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의미하며, 구어, 문어, 완전한 사어로 분류된다. 언어는 다른 언어에 의해 대체되거나 언어 변이로 인해 사어가 되기도 하며, 과학, 법률, 종교 분야에서 계속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어는 구어로서 사어가 되었지만, 문어와 현대 히브리어로 부활한 사례가 있다. 사어 연구는 언어의 역사와 변천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콥트어와 같이 보존 및 부활 운동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어 - 언어 사멸
    언어 사멸은 언어 사용자들이 다른 언어를 습득하여 원래 언어 사용을 중단하는 현상으로, 문화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며 언어 부활 노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사어
언어 정보
언어 유형사어
사용 중단 시기더 이상 모국어 화자가 없음
언어 소멸 원인사회적 요인 (언어 사용 억제, 차별)
정치적 요인 (강제적인 언어 정책)
경제적 요인 (취업, 교육 기회 부족)
문화적 요인 (지배적인 언어의 영향력)
특징더 이상 자연스러운 발화가 일어나지 않음
언어 변화가 멈춤
기록된 자료를 통해서만 연구 가능
연구 분야역사언어학, 고고학, 문헌학
사어의 종류
완전히 소멸된 언어더 이상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되지 않는 언어
기록으로만 남은 언어문헌 자료를 통해서만 존재를 알 수 있는 언어
인공적으로 소멸된 언어의도적으로 사용을 중단시킨 언어
사어가 될 위기에 처한 언어사용자가 급격히 줄어들어 소멸 가능성이 높은 언어
사어의 예시
고대 이집트어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고대 그리스어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라틴어고대 로마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현재는 바티칸 시국의 공용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슬라브족의 전례 언어
관련 개념
사어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
소멸위기어소멸될 위험에 처한 언어
제2언어모국어가 아닌 언어
인공어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언어
언어 되살리기사어가 된 언어를 다시 사용하도록 노력하는 과정

2. 사어의 정의와 유형

엄밀하게 말하면, 사어는 구어로서의 사어와 문어로서의 사어, 그리고 완전한 사어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1]

사어가 된 언어를 다시 살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역사상 히브리어에서만 성공한 사례이다. 히브리어는 기원전 1세기경 구어로서 사어가 되었으나, 문어로서 학자와 성직자 등 교육받은 유대인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20세기 초 엘리제르 벤 예후다는 고전 히브리어를 바탕으로 현대 히브리어를 재구성하여 자신의 아들에게 가르쳐 모국어로 재생시켰다. 현대 히브리어는 오늘날 이스라엘의 공용어이다. 제2언어로 부활한 경우는 맹크스어와 콘월어 등이 있다.

표음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언어는 원래 발음을 복원할 수 없다. 따라서 표어문자인 한자로 기록된 고대 중국어와 같은 경우 구어로서의 부활은 사실상 곤란하다.

2. 1. 구어와 문어의 구분

고전 아랍어, 라틴어, 고전 중국어, 고전 그리스어와 같은 언어는 일상 화자가 완전히 사라졌더라도 문어로서 현대에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전 중국어로 시를 쓰는 습관21세기가 된 지금도 일본중국의 일부에서 건재하며, 라틴어는 현재에도 학술 용어로 엄청난 수가 조어되고 있다.[1]

3. 사어가 되는 과정

일반적으로 한 언어가 다른 언어에 의해 대체되면서 사어가 된다. 아랍어에 의해 대체된 콥트어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에 의해 대체되어 버린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빠른 언어변이로 말미암아 결국 다른 언어가 되어서 이전의 언어가 사어가 되는 경우도 있다. 오늘날 로망스어군의 언어들은 라틴어에서 기원하였으나 언어변이로 각기 개별언어가 되면서 라틴어는 사어가 되었다. 산스크리트어고대 영어 등도 이 경우에 해당한다.[2]

4. 사어의 부활

사어가 된 언어를 다시 살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역사상 히브리어에서만이 성공한 사례이다. 히브리어는 기원전 1세기경에 이미 구어로서 사어가 되어 문어로서 학자 및 성직자 등의 교육받은 유대인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 엘리제르 벤 예후다에 의해 고전 히브리어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현대 히브리어를 자신의 아들에게 가르치며 모국어로 재생되었다. 현대 히브리어는 오늘날 이스라엘의 공용어이다. 제2언어로 부활한 경우는 맹크스어와 콘월어 등이 있다.

그러나 표음 문자로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원래 발음을 복원 할 수 없으므로, 표어문자인 한자로 기록된 고대 중국어와 같은 경우 구어로서의 부활이 사실상 곤란하다.

5. 특수한 경우: 학술, 법률, 종교 분야에서의 사어

일부 특수한 경우에 사멸된 언어가 과학, , 종교 등의 분야에서 계속해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산스크리트어[2], 라틴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 아베스타어 등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개별 언어로서는 사어이나 라틴어, 산스크리트어처럼 일찍이 문어 체계를 세우고 문화적 영향을 크게 미친 경우는 차용어 형태로 직계 언어나 다른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록에 남지 않은 언어들도 다른 언어에 단어 수준에서는 흔적을 남긴다.

6. 사어 연구의 중요성

기록되지 않은 언어는 다른 언어에 단어 수준의 흔적을 남기기도 한다.[2] 사어 연구는 언어학, 역사학,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고트어고대 교회 슬라브어처럼 풍부한 문헌을 통해 당시 상황을 알 수 있는 경우가 있는 반면, 프러시아어나 프리기아어와 같이 문헌이 거의 없어 사용 기록만 알려진 경우도 있다. 토하라어히타이트어20세기에 새롭게 발견된 사어로, 인도유럽어족 연구에 새로운 발견과 연구 요소를 제공하고 있다.

6. 1. 오스만어 연구

오스만어는 오스만 제국의 멸망 후 공용어 지위를 잃고 점차 사어가 되었지만, 현재도 오스만 제국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6. 2. 산스크리트어의 경우

산스크리트어가 일상어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사어로 분류하는 의견도 있지만, 인도에서 실시되는 인구 조사에서 현대에도 산스크리트어를 모국어로 신고하는 사람들이 소수나마 존재한다.[1] 2001년에는 인도에서 14,135명이, 2011년에는 인도에서 24,821명, 네팔에서 1,669명이 산스크리트어를 모국어로 응답했다. 또한, 산스크리트어 뉴스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산스크리트어를 사용한 신문 및 잡지가 발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사어로 분류해야 하는지에 대한 반론도 많다.

7. 한국어의 사어

과거에 비해 사용 빈도가 현저히 줄어 거의 사용되지 않는 낱말을 사어라고 하며, '''폐어'''(廢語)라고도 한다.[1] 한국어에서 사어가 된 낱말로는 (山), (100), 즈믄(1000) 등이 있다.[1]

8. 콥트어 보존 운동

고대 이집트어의 발음은 한때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지만, 표기를 알파벳으로 바꾼 콥트어로 현존하는 콥트 정교회 신자들에 의해 존속되어 해독이 진행되었다.[1] 또한 콥트어를 "완전한 사어"로 만들지 않기 위한 보존 조사 및 부활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1]

참조

[1] 논문 第4回「第18回国際植物学会議(メルボルン)で変更された発表の要件:電子発表の意味するところ(Changes to publication requirements made at the XVIII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in Melbourne: What does e-publication mean for you. Knapp, S., McNeill, J. & Turland, N.J. Taxon 60: 1498-1501, 2011)」 の紹介と日本語訳 http://www.jsmrs.jp/[...] 日本微生物資源学会 2016-05-02
[2] 문서 바티칸 시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