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핀란드 의회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8년 핀란드 의회선거는 러시아의 핀란드 자치권 제한 시도와 핀란드 내 정치적 갈등 속에서 치러졌다. 선거 결과, 핀란드 사회민주당이 가장 많은 득표를 얻어 제1당을 유지했으나, 의석 수 변화는 크지 않았다. 핀란드당은 제2당을 유지했고, 다른 정당들은 의석 수에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8년 핀란드 - 1908년 하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
1908년 하계 올림픽에 핀란드 선수단은 레슬링, 육상 등 6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으며, 핀란드 선수 최초로 베르네르 베크만이 레슬링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핀란드의 의회선거 - 1907년 핀란드 의회선거
1907년 핀란드 의회선거는 의회 개혁으로 탄생한 단원제 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핀란드 최초의 보통선거로, 여성에게 피선거권이 부여되고 사회민주당이 제1당으로 부상했지만, 러시아의 압제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1918년 핀란드 내전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핀란드의 의회선거 - 2019년 핀란드 의회선거
2019년 핀란드 의회선거는 2019년 4월 14일에 치러져 사회민주당이 제1당이 되었고, 안티 린네를 중심으로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다.
1908년 핀란드 의회선거 | |
---|---|
선거 개요 | |
국가 | 핀란드 |
국기_연도 | 1809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다음 선거 | 1909년 핀란드 의회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09년 |
선출 의석 수 | 200석 (핀란드 의회 전체) |
과반 의석 수 | 101석 |
선거 날짜 | 1908년 7월 1일–2일 |
투표율 | |
투표율 | 65.04% |
이전 투표율 | 70.65% |
정당별 결과 | |
제1당 | 핀란드 사회민주당 |
대표 | 에드바르드 발파스해니넨 |
![]() | |
득표수 | 310,826표 |
득표율 | 38.40% |
의석수 | 83석 |
의석 증감 | 증가 3석 |
득표율 증감 | 증가 1.37%p |
이전 선거 득표율 | 37.03% |
이전 선거 의석수 | 80석 |
제2당 | 핀란드당 |
득표수 | 205,892표 |
득표율 | 25.44% |
의석수 | 55석 |
의석 증감 | 감소 4석 |
득표율 증감 | 감소 1.90%p |
이전 선거 득표율 | 27.34% |
이전 선거 의석수 | 59석 |
제3당 | 청년 핀란드당 |
득표수 | 115,201표 |
득표율 | 14.23% |
의석수 | 26석 |
의석 증감 | 유지 |
득표율 증감 | 증가 0.58%p |
이전 선거 득표율 | 13.65% |
이전 선거 의석수 | 26석 |
제4당 | 핀란드 스웨덴인당 |
대표 | 악셀 릴레 |
![]() | |
득표수 | 103,146표 |
득표율 | 12.74% |
의석수 | 24석 |
의석 증감 | 유지 |
득표율 증감 | 증가 0.14%p |
이전 선거 득표율 | 12.60% |
이전 선거 의석수 | 24석 |
제5당 | 농업동맹 (핀란드) |
대표 | 오토 카르히 |
![]() | |
득표수 | 51,756표 |
득표율 | 5.75% |
의석수 | 10석 |
의석 증감 | 증가 1석 |
득표율 증감 | 증가 0.64%p |
이전 선거 득표율 | 5.75% |
이전 선거 의석수 | 9석 |
제6당 | 핀란드 기독교 노동자 동맹 |
![]() | |
대표 | 안티 카르네 |
득표수 | 18,848표 |
득표율 | 2.33% |
의석수 | 2석 |
의석 증감 | 유지 |
득표율 증감 | 증가 0.78%p |
이전 선거 득표율 | 1.55% |
이전 선거 의석수 | 2석 |
선거 지도 | |
![]() |
2. 배경
1908년 핀란드 의회 선거는 러시아 제국이 러시아화 동화 정책을 다시 강화하고, 초대 의회 의장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의 황제에 대한 불충분한 경의 표명을 이유로 니콜라이 2세가 의회를 해산시킨 배경 속에서 치러졌다.[4][5] 이러한 러시아의 압제 강화에 맞서는 방식과 사회민주당의 개혁 추진을 둘러싼 내부 정치적 갈등이 존재했으며, 의회는 행정부인 핀란드 원로원에 대한 견제 수단 부족과 황제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제 기능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4]
2. 1. 러시아의 핀란드 자치권 제한 시도
핀란드 의회 의장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는 개회 연설에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에 대한 경의를 표하라는 요구를 거부했다. 이에 니콜라이 2세는 최초의 근대적이고 민주적인 핀란드 의회를 해산시켰다. 1908년, 러시아 제정은 핀란드의 자치를 제한하는 러시아화 동화 정책을 다시 강화했다.[4][5]2. 2. 핀란드 내 정치적 갈등
