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1년 베를린 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1년 베를린 위기는 1958년 소련의 서베를린 군대 철수 요구에서 시작되어,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과 미·소 양측 전차의 대치로 절정에 달했던 냉전 시기 주요 사건이다. 1958년과 1961년 두 차례에 걸쳐 소련은 서베를린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하며 서방 연합군과의 갈등을 빚었다. 1961년 8월 동독 정부는 서베를린으로의 탈출을 막기 위해 베를린 장벽 건설을 시작했고,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으로 체크포인트 찰리에서 미군과 소련군의 전차가 대치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후 미국과 소련은 긴장 완화를 위해 탱크를 철수하기로 합의하면서 위기는 진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정치 - 코논 몰로디
    코논 몰로디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소련 정보 요원으로 활동하며 "고든 론스데일"이라는 가짜 신분으로 영국에서 스파이 활동을 벌이다 체포되어 포로 교환으로 석방된 후 회고록을 출간하고 사망했다.
  • 1961년 정치 - 베를린 장벽
    베를린 장벽은 동독이 서베를린을 둘러싸 건설한 장벽으로, 동독 주민의 탈출을 막고 냉전과 동서독 분단의 상징이 되었으나, 동유럽 민주화 운동과 시위로 붕괴되어 독일 통일과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
  • 1961년 국제 관계 - 시리아-터키 국경
    시리아-터키 국경은 지중해에서 이라크-시리아-터키 삼중점까지 약 911km에 이르며 오스만 제국 붕괴 후 확정되었으나, 하타이 주의 귀속 문제와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갈등과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 1961년 국제 관계 - 1961년 프랑스 국민투표
    1961년 프랑스 국민투표는 알제리 독립에 대한 찬반을 묻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75%의 찬성률과 92.2%의 투표율로 높은 지지 속에 가결되었다.
  • 1961년 군사사 - 조지 블레이크
    조지 블레이크는 영국 MI6 요원이자 소련의 이중간첩으로, 네덜란드 레지스탕스 활동 후 MI6에 스카우트되어 한국 전쟁 중 공산주의에 심취, KGB에 협력하며 이중간첩 활동을 하다 체포 후 탈옥하여 소련으로 망명했다.
  • 1961년 군사사 - 피그스만 침공
    피그스만 침공은 1961년 4월 미국 CIA의 지원을 받은 쿠바 망명자 부대가 피델 카스트로 정권 전복을 위해 쿠바 남서부 피그스 만에 상륙을 시도한 군사 작전으로, 미국의 실패로 끝나고 쿠바-미국 관계를 악화시킨 사건이다.
1961년 베를린 위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이름1961년 베를린 위기
일부냉전
1961년 베를린에서 미국 M48 전차와 소련 T-55 전차가 대치하고 있다.
1961년 10월, 체크포인트 찰리에서 미국 M48 전차와 소련 T-55 전차가 대치하고 있다.
날짜1961년 6월 4일 – 1961년 11월 9일
장소체크포인트 찰리
결과'교착 상태'
교전 세력
교전국 1

지원 세력:
[[파일:Warsaw Pact Logo.svg|20px]]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교전국 2

지원 세력:
지휘관
지휘관 1니키타 흐루쇼프
발터 울브리히트
지휘관 2존 F. 케네디
콘라트 아데나워

2. 역사적 배경

1961년 6월 4일부터 11월 9일까지 베를린에서 심각한 군사적 긴장 상태가 이어졌다.

1958년 11월, 소련 흐루쇼프 서기장은 서베를린에서 서방 군대가 6개월 안에 철수해야 한다고 통보했다. 그는 이 기한이 만료되면 소련이 서베를린과 동독의 통신선을 통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서방 당국이 동독의 허가를 받아야만 서베를린과 통신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

미국, 영국, 프랑스는 서베를린에서 군대를 철수할 의사가 없음을 명확히 하고, 서베를린과의 통신은 자유롭게 유지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에 대응했다.

