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제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 제재는 국가 간의 외교적 수단으로, 특정 국가의 정책 변화를 유도하거나 국제 규범 위반에 대한 대응으로 사용된다. 고대부터 시작되어 20세기 이후 더욱 활발하게 활용되었으며, 무역 제재, 금융 제재, 여행 금지, 무기 금수 조치 등 다양한 형태로 시행된다. 경제 제재는 대상 국가의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시민들에게 부수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제재의 효과는 대상 국가의 경제 상황, 제재의 범위와 강도, 국제 사회의 협력 등에 따라 다르며, 때로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특정 개인이나 단체를 겨냥하는 '스마트 제재'가 사용되기도 하며, 제재의 효과와 인도적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관세 장벽 - 수입 할당제
수입 할당제는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특정 상품의 수입 수량을 제한하는 무역 정책으로, 과거 보호 무역 정책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도 여러 분야에서 자국 산업 보호 및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 국제 제재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국제 제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국제 제재는 2014년부터 미국과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러시아 개인과 기업에 가해진 제재 조치들로,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더 많은 국가들이 동참하고 있으며, 러시아 또한 맞제재 조치를 시행하며 제재의 효과와 영향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 제재 - 마그니츠키법
마그니츠키법은 러시아 변호사 세르게이 마그니츠키 사망 사건을 계기로 인권 침해 연루자를 제재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인권 침해자 제재에 사용되지만, 주권 침해 등의 비판도 받는 법이다. - 엠바고 - 1973년 석유 파동
1973년 석유 파동은 욤키푸르 전쟁 이후 OPEC의 석유 생산량 감축과 가격 인상으로 촉발된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로, 원유 가격 급등,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를 야기하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세계 경제 질서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엠바고 - 금수조치
금수 조치는 특정 국가의 정치적 목표 달성을 위해 다른 국가나 집단이 경제적으로 격리하는 행위이며, 정치적 제재로 이루어져 해당 국가 정부를 압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제 제재 |
---|
2. 역사
경제 제재는 전쟁 수단으로 경제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사략선의 역사 이전부터 존재했다. 기원전 432년 그리스 정치가 페리클레스의 메가라 칙령이 그 예시이다. 백년 전쟁 기간 중 14세기에는 잉글랜드 왕국의 에드워드 3세가 프랑스 왕국에 양모 수출을 금지하여 플랑드르를 잉글랜드 편으로 끌어들이기도 했다.
19세기 초, 나폴레옹 1세는 영국을 경제적으로 압박하기 위해 대륙 봉쇄령을 시행했다. 1806년 유럽 국가들이 영국과 무역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프랑스 제국은 이를 완전히 시행하지 못했고, 이는 영국뿐 아니라 대륙 국가들에도 피해를 주었다.[10] 결국, 1812년 러시아 원정과 동맹국의 이반, 그리고 나폴레옹의 몰락으로 이어졌다.
1899년 및 1907년 헤이그 협약 당시 외교관들과 법학자들은 국제법 시행을 위해 경제적 압력을 사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11]
1807년 금수 조치는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 임기 동안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법률로, 영국과 프랑스 제1제국 간의 전쟁(제4차 대프랑스 동맹)에서 중립국으로 남고자 했던 미국의 무역을 보호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1809년 폐지되었다.[54]
1940년부터 1941년까지 미국, 영국, 중화민국, 네덜란드는 일본 제국의 팽창주의에 대응하여 대일 제재를 가했다. 석유, 철광석, 철강 공급이 막히자 일본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점령을 계획했고, 이는 진주만 공격과 미국의 태평양 전쟁 참전을 초래했다.[81]
1973년부터 1974년까지 OAPEC는 욤 키푸르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원한 국가들에 석유 금수 조치를 취해 1973년 석유 파동을 일으켰다. 이는 유가와 OPEC 수입 급증, 에너지 배급, 세계 경제 침체, 에너지 절약 노력, 대체 에너지로의 변화를 가져왔지만, 이스라엘은 서방의 지원을 계속 받았다.[82][83]
2010년 유럽 연합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란의 이란 핵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이란 제재를 결정했다.[84] 이는 이란 경제에 심각한 GDP 변동성, 실업 및 인플레이션 증가를 야기했다.[86]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대한 제재로, 유엔 총회는 1987년 11월 2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한 자발적인 국제 석유 금수 조치를 채택했다(130개국 지지).[78]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사솔(Sasol)의 합성 원유 생산을 확대했고,[79] 1993년 경제 제재가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에 기여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넬슨 만델라는 "물론입니다."라고 답했다.[80]
2. 1. 제1차 세계 대전과 국제 연맹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연합국은 독일 제국 및 동맹국에 대해 해상 봉쇄를 실시하여 경제적 압박을 가했다.[12] 영국 해군은 스코틀랜드-노르웨이 사이 (북해) 약 300해리)와 도버 해협 약 20해리를 봉쇄하고, 대독일 봉쇄선을 돌파하려는 독일 함선을 격침시켰다. 이로 인해 독일은 전선의 교착으로 인해 경제적 곤경에 빠졌고, 1918년의 패전과 독일 혁명으로 이어졌다.전후 세계 평화에 대한 요구에 따라 각국은 국제 연맹을 창설하여 전쟁 억제를 시도했다. 국제 연맹은 분쟁 해결 수단으로서의 전쟁을 원칙적으로 부정하고, 일방적인 군사 행동에 대해 경제 제재를 중심으로 압력을 가하기로 결정했다.
1934년, 파시스트당의 무솔리니가 이끄는 이탈리아 왕국이 에티오피아 제국을 침공했다(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149] 국제 연맹은 국제 연맹 규약 제16조에 따라 이탈리아에 대해 '''경제 제재'''를 시작했지만, 영국과 프랑스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제재는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실패했다.[150] 이 실패는 국제 연맹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경제 제재에 대한 평가를 떨어뜨렸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국제 연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은 1945년에 국제 연합(UN)으로 대체되었다.[14] 국제 연합은 경제 제재와 함께 무력 제재도 제도화하여 집단 안전 보장을 강화하려 했다.안전 보장 이사회(안보리)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하고 상임 이사국이 거부권을 발동하지 않아야 유엔의 경제 제재가 발동될 수 있었다. 그러나 냉전 시대에는 상임 이사국이 자본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대립했기 때문에 제재가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14]
유엔의 경제 제재가 기능하지 않은 대신, 동서 진영·지역 기구별 제재가 종종 이루어졌다. 코민포름의 유고슬라비아 제재나 미주 기구에 의한 대쿠바 제재 등이 있다. 제4차 중동 전쟁 때는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가 친이스라엘 국가(미국, 일본, 유럽 등)에 대해 석유 수출을 제한하여 오일 쇼크가 발생했다.
