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랑말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랑말자리는 기원전 2세기경 히파르코스가 처음 별자리로 설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된 후 현대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이어져 오고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의 자손 켈레리스와 연관되며, '제1의 말'이라는 뜻의 '에쿠스 프리무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조랑말자리는 3개의 4등성을 제외하고는 어두운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밝은 별은 키탈파이다. 이 별자리에는 변광성과 이중성이 존재하며, 딥 스카이 천체는 거의 없다. 2022년 발사된 초소형 탐사선 EQUULEUS는 조랑말자리의 학명에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랑말자리 - 허수 (별자리)
    허수는 동아시아 전통 별자리인 이십팔수 중 하나로 북방 현무 7수에 속하며 '공허'를 의미하고 물병자리와 작은말자리에 걸쳐 10개의 성관으로 구성되며, 한국 전통 문화에서 흉하다고 여겨지기도 하지만 현대 천문학 연구 대상으로 남아있다.
  • 북반구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북반구의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는 W자 모양의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관측 가능하며 그리스 신화 속 오만한 왕비 카시오페이아와 연관되며, 셰다르, 카프 등의 별과 다양한 성운, 초신성 잔해를 포함한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조랑말자리
별자리 정보
이름조랑말자리
라틴어 이름Equuleus (에쿠울레우스)
라틴어 소유격Equulei (에쿠울레이)
약자Equ
기호조랑말
영어 발음Equúleus
위치북반구
적경20h 56m 10.9212s – 21h 26m 20.0331s
적위+13.0390635° – +2.4773185°
은하 좌표NQ4
하늘 구역천수
면적72 제곱도
면적 순위87위
주요 별 개수3개
Bayer/Flamsteed 명명 별 개수10개
행성 보유 별 개수2개
밝은 별 개수0개
가장 밝은 별α Equ (키탈파)
별 밝기3.92 등급
가장 가까운 별 이름HD 200779
가장 가까운 별 거리 (광년)48.41 광년
가장 가까운 별 거리 (파섹)14.84 파섹
메시에 천체 개수0개
유성우베타 에쿠울레이 유성우
인접 별자리물병자리
돌고래자리
페가수스자리
보이는 위도북위 90° ~ 남위 80°
관측 용이한 달9월
남중 시각20시
남중 시기10월 상순

2. 역사

조랑말자리는 기원전 2세기경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처음으로 별자리로 설정했다고 알려져 있다.[11] 이후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고, 현대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이어져 오고 있다.

1603년 독일의 법률가 요한 바이어가 편찬한 성도 『우라노메트리아』에서는 "작은 말"을 의미하는 '''EQVVS MINOR'''라는 별자리 이름과 함께 α・β・γ・δ의 4개 별을 기록했다. 바이어는 "선행하는 말"을 의미하는 Equus prior나 현재와 같은 Equuleus라는 별자리 이름도 함께 표기했다.

1922년 로마에서 개최된 IAU(국제천문연맹) 창설 총회에서 현행 88개 별자리가 정해졌을 때 조랑말자리도 그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별자리 이름은 '''Equuleus''', 약칭은 '''Equ'''로 정식 결정되었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조랑말자리에 해당하는 별들이 북방 현무 (北方玄武, ''Běi Fāng Xuán Wǔ'')에 위치해 있다고 보았다.[10] 청나라 건륭제 치세의 1752년에 완성된 성표 『흠정의상고성』에서는 조랑말자리의 별을 이십팔수북방현무 7수 중 네 번째 수인 「허수」에 배정하였다. 허수에서는 α별이 물병자리 β와 함께 분묘를 시위하는 역인을 나타내는 성관 「허」에, β・9의 2개 별이 안위화복을 맡은 천계의 역인을 나타내는 성관 「사위」에, γ・δ의 2개 별이 시비정사를 밝히는 것을 맡은 천계의 역인을 나타내는 성관 「사비」에 각각 배정되었다.