2. 1. 흐루쇼프의 최후통첩 (1958)

1958년 11월, 소련 흐루쇼프 서기장은 서베를린에서 서방 군대가 6개월 안에 철수해야 한다고 통보했다. 그는 이 기한이 만료되면 소련이 서베를린과 동독의 통신선을 통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서방 당국이 동독의 허가를 받아야만 서베를린과 통신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1]

미국, 영국, 프랑스는 서베를린에서 군대를 철수할 의사가 없음을 명확히 하고, 서베를린과의 통신은 자유롭게 유지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에 대응했다.[1]

2. 2. 비엔나 정상회담 (1961)

1961년 6월 4일 비엔나 정상회담에서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와 소련 총리 니키타 흐루쇼프는 동독과 별도의 평화 조약을 체결할 것을 다시 한번 발표했다. 이는 미국, 영국, 프랑스의 서베를린 접근권과 소련군의 동베를린 점령을 보장하는 기존의 4개국 협정을 종식시키려는 시도였다.[1] 흐루쇼프는 1961년 12월 31일을 기한으로 제시했지만, 3개국은 일방적인 조약이 서베를린에 대한 그들의 책임과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1]

케네디는 베를린의 지위를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던 중 열린 비엔나 정상회담에서 자신의 교섭력을 약화시켰다. 그는 베를린의 영구 분단에 대한 미국의 묵인을 전달했고, 이는 훗날 그가 더 강경한 발언을 했을 때 소련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2]

3. 베를린 장벽 건설

1961년 동독 노동자들이 베를린 장벽을 건설하고 있다.


동독 주민들의 서베를린을 통한 탈출을 막기 위해, 동독 정부는 1961년부터 동베를린과 서베를린 사이에 베를린 장벽 건설을 시작했다.

3. 1. 동독 주민들의 탈출

2차대전이 끝나고 소련이 동유럽을 점령한 후에, 많은 동유럽 사람들이 서유럽으로 도망쳐 왔다. 1945년부터 1950년까지 1500만 명 이상의 소련 점령지인 동유럽 사람들이 서방으로 이민왔다. 특히 동독 주민들은 서베를린을 통해 정치적 망명을 신청해 왔다.

연도망명 신청자 수
1950년197,000명
1951년165,000명
1952년182,000명
1953년331,000명



1961년 초, 동독 정부는 서독으로 탈출하는 자국민들을 막을 방법을 모색했다.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 제1서기이자 국가평의회 의장으로 동독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였던 발터 울브리히트는 베를린의 4개국 통치 지위에도 불구하고 구역 간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고 베를린에 독일군 주둔을 금지해야 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움직임을 막기 위해서는 무력이 필요하다고 소련을 설득했다.[1]

동독 정부는 베를린 장벽 건설을 위한 건축 자재를 비축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활동은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소련과 동독 계획자들 중 소수만이 동독인들이 그 목적을 알고 있다고 믿었다.[1] 여기에는 서베를린 둘레 156km를 둘러쌀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가시철선이 포함되었다. 동독 정권은 여러 동독 회사들 사이에 가시철선 구매를 분산시킴으로써 의심을 피하는 데 성공했고, 이 회사들은 다시 서독과 영국 여러 회사들에 주문을 분산시켰다.[5]

베를린 장벽 건설이 시작되기 두 달 전인 1961년 6월 15일, 발터 울브리히트는 국제 기자회견에서 "Niemand hat die Absicht, eine Mauer zu errichten!|아무도 벽을 세울 의도는 없다!de"라고 말했다. "Mauer"(벽)라는 용어가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1961년 8월 4일부터 7일까지 미국, 영국, 프랑스, 서독의 외무장관들이 파리에서 비밀리에 만나 서베를린에서의 소련의 행동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그들은 전쟁에 참여할 의향이 없다는 뜻을 표명했다. 몇 주 안에 KGB는 크루시초프에게 파리 회담 내용을 보고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서독과 달리 미국의 국무장관 딘 러스크는 소련과의 회담을 지지했지만, KGB와 GRU(소련)는 미국이 동맹국의 다른 회원국들로부터 동독과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에 대한 경제 제재를 고려하고 서독 분데스베어와 같은 서유럽 동맹국의 재래식 및 핵무장 계획을 더 신속하게 추진하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고 경고했다.[6]

