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지역 예선을 거쳐 조별 리그, 준결승, 3-4위전, 결승전 순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부산 아이파크가 연장전 끝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아흘리를 3-1로 꺾고 대한민국 클럽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시즌 - 1992-93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2-93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AFC 주관 아시아 최고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파스 테헤란 FC가 알 샤밥을 꺾고 우승했으며, 알 와슬 FC가 도쿄 베르디 1969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시즌 - 1995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5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AFC 주관으로 23개 팀이 참가하여 1995년 9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진행된 클럽 축구 대회이며, 일화 천마가 알 나스르를 꺾고 우승했다. - 1986년 축구 - 1986년 FIFA 월드컵
1986년 FIFA 월드컵은 콜롬비아의 개최권 반납 후 멕시코에서 개최되어 디에고 마라도나의 활약 속에 아르헨티나가 우승했으나, "신의 손" 골 논란과 고지대 경기장의 영향, FIFA 투명성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 1986년 축구 -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에서 개최되었고, 이집트가 결승전에서 카메룬을 꺾고 우승했으며, 로제 밀라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85년 축구 - 라리가 1985-86
라리가 1985-86 시즌은 레알 마드리드가 26승 4무 4패로 우승하며 통산 21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FC 바르셀로나와 아틀레틱 빌바오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으며, 발렌시아, 에르쿨레스, 셀타 비고는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 1985년 축구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1985
1985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는 라리가 우승팀 FC 바르셀로나와 코파 델 레이 우승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맞붙어 합계 2-2 무승부 후 승부차기 끝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우승하였다.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 | |
개최국 | 사우디아라비아 |
개최 도시 | 지다 |
개최 기간 (예선) | 1985년 (지역별 예선) |
개최 기간 (본선) | 1986년 1월 19일 ~ 1986년 1월 29일 |
참가 클럽 수 | 25 (본선 진출 6) |
총 경기 수 | 10 |
총 득점 수 | 23 |
경기당 득점 수 | 2.3 |
결과 | |
우승 | 대우 로얄즈 |
우승 횟수 | 1회 |
준우승 | 알아흘리 SFC |
3위 | KYTB 팔렘방 |
4위 | 알이티하드 알레포 |
최다 득점자 | 셰이크 모하마드 아슬람 프렘 랄 |
최다 득점 | 9골 (각 선수별)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72 |
다음 대회 | 1986 |
2. 예선 라운드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예선 라운드는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의 4개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지역별 예선을 통해 본선 조별 리그에 진출할 팀을 가렸다.
- 서아시아: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1조에서는 알 이티하드(시리아)가 알 라시드(이라크)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 2조에서는 알 아흘리(사우디)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 중앙아시아: 이스트 벵골(인도)이 5전 전승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 동남아시아: 방콕 은행(태국)이 크라마 유다 티가 베를린(인도네시아)과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 동아시아: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1조에서는 세이코(홍콩)가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기권했다.
- 2조에서는 대우 로얄즈(대한민국)가 와 센을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2. 1. 서아시아 1조
이라크의 알 라시드, 시리아의 알 이티하드 알레포, 요르단의 암만 클럽이 참가했다.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가 없던 북예멘과 남예멘의 클럽들은 기권하였다. 알 라시드는 암만 클럽을 4-0으로 이겼으나, 이후 기권하여 알 이티하드 알레포가 부전승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2. 1. 1. 1라운드
팀 1 | 결과 | 팀 2 |
---|---|---|
알 라시드 (이라크) | 4-0 | 암만 클럽 (요르단) |
알 이티하드 (시리아) | 부전승 |
- 알 쇼르타 아덴과 알 아흘리 사나는 기권하였다.
2. 1. 2. 2라운드
알이티하드 알레포(نادي الاتحاد|나디 알이티하드ar)는 알 라시드가 기권함에 따라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팀 1 | 결과 | 팀 2 |
---|---|---|
알이티하드 알레포 | 부전승 | 알 라시드 |
2. 2. 서아시아 2조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서아시아 2조에는 다음과 같은 클럽들이 참가했다. 이 대회는 두바이에서 개최되었으며, 1985년 걸프 협력 회의 컵을 겸했다.