2. 3. 냉전 이후
냉전 종식 이후, 경제 제재는 크게 증가했다.[9] 국제 연합(UN)을 중심으로 국제 사회는 경제 제재를 더욱 활발하게 활용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포괄적인 무역 제재보다는 개인 및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 제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글로벌 제재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22년까지 1,325건의 제재가 있었다.[14]
3. 제재의 유형
경제 제재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크게 무역 제재, 금융 제재, 여행 금지, 무기 금수 조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무역 제재: 특정 상품의 수출입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조치이다.
- 금융 제재: 대상 국가의 금융 기관과의 거래를 제한하거나 자산을 동결하는 조치이다.
- 여행 금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여행을 제한하는 조치이다.
- 무기 금수 조치: 무기 및 관련 기술의 수출입을 금지하는 조치이다.
이러한 제재 유형 외에도, 스마트 제재라는 개념이 있다. 스마트 제재는 정치 지도자나 엘리트 등 책임 있는 당사자를 목표로 하고, 무고한 민간인과 인접 국가에 광범위한 부수적 피해를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1] 예를 들어 자산 동결, 여행 금지, 무기 금수 조치와 같은 것들이 스마트 제재에 해당한다. 그러나 스마트 제재는 민간인 피해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완전히 피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41]
글로벌 제재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22년까지 1,325건의 제재가 있었다.[14] 경제 제재는 많은 정부가 외교 정책의 도구로 사용하며, 대개 더 큰 국가가 더 작은 국가에 부과한다. 경제 제재는 무역 또는 인도주의적 침해와 관련된 특정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압적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쟁을 하는 대신 대안적인 무기로 사용된다.
국제 연맹 규약은 다음 다섯 가지 경우에 경제 제재를 허용했다:[15]
1. 국제 연맹 규약 제10조 위반 시
2. 전쟁 또는 전쟁 위협의 경우 (제11조)
3. 국제 연맹 회원국이 중재 판정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 (제12조)
4. 국제 연맹 회원국이 분쟁을 국제 연맹 이사회 또는 국제 연맹 총회에 제출하지 않고 전쟁을 일으키는 경우 (제12~15조)
5. 비회원국이 국제 연맹 회원국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는 경우 (제17조)
3. 1. 무역 제재
특정 상품의 수출입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조치는 무역 제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1958년 미국은 쿠바 혁명 과정에서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에 대한 무기 판매 금지 조치를 시작으로, 점차 제재 범위를 확대하여 1962년에는 거의 모든 무역을 금지하는 포괄적인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57] 이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으며, 쿠바에서는 이를 "엘 블로케오"(봉쇄)라고 부른다.[58]2006년 국제 연합(UN)은 북한의 핵실험 주장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718을 통해 대북한 사치품 및 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104]
이 외에도 다양한 무역 제재 사례가 존재한다.
- 1940년부터 1941년까지 미국, 영국, 중화민국, 네덜란드는 일본 제국의 팽창주의에 대응하여 대일 제재를 가했다.[81]
- 1973년부터 1974년까지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OAPEC)는 욤 키푸르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원한 국가들을 상대로 석유 금수 조치를 단행하여 1973년 석유 파동을 일으켰다.[82][83]
- 유럽 연합(EU)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10년 이란의 이란 핵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이란에 대한 제재를 부과했다.[84][85]
- 2014년 8월부터 러시아는 EU, 미국, 호주, 캐나다, 노르웨이에 대해 소고기, 돼지고기, 과일 및 채소, 가금류, 생선, 치즈, 우유 및 유제품에 대한 제재를 부과했으며, 2015년 8월 13일에는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으로 확대했다.[91][92][93]
3. 2. 금융 제재
금융 제재는 대상 국가의 금융 기관과의 거래를 제한하거나 자산을 동결하는 조치이다.[69]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미국은 러시아 금융 부문에 제재를 가했다.[127]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른 경제 제재에서는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국가의 수출입을 정지시키기도 한다.[146]1991년부터 2013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UNSC 제재 체제의 75%는 자산 동결 또는 여행 제한과 같은 "개인/그룹" 제재를 포함했고, 단 10%만이 국가 금융을 대상으로 하거나 중앙 은행, 국부 펀드 또는 외국인 투자에 대한 조치를 포함했다.[69]
2015년 4월 1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여 사상 최초의 경제 제재를 시행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 이 행정 명령은 미국의 국가 안보, 외교 정책, 경제적 건전성 또는 금융 안정을 위협하는 사이버 공격에 책임이 있는 개인 및 단체("지정 대상")의 자산을 동결할 권한을 재무부에 부여했다.[127] 유럽 연합은 2020년에 사이버 활동과 관련하여 최초의 표적 금융 제재를 시행했다.[128]
3. 3. 여행 금지
(이전 출력에서 언급했듯이, 원본 소스에는 '여행 금지' 섹션에 대한 직접적인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요약에 기반한 내용 생성도 불가능하며, 원본 소스에 있는 경제 제재의 역사적 사례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3. 4. 무기 금수 조치
무기 금수 조치는 무기 및 관련 기술의 수출입을 금지하는 조치이다.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제재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1991년부터 2013년까지 UNSC 제재 체제의 87%가 수입 무기에 대한 금수 조치를 포함했다.[69] 이는 정부보다 비국가 행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69]예시로, 국제 연합은 1992년 4월부터 소말리아 내전 중 시아드 바레 정권이 전복된 후 소말리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 결의안 751은 회원국들이 소말리아에 군사 장비를 판매, 자금 지원 또는 이전하는 것을 금지했다.[70]
4. 제재의 효과와 비판
경제 제재는 많은 정부가 외교 정책의 도구로 사용하며, 대개 더 큰 국가가 작은 국가에 부과한다. 이는 후자가 전자의 안보에 위협이 되거나, 해당 국가가 자국민을 불공정하게 대우하기 때문이다. 경제 제재는 무역 또는 인도주의적 침해와 관련된 특정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압적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쟁 대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대안적인 무기로 사용된다.[14]
글로벌 제재 데이터베이스는 제재의 목표를 정책 변화, 정권 불안정, 영토 분쟁 해결, 테러와의 전쟁, 전쟁 방지, 전쟁 종식, 인권 회복 및 증진, 민주주의 회복 및 증진 등으로 분류한다.[14]
경제 제재는 대상 국가의 모든 소득 계층에서 복지 손실을 초래하며, 부유한 계층이 빈곤한 계층보다 더 큰 손실을 겪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1]
상대방에 대한 제재는 시행 국가의 경제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수입 제한으로 인해 시행 국가의 소비자는 상품 선택에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수출 제한이나 제재로 인해 시행 국가의 기업은 시장과 투자 기회를 경쟁 국가에 빼앗길 수 있다.[22]
