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참가한 각 국가의 축구 대표팀 선수들의 명단을 담고 있다. A조부터 D조까지 각 조에 속한 국가들의 선수 명단과 함께, 대한민국 대표팀의 명단과 조별 리그, 평가, 대회 결과, 메달 획득 국가 및 선수, 그리고 주목할 만한 선수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비아 하계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 데이비드 차발라
    잠비아의 전설적인 축구 골키퍼이자 국가대표 선수였던 데이비드 차발라는 무풀리라 원더러스 FC에서 활약하며 잠비아 컵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1984년 CECAFA컵 우승과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위에 기여했으나 1993년 항공기 사고로 사망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대회 정보
대회1988년 하계 올림픽
종목축구
성별남자
참가 선수 명단
아르헨티나1988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오스트레일리아198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브라질1988년 하계 올림픽 브라질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캐나다1988년 하계 올림픽 캐나다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중화인민공화국1988년 하계 올림픽 중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이집트1988년 하계 올림픽 이집트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서독1988년 하계 올림픽 서독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과테말라1988년 하계 올림픽 과테말라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이탈리아1988년 하계 올림픽 이탈리아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대한민국198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나이지리아1988년 하계 올림픽 나이지리아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소련1988년 하계 올림픽 소련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스웨덴1988년 하계 올림픽 스웨덴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튀니지1988년 하계 올림픽 튀니지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미국1988년 하계 올림픽 미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유고슬라비아1988년 하계 올림픽 유고슬라비아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2. 참가국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에는 총 16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 '''A조'''


스웨덴

튀니지

중국

서독

  • '''B조'''


잠비아

이라크

이탈리아

과테말라

  • '''C조'''


대한민국

소련

미국

아르헨티나

  • '''D조'''


오스트레일리아

유고슬라비아

브라질

나이지리아

2. 1. A조

스웨덴
S. 안데르손바토바라아른베리 (주장)
R. 닐손테른엥크비스트M. 안데르손
J. 닐손림파르린드만B. 닐손
달린에스킬손헬스트룀
에릭손스벤손팔메르
감독: 렌나르트손



튀니지
슈샨엘우아시샤하트미주리
벤 네지스미라니리맘아비드
야쿠비디아브루이시말룰
메헤데비마흐주비벤 야히아라넨
부스니나오크비바우아브페시
감독: 피에흐니체크



중국
쿵궈셴주보 (주장)가오성궈이쥔
자슈취안우췬리셰위신탕야오둥
류하이광마린주핑왕바오산
추이광르훠젠팅장샤오원리후이
마이차오돤쥐왕쥔장후이캉
감독: 가오펑원



서독
레크슐츠괴르츠풍켈
회르스터얀센보머파흐
클린스만부트케캄프스
그라하머하슬러슈라이어발터
지버스클레핑거리들레자우어
감독: 뢰어


2. 2. B조






2. 3. C조

대한민국

소련

미국

아르헨티나

번호포지션선수생년월일 (나이)출장클럽토너먼트
출전 경기
토너먼트
출전
시간
교체 아웃교체 투입경고/퇴장
1GK콩 궈셴1965년 9월 6일 (23세)? 광저우000000
2DF주 보1960년 5월 23일 (28세)? 바이야 FC30270000
3DF가오 셩1962년 5월 10일 (26세)? 랴오닝 FC30270000
4MF궈 이준1963년 9월 23일 (25세)? 광둥 FC30270000
5DF자 시우취안1963년 11월 9일 (24세)? 파르티잔 벨grade30270000
7MF시에 위신1968년 12월 12일 (19세)? FC 즈볼레30264100
8FW탕 야오둥1962년 2월 17일 (26세)? 랴오닝 FC30270001
9FW류 하이광1963년 9월 11일 (25세)? 파르티잔 벨grade30217200
10FW마 린1962년 7월 8일 (26세)? 랴오닝 FC20178100
11MF주 핑1963년 10월 27일 (24세)? 쓰촨000000
12FW왕 바오산1963년 4월 13일 (25세)? 산시 FC3055030
14MF훠 지안팅1963년 3월 6일 (25세)? 톈진 FC000000
15DF장 샤오원1964년 7월 15일 (22세)? 광둥 FC1090010
16MF리 후이1960년 2월 12일 (28세)? 베이징2096010
17DF마이 차오1964년 5월 3일 (22세)? 광저우20180002
18FW두안 주1963년 10월 3일 (25세)? 톈진 FC30270000
19MF왕 준1963년 9월 5일 (23세)? 랴오닝 FC000000
20GK장 후이캉1962년 7월 22일 (26세)? 상하이30270000



감독: 가오 펑원

2. 4. D조

D조는 오스트레일리아, 유고슬라비아, 브라질, 나이지리아로 구성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