1908년 러시아 제국은 러시아화 동화정책을 다시 강화했다.[4][5] 이는 핀란드 의회 의장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가 개회 연설에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에 대한 경의 표명을 거부하자, 황제가 초대 의회를 해산시킨 직후였다.[4] 대부분의 핀란드인들은 러시아화에 반대했지만, 이에 효과적으로 맞서는 방법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뉘었다.[4][1][2]이러한 상황 속에서 핀란드 내부의 정치적 갈등도 심화되었다. 핀란드 사회민주당은 의회 다수당으로서 노동자와 소작농의 권익 향상을 위한 개혁, 예를 들어 8시간 노동제 도입 등을 추진하고자 했다.[4][1][2] 사회민주당 지지자들은 이러한 개혁을 기대했지만, 이후 의회가 계속 해산되고 선거가 반복되면서 실망감을 느껴야 했다.[4][1] 반면, 농업당을 제외한 다른 정당들은 사회민주당의 요구가 핀란드의 자치권 유지 노력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급진적인 것이라고 보며 반대했다.[4][1][2]
또한 당시 핀란드 의회는 행정부인 핀란드 원로원을 견제할 실질적인 권한이 없었다. 원로원은 오직 러시아 황제와 핀란드 총독에게만 책임을 지는 구조였다.[4][1][2] 더구나 황제는 의회가 통과시킨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고, 거부권 행사에 시간 제한도 없어 의회의 입법 기능은 크게 제약받았다.[4][1][2]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과 의회의 기능적 한계 속에서 제2대 의회를 선출하기 위한 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4]
3. 선거 결과
선거 결과는 이전 1907년 선거와 비교하여 큰 정치 지형의 변화는 없었다.[3][6] 사회민주당(SDP)은 의석을 소폭 늘리며 제1당 지위를 유지했고, 핀란드당(SP)은 약간의 의석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2당 자리를 지켰다.[6] 다른 주요 정당들의 의석 수에는 큰 변동이 없었다.[6]
3.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 수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의석 수 | 증감 | |
---|---|---|---|---|---|
bgcolor="#E1153C" | | 사회민주당 (SDP) | 310,826 | 38.40 | 83 | |
bgcolor="#0055A4" | | 핀란드당 (SP) | 205,892 | 25.44 | 55 | |
bgcolor="#FFD700" | | 청년 핀란드당 (NSP) | 115,201 | 14.23 | 26 | |
bgcolor="#00A8E1" | | 스웨덴인당 (RKP) | 103,146 | 12.74 | 24 | 0 |
bgcolor="#006A4E" | | 농업동맹 (ML) | 51,766 | 6.39 | 10 | +1 |
bgcolor="#FF5050" | | 기독교노동자동맹 (SKrTL) | 18,848 | 2.33 | 2 | 0 |
bgcolor="#DCDCDC" | | 기타 | 3,772 | 0.47 | 0 | – |
계 | 817,567 | 100 | 200 | 0 | |
colspan="6" | | |||||
유효표 | 817,567 | 99.04 | rowspan="3" colspan="2" | | ||
무효/기권표 | 7,896 | 0.96 | |||
총 투표수 | 825,463 | 100 | |||
등록 유권자 / 투표율 | 1,269,177 | 65.04% | -5.61%p | ||
출처: Mackie & Rose[6] |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은 3석을 추가하여 제1당 지위를 유지했으며, 핀란드당은 4석을 잃었다. 다른 정당들의 의석수에는 큰 변동이 없었으며, 따라서 1907년 총선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인 정치 지형에 큰 변화는 없었다. 투표율은 이전 선거보다 5.61%p 하락한 65.04%를 기록했다.[6]
4. 영향
선거 결과는 제1대 의회 선거와 비교했을 때 큰 변화는 없었다.[6] 핀란드 사회민주당이 제1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전체적인 의석 분포는 이전 선거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참조
[1]
서적
A Small Giant of the Finnish History / Suomen historian pikkujattilainen
WSOY
2003
[2]
서적
Finland Through the Ages / Suomi kautta aikojen
Reader's Digest Ltd.
1992
[3]
서적
The International Almanac of Electoral History
Macmillan
1991
[4]
서적
A Small Giant of the Finnish History / Suomen historian pikkujattilainen
WSOY
2003
[5]
서적
Finland Through the Ages / Suomi kautta aikojen
Reader's Digest Ltd.
1992
[6]
서적
The International Almanac of Electoral History
Macmillan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