로버트 A. 페이프는 제재의 실제 성공률이 4%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25] 제재의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그 영향을 측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26]
제재가 효과가 크지 않음에도 여전히 부과되는 이유에 대해, 영국의 외교관 제레미 그린스톡은 "정부에 압력을 가하려는 경우, 말과 군사 행동 사이에는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7]
벨기에 법학자 마크 보쉬트는 비민주적 정권의 경우 제재가 정치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정권은 대중의 의지에 강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28]
정부 내 거부권 행사자의 규모와 제재의 효과 사이에는 강력한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거부권 행사자는 현상 유지를 변경하는 데 동의가 필요한 개인 또는 집단 행위자를 의미한다. 거부권 행사자의 규모가 클수록 새로운 정책에 대한 지지를 얻기가 더 어려워져 제재의 효과가 높아진다.[29]
외국 원조 중단은 일반적으로 경제 제재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31] 클라스 메르텐스는 원조 중단이 경제 제재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32]
경제 제재는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비판받는다. 이는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에게도 부수적인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펙센은 제재가 대상 국가의 인권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시사한다.[33] 일부 정책 분석가들은 무역 제한 부과가 정부 엘리트 대신 일반 사람들에게만 피해를 준다고 믿고 있으며,[34][35][36][37]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행위를 공성전에 비유하기도 한다.[38][39]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라크 제재로 인한 민간인 피해 논란 등을 이유로 포괄적인 제재 부과를 자제해 왔다.[69]
제재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40]
4. 1. 효과
경제 제재는 대상 국가의 정책 변화를 유도하거나 정권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국제 연합(UN) 경제 제재는 대상 국가의 GDP 성장률을 감소시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Neuenkirch와 Neumeier의 연구에 따르면, 유엔 경제 제재는 대상 국가의 연간 GDP 성장률을 평균 2.3~3.5% 감소시켰으며, 포괄적인 유엔 금수 조치의 경우 연간 5% 이상 감소했고,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일반적으로 10년 동안 지속되었다.[20] 반면, 미국의 단독 제재는 GDP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작아 연간 0.5~0.9%로 제한되었으며, 평균 지속 기간은 7년이었다.[20]경제 제재는 시행 국가의 경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수입 제한으로 인해 시행 국가의 소비자는 상품 선택에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수출 제한이나 제재로 인해 시행 국가의 기업은 시장과 투자 기회를 잃을 수 있다.[22]
로버트 A. 페이프는 제재 성공률을 4%로 낮게 평가했지만,[25] 제재의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그 영향을 측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26]
영국의 외교관 제레미 그린스톡은 제재가 효과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정부에 압력을 가하려는 경우, 말과 군사 행동 사이에는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인기가 있다고 설명한다.[27]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른 경제 제재는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국가의 수출입을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경제 제재의 효과는 대상 국가의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160]
요인 | 설명 |
---|---|
무역 의존도 | 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경제 제재로 인한 타격이 크다. |
경제 규모 | 대상 국가의 국민 소득이 작을수록 경제 제재로 인한 타격이 크다. |
무역 상대국 | 대상 국가가 많은 국가와 무역을 하는 경우, 경제 제재에 대항하기 쉬워진다. |
무역 대체 | 대상 국가가 다른 무역 상대국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경우에는 제재의 효과가 줄어든다. |
외환 보유액 | 외환 보유액이 많으면, 수입이 멈추지 않는 한 시간 벌기를 할 수 있다. |
경제 제재 감시 | 경제 제재의 실시에 관해 감시가 충분한 경우에는 효과가 높아진다. |
경제 체제 | 국가 무역 국가 등에서는 경제 제재의 부담이 국민에게 직접 미치지 않아, 경제 제재에 견디기 쉽다. |
경제 제재는 대상국이 국외에서 입수하던 물품을 결핍시킴으로써 국내적인 문제가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외교 정책의 일환이다. 일반적으로 경제 제재를 받은 국가는 경제 성장이 억제되어 국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경제 제재는 군사적 강제 수단에 비해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중립국 등 제3국과 경제 관계를 맺는 것도 가능하므로,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 대체 가능성이 최소인 상품을 선택하여 규제할 것.
- 제3국으로부터의 경제 지원을 저지할 것.
- 국내 경제에 미치는 비용과 마이너스 요인을 고려할 것.
- 반대로 상대방으로부터 경제 봉쇄를 당할 위험성을 고려할 것.
-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고 궁핍해진 상대국 국민이 악감정을 품고, 상대국을 더욱 적대적・공격적으로 만들 위험성을 고려할 것.
4. 2. 비판
경제 제재는 대상 국가의 경제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에게도 피해를 주어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비판받는다.[33] 일부 정책 분석가들은 무역 제한이 정부 엘리트가 아닌 일반 사람들에게만 피해를 준다고 믿으며,[34][35][36][37] 이러한 행위를 공성전에 비유하기도 한다.[38][39] 펙센(Peksen)은 제재가 대상 국가의 인권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33]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라크 제재로 인한 민간인 피해 논란 등을 이유로 포괄적인 제재 부과를 자제해 왔다.[69]
제재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40] 이러한 인도주의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 제재" 개념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정치 지도자나 엘리트 등 책임 있는 당사자를 목표로 하고 무고한 민간인과 인접 국가에 대한 광범위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자산 동결, 여행 금지, 무기 금수 조치 등을 의미한다.[41]
그러나 2016년 표적 제재 컨소시엄(TSC)의 연구에 따르면 표적 제재의 정책 목표 달성률은 22%에 불과했다.[42] 또한 스마트 제재도 민간인 피해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완전히 피하지 못했다.[41] 예를 들어, 무기 금수 조치는 공격받는 사람들의 자위 노력을 방해할 수 있고, 항공 금지는 국가 운송 부문 민간인 일자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개인 대상 금융 제재는 적법 절차 문제를 야기한다.[41]
스마트 제재의 예로,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미국이 러시아에 부과한 제재를 들 수 있다. 이 제재로 인해 미국의 신용카드 회사인 비자와 마스터카드가 제재 대상인 러시아 은행의 모든 거래를 중단하여 일반 러시아 소비자들의 신용카드가 무효화되기도 했다.[43]
경제 제재는 식료품이나 의약품 등의 금수 조치로 이어질 경우 기아와 병사를 발생시켜 인도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생필품 금수 조치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걸프 전쟁 당시 석유 식량 교환 프로그램처럼 제재와 별개로 인도적 측면에서 일부 품목의 수출입을 허용하는 프로그램이 실시되기도 했다.
