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하계 올림픽 복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2년 하계 올림픽 복싱은 1952년 7월 28일부터 8월 2일까지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복싱 대회이다. 총 10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금메달 5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이탈리아, 폴란드, 핀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가 뒤를 이었다. 각 체급별 금메달은 플라이급에서 네이트 브룩스(미국), 밴텀급에서 펜티 해멜라이넨(핀란드), 페더급에서 얀 자하라(체코슬로바키아), 라이트급에서 아우렐리아노 볼로네시(이탈리아), 라이트 웰터급에서 찰스 애드킨스(미국), 웰터급에서 지그문트 치치아(폴란드), 라이트 미들급에서 라슬로 파프(헝가리), 미들급에서 플로이드 패터슨(미국), 라이트 헤비급에서 노벨 리(미국), 헤비급에서 에드 샌더스(미국)가 각각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24개, 여자 9개 종목에서 57개국 선수들이 참가하여 미국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고, 에밀 자토펙이 3관왕을 달성하며 다수의 올림픽 및 세계 기록이 수립되었다. - 195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52년 하계 올림픽 역도
1952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7개 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 대한민국 김성집은 미들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5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24개, 여자 9개 종목에서 57개국 선수들이 참가하여 미국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고, 에밀 자토펙이 3관왕을 달성하며 다수의 올림픽 및 세계 기록이 수립되었다. - 195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52년 하계 올림픽 역도
1952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7개 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 대한민국 김성집은 미들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2년 하계 올림픽 복싱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복싱 |
대회 | 1952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헬싱키 |
기간 | 1952년 7월 28일 ~ 8월 2일 |
이전 대회 | 1948년 하계 올림픽 |
다음 대회 | 1956년 하계 올림픽 |
세부 종목 | |
플라이급 | 남자 |
밴텀급 | 남자 |
페더급 | 남자 |
라이트급 | 남자 |
라이트 웰터급 | 남자 |
웰터급 | 남자 |
라이트 미들급 | 남자 |
미들급 | 남자 |
라이트 헤비급 | 남자 |
헤비급 | 남자 |
기타 | |
2. 경기 결과
각 체급별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
플라이급에서는 미국의 네이트 브룩스가 금메달, 독일의 에드가 바젤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소련의 아나톨리 불라코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윌리 투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밴텀급에서는 핀란드의 펜티 해멜라이넨이 금메달, 아일랜드의 존 맥낼리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의 강준호와 소련의 겐나디 가르부조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페더급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얀 자하라가 금메달, 이탈리아의 세르지오 카프라리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프랑스의 조세프 벤타하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레너드 레이싱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이트급에서는 이탈리아의 아우렐리아노 볼로네시가 금메달, 폴란드의 알렉시 안트키에비치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루마니아의 게오르게 피아트와 핀란드의 에르키 파카넨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이트 웰터급에서는 미국의 찰스 애드킨스가 금메달, 소련의 빅토르 메드노프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탈리아의 브루노 비신틴과 핀란드의 에르키 말레니우스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웰터급에서는 폴란드의 지그문트 치치아가 금메달, 소련의 세르게이 셰르바코프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독일의 귄터 하이데만과 덴마크의 빅토르 요르겐센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이트 미들급에서는 헝가리의 러슬로 파프가 금메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테우니스 판 스칼크비크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소련의 보리스 티신과 아르헨티나의 엘라디오 에레라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미들급에서는 미국의 플로이드 패터슨이 금메달, 루마니아의 바실레 티처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불가리아의 보리스 니콜로프와 스웨덴의 스티그 셰린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이트 헤비급에서는 미국의 노벨 리가 금메달, 아르헨티나의 안토니오 파첸자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소련의 아나톨리 페로프와 핀란드의 해리 실얀데르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헤비급에서는 미국의 에드 샌더스가 금메달, 스웨덴의 잉게마르 요한손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핀란드의 일카 코스키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안드리스 니먼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2. 1. 메달 집계
각 체급별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
플라이급에서는 미국의 네이트 브룩스가 금메달, 독일의 에드가 바젤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소련의 아나톨리 불라코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윌리 투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밴텀급에서는 핀란드의 펜티 해멜라이넨이 금메달, 아일랜드의 존 맥낼리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의 강준호와 소련의 겐나디 가르부조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페더급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얀 자하라가 금메달, 이탈리아의 세르지오 카프라리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프랑스의 조세프 벤타하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레너드 레이싱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이트급에서는 이탈리아의 아우렐리아노 볼로네시가 금메달, 폴란드의 알렉시 안트키에비치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루마니아의 게오르게 피아트와 핀란드의 에르키 파카넨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이트 웰터급에서는 미국의 찰스 애드킨스가 금메달, 소련의 빅토르 메드노프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탈리아의 브루노 비신틴과 핀란드의 에르키 말레니우스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웰터급에서는 폴란드의 지그문트 치치아가 금메달, 소련의 세르게이 셰르바코프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독일의 귄터 하이데만과 덴마크의 빅토르 요르겐센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이트 미들급에서는 헝가리의 러슬로 파프가 금메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테우니스 판 스칼크비크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소련의 보리스 티신과 아르헨티나의 엘라디오 에레라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미들급에서는 미국의 플로이드 패터슨이 금메달, 루마니아의 바실레 티처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불가리아의 보리스 니콜로프와 스웨덴의 스티그 셰린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이트 헤비급에서는 미국의 노벨 리가 금메달, 아르헨티나의 안토니오 파첸자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소련의 아나톨리 페로프와 핀란드의 해리 실얀데르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헤비급에서는 미국의 에드 샌더스가 금메달, 스웨덴의 잉게마르 요한손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핀란드의 일카 코스키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안드리스 니먼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2. 2. 세부 종목
(51kg)(54kg)
(57kg)
(60kg)
(63.5kg)
(67kg)
(71kg)
(75kg)
(81kg)
(81kg 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