
| 보존 상태 | 관심 필요 (LC) | 
| 중국어 (간체) | 勒鱼 (lè yú) | 
| 중국어 (정체) | 勒魚 (lè yú) | 
| 중국어 (병음) | lè yú | 
| 중국어 (간체, 약칭) | 鳓 (lè) | 
| 중국어 (정체, 약칭) | 鰳 (lè) | 
| 중국어 (병음, 약칭) | lè | 
| 크기 | 45~60 cm | 
| 생물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기어류강 | 
| 목 | 청어목 | 
| 과 | 준치과 | 
| 속 | 준치속 | 
| 종 | 준치 (I. elongata) | 
2. 특징
몸길이는 50cm 정도이며 밴댕이와 비슷하게 생겼다. 모래나 개펄로 된 얕은 바다의 중층에 서식하며, 새우나 작은 물고기를 먹이로 삼는다. 산란기는 4-6월이며, 강 하구에서 산란한다. 맛이 뛰어나 '썩어도 준치'라는 속담이 생길 정도로 인기가 많다. 한반도의 황해와 남해, 일본 열도, 중국 대륙, 동인도제도, 싱가포르,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북부 지역에서는 준치가 2년에 성숙하며 수명은 약 6년이다. 서식지 중 따뜻한 지역에서는 1년 미만에 성숙하며 수명은 약 3년이다. 여러 차례에 걸쳐 알을 낳을 수 있다.[5] 
준치는 단백질이 풍부하여 고단백 식품으로 섭취하기에 좋다. 특히 비타민 B1, 비타민 B2 등 수용성 비타민이 풍부하여 원기 회복에 도움을 주며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영양학적으로 쇠고기, 닭고기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생선 중 하나이다. 
준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이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통계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연간 어획량은 80,400톤에서 98,700톤 사이였다.[6] 어획량 대부분은 북서 태평양(FAO 어업 지역 61)에서 나왔으며, 특히 중국에서 많이 잡힌다.[6] 맛이 좋지만 잔가시가 많다.[6] 
[1] 
간행물
 
"''Ilisha elongata''"
 
2024-05-10
 
 
                        
3. 생태
4. 영양
5. 어업 및 이용
참조
[2] 
간행물
 
2012-05-27
 
[3] 
FishBase
 
[4]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7. Clupeoid fishe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herrings, sardines, pilchards, sprats, anchovies and wolfherrings. Part 1 – Chirocentridae, Clupeidae and Pristigasteridae
 
https://openknowledg[...] 
FAO
 
[5]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Ilisha elongata'' (Teleostei: Pristigasteridae) in Ariake Sound, Japan: Implications for estuarine fish conservation in Asia"
 
[6] 
서적
 
Yearbook of fishery and aquaculture statistics 2009. Capture production
 
ftp://ftp.fao.org/FI[...] 
FAO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