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597년 백두산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97년 백두산 지진은 1597년 음력 8월 26일 발생한 지진과 관련된 기록들을 다루는 문서이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지진이 있었다는 간단한 기록만 있지만, 함경도 지역에서 8번의 강한 지진이 발생하여 담벽이 흔들릴 정도였다는 보고가 있다. 함경도 관찰사 송언신은 삼수군 지역의 피해와 덕자이천절벽 붕괴를 보고했으며, 지진 직후 하늘이 어두워지고 천둥이 울리는 현상과 중천의 물빛 변화, 폭발음과 연기, 바위가 터져 나가는 현상 등을 보고했다. 국립기상연구소는 진앙을 함경도 삼수군 인근 백두산 근처로 추정하며, 중국지진관리국 리유체는 왕티안에 화산 폭발이 있었고 백두산 지진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지진 - 1643년 합천 지진
    1643년 합천 지진은 조선 인조 시대에 합천에서 발생하여 민가 붕괴와 인명 피해를 일으켰으며, 승정원일기와 인조실록에 기록되어 당시 지진 관측 및 기록 시스템의 한계를 보여주는 조선시대 지진 재해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 한국의 지진 -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은 1944년에 발생한 압록강 하구 지진으로, 규모는 M6.75에서 M7.1 사이로 추정되며, 중국 단둥시 등 서조선만 연안 지역에서 진동이 감지되고 가옥 붕괴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 16세기 지진 - 가정대지진
    1556년 명나라 가정제 시기에 중국 산시성에서 발생한 가정대지진은 웨이허 계곡의 화주 지역을 진앙으로 하여 수십만 명의 사망자를 낸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낸 지진 중 하나로, 모멘트 규모 약 7.9~8 정도의 강진으로 추정된다.
  • 16세기 지진 - 1575년 발디비아 지진
    1575년 발디비아 지진은 칠레 발디비아 인근에서 발생한 강력한 지진으로, 발디비아에 큰 피해를 입히고 쓰나미와 산사태를 동반하여 많은 인명 피해를 야기했으며, 1960년 발디비아 지진과 유사한 규모로 추정되는 거대 지진이다.
1597년 백두산 지진
지도 정보
진앙
국립기상연구소(위)와 리유체(아래)에 따른 추정 진앙 지역. 위의 그림은 국립기상연구소가 추정한 진앙으로 백두산 바로 아래 남쪽이며, 아래 지도는 리유체가 추정한 진앙으로 동쪽 끝 러시아-중국-북한 3국이 만나는 국경지대로 추정했다.
지진 정보
이름1597년 백두산 지진
현지일1597년 10월 6일 (양력)
선조 30년 8월 26일
현지시간오전 8시 경(진시)
규모 종류모멘트 규모 Mw
규모7.7
규모2(가오샨타이의 추정)
규모 기타모멘트 규모 Mw 8.0 이상 (리유체의 추정)
진도 종류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진도VIII
진도 지점함경도 (국립기상연구원 추정)
깊이알 수 없음
진앙' (국립기상연구소)'
' (리유체)'
종류심발지진
화산성 지진
단층훈춘-왕칭 심발지진대
여진10월 6~8일 이틀간 강한 지진 8회
사상자없음
피해지역함경도 삼수군
피해액알 수 없음
해일알 수 없음
산사태알 수 없음

2. 지질 구조

중국 대륙에서 발생하는 심발지진은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연변 지역 동쪽에서 남북 방향으로 깊은 곳에서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심발지진은 훈춘-왕칭 심발지진대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이 지진대는 동해 동연 변동대에서 가라앉은 대륙판과 중국 대륙 안쪽에 걸쳐져 있다.[7] 환태평양 지진대에서 멀리 떨어진 한반도와 중국 대륙 사이 내륙에 있는 백두산과 우다리안치 화산은 중국 동부의 유일한 휴화산이며, 화산 지역의 심발지진 활동과 화산 분화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8]