서방은 장벽 건설에 대한 사전 정보를 입수했다. 8월 6일, SED의 관리인 인간 정보원이 제513군 정보 그룹(베를린)에 건설 시작 날짜를 정확하게 알려주었다. 1961년 8월 9일 베를린 감시 위원회의 주간 회의에서 미국 군사 연락 임무의 소련군 사령부 사령관은 장벽 건설을 예측했다. 같은 날 SED 통신의 요격을 통해 서방은 동베를린과 서베를린 사이의 모든 보행자 통행을 차단할 계획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부처 간 정보 감시 위원회 평가는 이 요격이 "국경 폐쇄 계획의 첫 단계일 수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사실로 판명되었다.

3. 2. 장벽 건설 계획

1961년 초, 동독 정부는 서독으로 탈출하는 자국민들을 막을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 제1서기이자 국가평의회 의장으로 동독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였던 발터 울브리히트는 소련을 설득하여 베를린 장벽 건설을 추진했다.[1]

동독 정부는 베를린 장벽 건설을 위한 건축 자재를 비축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활동은 널리 알려졌지만 소련과 동독 계획자들 중 소수만이 그 목적을 알고 있다고 믿었다.[1] 여기에는 서베를린 둘레 156km(97마일)를 둘러쌀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가시철선이 포함되었다. 동독 정권은 여러 동독 회사들 사이에 가시철선 구매를 분산시킴으로써 의심을 피했고, 이 회사들은 다시 서독과 영국 여러 회사들에 주문을 분산시켰다.[5]

베를린 장벽 건설이 시작되기 두 달 전인 1961년 6월 15일, 발터 울브리히트는 국제 기자회견에서 "''Niemand hat die Absicht, eine Mauer zu errichten!''"("아무도 벽을 세울 의도는 없습니다!")라고 말했다.Niemand hat die Absicht, eine Mauer zu errichten!|아무도 벽을 세울 의도가 없다de "Mauer"(벽)라는 용어가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서방은 장벽 건설에 대한 사전 정보를 입수했다. 8월 6일, SED의 관리인 인간 정보원이 제513군 정보 그룹(베를린)에 건설 시작 날짜를 정확하게 알려주었다. 1961년 8월 9일 베를린 감시 위원회의 주간 회의에서 미국 군사 연락 임무의 소련군 사령부 사령관은 장벽 건설을 예측했다. 같은 날 SED 통신의 요격을 통해 서방은 동베를린과 서베를린 사이의 모든 보행자 통행을 차단할 계획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부처 간 정보 감시 위원회 평가는 이 요격이 "국경 폐쇄 계획의 첫 단계일 수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사실로 판명되었다.

3. 3. 국경 봉쇄 (1961.8.13)

1961년 8월 13일 일요일 아침, 동독 정부는 동베를린과 서베를린 사이의 국경을 봉쇄하고 베를린 장벽 건설을 시작했다.[1] 이는 동독 주민들의 서베를린을 통한 탈출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1961년 8월 12일 토요일, 동독 지도자들은 동베를린 북쪽 숲 지역에 있는 되른제 정부 별장에서 열린 정원 파티에 참석했고, 발터 울브리히트는 베를린 장벽 건설과 서베를린 주변에 장벽을 세우는 명령에 서명했다.

