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지역 예선을 거쳐 조별 리그, 준결승, 3-4위전, 결승전 순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부산 아이파크가 연장전 끝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아흘리를 3-1로 꺾고 대한민국 클럽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시즌 - 1992-93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2-93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AFC 주관 아시아 최고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파스 테헤란 FC가 알 샤밥을 꺾고 우승했으며, 알 와슬 FC가 도쿄 베르디 1969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시즌 - 1995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5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AFC 주관으로 23개 팀이 참가하여 1995년 9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진행된 클럽 축구 대회이며, 일화 천마가 알 나스르를 꺾고 우승했다.
  • 1986년 축구 - 1986년 FIFA 월드컵
    1986년 FIFA 월드컵은 콜롬비아의 개최권 반납 후 멕시코에서 개최되어 디에고 마라도나의 활약 속에 아르헨티나가 우승했으나, "신의 손" 골 논란과 고지대 경기장의 영향, FIFA 투명성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 1986년 축구 -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에서 개최되었고, 이집트가 결승전에서 카메룬을 꺾고 우승했으며, 로제 밀라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85년 축구 - 라리가 1985-86
    라리가 1985-86 시즌은 레알 마드리드가 26승 4무 4패로 우승하며 통산 21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FC 바르셀로나와 아틀레틱 빌바오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으며, 발렌시아, 에르쿨레스, 셀타 비고는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 1985년 축구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1985
    1985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는 라리가 우승팀 FC 바르셀로나와 코파 델 레이 우승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맞붙어 합계 2-2 무승부 후 승부차기 끝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우승하였다.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AFC 챔피언스리그 트로피
AFC 챔피언스리그 트로피
개최국사우디아라비아
개최 도시지다
개최 기간 (예선)1985년 (지역별 예선)
개최 기간 (본선)1986년 1월 19일 ~ 1986년 1월 29일
참가 클럽 수25 (본선 진출 6)
총 경기 수10
총 득점 수23
경기당 득점 수2.3
결과
우승대우 로얄즈
우승 횟수1회
준우승알아흘리 SFC
3위KYTB 팔렘방
4위알이티하드 알레포
최다 득점자셰이크 모하마드 아슬람
프렘 랄
최다 득점9골 (각 선수별)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72
다음 대회1986

2. 예선 라운드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예선 라운드는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의 4개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지역별 예선을 통해 본선 조별 리그에 진출할 팀을 가렸다.


  • 서아시아: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1조에서는 알 이티하드(시리아)가 알 라시드(이라크)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 2조에서는 알 아흘리(사우디)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 중앙아시아: 이스트 벵골(인도)이 5전 전승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 동남아시아: 방콕 은행(태국)이 크라마 유다 티가 베를린(인도네시아)과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 동아시아: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1조에서는 세이코(홍콩)가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기권했다.
  • 2조에서는 대우 로얄즈(대한민국)가 와 센을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2. 1. 서아시아 1조

이라크의 알 라시드, 시리아의 알 이티하드 알레포, 요르단의 암만 클럽이 참가했다.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가 없던 북예멘과 남예멘의 클럽들은 기권하였다. 알 라시드는 암만 클럽을 4-0으로 이겼으나, 이후 기권하여 알 이티하드 알레포가 부전승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2. 1. 1. 1라운드

1라운드 경기 결과
팀 1결과팀 2
알 라시드 (이라크)4-0암만 클럽 (요르단)
알 이티하드 (시리아)부전승


  • 알 쇼르타 아덴과 알 아흘리 사나는 기권하였다.

2. 1. 2. 2라운드

알이티하드 알레포(نادي الاتحاد|나디 알이티하드ar)는 알 라시드가 기권함에 따라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팀 1결과팀 2
알이티하드 알레포부전승알 라시드


2. 2. 서아시아 2조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서아시아 2조에는 다음과 같은 클럽들이 참가했다. 이 대회는 두바이에서 개최되었으며, 1985년 걸프 협력 회의 컵을 겸했다.

  • 알무하라크
  • 알 아라비
  • 판자
  • 알 라이안
  • 알 아흘리 지다
  • 알 아인


1차전에서 '''알아흘리'''가 알아라비를 2-1로 이겼다.[1]

팀 1결과팀 2
알아흘리 2-1 알아라비


2. 2. 1. 결승전

알아흘리와 알아라비 두 팀 모두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지만, 알아라비는 기권하였다.