한편, 인도적 지원으로 제공된 식료품, 의약품이 정부에 의해 횡령되어 자금화 및 군비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또한 제재 대상을 일부 권력자에게만 한정하는 것은 실질적인 효과가 없고 심리적인 효과만 준다는 비판도 있다.[162]
4. 3. 스마트 제재
스마트 제재는 일반 시민들에게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제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표적 제재이다.[41] 정치 지도자나 엘리트와 같이 책임 있는 당사자를 목표로 하고, 무고한 민간인과 인접 국가에 광범위한 부수적 피해를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산 동결, 여행 금지, 무기 금수 조치와 같은 조치를 의미한다.[41]이러한 개념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표적 제재 컨소시엄(TSC)은 표적 제재가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가 22%에 불과하다는 것을 발견했다.[42]
스마트 제재는 민간인 피해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완전히 피하는 데에도 성공하지 못했다.[41] 예를 들어, 무기 금수 조치는 공격을 받는 사람들의 자위 노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항공 금지는 국가의 운송 부문과 관련된 민간인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 제재는 적법 절차 문제를 제기한다.[41]
스마트 제재의 한 가지 예는 2014년 크림반도 병합 이후 미국이 러시아 연방에 부과한 제재에서 볼 수 있는데, 이는 러시아의 금융 부문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었다.[43] 이 제재로 인해 미국의 신용카드 회사인 비자와 마스터카드가 제재 대상인 러시아 은행의 모든 거래를 중단하여 일반 러시아 소비자들의 신용카드가 무효화되었다.[43]
5. 주요 제재 사례
나폴레옹 전쟁 기간 중 1806년 프랑스의 나폴레옹 1세는 대륙 봉쇄령을 내려 유럽 국가들이 영국과 무역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러나 이 조치는 영국뿐만 아니라 대륙 국가들에도 해로웠다.[10]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을 통해 경제 제재를 시행하려는 논의가 활발해졌다. 지도자들은 경제 제재를 전쟁의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 보았다.[14]
국제 연맹 규약은 다음 다섯 가지 경우에 경제 제재를 허용했다:[15]
경우 | 내용 |
---|---|
1 | 국제 연맹 규약 제10조 위반 시 |
2 | 전쟁 또는 전쟁 위협의 경우 (제11조) |
3 | 국제 연맹 회원국이 중재 판정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 (제12조) |
4 | 국제 연맹 회원국이 분쟁을 국제 연맹 이사회 또는 국제 연맹 총회에 제출하지 않고 전쟁을 일으키는 경우 (제12~15조) |
5 | 비회원국이 국제 연맹 회원국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는 경우 (제17조) |
1935년 아비시니아 위기 당시 국제 연맹은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왕국에 경제 제재를 가했으나, 석유 공급 중단과 수에즈 운하 봉쇄는 이루어지지 않아 실효성이 크지 않았다. 이 제재는 1936년에 해제되었고, 이탈리아 왕국은 1937년 국제 연맹을 탈퇴했다.[16][17][18][19]
1941년 일본 제국의 진주만 공격 직전, 미국은 일본의 추가 팽창을 막기 위해 심각한 무역 제한을 가했다.[1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합(UN)이 창설되면서 경제 제재 사용이 증가했다.[14]
글로벌 제재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22년까지 1,325건의 제재가 있었다.[14] 경제 제재는 외교 정책의 도구로 사용되며, 주로 더 큰 국가가 더 작은 국가에 부과한다. 이는 안보 위협, 인권 침해 등 특정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압적 수단으로 활용된다.[14]
경제 제재는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일반 시민에게 부수적인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33] 일부 정책 분석가들은 무역 제한이 정부 엘리트 대신 일반 사람들에게만 피해를 준다고 믿는다.[34][35][36][37]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 제재" 개념이 등장했다. 이는 정치 지도자나 엘리트 등 책임 있는 당사자를 목표로 하고, 무고한 민간인에게 광범위한 피해를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1] 그러나 스마트 제재 역시 민간인 피해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완전히 피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41]
국제 연합은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UNSC) 및/또는 국제 연합 총회의 동의를 받아 제재를 부과한다. 국제 연합 헌장 제7장의 41조에 따라 제재를 수행할 권한을 부여받는다.[67] 이러한 제재는 금융, 무역, 무기 제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부분의 UNSC 제재는 개인 및 단체를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UNSC는 범죄로 기소되거나 국제 테러와 관련된 개인의 목록을 유지한다.[69]
1991년부터 2013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UNSC 제재 체제의 95%는 "부문별 금지"를 포함했으며, 75%는 자산 동결 또는 여행 제한과 같은 "개인/그룹" 제재를 포함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것은 수입 무기에 대한 금수 조치였다.[69]
주요 제재 사례 (일부):
- 1807년 금수 조치: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 시기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로, 영국과 프랑스 제1제국 간의 전쟁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시행되었으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1809년 폐지되었다.[54]
- 쿠바에 대한 미국의 금수 조치: 1958년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로 시작되어 1962년 거의 모든 무역으로 확대되었다. 현대사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는 금수 조치 중 하나이다.[59]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몰도바, 조지아 등 친서방 성향의 구 소련 국가들에 대한 제재: 유럽 연합과 NATO 가입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다.[62]
- 소말리아에 대한 유엔 무기 금수 조치: 1992년 소말리아 내전 중 시아드 바레 정권 붕괴 후 시행되었다.[70]
-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대한 국제 제재: 유엔 총회는 198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한 자발적인 국제 석유 금수 조치를 채택했다.[78] 넬슨 만델라는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거에서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최초의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모든 유엔 제재가 종료되었다.[80]
- 1973년 석유 파동: OAPEC가 욤 키푸르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원한 국가들에 석유 금수 조치를 시행하여 발생했다.
