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우자리는 17세기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만든 별자리이다. 처음에는 '거위를 문 작은 여우' 또는 '여우와 거위'로 알려졌으며, 현재는 여우의 이름만 남고 거위는 여우자리 α별인 안세르로 기억된다. 주요 천체로는 아령 성운(M27), 브로치 성단(Collinder 399), 최초의 펄서인 PSR B1919+21 등이 있으며, 젊은 별들의 OB-성협인 여우자리 OB1도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우자리 - 아령 성운
아령 성운은 여우자리 방향으로 약 1,360 광년 떨어진 행성상 성운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약 3,000~4,000년 전에 팽창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여우자리 - PSR B1919+21
PSR B1919+21은 1967년에 발견된 최초의 펄사로, 규칙적인 전파 펄스 방출과 외계 신호 가능성 제기로 'LGM-1'으로도 불렸으며, 중성자별 현상으로 밝혀진 후 앨범 커버 등에 사용되며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북반구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북반구의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는 W자 모양의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관측 가능하며 그리스 신화 속 오만한 왕비 카시오페이아와 연관되며, 셰다르, 카프 등의 별과 다양한 성운, 초신성 잔해를 포함한다. - 별자리에 관한 - 이십팔수
이십팔수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황도를 따라 나눈 28개의 별자리 체계로, 천체 위치 측정, 시간 계산, 계절 예측 등에 활용되었으며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다. - 별자리에 관한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여우자리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Vulpecula |
약자 | Vul |
소유격 | Vulpeculae |
발음 | , 속격: |
일본어 이름 | こぎつね座 (코기츠네자) |
별자리 기호 | 여우 |
위치 | 북쪽 하늘 |
적경 | 18h 57m 06.5s - 21h 30m 38.9s |
적위 | +19.40° - +29.49° |
4분면 | NQ4 |
면적 | 268 제곱도 |
면적 순위 | 55위 |
주요 별의 수 | 5, 20 |
Bayer/Flamsteed 지정 별의 수 | 33 |
행성 보유 별의 수 | 5, 3 |
밝은 별의 수 | 0 |
가장 가까운 별의 수 | 0 |
가장 밝은 별 이름 | α Vul (Anser) |
별의 밝기 | 4.44, 4.45, 4.4 |
가장 가까운 별 이름 | Ross 165, PY Vul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광년) | 33.54, 60.4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파섹) | 10.28 |
메시에 천체 수 | 1 |
유성우 | 없음 |
관측 가능한 위도 | 북위 90° ~ 남위 55° |
최적 관측 시기 | 9월 |
인접 별자리 |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헤르쿨레스자리 화살자리 돌고래자리 페가수스자리 |
2. 역사
여우자리는 17세기 말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처음 만들었다. 초기에는 '거위를 문 작은 여우'(Vulpecula cum anserela) 또는 '여우와 거위'(Vulpecula et Anserla)로 불렸으며, 여우가 턱으로 거위를 문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헤벨리우스는 여우와 거위를 별개의 별자리로 생각하지 않았으나, 그의 사후인 1690년 간행된 성도 『Firmamentum Sobiescianum』에서는 '거위자리'(Anser)와 '여우자리'(Vulpecula)가 분리되어 있었고, 1687년 날짜의 성표 『Catalogus Stellarum』에서는 '거위를 문 여우'(Vulpecula cum Ansere)라는 하나의 별자리로 기록되는 등 명칭에 혼란이 있었다.
1729년 존 플램스티드의 성도 『Atlas Coelestis』에서는 'Vulpec & Anser'로 표기되었다. 이후 1845년 프랜시스 베일리가 간행한 『British Association Catalogue』에서 별자리 이름이 '여우자리'(Vulpecula)로 축약되었고, 가장 밝은 별인 α별에 거위를 뜻하는 '안세르'(Anser)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오늘날 여우자리는 하나의 별자리로 합쳐졌지만, 거위의 이름은 여우자리 알파별의 이름으로 남아있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IAU) 창립 총회에서 88개의 현대 별자리 중 하나로 공식 채택되었으며, 이름은 'Vulpecula', 약칭은 'Vul'로 확정되었다. 비교적 근대에 만들어진 별자리이기 때문에 관련된 신화나 전설은 없다.
2. 1. 명칭과 관련된 한국 천문학계의 변천
3. 주요 천체
여우자리에는 4등급보다 밝은 별은 없지만,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즐겨 찾는 흥미로운 천체들이 여럿 있다.
가장 밝은 별은 겉보기 등급 4.44의 적색 거성인 여우자리 알파이다. 이 별은 '안세르(Anser|안세르la)'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라틴어로 "거위"를 의미한다.
