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카케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카케어족은 1953년 조지프 그린버그와 모리스 스와데시에 의해 처음 제안된 언어 분류로, 톨어를 호크어족에 포함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후 톨어가 니카라과의 사어인 수브티아바어, 테키스틀라텍어족과 같은 계통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으며, 시과요어와의 관련성도 추측되었다. 캠벨과 올트로게는 원시 히카케어의 음소를 재구했으며, 톨어와 호크어족의 관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등 히카케어족의 분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두라스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온두라스의 언어 - 미스키토어
    미스키토어는 아메리카 원주민, 유럽인, 아프리카인의 혼혈인 미스키토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스페인어 사용 강제와 학교에서의 사용 금지로 쇠퇴했으나, 이중 언어 학교 장려 등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19개의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히카케어족
개요
이름히카케어족
다른 이름톨어족
사용 지역온두라스
사용자톨루판족
언어학적 분류
어족(호크어족?)
Glotto 코드jica1245
Glottologjica1245
Glottolog 명칭Jicaquean
하위 언어
지도 정보
톨라테칸 언어 분포
지도의 가운데 온두라스에 위치

2. 분류

그린버그스와데시가 1953년 발표한 논문[7] 이전에는 톨어(동히카케어)는 알려진 어떤 언어와도 친척 관계가 없는 고립어로 여겨졌다. 그린버그와 스와데시는 톨어가 호크어족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캠벨과 Oltrogge는[10] 서히카케어와 동히카케어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히카케어족 음소를 재구하면서, 톨어와 호크어족의 관계에 대해서는 강한 의문을 제기했고,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 1. 호크어족 가설

그린버그스와데시는 1953년에 발표한 영향력 있는 논문에서 톨어를 호크어족에 포함시켰다.[7] 호크어족은 1913년 R. B. 딕슨과 앨프리드 크로버가 제안한 대규모 어족 가설이다.[8] 1977년 Oltrogge는 톨어가 니카라과의 사어인 수브티아바어와 테키스틀라텍어족과 같은 계통이라는 가설을 제안했다.[9] 캠벨과 Oltrogge는 톨어와 호크어족의 관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지만, 테키스틀라텍어족과의 관계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0] 테렌스 코프먼은 톨어가 호크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11]

2. 2. 시과요어와의 관계

Granberry & Vescelius (2004)는 히스파니올라섬사어인 시과요어와 같은 계통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언어는 히카케어족이라고 추측했다.[1]

3. 원시 히카케어

캠벨과 올트로게(Oltrogge, 1980)는 원시 히카케어의 음소를 재구하여 발표했다.[6]

캠벨과 올트로게(Oltrogge, 1980)의 원시 히카케어 재구[6]
번호의미원시 히카케어
2모두*pʰɨ(t)
3항상*han-
5팔, 등, 어깨*pʰel
7화살*¢imea ?
8*pʰɨpʰɨh
13~이다*kʼos
16침대*kʰan
17*-kol
18*pɨneh ?
24검은*te(kʰ)
27*kʼas
28파란*¢u(h)
30*pʼɨ(y)
32*kʰele
34활(활과 화살의)*halek
37태우다*tV-pʷe
38덤불 (숲)*hokʼ-la
40말똥가리*mantɨ
45구름*mol
46*¢ʰek
51퓨마*pɨkʼa(-he)
59*(ku)kus
62사슴*pʼɨs
63죽다*pɨʔ ?
65*¢ʰiyo(h)
66마시다*mɨʔ
67(to) 건조하다*pʰa
69*pʰa¢ʼ
70땅, 토지*(a)ma(h)
71먹다*la ?
72*pehey
75배설물*pɨ(y)
78*kampa
79아버지*(pa)pa(y)
84*kʼawa
85장작*wɨ(t)
86물고기*kʰul
89벼룩*pel
91파리*no¢o¢
93이마*wala
94잊다*-pɨʔ
95*(y)ulupʰana
97과일*wolas
99주다*-tekʼa
101좋은*wɨ(k)
102곡물 (옥수수 참고)*hulup
103할머니, 여성*(mɨ)mɨy
104갈다*kʰol ?
106머리카락*¢ʼil
107*mas ?
108그, 그것*hup
109머리*ha(y)pʰuk
110듣다*pʰak
111심장*has-
114*¢ʰeme
115*wa
117*nap ?
119내장*¢ʼul
123무릎*tikʼ-
125웃다*wiʔ
126다리*tek
128입술*lɨp
129*kom
131*kampa
132찾다*pal-
133*tɨtʼ
135금강앵무*pʼɨsa(h)
137남성, 할아버지*(ko)koy
138남자*yom
140고기*pis
143*mɨmɨy
144달(月)*mɨy-pʰini(h)
148*lala
149많은*pɨlɨk
150나의, 내 것*na¢aʔ
152배꼽*lulu
153조카*kelew ?
155아니*ma-
156*mik
157간호하다*¢oʔ
158참나무*¢ʼolol
159하나*pʰani(h)
164앵무새*kʰuyu(h)
168빨간*he(h)
172둥근*mul- ?
175소금*¢olim
177샌들, 신발*¢ompit
178전갈*¢ʰew ?
179보다*nu(k)
186마른*kʰele
187하늘*alpa
188*han-
190연기*mus
192코를 골다*-hol-
194씨를 뿌리다, 심다*sin-
195말하다*wele
196거미*kolok
201*pe(h)
202여름*¢ʰikin
203*lo¢ʼak
204꼬리*sokʼ
207없다 (스페인어: no hay)*kuwa
210가시*ham ?
212묶다*¢upa-
215*pelam
216*wis
217나무*yo(h)
220*matʼɨ
221삼촌*kokʰam ?
224말벌*petʰel
225*sɨ(tʰ)
226우리*-kup
228*pʰe(kʰ)
229바람*lɨpʰɨ(kʰ)
230여자*kep
233단어*wele
235벌레, 애벌레*¢ʼihih
237노란*lu(pʰ)
239당신*hip


참조

[1] 논문 Jicaque as a Hokan Language
[2] 논문 New Linguistic Families in California
[3] 논문 Proto-Jicaque-Subtiaba-Tequistlateco: A Comparative Reconstruction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4] 논문 Proto-Tol (Jicaque)
[5] 서적 Hokan Languages Elsevier
[6] 논문 Proto-Tol (Jicaque)
[7] 논문 Jicaque as a Hokan Language
[8] 논문 New Linguistic Families in California
[9] 논문 Proto-Jicaque-Subtiaba-Tequistlateco: A Comparative Reconstruction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0] 논문 Proto-Tol (Jicaque)
[11] 서적 Hokan Languages Elsev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