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항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 항쟁은 1988년 1월 8일 공권력이 투입되어 강제 진압된 조선대학교의 민주화 운동을 의미한다. 박철웅 총장의 사학 비리에 항거하여 학생, 교수, 동문, 학부모들이 113일간 장기 농성을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1,500여 명의 경찰력이 투입되어 2명이 중상을 입고, 1명이 투신, 45명이 구속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박철웅 총장과 기존 이사진이 해임되고, 대학자치운영협의회가 출범하는 등 학원 민주화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1·8 항쟁은 조선대학교 역사에서 민립대학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대학민주화 운동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2007년 학교 공식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역사 - 광산군
광산군은 1935년 광주군에서 개칭된 행정구역으로, 광주직할시 편입 전까지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 나주군 지역 편입, 광주시와의 지역 조정, 송정읍의 송정시 승격 등의 변화를 겪으며 읍과 면으로 구성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역사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에서 신군부의 계엄령 확대와 정치 탄압에 항거한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자 계엄군의 무력 진압 사건으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조선대학교 - 이돈명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변호사, 인권 운동가, 사회 운동가로 활동한 이돈명은 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으며 주요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변호사의 대부'로 불렸고, 권위주의 정권에 맞선 변론을 통해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 조선대학교 - 서민호
서민호는 일제강점기 와세다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해방 후 초대 광주시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한일기본조약 반대, 김일성 면담 용의 발언 등으로 구속된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학생 운동 - 조국 사태
조국 사태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과정에서 불거진 입시 비리, 사모펀드 투자, 웅동학원 채무 문제 등 여러 의혹과 그에 따른 사회적 갈등을 총칭하는 사건이다. - 대한민국의 학생 운동 - 4·19 혁명
4·19 혁명은 1960년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이승만 정권의 장기 집권과 부정부패에 대한 분노로 시작되어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낸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혁명이다.
1·8 항쟁 | |
---|---|
기본 정보 | |
이름 | 1·8 항쟁 |
별칭 | 조선대 사태 |
장소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조선대학교 |
날짜 | 1987년 - 1988년 |
![]() |
2. 사건 배경
조선대학교는 호남 지역 민중들이 설립한 민립대학이었으나, 설립 당시 '설립동지회 회장'이었던 박철웅은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학교를 사유화하려 하였다.[1] 1982년 정관을 불법으로 변경하고 부정입학, 교수 해임, 폭언 및 폭행, 공금 횡령 등 각종 비리를 저질렀다.[1] 1986년에는 교수들의 시국선언을 막기 위해 전체 교수 및 교직원을 매일 아침 운동장에 집합시켜 충성서약을 강요하는 등[1] 온갖 전횡을 일삼았다.[2] 제5공화국 말기인 1987년, 이러한 박철웅 총장과 그 일가에 항거하여[3] 학생, 교수, 동문들이 '박철웅 총장 퇴진 및 민립대학 환원' 투쟁을 전개하였다. 이 투쟁은 113일간의 장기농성으로 이어졌으며,[4] 1988년 1월 8일 새벽 공권력 투입으로 막을 내렸다.[5][6][7][8]
2. 1. 박철웅 일가의 사학 비리