자정 무렵, 동독 국경 경찰, 동독군, 소련군 부대가 국경 봉쇄를 시작했다. 동독군과 노동자들은 장벽 옆 도로를 파괴하여 차량 통행을 막고, 서베를린과 동베를린을 구분하는 43km 구간과 서베를린 주변 156km 구간에 철조망과 울타리를 설치했다. 약 3만 2천 명의 군인이 장벽 건설에 동원되었으며, 이후 국경 경찰이 장벽 관리 및 개선을 담당했다. 소련군은 서방의 개입을 막고 잠재적인 폭동을 통제하기 위해 배치되었다.[1]

4. 체크포인트 찰리 대치

미군 전차가 체크포인트 찰리에서 동독의 물대포를 마주하고 있다.


1961년 10월 27일 체크포인트 찰리에 배치된 소련 T-55 전차.


미국 사령관 왓슨 장군은 동베를린 경찰이 미군 통행을 통제하려는 시도에 분노했다. 그는 1961년 10월 25일 국무부에 소련 사령관 솔로비예프 대령과 그의 부하들이 평화 협상 중에도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을 삼가고 있으며, 소련 당국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통보했다. 솔로비예프는 미군이 무장 병력을 검문소로 보내고 미군 전차를 지역 경계에 배치하는 것을 "공공연한 도발"이자 동독 규정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적절하게 신원이 확인된 미군은 장애 없이 지역 경계를 넘을 수 있으며, 경비병이 국적을 즉시 확인할 수 없을 때만 제지당했다고 주장했다. 솔로비예프는 국경을 넘는 사람들에게 신분증을 요구하는 것은 불합리한 통제가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왓슨은 동의하지 않았다. 미군의 국경 지역 주둔과 관련하여 솔로비예프는 다음과 같이 경고했다.[14][15]

:이런 행동을 삼가야 한다고 말씀드릴 권한이 있습니다. 그러한 행동은 우리 쪽의 상응하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도 전차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것을 싫어하며, 여러분이 여러분의 방침을 재검토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969년 전술 핵무기 심포지엄에서 미 제3기갑사단 부사단장 알빈 코완 준장의 말에 따르면, 미국은 1961년 베를린 위기 당시 데이비 크로켓 전술 핵무기 무반동포를 배치했다. 코완에 따르면, 이 무기는 "본질적으로 소대급 무기"였고, "어떤 병장이 핵전쟁을 일으킬지도 모른다는 큰 두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일부는 결국 퇴역했다.[19]

4. 1. 미군 대표단의 통행 제한



1945년 포츠담 회담(Potsdam Conference)에서 베를린을 통치하는 4개국 (소련, 미국, 영국, 프랑스)은 연합군 인원이 베를린의 어느 지역이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그러나 베를린 장벽 건설 2개월 후인 1961년 10월 22일, 서베를린 주재 미국 대표단장 E. 앨런 라이트너가 동베를린의 극장에 가려고 체크포인트 찰리(Checkpoint Charlie)를 차(점령군 차량 번호판 부착)로 통과하다가 막혔다.[11]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대통령은 1948~1949년 베를린 공수를 담당했던 루시우스 D. 클레이 육군 퇴역 장군과 긴밀히 협력하여 미국의 결의를 보여주기로 결정했다. 서베를린 주둔 미군 사령부는 불도저로 철조망과 바리케이드를 제거하는 계획을 고려했으나, 프레드릭 O. 하르텔 준장 사령관에 의해 거부되었다. 클레이 장군은 10개월 동안 베를린에 머물렀다.[12][13]

4. 2. 군사적 대치 상황 (1961.10.27)



1961년 10월 27일, 헴싱은 외교 차량으로 분단 지역 경계에 다시 접근했다. 클레이 장군은 헴싱을 동베를린을 통해 호위하기 위해 보병 부대가 탑승한 지프 10대와 불도저 날이 장착된 M-48 전차 10대를 체크포인트 찰리 근처에 배치했다.[16]