2. 3. 중앙아시아 조 (코카콜라 컵)

이 조는 스폰서십 문제로 인해 "코카콜라 컵"이라고 불렸다. 인도이스트 벵골, 방글라데시의 아바하니 KC, 스리랑카의 손더스 SC, 파키스탄의 PIA FC, 네팔뉴 로드 팀, 몰디브의 클럽 발렌시아가 참가했으며, 모든 경기는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렸다.

승점경기득점실점
이스트 벵골105500200
아바하니 크릴라 차크라85401174
사운더스 SC55212128
PIA FC4512288
뉴 로드 팀35113811
클럽 발렌시아05005236



이스트 벵골이 5전 전승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2. 3. 1. 경기 결과

أفغانستان|아프가니스탄ar과 إيران|이란fa은 팀을 파견하지 않았다.

경기 결과
날짜팀 1스코어팀 2경기장
1985년 8월 1일사우더스 SC 7–0 클럽 발렌시아수자가다사 스타디움, 콜롬보
1985년 8월 2일이스트 벵골 7–0 뉴 로드 팀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3–0 PIA FC
1985년 8월 4일PIA FC 6–1 클럽 발렌시아
사우더스 SC 2–1 뉴 로드 팀
1985년 8월 5일이스트 벵골 1–0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1985년 8월 7일이스트 벵골 2–0 PIA FC
1985년 8월 8일뉴 로드 팀 6–0 클럽 발렌시아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4–1 사우더스 SC
1985년 8월 10일이스트 벵골 9–0 클럽 발렌시아
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2–1 뉴 로드 팀
1985년 8월 11일사우더스 SC 2–2 PIA FC
1985년 8월 13일아바하니 크리라 차크라 8–1 클럽 발렌시아
PIA FC 0–0 뉴 로드 팀
1985년 8월 14일이스트 벵골 1–0 사우더스 SC수자가다사 스타디움, 콜롬보



경기는 스리랑카에서 개최되었다.

2. 4. 동남아시아 조 (ASEAN 챔피언스컵)

1984년 12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와 반둥에서 열린 동남아시아 조(ASEAN 챔피언스컵)에는 인도네시아의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KYTB 팔렘방), 태국의 방콕은행 FC, 싱가포르의 티옹 바루 CSC(탄종 파갈 유나이티드), 말레이시아의 믈라카 FA, 브루나이의 로얄 브루나이 군사 스포츠 위원회(앙카타 페르센자탓 디라자)가 참가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74310151
방콕은행 FC74310102
티옹 바루 CSC3411227
믈라카 FA3411227
로얄 브루나이 군사 스포츠 위원회04004012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과 방콕은행 FC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이 모두 같아 조별 리그 진출권을 놓고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 결과 방콕은행 FC가 1-0으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1]

2. 4. 1. 경기 결과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1결과팀 2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5-0탄종 파갈 유나이티드
믈라카 FA1-0앙카타 페르센자타안 디라자
방콕은행 FC2-0탄종 파갈 유나이티드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7-0앙카타 페르센자타안 디라자
탄종 파갈 유나이티드0-0믈라카 FA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1-1방콕은행 FC
방콕은행 FC5-1믈라카 FA
탄종 파갈 유나이티드2-0앙카타 페르센자타안 디라자
방콕은행 FC2-0앙카타 페르센자타안 디라자
크라마 유다 티가 벋리안2-0믈라카 FA


  • 참고: 미얀마와 필리핀은 팀을 파견하지 않았다.

2. 4. 2. 플레이오프

세이코 SA가 기권하여 예선 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KYTB 팔렘방이 조별 리그에 진출하였다.[1]

2. 5. 동아시아 1조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동아시아 1조에는 홍콩의 세이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4.25, 중국의 랴오닝이 참가했다. 대한민국과 수교 관계가 없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팀과의 경기는 제3국에서 개최되었다. 세이코가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기권했다.

2. 5. 1. 경기 결과

승점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
세이코64301660
4.255421184+4
랴오닝 FC1401326-4



팀 1결과팀 2
세이코 2–1 랴오닝
세이코 2–1 4.25
4.25 3–1 랴오닝
랴오닝 0–0 4.25
랴오닝 0–1 세이코
4.25 4–1 세이코


  • 세이코가 예선을 통과했지만, 이후 기권했다.