- 이란 제재: 유럽 연합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란의 이란 핵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제재를 부과했다.[84][85]
-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제재[88]
- EU와 미국의 중국 제재: 1989년 톈안먼 시위에 대한 대응으로 무기 금수 조치가 시행되었다.[89]
- 미국의 쿠바 제재: 1958년에 시행된 무기, 소비재 및 금융 자산에 대한 제재.[90]
- 2014년 8월부터 러시아가 EU, 미국, 호주, 캐나다, 노르웨이에 부과한 제재.[91] 2015년 8월 13일, 이 제재는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으로 확대되었다.[92][93]
- 미국과 동맹국의 이란 제재: 특히 이란에 대한 핵, 미사일, 많은 군사 장비 수출을 금지하고 석유, 가스, 석유화학, 정제 석유 제품 수출, 은행, 보험, 금융 기관, 해운에 대한 투자를 표적으로 삼았다.[95]
- EU의 미얀마 제재: 미얀마의 민주주의 상태와 인권 침해가 악화되어 제재가 가해졌다.[100]
- 러시아 제재:
- 미국의 제재: 2017년 8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적대국 제재를 통한 미국의 대응법에 서명하여 러시아, 이란, 북한에 대한 제재를 묶었다.[105][106]
- EU의 제재: 2021년 3월, 로이터 통신은 EU가 체첸 공화국과 러시아에 대해 정부가 후원하고 지원하는 LGBTIQ+ 개인에 대한 폭력 행위로 인해 즉각적인 제재를 가했다고 보도했다.[107]
- 국제 제재는 2014년에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대응으로도 시행되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의 국제 제재
- EU와 미국의 시리아 제재는 무기 및 석유 수입에 대한 제재이다.[112]
- 유엔의 북키프로스 경제 제재는 1994년부터 시행된 소비재에 대한 제재이다.[113]
- 미국과 동맹국의 베네수엘라 제재는 2015년부터 시행되었다.[114][115]
5. 1. 미국의 대북 제재
1950년 한국 전쟁 이후 북한에 가해진 국제 제재는 대한민국 대통령 김대중과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의 햇볕 정책 하에서 완화되었으나,[102] 2000년대 이후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해 다시 강화되었다.[103]5. 2. UN의 대북 제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핵확산 금지 조약을 위반하고 핵실험을 실시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6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718을 통과시켰다.[71] 이 결의안은 군사 물자와 사치품 판매를 금지하고 북한 정부 자산을 동결했다.[71] 이후 유엔은 북한에 대한 제재를 확대하는 여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2016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2270은 북한이 고용한 운송 인력과 차량에 대한 제한을 추가하고, 천연자원 및 항공기 연료 판매를 제한했다.[72]2006년 결의안 채택 이후에도 북한의 지속적인 핵실험으로 인해 제재의 효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조지타운 대학교의 윌리엄 브라운 교수는 "제재가 사실상 한 세대 동안 파산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73]
1950년 한국 전쟁 이후 북한에 가해진 국제 제재는 대한민국 대통령 김대중과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의 햇볕 정책으로 완화되었으나,[102] 2010년에 다시 강화되었다.[103] 2006년에는 유엔, 미국, EU가 사치품 및 무기에 대한 제재를 부과했다.[104]
5. 3. 한국의 대북 제재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한국은 2010년 5.24 조치를 통해 남북 교역을 중단하고, 북한 선박의 한국 해역 운항을 금지하는 등 독자적인 대북 제재를 시행했다.5. 4. 기타 제재 사례
- 이탈리아 왕국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 대한 국제 연맹의 제재 결의 (1935년)[16][17][18][19]
: 이탈리아는 1937년 국제 연맹을 탈퇴했다.[16][17][18][19]
: 1928년 5월 14일, 상하이 반항일군 폭행 위원회에 의한 대일 경제 절교가 있었다. 1937년 10월 5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의 "격리 연설"이 있었다. 국제 연맹은 1938년 9월 30일에 연맹 규약 제16조의 제재 발동이 가능함을 확인하는 결의를 채택했다.[151][152] 이미 국제 연맹에서 탈퇴한 일본은 "연맹 제 기관에 대한 협력"도 폐지했으며, 연맹 각국에 의한 대일 경제 제재는 국제법상 일방적 행위 상태였다.
: 이 외에 이란은 우라늄 농축 등 핵무기 개발에 대한 안보리 결의 1737 (2006년 12월)·1747 (2007년 3월)·1803 (2008년 3월)의 채택에 의해 경제 제재를 받고 있다. 2010년, 유럽 연합은 이란 제재의 일환으로 이란의 이란 핵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제재를 결정했다.[84] 테레사 파파데메트리우는 EU가 이란에 부과한 정확한 제재 조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보험 제공 금지, 이란으로의 자금 이체에 대한 강화된 제한 및 통지 요구, 특정 석유 및 가스전에 사용될 기술 및 장비의 공급 또는 유통에 대한 제한 및 그러한 유전에 대한 투자 금지, 이란으로의 공급이 사전 승인을 받거나 완전히 금지되는 상품 및 기술 목록의 확대, 새로운 비자 정책 제한."[84] 또한 2010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란의 핵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이란에 대한 제재를 부과했다.[85] 이러한 제재는 이란이 핵무기 실험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무기의 이전을 금지하는 금수 조치를 부과했다.[85]
6. 결론 및 전망
경제 제재는 더 큰 국가가 더 작은 국가에 부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작은 국가가 큰 국가의 안보에 위협이 되거나 자국민을 불공정하게 대우하기 때문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경제 제재는 무역 또는 인도주의적 침해와 관련된 특정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압적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14] 전쟁 대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대안적인 무기로 사용된다.
글로벌 제재 데이터베이스는 제재의 목표를 정책 변화, 정권 불안정, 영토 분쟁 해결, 테러와의 전쟁, 전쟁 방지, 전쟁 종식, 인권 회복 및 증진, 민주주의 회복 및 증진, 그리고 기타 목표로 분류한다.[14]
북한이 핵확산 금지 조약을 위반하고 핵실험을 실시하자, 유엔 안보리는 2006년 결의안 1718호를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군사 물자와 사치품 판매를 금지하고 정부 자산을 동결했다.[71] 그 이후 유엔은 북한에 대한 제재를 확대하는 여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2016년 결의안 2270호는 북한이 고용한 운송 인력과 차량에 대한 제한을 두는 동시에 천연자원 및 항공기 연료 판매를 제한했다.[72]
그러나 2006년 결의안 이후 10년 동안 북한의 지속적인 핵실험을 고려할 때, 이러한 제재의 효능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조지타운 대학교의 윌리엄 브라운 교수는 "제재는 사실상 한 세대 동안 파산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73]
참조
[1]
뉴스
The United States of Sanctions
https://www.foreigna[...]
2021
[2]
간행물
The effectiveness of United Nations targeted sanction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3]
논문
The Hidden Hand of Economic Coercion
https://www.jstor.or[...]
2003
[4]
논문
Why Economic Sanctions Do Not Work
https://www.jstor.or[...]
1997
[5]
논문
Sanctions and Exports Deflection: Evidence from Iran
https://scholar.harv[...]
Econom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6]
논문
Sanctions Sometimes Smart: Targeted San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https://www.jstor.or[...]
2011
[7]
논문
Global Economic Sanctions
https://www.annualre[...]
2024
[8]
논문
Weaponized Interdependence: How Global Economic Networks Shape State Coercion
2019
[9]
논문
How not to sanction
https://academic.oup[...]
2022
[10]
웹사이트
Continental System Napoleon British Embargo Napoleon's 1812
http://www.economice[...]
[11]
서적
Recentering the World: China and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2]
서적
The Economic Weapon: The Rise of Sanctions as a Tool of Modern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2
[13]
논문
Sanctions and Guaranties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
https://www.cambridg[...]
1922
[14]
논문
Economic Sanctions: Evolution, Consequences, and Challenges
2023
[15]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H. Holt
1925
[16]
문서
"The Italo-Ethiopian War and League of Nations Sanctions, 1935–1936."
1974
[17]
서적
Test Case: Italy, Ethiopia, and the League of Nations
Hoover Institution Press
1976
[18]
문서
"The Machinery of British Policy in the Ethiopian Crisis."
1979
[19]
문서
"'The Worst of all Worlds:' Oil Sanctions and Italy's Invasion of Abyssinia, 1935–1936."
2008
[20]
논문
The impact of UN and US economic sanctions on GDP growth
http://www.fiw.ac.at[...]
2015-12-01
[21]
논문
The impact of international sanctions on income mobility: Evidence from Iran
https://onlinelibrar[...]
2024-06-06
[22]
웹사이트
Going Alone on Economic Sanctions Hurts U.S. More than Foes
http://www.cato.org/[...]