이에 대응하여 T-54 소련 전차 33대가 브란덴부르크 문으로 진입했다. 전차 도착을 가장 먼저 발견한 사람 중 하나인 번 파이크 중위는 그것이 소련 전차인지 확인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와 전차 운전병 샘 맥카트는 동베를린으로 이동했고, 파이크는 전차 근처에 병사가 일시적으로 없는 틈을 타 전차 하나에 올라탔다. 그는 소련군 신문을 포함하여 전차가 소련 것이라는 확실한 증거를 가지고 나왔다.[17]

이들 전차 10대는 프리드리히 거리까지 진출하여 분단 지역 경계의 소련 측 검문소에서 불과 50~100미터 거리에 멈춰 섰다. 미군 전차는 검문소를 향해 이동하여 경계의 미국 측에서 같은 거리만큼 멈춰 섰다. 1961년 10월 27일 17시부터 1961년 10월 28일 11시까지 양측 병력은 서로 대치했다. 상황 명령에 따라 양측 전차 모두 실탄이 장전되어 있었다. 서베를린 주둔 미군, NATO, 미국의 전략공군사령부(SAC)의 경계 수준이 높아졌다.

4. 3. 케네디와 흐루쇼프의 합의

GRU(소련 정보총국) 스파이 게오르기 볼샤코프(Georgi Bolshakov)가 주요 소통 채널 역할을 하면서, 흐루쇼프케네디는 탱크 철수를 통해 긴장을 완화하기로 합의했다.[20] 소련 검문소는 소련군 최고사령부의 아나톨리 그리브코프(Anatoly Gribkov) 장군과 직접 통신했고, 그는 흐루쇼프와 통화 중이었다. 미군 검문소에는 베를린 주둔 미군 사령부 본부와 통화 중인 군사 경찰관이 있었고, 사령부는 백악관과 소통하고 있었다. 케네디는 소련이 먼저 탱크를 철수하는 대가로 향후 베를린 문제에 대해 관대하게 대처하겠다고 제안했다. 소련은 동의했다. 케네디는 베를린 장벽에 대해 "썩 좋은 해결책은 아니지만, 전쟁보다는 장벽이 훨씬 낫다"고 말했다.[21]

소련 탱크 한 대가 먼저 약 5m 후퇴했고, 그 뒤를 이어 미군 탱크가 같은 행동을 했다. 탱크들은 하나씩 철수했다.

5. 위기의 영향과 결과

베를린 위기는 냉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으며, 베를린 장벽은 냉전과 분단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Berlin Crisis http://www.globalsec[...] 2016-09-23
[2] 논문 2011
[3] 논문 2008
[4] 웹사이트 RADIO AND TELEVISION REPORT TO THE AMERICAN PEOPLE ON THE BERLIN CRISIS, JULY 25, 1961 https://www.jfklibra[...]
[5] 논문 2011
[6] 웹사이트 Spy vs. Spy: The KGB vs. the CIA http://www.videofact[...] 1994
[7] 웹사이트 Bundestag Speech of August 18, 1961 https://www.bundesta[...] Deutsche Bundestagsprotokolle 2024-12-08
[8] 웹사이트 Chronicle of the Berlin Wall: November 1961 https://www.chronik-[...] 2024-12-08
[9] 웹사이트 Bundestag Speech of August 18, 1961 https://www.bundesta[...] Deutsche Bundestagsprotokolle 2024-12-08
[10] 논문 2008
[11] 논문 2008
[12] 문서 The U. S. Military Response to the 1960 -1962 Berlin Crisis https://www.archives[...]
[13] 뉴스 RECALLING THE WALL - FREDERICK HARTEL https://www.dailypre[...] The Daily Press
[14]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e-Office of the Historian-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Berlin Crisis-1961–1962-Document 192 https://history.stat[...] 2018-03-27
[15] Textual Record 1961-10-13
[16] 웹사이트 Showdown in Berlin https://www.airandsp[...] 2023-08-10
[17] 논문 2011
[18] 논문 2011
[19] 보고서 Proceedings of the Tactical Nuclear Weapons Symposium https://www.osti.gov[...] AEC and DoD 1969
[20] 논문 2011
[21] 서적 The Cold War: A New History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