1967년에는 이 별자리에서 역사상 최초의 펄사인 PSR B1919+21이 앤토니 휴이시와 조슬린 벨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는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다.
또한,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연구한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 중 하나인 HD 189733 b도 여우자리에 위치한다. 이 행성의 대기에서 수증기가 검출되었으나, 온도가 1000°C 이상으로 매우 높아 생명체가 살기에는 어려운 환경이다.
여우자리에서 가장 유명한 심원 천체로는 아령 성운(M27)이 있다.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최초의 행성상성운으로, 크고 밝아 성능 좋은 쌍안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으며 망원경으로는 독특한 모양을 볼 수 있다.
브로치 성단(Collinder 399)은 '옷걸이 성단(Coathanger)'이라는 별칭으로 더 잘 알려진 별그림(asterism)이다.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3. 1. 별
여우자리에는 4등급보다 밝은 별이 없다.여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여우자리 알파로, 약 291 광년 거리에 있는 겉보기 등급 4.44등급의 적색 거성이다.[1][2][3] 이 별은 8번 별과 함께 광학적 이중성을 이루며, 두 별은 413.7" 떨어져 있어 쌍안경으로도 분리하여 관측할 수 있다. 여우자리 알파는 전통적으로 '안세르(Anser|안세르la)'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라틴어로 "거위"를 뜻하며 여우가 입에 물고 있는 거위를 상징한다.[4] 국제천문연맹(IAU)은 이 이름을 공식 인정하였다.
23 여우자리는 이 별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다.
1967년, 케임브리지에서 앤토니 휴이시의 지도 아래 연구하던 조슬린 벨은 여우자리에서 최초의 펄서인 PSR B1919+21을 발견했다. 퀘이서의 전파 신호 변화를 관측하던 중, 1.3373 초의 매우 규칙적인 주기로 반복되는 펄스를 감지한 것이다.[5] 이 신호의 주기가 태양일이 아닌 항성일과 일치했기 때문에 지구에서 발생한 신호는 아니라고 판단되었고, 이후 연구를 통해 이 현상이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에서 나오는 신호임이 밝혀졌다. 최초의 펄서가 발견된 지 15년 후에는, PSR B1919+21에서 불과 몇 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최초의 밀리초 펄서인 PSR B1937+21도 발견되었다.[6]
여우자리에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집중적으로 연구했던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 중 하나인 HD 189733 b도 있다. 2007년 7월 11일, 지오반나 티네티(Giovanna Tinetti)가 이끄는 연구팀은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이 행성의 대기에 상당한 양의 수증기가 존재한다는 강력한 증거를 발표했다.[7] 비록 HD 189733 b의 대기 온도가 1000°C 이상으로 매우 뜨거워 생명체가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이 발견은 생명의 필수 요소인 물이 지구와 더 유사한 환경의 다른 행성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또한 여우자리에는 연 X선 반복자인 SGR 1935+2154가 위치한다. 이 천체는 2020년에 고속 전파 폭발(FRB)을 방출했는데, 이는 우리 은하수 내에서 관측된 최초의 고속 전파 폭발 사례로 기록되었다.[8][9][10][11]
이 외에도 여우자리에는 황소자리 RV형 변광성인 여우자리 V별과, 1670년에 관측되었으며 고광도 적색 신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여우자리 CK별 등이 있다.
3. 2. 심원 천체
PSR B1919+21은 1967년 천문학자 Antony Hewish와 Jocelyn Bell이 발견한 최초의 펄사이다. 이 천체는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로, 1.3373초마다 펄스를 방출한다.HD 189733 b는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연구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 중 하나이다. 이 행성의 대기에서 수증기가 검출되었으나, 온도가 1000°C 이상으로 매우 높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아령 성운(M27, Dumbbell Nebula)은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1764년에 발견한 크고 밝은 행성상성운이다. 이는 행성상성운 중 최초로 발견된 것이다.[12] 약 9,800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3] 하늘이 어두우면 성능이 좋은 쌍안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으며, 지름 약 8 분각 크기의 희미하게 빛나는 원반처럼 보인다.[13] 망원경으로는 모래시계와 비슷한 이중 엽(lobe)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름처럼 아령 모양을 제대로 보려면 대구경 망원경이 필요하다.

브로치 성단(Brocchi's Cluster, Collinder 399)은 이전에는 산개성단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별그림(asterism)으로 분류된다. 쌍안경이나 저배율 망원경으로 보면 별들이 옷걸이(Coathanger) 모양으로 늘어선 모습이 독특하여 '옷걸이 성단'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하다.
NGC 6885는 산개성단이다.