- 알무하라크
- 알 아라비
- 판자
- 알 라이안
- 알 아흘리 지다
- 알 아인
1차전에서 '''알아흘리'''가 알아라비를 2-1로 이겼다.[1]
팀 1 | 결과 | 팀 2 |
---|---|---|
알아흘리 | 2-1 | 알아라비 |
2. 2. 1. 결승전
알아흘리와 알아라비 두 팀 모두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지만, 알아라비는 기권하였다.2. 3. 중앙아시아 조 (코카콜라 컵)
이 조는 스폰서십 문제로 인해 "코카콜라 컵"이라고 불렸다. 인도의 이스트 벵골, 방글라데시의 아바하니 KC, 스리랑카의 손더스 SC, 파키스탄의 PIA FC, 네팔의 뉴 로드 팀, 몰디브의 클럽 발렌시아가 참가했으며, 모든 경기는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렸다.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이스트 벵골 | 10 | 5 | 5 | 0 | 0 | 20 | 0 |
아바하니 크릴라 차크라 | 8 | 5 | 4 | 0 | 1 | 17 | 4 |
사운더스 SC | 5 | 5 | 2 | 1 | 2 | 12 | 8 |
PIA FC | 4 | 5 | 1 | 2 | 2 | 8 | 8 |
뉴 로드 팀 | 3 | 5 | 1 | 1 | 3 | 8 | 11 |
클럽 발렌시아 | 0 | 5 | 0 | 0 | 5 | 2 | 36 |
이스트 벵골이 5전 전승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2. 3. 1. 경기 결과
أفغانستان|아프가니스탄ar과 إيران|이란fa은 팀을 파견하지 않았다.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경기장 |
---|---|---|---|---|
1985년 8월 1일 | 사우더스 SC | 7–0 | 클럽 발렌시아 | 수자가다사 스타디움, 콜롬보 |
1985년 8월 2일 | 이스트 벵골 | 7–0 | 뉴 로드 팀 | |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 3–0 | PIA FC | ||
1985년 8월 4일 | PIA FC | 6–1 | 클럽 발렌시아 | |
사우더스 SC | 2–1 | 뉴 로드 팀 | ||
1985년 8월 5일 | 이스트 벵골 | 1–0 |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 |
1985년 8월 7일 | 이스트 벵골 | 2–0 | PIA FC | |
1985년 8월 8일 | 뉴 로드 팀 | 6–0 | 클럽 발렌시아 | |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 4–1 | 사우더스 SC | ||
1985년 8월 10일 | 이스트 벵골 | 9–0 | 클럽 발렌시아 | |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 2–1 | 뉴 로드 팀 | ||
1985년 8월 11일 | 사우더스 SC | 2–2 | PIA FC | |
1985년 8월 13일 |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 8–1 | 클럽 발렌시아 | |
PIA FC | 0–0 | 뉴 로드 팀 | ||
1985년 8월 14일 | 이스트 벵골 | 1–0 | 사우더스 SC | 수자가다사 스타디움, 콜롬보 |
경기는 스리랑카에서 개최되었다.
2. 4. 동남아시아 조 (ASEAN 챔피언스컵)
1984년 12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와 반둥에서 열린 동남아시아 조(ASEAN 챔피언스컵)에는 인도네시아의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KYTB 팔렘방), 태국의 방콕은행 FC, 싱가포르의 티옹 바루 CSC(탄종 파갈 유나이티드), 말레이시아의 믈라카 FA, 브루나이의 로얄 브루나이 군사 스포츠 위원회(앙카타 페르센자탓 디라자)가 참가했다.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 | 7 | 4 | 3 | 1 | 0 | 15 | 1 |
방콕은행 FC | 7 | 4 | 3 | 1 | 0 | 10 | 2 |
티옹 바루 CSC | 3 | 4 | 1 | 1 | 2 | 2 | 7 |
믈라카 FA | 3 | 4 | 1 | 1 | 2 | 2 | 7 |
로얄 브루나이 군사 스포츠 위원회 | 0 | 4 | 0 | 0 | 4 | 0 | 12 |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과 방콕은행 FC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이 모두 같아 조별 리그 진출권을 놓고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 결과 방콕은행 FC가 1-0으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1]
2. 4. 1. 경기 결과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팀 1 | 결과 | 팀 2 |
---|---|---|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 | 5-0 | 탄종 파갈 유나이티드 |
믈라카 FA | 1-0 | 앙카타 페르센자타안 디라자 |
방콕은행 FC | 2-0 | 탄종 파갈 유나이티드 |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 | 7-0 | 앙카타 페르센자타안 디라자 |
탄종 파갈 유나이티드 | 0-0 | 믈라카 FA |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 | 1-1 | 방콕은행 FC |
방콕은행 FC | 5-1 | 믈라카 FA |
탄종 파갈 유나이티드 | 2-0 | 앙카타 페르센자타안 디라자 |
방콕은행 FC | 2-0 | 앙카타 페르센자타안 디라자 |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 | 2-0 | 믈라카 FA |
- 참고: 미얀마와 필리핀은 팀을 파견하지 않았다.