3. 신화

조랑말자리는 다양한 신화와 관련되어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조랑말자리는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의 자손 또는 형제인 망아지 켈레리스(Celeris|민첩함 또는 속도를 의미la)와 연관되어 있다. 켈레리스는 헤르메스가 카스토르에게 주었다.[8] 다른 신화에서는 조랑말자리가 포세이돈아테나가 누가 더 우월한지 결정하는 대결에서 포세이돈의 삼지창에서 튀어나온 말이라고 한다.[8]

조랑말자리는 페가수스자리보다 먼저 뜨기 때문에 종종 '제1의 말'이라는 뜻의 '에쿠스 프리무스'(Equus Primus)라고 불린다.[8] 조랑말자리는 또한 필리라와 사투르누스의 이야기에 연결되어 있다.[8]

우라니아의 거울》(1825)에 묘사된 모습

4. 특징

조랑말자리는 3개의 4등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5등성 이하의 어두운 별자리이다. 은하 평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영역도 좁기 때문에, 성단이나 성운은하수 내의 천체 중 눈에 띄는 것도 없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조랑말자리의 모습.

4. 1. 별과 천체

조랑말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조랑말자리 α(키탈파)로, 지구로부터 186광년 떨어진 3.9등급의 황색 별이다. 키탈파는 아랍어로 "말의 부분"을 의미한다.[1]

조랑말자리에는 약 25개의 변광성이 있는데, 대부분 어둡다. 주요 변광성은 다음과 같다.

  • 조랑말자리 γ: 알파2 사냥개자리 변광성으로, 12.5분 주기로 4.58 등급에서 4.77 등급으로 밝기가 변한다.[1]
  • 조랑말자리 R: 미라형 변광성으로, 261일 주기로 8.0 등급에서 15.7 등급으로 밝기가 변한다.[4]


조랑말자리는 또한 몇몇 이중성을 포함한다.

  • 조랑말자리 γ: 11.6 등급의 동반성과 2″정도 떨어져 있다.
  • 조랑말자리 ε: 4연성계로, 가장 밝은 세 별은 각각 6.0, 6.3, 7.2 등급이다. 이들은 0.35″안쪽에 있으며, 주기는 5.7년으로 안시 쌍성 중 가장 짧은 공전주기를 가진다.
  • δ 조랑말자리: 5.7년의 공전 주기를 가진 쌍성으로, 한때 광학 쌍성에 대한 가장 짧은 공전 주기로 알려졌었다.

4. 2. 딥 스카이 천체

조랑말자리는 크기가 작고 은하수 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딥 스카이 천체가 거의 없다. 겉보기 등급 13~15등급 사이의 매우 희미한 은하 몇 개가 NGC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NGC 7015, NGC 7040, NGC 7046이 있다.[6] NGC 7045는 발견자인 존 허셜에 의해 성운으로 오인된 삼중성이다.[6] IC 목록에는 IC 1360, IC 1361, IC 1364, IC 1367, IC 1375, IC 5083과 같은 다른 희미한 은하들이 포함되어 있다. IC 1365는 은하 무리이다. 이 천체들의 등급은 14.5에서 15.5 사이로, 가장 큰 아마추어 천문학 망원경으로도 관측하기 어렵다.[7]

5. 현대의 응용

2022년 11월 16일에 우주 발사 시스템아르테미스 1호로 발사된 초소형 탐사선 EQUULEUS는 조랑말자리의 학명과 'EQUilibriUm Lunar-Earth point 6U Spacecraft'의 두문자어에서 유래했다.

참조

[1]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2] 논문 Proper-motion binaries in the Hipparcos catalogue. Comparison with radial velocity data 2007-03
[3] 논문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4]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5] 논문 The fourth US Naval Observatory CCD Astrograph Catalog (UCAC4) 2012
[6] 웹사이트 NGC 7045 Basic Information http://ngcicproject.[...] 2024-03-25
[7] 웹사이트 Deep sky objects in Equuleus - Full list https://theskylive.c[...] 2024-03-25
[8] 서적 Star lore of all ages : myths, legends, and facts https://www.worldcat[...] Dover Publications 2004
[9] 문서 The History and Practice of Ancient Astr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0]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5 日 http://aeea.nmns.edu[...]
[11] 서적 풀코스.별자리여행 ㈜현암사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