Cato.org
2015-03-30
[23]
서적
Economic Sanctions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05-10
[24]
서적
Economic Sanctions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Peterson Institute
[25]
논문
Why Economic Sanctions Still Do Not Work
1998
[26]
문서
"A Strategic Understanding of UN Economic Sanctions: International Relations, Law, and Development"
[27]
뉴스
Analysis: Do economic sanctions work?
https://www.bbc.co.u[...]
2015-03-30
[2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US Riled by Economic Sanctions Report
https://www.iatp.org[...]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Trade Policy
2020-06-20
[29]
논문
Domestic Institutional Constraints, Veto Players, and Sanction Effectiveness
2017-08-30
[30]
논문
Playing to the Home Crowd? Symbolic Use of Economic Sanctions in the United States
https://academic.oup[...]
Ingentaconnect.com
2015-03-30
[31]
서적
Economic Sanctions Reconsidered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PIIE)
2007
[32]
논문
Carrots as Sticks: How Effective Are Foreign Aid Suspensions and Economic Sanctions?
https://doi.org/10.1[...]
2024-03-28
[33]
논문
"Better or Worse?": The Effect of Economic Sanctions on Human Rights
2009
[34]
논문
Economic sanction: a weapon of mass destruction
2018-09
[35]
논문
Sanctions of Mass Destruction
https://philpapers.o[...]
[36]
웹사이트
Video: Why Economic Sanctions Don't Work
http://the-libertari[...]
[37]
서적
Economic Sanctions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Progress Organization
[38]
간행물
Sanctions as siege warfare
https://web.archive.[...]
2019-10-16
[39]
간행물
Sanctions against Zimbabwe: A Comparison with Ancient Near Eastern Sieges
https://www.academia[...]
2015
[40]
간행물
International isolation and regional inequality: Evidence from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s://ideas.repec.[...]
[41]
간행물
Smart Sanctions Revisited
[42]
간행물
Moving Targets: The Evolution and Future of Smart Sanctions
2023-11-30
[43]
간행물
Not-So-Smart Sanctions: The Failure of Western Restrictions Against Russia
2023-12-06
[44]
웹사이트
Do I need an export licence?
https://www.gov.uk/g[...]
2021-03-05
[45]
웹사이트
SAP Help Portal
https://help.sap.com[...]
2021-03-05
[46]
웹사이트
US Trade Sanctions Are a Trap for the Unwary
https://www.projectf[...]
2021-03-05
[47]
웹사이트
Office of Foreign Assets Control - Sanctions Programs and Information
https://home.treasur[...]
2021-03-05
[48]
웹사이트
Perform Sanction, PEPs and Watchlist Verification w/ Lexis Diligence
https://www.lexisnex[...]
2021-03-05
[49]
웹사이트
SAP Help Portal
https://help.sap.com[...]
2021-03-05
[50]
웹사이트
World-Check KYC Screening & Due Diligence
https://www.refiniti[...]
2021-03-05
[51]
웹사이트
Export Control and Sanctions Compliance
https://www.sap.com/[...]
2021-03-05
[52]
웹사이트
Embargo Check
https://www.anasys.c[...]
2021-03-05
[53]
웹사이트
Embargo Check
https://web.archive.[...]
2021-03-05
[54]
웹사이트
The Embargo of 1807
http://www.digitalhi[...]
digitalhistory.uh.edu
[55]
웹사이트
The Embargo of 1807
https://web.archive.[...]
Grove City College
2004-12-15
[56]
웹사이트
Embargo of 1807
http://www.monticell[...]
monticello.org
2013-04-08
[57]
웹사이트
Proclamation 3447 – Embargo on all trade with Cuba
https://www.archives[...]
archives.gov
2016-08-15
[58]
뉴스
Cuba trade embargo turns 50: Still no rum or cigars, though some freedom in travel
https://www.washingt[...]
2012-02-07
[59]
웹사이트
Officially Sanctioned: A Guide to the U.S. Blacklist
https://www.npr.org/[...]
npr.org
2007-10-15
[60]
간행물
It's Time For The U.S. To End Its Senseless Embargo Of Cuba
https://www.forbes.c[...]
2013-01-16
[61]
간행물
Obama Quietly Renews U.S. Embargo on Cuba
https://web.archive.[...]
2017-08-23
[62]
서적
The Kremlin Playbook: Understanding Russian influence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 a report of the CSIS Europe Program and the CSD Economics Program
[63]
웹사이트
A law on sanctions for individuals violating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freedoms of Russian citizens has been signed
http://eng.kremlin.r[...]
2012-12-28
[64]
간행물
Pipeline Politics: Russian Energy Sanctions and the 2010 Ukrainian Elections
2013-07
[65]
웹사이트
Russia-Ukraine 'Gas War' Damages Both Economies
http://www.worldpres[...]
2017-10-27
[66]
간행물
Georgia on my mind? Russian sanctions and the end of the 'Rose Revolution'
[67]
웹사이트
UN sanctions: what they are, how they work, and who uses them
https://www.un.org/a[...]
2017-10-27
[68]
웹사이트
New UN project uses financial incentives to try to save the dugong
http://www.un.org/ap[...]
2017-10-27
[69]
간행물
Understanding United Nations targeted sanctions: an empirical analysis
https://research.rug[...]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1
[70]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Committee pursuant to resolutions 751 (1992) and 1907 (2009) concerning Somalia and Eritrea
https://www.un.org/s[...]
2017-10-27
[71]
웹사이트
North Korea
http://www.nti.org/l[...]
2017-10-27
[72]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Imposes Fresh Sanctions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2270 (2016)
https://www.un.org/p[...]
2017-10-27
[73]
웹사이트
Why Did Sanctions Fail Against North Korea?
https://foreignpolic[...]
2017-10-27
[74]
웹사이트
UN Arms embargo on Libya
https://www.sipri.or[...]
2017-12-06
[75]
웹사이트
Evaluating the Impacts and Effectiveness of Targeted Sanctions
http://graduateinsti[...]
2017-12-07
[76]
웹사이트
Literature Review on the Effects of Targeted Sanctions
http://www.unicefine[...]
2017-12-07
[77]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lifts arms embargo on Central African Republic forces
https://news.un.org/[...]
2024-08-01
[78]
웹사이트
Oil Embargo against Apartheid South Africa on richardknight.com
http://richardknight[...]
[79]
뉴스
To Cope With Embargoes, S. Africa Converts Coal Into Oil
https://www.washingt[...]
2020-12-12
[80]
Q
Q121303715
[81]
웹사이트
Pearl Harbor Raid, 7 December 1941
http://history.navy.[...]
Department of the Navy – Naval Historical Center
2019-07-20
[82]
서적
The Age of Oil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83]
웹사이트
Energy Crisis (1970s)
http://www.history.c[...]
