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6년 포즈난 시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6년 포즈난 시위는 1956년 6월 28일, 폴란드 포즈난에서 일어난 대규모 노동자 시위이자 봉기이다. 소련의 탈스탈린화와 폴란드 내 반공산주의 정서가 고조된 가운데, 포즈난의 노동자들은 임금 인상과 노동 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을 시작했다. 시위는 격화되어 정부 건물 점거와 무기고 습격으로 이어졌고, 결국 폴란드 정부는 군대를 투입하여 시위를 진압했다. 이 사건은 폴란드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건으로, 이후 폴란드의 정치적 변화와 헝가리 혁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반공주의 - 노동자방어위원회
노동자방어위원회는 1976년 폴란드에서 공산 정권에 저항하며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해 결성된 시민 단체로, 탄압 속에서도 지하 출판물 발행, 국제 사회 고발, 노동자 지원, 자유 노동조합 결성 지원 등 폴란드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1956년 포즈난 시위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포즈난 6월 |
일부 | 냉전 |
날짜 | 1956년 6월 28일 ~ 1956년 6월 30일 |
장소 | 폴란드 인민공화국 포즈난 |
결과 | 시위 진압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시위대 |
교전국 2 | 폴란드 인민군 내부경비대 폴란드 공안부군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 100,000명 |
교전국 2 | 10,000명 390대의 탱크 |
사상자 | |
교전국 1 | 57–100명 사망 600명 부상 |
교전국 2 | 8명 사망 |
기타 | |
![]() |
2. 배경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이후, 소련에서 탈스탈린화가 진행되면서 동구권 국가들 사이에서 큰 논쟁이 벌어졌다. 니키타 흐루쇼프의 《인격 숭배와 그 결과》 (비밀 연설) 연설은 소련뿐만 아니라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폴란드에서는 개인숭배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소련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기보다는 지역적, 국가적 특성에 맞는 사회주의를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러한 주장은 대숙청 기간 동안 스탈린에 의해 처형된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의 원로 당원들에 대한 논의에서 많은 당원들이 공감했다.[21] 1956년 3월 12일, 폴란드의 강경파 공산당 지도자 볼레스와프 비에루트가 사망하면서 변화의 움직임은 더욱 거세졌다.
1956년 6월 28일 오전 6시 30분, 요제프 스탈린 금속 산업(ZiSPO)에서 자발적인 파업이 시작되었다.[3] 노동자들은 임금 보상과 자유를 요구하며 시내 중심부로 행진했고, 다른 공장, 기관, 학생들도 이에 합류했다.[4]
이후 폴란드 내 반공 정서가 강화되었고, 야당 지도자들과 문화계 인사들은 바르샤바에 '클루프 크시베고 코와'(Klub Krzywego Kołapl)를 결성했다. 이 클럽은 폴란드 독립에 대한 토론을 촉진하고, 계획 경제의 효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정부가 폴란드 서부군과 폴란드 국내군 출신 퇴역 군인들을 박해하는 것을 비판했다. 지식인들은 토론과 출판물을 통해 불만을 표현했고, 노동자들은 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였다. 폴란드의 생활 조건은 정부의 선전과는 달리 개선되지 않았고, 노동자들은 당 관료들에 비해 자신들의 힘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았다.[21]
포즈난은 폴란드 인민공화국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산업 중심지 중 하나였다. 특히 1955년 가을부터 포즈난에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포즈난 최대 공장인 이오시프 스탈린 금속 공업 노동자들은 우다르니크에게만 높은 세금을 부과하는 것에 불만을 가졌고, 현지 관리들은 상급 관리들의 지나친 간섭 때문에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없었다. 노동자들은 폴란드 기계공업부와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중앙위원회에 몇 달 동안 탄원서, 서신, 대표단을 보냈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21]
3. 파업 및 봉기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 약 10만 명이 아담 미츠키에비치 광장의 포즈난 왕궁 앞에 모였다. 시위대는 식량 가격 인하, 임금 인상, 노동 조건 악화 법 개정 철회를 요구하며 폴란드 총리 유제프 치랑키에비치의 방문을 요청했다. 일부 경찰관들도 군중에 합류했다.[4]