Hen 2-437은 여우자리에 위치한 행성상성운이다.[14]
NGC 7052는 지구에서 약 2억 1,4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타원은하이다. 은하 중심부에는 지름 3700ly 크기의 먼지 원반이 있으며, 은하핵에는 태양 질량의 3억 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한다. 천문학자들은 이 먼지 원반이 과거 NGC 7052와 병합했던 작은 은하의 잔해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 은하는 강한 제트를 분출하며 매우 강한 전파를 방출하여 전파은하로도 분류된다.[15]
여우자리의 동쪽 부분에는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의 일부가 걸쳐 있다. 이 구조는 은하 필라멘트로, 길이가 약 3000Mpc에 달하며 현재까지 알려진 우주 구조 중 가장 큰 규모이다.
3. 3. 기타 천체
여우자리에는 4등급보다 밝은 별은 없다.- 여우자리 알파: 루키다(Lucida)라고도 불리는 이 별은 지구에서 약 85광년 떨어져 있는 적색 거성으로, 겉보기 등급은 4.44등급이다. 실제로는 서로 관계없는 별이 가까이 보이는 광학적 이중성이며, 두 별은 413.7초(") 떨어져 있어 쌍안경으로도 구별할 수 있다. 이 별은 '안서(Anser)'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여우가 입에 물고 있는 거위를 의미한다.
- PSR B1919+21: 1967년 앤터니 휴이시의 지도 아래 퀘이사를 관측하던 조슬린 벨이 우연히 발견한, 역사상 최초의 펄사이다. 이 천체는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며, 1.3373초마다 규칙적인 펄스를 방출한다.
- HD 189733 b: 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연구되는,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 중 하나이다. 이 행성의 대기에서 수증기가 검출되었으나, 대기 온도가 1000°C 이상으로 매우 높아 생명체가 살고 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 M27 (아령 성운, Dumbbell Nebula): 크고 밝은 행성상성운으로, 1764년 프랑스 천문학자 메시에가 발견한 최초의 행성상성운이다. 하늘이 어두운 곳에서는 성능 좋은 쌍안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으며, 약 6분각(6′) 크기의 어둡게 빛나는 원반 형태로 보인다. 천체망원경으로는 가운데가 잘록한 모래시계 같은 독특한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4. 여우자리 OB1 성협
여우자리에는 젊은 별들로 이루어진 OB 성협인 여우자리 OB-성협(Vul OB1)이 있다. 이 성협에는 거의 100개의 OB별과 800개가 넘는 어린 별 객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성협은 은하 평면에 위치하며, 약 2300 파섹 거리에 있다. 여기에는 발광성운 Sh-86, Sh-87 및 Sh-88이 포함된다. Vul OB1의 길이는 약 100 파섹이며, 이 지역에서 기둥 모양의 구조를 조각하고 있다.[16][17]
참조
[1]
논문
Compilation of Eggen's UBV data, transformed to UBV (unpublished)
1986
[2]
논문
Spectral Classification
[3]
논문
Carbon and Oxygen Isotopic Ratios. II. Semiregular Variable M Giants
[4]
서적
The Lost Constellations
[5]
간행물
Observation of a Rapidly Pulsating Radio Source
1968-02-24
[6]
간행물
A millisecond pulsar
1982-12-16
[7]
웹사이트
Press Release: NASA's Spitzer Finds Water Vapor on Hot, Alien Planet
http://www.spitzer.c[...]
2007-07-11
[8]
뉴스
A Surprise Discovery Points to the Source of Fast Radio Bursts - After a burst lit up their telescope "like a Christmas tree," astronomers were able to finally track down the source of these cosmic oddities.
https://www.quantama[...]
2020-06-11
[9]
뉴스
We finally know what has been making fast radio bursts - Magnetars, a type of neutron star, can produce the previously enigmatic bursts.
https://arstechnica.[...]
2020-11-04
[10]
뉴스
NASA Missions Help Pinpoint the Source of a Unique X-ray, Radio Burst
https://www.jpl.nasa[...]
2020-11-04
[11]
간행물
A bright millisecond-duration radio burst from a Galactic magnetar
https://www.nature.c[...]
2020-11-04
[12]
웹사이트
Messier 27 (The Dumbbell Nebula)
https://www.nasa.gov[...]
2017-10-06
[13]
간행물
Knots in Nearby Planetary Nebulae
2002
[14]
웹사이트
The icy blue wings of Hen 2-437
http://www.spacetele[...]
2016-02-08
[15]
서적
300 Astronomical Objects: A Visual Reference to the Universe
Firefly Books
2006
[16]
웹사이트
Ass Vul OB 1
http://simbad.cds.un[...]
2023-05-14
[17]
간행물
Young Stellar Objects and Triggered Star Formation in The Vulpecula OB Association
https://ui.adsabs.ha[...]
2010-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