2. 1. 훈춘-왕칭 심발지진대

연변 조선족 자치주 동쪽 지역은 남북축을 기준으로 깊이가 매우 깊은 심발지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심발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훈춘-왕칭 심발지진대동해 동연 변동대에서 가라앉은 대륙판과 중국 대륙 안쪽에 걸쳐져 있다.[7] 환태평양 지진대와 멀리 떨어져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 사이 내륙에 있는 백두산과 우다리안치 화산은 중국 동부의 유일한 휴화산이며, 화산 지역의 심발지진 활동과 화산 분화와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8]

훈춘-왕칭 심발지진대는 과거 여러 차례 강한 지진이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된다. 1597년에 일어났던 지진은 지진 감지 범위가 넓었으며, 미약하게나마 지진을 느꼈던 곳이 대략 1,800km에 달했기 때문에 연구 초기에는 진앙이 보하이만 쪽에 있다고 착각하기도 하였다. 21세기 들어서 중국지진관리국의 리유체가 중국 내륙 동북부 지역에 진앙이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 사이에 있다고 주장하면서야 정확한 진앙이 밝혀지기 시작했다.[2]

2. 2. 백두산 화산대

중국 대륙의 대륙지각 내 심발지진 활동은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집중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연변 지역 동쪽에서 남북축을 기준으로 깊이가 매우 깊은 심발지진이 집중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심발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훈춘-왕칭 심발지진대는 일부가 동해 동연 변동대에서 가라앉은 대륙판, 일부는 중국 대륙 안쪽까지 걸쳐져 있다.[7] 환태평양 지진대와 멀리 떨어져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 사이 내륙에 있는 백두산과 우다리안치 화산은 중국 동부의 유일한 휴화산이며, 화산 지역의 심발지진 활동과 화산 분화와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8]

3. 1597년 지진 및 화산 활동

1597년(선조 30년) 백두산 인근에서 지진 및 화산 활동이 있었다는 기록과 이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존재한다. 조선왕조실록과 당시 함경도 관찰사였던 송언신의 보고[9][5][10], 그리고 현대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3][2][4][12][6] 당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3. 1. 조선왕조실록 기록

조선왕조실록에는 음력 8월 26일에 "지진이 있었다"라고 단순히 기술되었으나,[9] 이후 집계에서 함경도 지역에 음력 8월 26일부터 28일(양력 10월 6일부터 8일)까지 8번의 강한 지진이 일어나 담벼락이 흔들릴 정도라고 기록하고 있다.[5] 함경도 관찰사였던 송언신은 삼수군 지역에 지진이 여러 번 일어나 성 두 군데가 무너지고 군 건너편 시루바위 반쪽이 무너지는 등의 피해가 있었으며, 음력 8월 27일 유시(오후 5시-7시 사이)에 일어난 여진으로 덕자이천절벽이 붕괴하였다고 보고하였다.[10]

지진 직후 조선왕조실록에는 대낮에 하늘이 어두워지더니 동북쪽에서 천둥이 울리는 등의 일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1] 함경도 관찰사 송언신은 지진 직후 삼수군 중천의 물빛이 흰색으로 변했다가 28일에는 다시 황색으로 변했으며, 덕자이천절벽 건너편에서 두 차례나 포를 쏘는 소리가 들리고 연기가 하늘 높이 솟아올랐으며 크기가 몇 아름씩 되는 바위가 연기를 따라 터져 나와 종적도 없이 큰 산을 넘어갔다고 보고하였다.[10]

3. 2. 현대 과학적 분석

국립기상연구소에서는 진앙이 함경도 삼수군 인근 백두산 근처 지역이며, 강한 지진을 느낀 반경이 대략 175.27km에 달한다고 추정하고 있다.[3]

훈춘-왕칭 심발지진대는 여러 차례 강한 지진이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1597년에 일어났던 지진은 지진 감지 범위가 넓었으며 미약하게나마 지진을 느꼈던 곳이 대략 1,800km에 달했기 때문에 연구 초기에는 진앙이 보하이만 쪽에 있다고 착각하기도 하였다. 21세기 들어 중국지진관리국의 리유체가 중국 내륙 동북부 지역에 진앙이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 사이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정확한 진앙이 밝혀지기 시작했다.[2] 지진으로 중국 동부 광범위한 지역에서 연못과 운하에 세이시 현상이 일어나 호수물이 넘쳐 역류하는 등의 일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지진 직후 대낮에 하늘이 어두워지더니 동북쪽에서 천둥이 울리는 등의 일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1] 함경도 관찰사 송언신은 지진 직후 삼수군 중천의 물빛이 흰색으로 변했다가 28일에는 다시 황색으로 변했으며 덕자이천절벽 건너편에 두 차례나 포를 쏘는 소리가 들리고 연기가 하늘 높이 솟아올랐으며 크기가 몇 아름씩 되는 바위가 연기를 따라 터져나와 종적도 없이 큰 산을 넘어갔다고 보고하였다.[10] 윤성호 교수는 이 당시 백두산에서 수증기 분화와 폭발식 분화가 일어났던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4]