오전 10시 이후, 교섭 대표단 체포 소문이 퍼지면서 상황이 악화되었다. 경찰은 군중을 제압하지 못했고, 밀린스카 거리 교도소를 급습한 군중은 수백 명의 죄수를 풀어주고 무기고를 점령했다.[4]
군중은 공산당 본부를 약탈하고 공안부를 공격했으나 격퇴되었다. 이후 오후 6시까지 포즈난과 주변의 여러 정부 건물과 기관을 점령하거나 포위했다. 므로비노 수용소와 포즈난 공과대학교 육군사관학교에서 무기가 탈취되었고, 경찰 서류가 파괴되었다.[4]
오전 11시경, 탱크 16대, 장갑차 2대 등이 파견되었으나 시위대와 우호적인 대화를 나누었고, 일부는 무장 해제되었다는 보고도 있다.[6]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폴란드 국방장관은 직접 통제를 결정하며 상황이 급변했다.[5][6][7][8]
로코소프스키는 스타니슬라프 포플라프스키와 소련 장교들을 파견하여 1953년 동독 봉기와 같은 확산을 막기 위해 시위 진압을 명령했다. 이들은 와비차 공항에서 지휘하며 실레시아 군관구 부대와 특수 부대를 소환했다. 이들은 시위가 포즈난 국제 박람회를 노린 "독일 선동자"에 의한 것이라는 정보를 들었다.[5][6][7][8]
오후 4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폴란드 제10기갑사단, 폴란드 제19기갑사단, 폴란드 제4보병사단, 폴란드 제5보병사단 등 1만 300명과 내무군단이 포즈난에 진입, 도시를 포위했다. 오후 9시 체포가 시작되어 8월 8일까지 746명이 구금되었다. 시위는 6월 30일까지 계속되었고, 군대와 시위대 간의 충돌 끝에 진압되었다. 6월 29일, 총리는 "인민 정부에 손을 대는 자는 손이 잘릴 것"이라고 경고했다.[4][9]
3. 1. 사상자
1956년 포즈난 시위의 사상자 수는 자료마다 다르게 추산된다. 국가기억원(IPN) 소속 역사가 우카시 야스트숑프는 사망자 57명, 부상자 약 600명(정부 측 8명 포함)으로 추산했다.[10] 같은 IPN 소속 학자인 스타니스와프 얀코비악은 사망자를 100명 이상으로 추정했지만, 이용 가능한 자료로는 완전히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10] 언론 보도에서는 '70명 이상 사망'과 같은 추정치를 제시하기도 한다.[13]
4. 여파
시위 이후, 정부는 체포된 시위 참가자들을 외국(서방) 비밀 기관의 사주를 받은 것으로 몰아가려 했으나 실패했다.[28] 체포된 사람들을 변호한 스타니스와프 헤이모프스키는 정부의 무고한 민간인 학살을 비판했지만, 정부의 탄압을 받았다.[28]
폴란드 공산주의자들은 노동자들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고, 온건파였던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를 새로운 지도자로 선출했다. 이는 '폴란드의 10월' 혹은 '고무우카 해빙기'로 불린다.[29] 그러나 폴란드 공산당은 포즈난 사건에 대한 정보를 검열하고, 적극적인 시위 참가자들을 탄압했다.[29]
1980년 그단스크 협정 이후,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포즈난 사건을 기념하는 기념비를 세웠다.[29]
많은 역사가들은 1956년 포즈난 시위가 폴란드 현대사에서 중요한 이정표이자 폴란드의 공산주의자들의 몰락을 촉발한 사건으로 여긴다.[27] 하지만, 노동자들은 대부분 경제적 목적을 중심으로 시위했고, '인터내셔널가'를 부르며 "우리는 빵이 필요합니다"라고 쓰여 있는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진행했었다.[27]
5. 평가 및 의의
1956년 포즈난 시위는 폴란드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폴란드 공산 정권의 몰락을 이끈 사건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노동자들은 처음에는 더 나은 노동 조건과 같은 경제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시위를 벌였지만, "우리는 빵을 요구한다"라는 현수막을 들고 인터내셔널가를 부르는 등 점차 정치적인 변화를 요구하기 시작했다.[27] 정부가 초기의 요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자, 결국 정치적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하지만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처럼 광범위한 정치 개혁을 요구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30]
역사가들은 포즈난 시위를 폴란드 현대사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기며, 폴란드 공산주의자들의 몰락을 촉발한 사건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초기에는 반공주의자들에게 큰 의미를 부여받지 못했다.[27] 이 사건은 같은 해 10월 이웃 나라인 헝가리에서 일어난 헝가리 혁명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헝가리 혁명은 소련의 군사 개입으로 나지 임레가 처형되고, 많은 사망자와 난민이 발생하는 비극으로 이어졌다.