2. 6. 동아시아 2조

요미우리는 추첨 전에 기권했다. 와 셍은 AFC 또는 FIFA 기준 경기장을 갖추지 못해, 모든 경기는 대한민국 부산에서 열렸다. 대우 로얄즈는 와 셍과의 두 경기에서 합계 14-1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2. 6. 1. 경기 결과

날짜팀 1결과팀 2경기장
1985년 11월 9일대우 로얄즈 9–0 와 셍부산 구덕운동장, 부산, 대한민국
1985년 11월 11일대우 로얄즈 5–1 와 셍부산 구덕운동장, 부산, 대한민국


  • 대우 로얄즈가 합계 14-1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 두 경기는 마카오가 AFC 또는 FIFA 기준 경기장을 갖추지 못해 대한민국에서 열렸다.

3. 조별 리그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조별 리그는 1986년 1월 19일부터 1월 24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개최되었다. 당초 동아시아 1조에 편성되었던 세이코 SA(홍콩)가 기권하면서, 동남아시아 조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KYTB 팔렘방(인도네시아)이 대신 합류했다.[1]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두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알 아흘리와 KYTB 팔렘방이, B조에서는 대우 로얄즈와 알 이티하드 알레포가 각각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3. 1. A조

A조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아흘리, 인도네시아의 KYTB 팔렘방, 인도이스트 벵골이 참가했다. 알 아흘리와 KYTB 팔렘방이 준결승전에 진출했다.[1]

3. 1. 1. 경기 결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알 아흘리4220031+2
KYTB 팔렘방2210121+1
이스트 벵골0200214-3



경기 결과
width="10%"|width="20%"|width="12%"|width="20%"|
제1경기알 아흘리1–0KYTB 팔렘방
제2경기알 아흘리2–1이스트 벵골
제3경기KYTB 팔렘방2–0이스트 벵골


3. 2. B조

B조에는 대한민국의 대우 로얄즈, 시리아의 알 이티하드 알레포, 태국의 방콕 뱅크가 참가했다.[1][2][3] 대우 로얄즈와 알 이티하드 알레포가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 대우 로얄즈4220041+3
2 알 이티하드 알레포2210131+2
3 방콕 뱅크0200216-5


3. 2. 1. 경기 결과

B조에서는 대우 로얄즈가 2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알 이티하드 알레포가 1승 1패로 2위, 방콕 뱅크가 2패로 3위를 기록했다.

날짜팀 1결과팀 2비고
1986년 1월 20일대우 로얄즈 3-1 방콕 뱅크이태호 2골, 정해원 1골 (대우 로얄즈), 피차이 콩스리 1골 (방콕 뱅크)[1]
1986년 1월 22일알 이티하드 알레포 3-0 방콕 뱅크[2]
1986년 1월 24일대우 로얄즈 1-0 알 이티하드 알레포[3]


4. 준결승전

모든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열렸다. 부산 아이파크와 알아흘리가 결승전에 진출했다.[2]

팀1점수팀2득점1득점2경기장
대우 로얄즈3–0크라마 유다 티가 벨리안정해원
변병주
강신우
제다, 사우디 아라비아
알 아흘리 제다1–0알 이티하드 알레포Housam Abu Dawoud제다, 사우디 아라비아
대우 로얄즈3–1알 아흘리 제다변병주
박양하
강신우
아민 다부제다, 사우디 아라비아


5. 3·4위전

1986년 1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경기가 열렸다. KYTB 팔렘방이 알 이티하드 알레포를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6. 결승전

1986년 1월 29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결승전이 열렸다. 대우 로얄즈가 알 아흘리 제다를 연장전 끝에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변병주가 후반 30분에 골을 넣었고, 연장전에서 박양하강신우가 각각 득점하였다. 알 아흘리의 아민 다부는 전반 16분에 골을 기록했다.

7. 우승

대우 로얄즈
첫 번째 우승


참조

[1] 웹사이트 ফুটবলার আসলামের আসলাম হয়ে ওঠার গল্প https://khulnagazett[...] 2020-09-20
[2] 뉴스 Daewoo advances to the final https://newslibrary.[...] 1986-01-27
[3] 뉴스 Daewoo wins Asian Club Championship https://newslibrary.[...] 1986-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