중국지진관리국 리유체는 2013년 논문에서 왕티안에 화산 밑바닥에서 화산 폭발이 일어났으며 대략적인 위치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십삼도구향과 십사도구진 사이 지역으로 왕티안에 화산 봉우리에서 30km, 백두산 천지에서 대략 60km 정도 떨어져 있는 곳이라고 발표하였다.[12] 또한 화산 분출이 지진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백두산 지진과 분화 사이 관련이 깊다고 말했다.[2][6]

4. 지진 및 화산 활동의 연관성

중국 대륙에서 연변 조선족 자치주를 중심으로 심발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특히 연변 동쪽의 남북축을 따라 깊은 곳에서 자주 발생한다. 훈춘-왕칭 심발지진대동해 동연 변동대에서 가라앉은 대륙판과 중국 대륙 내륙에 걸쳐 있는데,[7] 이곳은 환태평양 지진대와 멀리 떨어져 있다. 한반도와 중국 대륙 사이 내륙에 위치한 백두산과 우다리안치 화산은 중국 동부의 유일한 휴화산으로, 화산 지역의 심발지진 활동과 화산 분화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분석이 있다.[8]

조선왕조실록에는 지진 직후 대낮에 하늘이 어두워지고 동북쪽에서 천둥이 치는 현상이 기록되어 있다.[11] 함경도 관찰사 송언신은 삼수군 중천의 물빛이 흰색에서 황색으로 변하고, 덕자이천절벽 건너편에서 포 쏘는 소리와 함께 연기가 솟아올랐으며, 큰 바위들이 연기를 따라 터져 나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고 보고했다.[10] 윤성호 교수는 이를 백두산의 수증기 분화 및 폭발식 분화로 추정한다.[4]

중국지진관리국 리유체는 2013년 논문에서 왕티안에 화산 밑바닥에서 화산 폭발이 일어났다고 발표했다. 폭발 위치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십삼도구향과 십사도구진 사이로, 왕티안에 화산 봉우리에서 30km, 백두산 천지에서 60km 떨어진 곳이다.[12] 리유체는 화산 분출이 지진대에 위치하며, 백두산 지진과 분화 사이에 깊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2][6]

참조

[1] 저널 1597年10月6日中国东部的振动事件是一次深源强震 http://www.wanfangda[...] 2018-06-27
[2] 저널 1597年10月6日“珲春-汪清深震区”M≥8地震触发的湖震和火山喷发 http://www.wanfangda[...] 2018-06-27
[3] 웹인용 역사지진 http://necis.kma.go.[...]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2019-07-12
[4] 저널 백두산의 역사시대 분화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해석 https://www.research[...] 한국지구과학회 2019-07-12
[5] 웹인용 선조실록 92권, 선조 30년 9월 16일 계묘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19-07-12
[6] 저널 朝鲜半岛历史火山喷发记载 http://www.wanfangda[...] 2018-06-27
[7] 저널 珲春深震火山共生与内陆地震线 http://kns.cnki.net/[...] 2018-06-27
[8] 저널 深震活动与火山动态观测研究课题的技术思路与设想 http://kns.cnki.net/[...] 2018-06-27
[9] 웹인용 선조실록 91권, 선조 30년 8월 26일 갑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19-07-12
[10] 웹인용 선조실록 93권, 선조 30년 10월 2일 기미 6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19-07-12
[11] 웹인용 선조실록 91권, 선조 30년 8월 27일 을유 9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19-07-12
[12] 저널 1597年10月6日望天鹅火山喷发史料考 http://www.wanfangda[...] 2018-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