2006년 6월 28일, 포즈난을 비롯한 폴란드 전역에서 5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다.[16]
5. 1. 한국 민주화 운동과의 비교
포즈난 시위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 특히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비교되기도 한다. 두 사건 모두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저항, 민주주의와 자유를 향한 열망, 시민들의 희생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포즈난 시위는 한국 사회에 민주주의의 중요성과 권위주의 체제의 위험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22]6. 기념
2006년 6월 21일, 폴란드 의회 세임은 1956년 포즈난 사건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6월 28일을 공휴일인 "1956년 포즈난 6월 항쟁 기념일"로 선포했다.[20][31][15]
1996년 6월 23일, 포즈난에는 6월 항쟁에 참여했던 어린이들을 기리는 기념비인 6월 항쟁의 어린이들이 공개되었다.
참조
[1]
서적
Pół wieku dziejów Polski
Wydawnictwo Naukowe
[2]
웹사이트
Reasons for the outbreak
http://www.city.pozn[...]
2007-04-03
[3]
논문
Dethroning Stalin: Poland 1956 and its legacy
http://www.tandfonli[...]
2006-00-00
[4]
웹사이트
Black Thursday – course of events
http://www.city.pozn[...]
2007-04-03
[5]
뉴스
Poznańska bitwa pancerna
http://miasta.gazeta[...]
Gazeta Wyborcza
2006-06-29
[6]
뉴스
Przebieg wydarzeń podczas czarnego czwartku
http://miasta.gazeta[...]
Gazeta Wyborcza
2006-06-28
[7]
뉴스
Sowieccy generałowie w polskich mundurach
http://miasta.gazeta[...]
Gazeta Wyborcza
2006-06-29
[8]
뉴스
Jak wojsko pacyfikowało powstanie
http://miasta.gazeta[...]
Gazeta Wyborcza
2006-06-28
[9]
웹사이트
Radio Free Europe Background Reports
http://files.osa.ceu[...]
1976-12-02
[10]
웹사이트
'"Z perspektywy historyka i w świetle dokumentów…"' – interview with dr Łukasz Jastrząb
http://www.tnpolonia[...]
[11]
웹사이트
Investigation
http://www.city.pozn[...]
2007-04-03
[12]
웹사이트
Forbidden remembrance and The monument
http://www.city.pozn[...]
2007-04-03
[13]
뉴스
Hot June '56
http://www.warsawvoi[...]
Warsaw Voice
2006-05-31
[1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Karol Modzelewski, one of the leaders of the revolt
http://www.socialist[...]
[15]
간행물
UCHWAŁA SEJMU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21 czerwca 2006 r. w sprawie ustanowienia dnia 28 czerwca Narodowym Dniem Pamięci Poznańskiego Czerwca 1956
http://bap-psp.lex.p[...]
2006-06-21
[16]
뉴스
ポズナニの反共産政権運動から50周年 - ポーランド
http://www.afpbb.com[...]
AFPBB News
[17]
뉴스
Poznańska bitwa pancerna
http://miasta.gazeta[...]
Gazeta Wyborcza
2006-06-29
[18]
웹사이트
'"Z perspektywy historyka i w świetle dokumentów…"' – interview with dr Łukasz Jastrząb
http://www.tnpolonia[...]
[19]
서적
Pół wieku dziejów Polski
Wydawnictwo Naukowe
[20]
뉴스
[기억할 오늘] 포즈난 봉기(6월28일)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17-06-28
[21]
웹사이트
Reasons for the outbreak
http://www.city.pozn[...]
2007-04-03
[22]
웹사이트
Black Thursday – course of events
http://www.city.pozn[...]
2007-04-03
[23]
뉴스
Przebieg wydarzeń podczas czarnego czwartku
http://miasta.gazeta[...]
Gazeta Wyborcza
2006-06-28
[24]
뉴스
Sowieccy generałowie w polskich mundurach
http://miasta.gazeta[...]
Gazeta Wyborcza
2006-06-29
[25]
뉴스
Jak wojsko pacyfikowało powstanie
http://miasta.gazeta[...]
Gazeta Wyborcza
2006-06-28
[26]
웹사이트
Radio Free Europe Background Reports
http://files.osa.ceu[...]
1976-12-02
[27]
뉴스
Hot June '56
http://www.warsawvoi[...]
Warsaw Voice
2006-05-31
[28]
웹사이트
Investigation
http://www.city.pozn[...]
2007-04-03
[29]
웹사이트
Forbidden remembrance and The monument
http://www.city.pozn[...]
2007-04-03
[3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Karol Modzelewski, one of the leaders of the revolt
http://www.socialist[...]
[31]
간행물
UCHWAŁA SEJMU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21 czerwca 2006 r. w sprawie ustanowienia dnia 28 czerwca Narodowym Dniem Pamięci Poznańskiego Czerwca 1956
http://bap-psp.lex.p[...]
2006-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