조선대학교 설립동지회 회장이었던 박철웅은 호남 지역 민중들이 설립한 민립대학인 조선대학교를 사유화하고자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였다. 1982년 불법으로 정관을 변경하였고, 부정입학, 교수 해임, 교수 및 학생들에 대한 폭언과 폭행, 공금 횡령을 하였다.[1] 1986년에는 교수들의 시국선언을 막기 위해 매일 아침 7시에 전체 교수 및 교직원을 운동장에 집합시켜 출석을 부르고, 노교수, 여교수 할 것 없이 운동장을 두 바퀴씩 구보하게 한 다음 총장에게 충성서약을 하게 하는 등 비민주적인 행태를 보였다.[1]3. 항쟁 전개 과정
조선대학교를 사유화하려던 박철웅 총장과 그 일가에 항거하여, 1987년 반독재투쟁과 맞물려 '박철웅 총장 퇴진 및 민립대학 환원' 투쟁이 전개되었다.[3][4] 학생, 교수, 동문, 학부모가 참여한 113일간의 장기 농성은 1988년 1월 8일 새벽 경찰력 투입으로 막을 내렸다.[4][5][6][7][8]
1·8 항쟁을 계기로 교육부는 박철웅 총장과 기존 이사진을 전원 해임하고,[11][12] 2월 '대학자치운영협의회'가 출범했으며, 4월 해직 교수 24명이 복직했다. 9월 29일 이돈명 총장이 취임하면서[13] 학원 민주화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3. 1. 113일간의 장기 농성
1987년 반독재투쟁과 맞물려 전개된 '박철웅 총장 퇴진 및 민립대학 환원' 투쟁은 학생, 교수, 동문들이 중심이 되어 진행되었으며, 학부모 또한 가세하여 113일간의 장기 농성이 이어졌다.[4]3. 2. 공권력 투입과 강제 진압
1988년 1월 8일 새벽 4시, 경찰력 1,500여 명이 조선대학교 학내에 투입되어 113일간의 장기 농성을 강제 진압했다.[5][6][7][8][4] 이 과정에서 2명이 중화상을 입고, 1명이 투신했으며, 45명이 구속되었다.[9][10]4. 항쟁 결과 및 영향
1·8 항쟁 기간 동안 경찰력 1,500여 명이 투입되었고, 강제 진압 과정에서 2명이 중화상을 입었으며, 1명은 투신, 45명이 구속되었다.[9][10] 이 항쟁은 조선대학교 역사에서 하나의 분수령이 되는 사건으로, 2012년 24주년을 맞았다.[15]
4. 1. 구 재단 퇴진과 대학 자치 운영
1·8 항쟁을 계기로 교육부가 박철웅 총장과 기존 이사진을 전원 해임하였고[11][12], 1988년 2월에는 학생, 교수, 동문, 학부모가 참여하는 '대학자치운영협의회'가 출범했다. 4월에는 해직 교수 24명이 복직했고, 9월 29일 이돈명 총장이 취임하면서[13] 학원 민주화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4. 2. 민주화 운동의 의의
1·8 항쟁은 조선대학교 역사에서 민립대학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대학 민주화 운동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14] 1987년 당시 박철웅 총장과 그 일가에 항거하여 학생, 교수, 동문들이 중심이 되어 '박철웅 총장 퇴진 및 민립대학 환원' 투쟁을 전개하였다. 113일간의 장기 농성은 1988년 1월 8일 새벽 공권력 투입으로 막을 내렸지만, 이를 계기로 교육부가 박철웅 총장과 기존 이사진을 전원 해임하였다.[11][12] 이후 1988년 9월 29일 이돈명 총장이 취임하면서[13] 학원 민주화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2007년 1월 7일, 조선대학교는 1·8 항쟁을 학교 공식 기념일로 제정하였다.[14]
참조
[1]
서적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 학교가 원래 니거였니?
한겨레21
2001-08-22
[2]
뉴스
옛 재단은 ‘조선대’ 들어간 조직명 사용 마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11-26
[3]
뉴스
朝鮮大生 1千5百명 총장집앞서 한때시위
동아일보
2011-11-12
[4]
뉴스
朝鮮大제적생 30여명 4일째 농성계속
경향신문
2011-11-12
[5]
뉴스
朝鮮大學內사태 관련 公權力개입 요청
동아일보
2011-11-12
[6]
뉴스
朴哲雄 朝鮮大총장 해임
동아일보
2011-11-12
[7]
뉴스
조선대 일부 학생들은 朴哲雄총장 퇴진등을 요구하며 본관 총장실등을 점거
경향신문
2011-11-12
[8]
뉴스
朝鮮大농성 학생 강제해산
동아일보
2011-11-12
[9]
뉴스
4개월째 농성 朝鮮大生 警察투입 강제解散
경향신문
2011-11-12
[10]
뉴스
朝鮮大 농성학생 20명 拘束방침
동아일보
2011-11-12
[11]
뉴스
朝鮮大에 종합감사 官選이사 8명선임
경향신문
2011-11-12
[12]
뉴스
朝鮮大 새理事陳 구성
경향신문
2011-11-12
[13]
뉴스
李敦明 朝鮮大총장 本校운동장서 취임식
경향신문
2011-11-12
[14]
뉴스
조선대, 1.8항쟁 19년 만에 공식기념일 제정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1-11-12
[15]
뉴스
조선대 1.8항쟁 24주년 기념식 거행
https://web.archive.[...]
프라임 경제
2012-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