2. 4. 2. 플레이오프
세이코 SA가 기권하여 예선 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KYTB 팔렘방이 조별 리그에 진출하였다.[1]2. 5. 동아시아 1조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동아시아 1조에는 홍콩의 세이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4.25, 중국의 랴오닝이 참가했다. 대한민국과 수교 관계가 없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팀과의 경기는 제3국에서 개최되었다. 세이코가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기권했다.2. 5. 1. 경기 결과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세이코 | 6 | 4 | 3 | 0 | 1 | 6 | 6 | 0 |
4.25 | 5 | 4 | 2 | 1 | 1 | 8 | 4 | +4 |
랴오닝 FC | 1 | 4 | 0 | 1 | 3 | 2 | 6 | -4 |
2. 6. 동아시아 2조
요미우리는 추첨 전에 기권했다. 와 셍은 AFC 또는 FIFA 기준 경기장을 갖추지 못해, 모든 경기는 대한민국 부산에서 열렸다. 대우 로얄즈는 와 셍과의 두 경기에서 합계 14-1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2. 6. 1. 경기 결과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1985년 11월 9일 | 대우 로얄즈 | 9–0 | 와 셍 | 부산 구덕운동장, 부산, 대한민국 |
1985년 11월 11일 | 대우 로얄즈 | 5–1 | 와 셍 | 부산 구덕운동장, 부산, 대한민국 |
- 대우 로얄즈가 합계 14-1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 두 경기는 마카오가 AFC 또는 FIFA 기준 경기장을 갖추지 못해 대한민국에서 열렸다.
3. 조별 리그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조별 리그는 1986년 1월 19일부터 1월 24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개최되었다. 당초 동아시아 1조에 편성되었던 세이코 SA(홍콩)가 기권하면서, 동남아시아 조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KYTB 팔렘방(인도네시아)이 대신 합류했다.[1]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두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알 아흘리와 KYTB 팔렘방이, B조에서는 대우 로얄즈와 알 이티하드 알레포가 각각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3. 1. A조
A조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아흘리, 인도네시아의 KYTB 팔렘방, 인도의 이스트 벵골이 참가했다. 알 아흘리와 KYTB 팔렘방이 준결승전에 진출했다.[1]3. 1. 1. 경기 결과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알 아흘리 | 4 | 2 | 2 | 0 | 0 | 3 | 1 | +2 |
KYTB 팔렘방 | 2 | 2 | 1 | 0 | 1 | 2 | 1 | +1 |
이스트 벵골 | 0 | 2 | 0 | 0 | 2 | 1 | 4 | -3 |
width="10%"| | width="20%"| | width="12%"| | width="20%"| | |
---|---|---|---|---|
제1경기 | 알 아흘리 | 1–0 | KYTB 팔렘방 | |
제2경기 | 알 아흘리 | 2–1 | 이스트 벵골 | |
제3경기 | KYTB 팔렘방 | 2–0 | 이스트 벵골 |
3. 2. B조
B조에는 대한민국의 대우 로얄즈, 시리아의 알 이티하드 알레포, 태국의 방콕 뱅크가 참가했다.[1][2][3] 대우 로얄즈와 알 이티하드 알레포가 준결승전에 진출했다.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대우 로얄즈 | 4 | 2 | 2 | 0 | 0 | 4 | 1 | +3 |
2 | 알 이티하드 알레포 | 2 | 2 | 1 | 0 | 1 | 3 | 1 | +2 |
3 | 방콕 뱅크 | 0 | 2 | 0 | 0 | 2 | 1 | 6 | -5 |
3. 2. 1. 경기 결과
B조에서는 대우 로얄즈가 2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알 이티하드 알레포가 1승 1패로 2위, 방콕 뱅크가 2패로 3위를 기록했다.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1986년 1월 20일 | 대우 로얄즈 | 3-1 | 방콕 뱅크 | 이태호 2골, 정해원 1골 (대우 로얄즈), 피차이 콩스리 1골 (방콕 뱅크)[1] |
1986년 1월 22일 | 알 이티하드 알레포 | 3-0 | 방콕 뱅크[2] | |
1986년 1월 24일 | 대우 로얄즈 | 1-0 | 알 이티하드 알레포[3] |
4. 준결승전
모든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열렸다. 부산 아이파크와 알아흘리가 결승전에 진출했다.[2]
팀1 | 점수 | 팀2 | 득점1 | 득점2 | 경기장 |
---|---|---|---|---|---|
대우 로얄즈 | 3–0 | 크라마 유다 티가 벨리안 | 정해원 변병주 강신우 | 제다, 사우디 아라비아 | |
알 아흘리 제다 | 1–0 | 알 이티하드 알레포 | Housam Abu Dawoud | 제다, 사우디 아라비아 | |
대우 로얄즈 | 3–1 | 알 아흘리 제다 | 변병주 박양하 강신우 | 아민 다부 | 제다, 사우디 아라비아 |
5. 3·4위전
1986년 1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경기가 열렸다. KYTB 팔렘방이 알 이티하드 알레포를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6. 결승전
1986년 1월 29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결승전이 열렸다. 대우 로얄즈가 알 아흘리 제다를 연장전 끝에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변병주가 후반 30분에 골을 넣었고, 연장전에서 박양하와 강신우가 각각 득점하였다. 알 아흘리의 아민 다부는 전반 16분에 골을 기록했다.
7. 우승
대우 로얄즈
첫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