The History Channel
2010
[84]
웹사이트
European Union: Renewed Sanctions Against Iran
https://www.loc.gov/[...]
2023-12-18
[8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anctions on Iran
https://www.atlantic[...]
2023-12-18
[86]
간행물
Macroeconomic Implications of US Sanctions on Iran: A Sectoral Financial Balances Analysis
2019-12-01
[87]
웹사이트
Sanctions risk by countries
https://sanctio.com/[...]
[88]
뉴스
Biden administration freezes billions of dollars in Afghan reserves, depriving Taliban of cash
http://washingtonpos[...]
2021-08-17
[89]
간행물
Should Europe Lift Its Arms Embargo on China?
http://www.time.com/[...]
2010-02-10
[90]
뉴스
United States embargo against Cuba - History
https://worldbulleti[...]
2022-06-16
[91]
뉴스
Russia announces 'full embargo' on most food from US, EU
http://www.dw.de/rus[...]
2014-08-07
[92]
뉴스
Russia expands food imports embargo to non-EU states
http://english.irib.[...]
2015-08-13
[93]
뉴스
Russia expands food import ban
https://www.bbc.com/[...]
2018-06-17
[94]
뉴스
Australia bans all live cattle exports to Indonesia
https://www.bbc.co.u[...]
2016-01-02
[95]
웹사이트
What You Need To Know About U.S. Economic Sanctions
http://www.treasury.[...]
treasury.gov
[96]
웹사이트
A summary of sanctions against Iran
http://www.cnn.com/2[...]
cnn.com
2012-01-23
[97]
뉴스
U.S. to end all waivers on imports of Iranian oil, crude price jumps
https://www.reuters.[...]
2019-04-22
[98]
뉴스
Iran oil: US to end sanctions exemptions for major importers
https://www.bbc.com/[...]
2019-04-22
[99]
웹사이트
Mali sanctions regime
https://www.dfat.gov[...]
2022-06-16
[100]
웹사이트
"Are EU Trade Oh hell no on Burma Compatible with WTO Law?"
http://students.law.[...]
2010-06-07
[101]
웹사이트
Financial sanctions, Nicaragua
https://www.gov.uk/g[...]
2021-11-15
[102]
웹사이트
Clinton Ends Most N. Korea Sanctions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15-03-30
[103]
웹사이트
http://www.nguoi-vie[...]
2010-07-23
[104]
웹사이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http://www.berr.gov.[...]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
2016-03-08
[105]
뉴스
Senate overwhelmingly passes new Russia and Iran sanction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7-06-15
[106]
뉴스
Iran says new U.S. sanctions violate nuclear deal, vows 'proportional reaction'
https://www.reuters.[...]
2017-08-02
[107]
뉴스
EU sanctions Russians over rights abuses in Chechnya
https://www.reuters.[...]
2021-03-22
[108]
웹사이트
UN arms embargo on Somalia
https://www.sipri.or[...]
SIPRI
2019-12-20
[109]
웹사이트
UK sanctions relating to Somalia
https://www.gov.uk/g[...]
2022-06-27
[110]
웹사이트
U.S. Imposes New Sanctions on Sudan - Sudan {{!}} ReliefWeb
https://reliefweb.in[...]
1997-11-04
[111]
웹사이트
Treasury Department's Office of Foreign Asset Control (OFAC)
https://www.wm.edu/o[...]
2022-06-27
[112]
뉴스
Syria sanctions
https://www.bbc.co.u[...]
2011-11-27
[113]
간행물
The Cyprus Question before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http://ejil.oxfordjo[...]
2001
[114]
뉴스
White House sanctions seven officials in Venezuela
https://time.com/373[...]
2019-04-02
[115]
뉴스
U.S. declares Venezuela a national security threat, sanctions top officials
https://www.reuters.[...]
2019-04-02
[116]
웹사이트
President Trump Approves New Sanctions On Venezuela
https://www.npr.org/[...]
2018-05-22
[117]
뉴스
EU readies sanctions on Venezuela, approves arms embargo
https://www.reuters.[...]
2017-11-13
[118]
뉴스
Canada imposes sanctions on key Venezuelan officials
https://www.cbc.ca/n[...]
Thomson Reuters
2019-04-03
[119]
뉴스
Canada sanctions 40 Venezuelans with links to political, economic crisis
https://www.theglobe[...]
2019-04-03
[120]
뉴스
Canada to impose sanctions on more Venezuelan officials
https://www.voanews.[...]
Reuters
2019-04-04
[121]
뉴스
México rechaza elecciones en Venezuela y sanciona a siete funcionarios
http://sumarium.com/[...]
2018-04-21
[122]
뉴스
Panama sanctions Venezuela, including Maduro & 1st Lady family companies
http://www.laht.com/[...]
2019-04-03
[123]
뉴스
Swiss impose sanctions on seven senior Venezuelan officials
https://www.reuters.[...]
2019-04-03
[124]
웹사이트
Sanctions Regimes
https://www.dfat.gov[...]
2022-06-28
[125]
웹사이트
UK sanctions regimes
https://www.gov.uk/g[...]
2022-06-28
[126]
웹사이트
Sanctions {{!}}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ttps://www.un.org/s[...]
2022-06-28
[127]
웹사이트
Sanctions: U.S. action on cyber crime
http://www.pwc.com/e[...]
PwC Financial Services Regulatory Practice, April, 2015
[128]
간행물
Countering Malicious Cyber Activity: Targeted Financial Sanctions
https://papers.ssrn.[...]
2020-10-01
[129]
웹사이트
Obama extends cyber sanctions power
https://thehill.com/[...]
2016-03-29
[130]
웹사이트
Brazil slaps trade sanctions on U.S. to retaliate for subsidies to cotton farmers
http://content.usato[...]
Content.usatoday.com
2015-03-30
[131]
뉴스
Georgia Doubles Wine Exports as Russian Market Reopens
http://en.ria.ru/bus[...]
2013-12-16
[132]
웹사이트
Resolution 1483 - UN Security Council - Global Policy Forum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09-05-30
[133]
웹사이트
India and Pakistan (Nuclear Exports)
http://www.berr.gov.[...]
[134]
뉴스
Mali Coup Leaders Suffer Sanctions and Loss of Timbuktu
https://www.nytimes.[...]
2012-04-02
[135]
뉴스
Post-coup Mali hit with sanctions by African neighbours
The Globe and Mail
2012-04-03
[136]
뉴스
US finally ends Vietnam embargo
https://www.independ[...]
1994-02-04
[137]
웹사이트
International: United Nations Welcomes Loosening of Sanctions in Gulf Region
https://www.loc.gov/[...]
2022-06-16
[138]
뉴스
Kosovo imposes embargo on Serbia
http://sofiaecho.com[...]
2016-01-02
[139]
간행물
Mandala de Elegua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Ebook Collection
2022-06-27
[140]
웹사이트
A Decade Under Sanctions
https://www.transpar[...]
2022-06-27
[141]
웹사이트
Global Sanctions Database - GSDB
https://www.globalsa[...]
2021-05-18
[142]
웹사이트
The 'Global Sanctions Data Base': Mapping international sanction policies from 1950-2019
https://voxeu.org/ar[...]
2021-05-18
[143]
간행물
The Global Sanctions Data Base (GSDB): an update that includes the years of the Trump presidency
https://www.elgaronl[...]
2021-12-10
[144]
간행물
The Threat and Imposition of Economic Sanctions data project: a retrospective
https://www.elgaronl[...]
2021-12-10
[145]
문서
Sanctions and Exports Deflection: Evidence from Iran
http://www.parisscho[...]
Paris School of Economics, University of Paris 1 Pantheon Sorbonne
2015
[146]
문서
憲法第9条について〜自衛隊の海外派遣をめぐる憲法的諸問題」に関する基礎的資料
https://www.shugiin.[...]
衆議院憲法調査会事務局
2003-06
[147]
웹사이트
米国の対ベネズエラ制裁により数万名が死亡したことが報告書で明らかに(経済政 策研究センター(CEPR)プレスリリース)
https://venezuela.or[...]
2019-06-24
[148]
뉴스
Squeezed to death
https://www.theguard[...]
2000-03-04
[149]
문서
連盟規約第16条の歴史と国際連合の将来
有斐閣
1949
[150]
문서
히틀러의 나치 독일의 급속한 대두에 대한 언급
[151]
문서
日本外交文書 日中戦争』(全4冊)
https://www.mofa.go.[...]
外務省
[152]
뉴스
大阪朝日新聞
大阪朝日新聞
1938-11-03
[153]
웹사이트
キューバ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154]
웹사이트
ジンバブエ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155]
웹사이트
베ラル루시 기초 데이터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156]
서적
국제 소비자 운동
https://www.worldcat[...]
대학 교육 출판
[157]
서적
Keizai seisai no kenkyū : keizai seisai no seiji keizaigakuteki ichizuke
https://www.worldcat[...]
Shigakusha
2017-03
[158]
서적
경제 제재 연구
志學社
[159]
웹사이트
러시아인의 숙박 거부를 HP에 기재 시가의 여관, 지도 받아 삭제 (공동 통신)
https://news.yahoo.c[...]
2022-08-19
[160]
문서
미야가와84 – 88페이지
[161]
웹사이트
국제 연합 홍보 센터
http://www.unic.or.j[...]
국제 연합
[162]
문서
2008년도 제1회 유엔 연구 프로젝트 연구회 | 유엔(2010]
https://www.tkfd.or.[...]
도쿄 재단
[163]
웹사이트
Iraq surveys show 'humanitarian emergency' - Iraq
https://reliefweb.in[...]
OCHA
1999-08-12
[164]
웹사이트
Changing views on child mortality and economic sanctions in Iraq: a history of lies, damned lies and statistics
https://gh.bmj.com/c[...]
BMJ Global Health
2017
[165]
서적
Annual Report for 2018
https://www.unicef.o[...]
UNICEF DPR Korea Country Office
[166]
서적
Annual Report for 2018
https://www.unicef.o[...]
UNICEF DPR Korea Country Office
[167]
웹사이트
Nearly 4,000 civilian deaths in North Korea tied to sanctions: report
https://thehill.com/[...]
2019-10-30
[168]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brutal sanctions' constitute genocide
https://www.japantim[...]
2017-11-04
[169]
웹사이트
아프가니스탄 정권 붕괴 후의 인도적 위기와 일본의 역할
https://www.jiia.or.[...]
국제 관계 연구소
2023-10-27
[170]
뉴스
Afghanistan: 'Nothing we can do but watch babies die'
https://www.bbc.com/[...]
2023-05-02
[171]
웹사이트
Thousands of Iranians died of COVID-19 due to US sanctions: official
https://global.china[...]
2023-10-27
[172]
웹사이트
Unilateral US sanctions taking toll on thalassemia patients in Iran: UN experts
https://www.presstv.[...]
2023-02-15
[173]
웹사이트
Iran: Over-compliance with unilateral sanctions affects thalassemia patients say UN experts
https://www.ohchr.or[...]
ohchr
2023-02-14
[174]
웹사이트
US-led sanctions on Venezuela "devastating" to human rights, says UN report
https://www.cnn.com/[...]
2021-02-13
[175]
웹사이트
Report: U.S. Sanctions Have Killed 40,000 in Venezuela Since 2017
https://www.democrac[...]
[176]
웹사이트
Unblocking long-suffering Cuba
https://www.aljazeer[...]
2023-10-27
[177]
간행물
Financial Weapons of War
http://ssrn.com/abst[...]
Minnesota Law Review
2016
[178]
간행물
Sanctions and Exports Deflection: Evidence from Iran
http://www.parisscho[...]
Paris School of Economics, University of Paris 1 Pantheon Sorbonne
2015
[179]
문서
http://people.tamu.e[...]
[180]
웹인용
Playing to the Home Crowd? Symbolic Use of Economic Sanctions in ...
http://www.ingentaco[...]
Ingentaconnect.com
2011-09-01
[181]
웹사이트
http://www.creativea[...]
[182]
웹인용
Trade Embargoes Summary
http://darwin.bio.uc[...]
darwin.bio.uci.edu
2013-04-08
[183]
웹인용
Blockade as Act of War
http://www.crimesofw[...]
Crimes of War Project
2012-07-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트럼프, 종전합의 실패시 러 강력 제재 예고…"세계전쟁은 안돼"
[Column] American hegemony, entrusted to Korea
미러 정상회담에 종전 기대감... 러시아 수출기업 80% “재진출 의향”
트럼프, 이르면 다음주 푸틴 만난다…젤렌스키와 3자 회담도 추진
‘제재 해제’ 시리아, 사우디와 수조원 계약 앞둬
새로 문 연 북한 원산 관광지구, 러시아 관광객 맞아
미, 시리아 경제 제재 공식 해제…과도정부 안착할까
트럼프·푸틴 ‘빈손’ 통화에…EU·영국, 즉시 ‘러 추가 제재’ 카드
현대차그룹, 러시아 재진출하나…잇단 현지 상표 등록
트럼프보다 확실한 우위에 있는 시진핑의 패 [세계의 창]
미국發 관세로 부가가치 10조 손실 … 타이어·전자부품·석화 발등의 불
시리아 과도정부, 새 중앙은행 총재에 여성 첫 임명
RFA, "러 마트에 북한산 사과 수북…북, 인삼 가공품도 수출 예정"
러시아 결심만 남았다는데…트럼프 손에 쥔 카드는?
신중한 태도 보여오던 한국도 러시아 제재 동참 – 바이라인네트워크
미 법무부 추가 기소에 화웨이 반발 “초강대국이 민영기업 공격, 정치적 박해” – 바이라인네트워크
우크라 전쟁, 러시아의 승리인가 장기적 패착인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