번호포지션선수생년월일 (나이)클럽
1GK제프 올버1960년 12월 25일 (27세) 하이델베르크 유나이티드
2DF게리 반 에그먼드1965년 6월 29일 (23세) 풋스크레이 저스트
3DF그레이엄 제닝스1960년 1월 18일 (28세) 시드니 크로아티아
4DF찰스 얀코스1961년 5월 29일 (27세) APIA 레이크하르트
5DF로비 던1960년 7월 6일 (28세) 멜버른 크로아티아
6MF폴 웨이드1962년 3월 20일 (26세) 사우스 멜버른 FC
7FW프랭크 파리나1964년 9월 5일 (24세) 마르코니 페어필드
8MF마이크 페테르센1965년 5월 6일 (23세) 사우스 멜버른 FC
9FW그레이엄 아놀드1963년 8월 3일 (25세) 시드니 유나이티드
10FW존 코스미나1956년 8월 17일 (32세) 시드니 올림픽 FC
11MF오스카 크리노1962년 8월 9일 (26세)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12DF앨런 데이비슨1960년 6월 1일 (28세) 멜버른 크로아티아
13DF알렉스 토빈1965년 11월 3일 (22세) 애들레이드 시티
14DF앨런 헌터1964년 7월 30일 (24세) 브리즈번 라이언스 SC
15MF앤드류 코치카1965년 9월 9일 (23세) 세인트 조지 세인츠
16MF블라도 보지노스키1964년 3월 30일 (24세) 풋스크레이 저스트
17MF로비 슬레이터1964년 11월 22일 (23세) 시드니 크로아티아
18FW데이비드 미첼1962년 6월 13일 (26세)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9FW스콧 올레렌쇼1968년 2월 9일 (20세) 세인트 조지 세인츠
20GK마이클 깁슨1963년 3월 1일 (25세) 페네리스 시티


  • '''유고슬라비아'''


번호포지션선수생년월일 (나이)클럽
1GK드라고예 레코비치1957년 7월 21일 (31세)
2DF부야딘 스타노이코비치1963년 9월 10일 (25세)
3DF프레드라그 스파시치1965년 9월 29일 (22세)
4DF스레치코 카타네츠1963년 7월 16일 (25세)
5DF다보르 요지치1967년 9월 22일 (20세)
6MF드라골류브 브르노비치1963년 11월 2일 (24세)
7MF레피크 샤바나조비치1965년 8월 24일 (23세)
8MF토니 사베프스키1963년 6월 14일 (25세)
9FW이비차 바르바리치1962년 2월 23일 (26세)
10MF드라간 스토이코비치1965년 3월 3일 (23세)
11FW츠비얀 밀로셰비치1963년 10월 27일 (24세)
12GK스테반 스토야노비치1964년 10월 29일 (23세)
13FW두슈코 밀린코비치1960년 7월 2일 (28세)
14FW다보르 슈케르1968년 1월 1일 (20세)
15FW세미르 투체1964년 2월 11일 (24세)
16MF블라디슬라브 주키치1962년 5월 9일 (26세)
17FW미르코 미히치1965년 7월 24일 (23세)
18MF네나드 약시치1965년 10월 1일 (22세)


  • '''브라질'''


번호포지션선수생년월일 (나이)클럽
1GK클라우지우 타파레우1966년 5월 8일 (22세) 인테르나시오나우
2DF조르지뉴1964년 8월 17일 (22세) 플라멩구
3DF바치스타1961년 7월 20일 (27세)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4DF히카르두 고메스1964년 12월 13일 (23세) 플루미넨세
5MF아데미르1960년 1월 6일 (28세) 크루제이루
6DF마지뉴1966년 4월 8일 (22세) 바스쿠 다 가마
7MF바우두1964년 1월 12일 (24세) SL 벤피카
8MF제오바니1964년 4월 6일 (24세) 바스쿠 다 가마
9FW이드마르1960년 1월 20일 (28세) 코린치앙스
10FW카레카1968년 9월 27일 (19세) 크루제이루
11FW호마리우1966년 1월 29일 (22세) 바스쿠 다 가마
12GK제 카를루스1962년 2월 7일 (26세) 플라멩구
13DF안드레 크루스1968년 9월 20일 (21세) 폰테 프레타
14DF윙크1963년 1월 5일 (25세) 인테르나시오나우
15DF알로이지우1963년 8월 16일 (25세) 인테르나시오나우
16MF미우통1961년 11월 11일 (26세) 코리치바
17MF네투1966년 9월 9일 (22세) 구아라니
18FW주앙 파울루1964년 7월 9일 (24세) 구아라니
19MF안드라지1957년 4월 21일 (31세) 플라멩구
20FW베베투1964년 2월 16일 (24세) 플라멩구


  • '''나이지리아'''


번호포지션선수생년월일 (나이)클럽
1GK데이비드 응고디가1962년 10월 23일 (25세)
2DF에메카 에제우고1965년 12월 16일 (22세)
3DF앤드루 우웨1967년 10월 12일 (20세)
4DF아데몰라 아데시나1964년 6월 4일 (24세)
5DF치디 은와누1965년 1월 1일 (23세)
6MF다히루 사디1963년 4월 10일 (25세)
7MF어거스틴 에구아보엔1965년 8월 19일 (23세)
8MF실베이너스 옥팔라1961년 9월 15일 (27세)
9FW도미닉 이오르파1968년 1월 10일 (20세)
10MF새뮤얼 오콰라지1963년 5월 19일 (25세)
11FW라시디 예키니1963년 10월 23일 (24세)
12MF크리스천 오비1967년 6월 21일 (21세)
13MF브라이트 오모카로1965년 2월 24일 (23세)
14MF오사로 오보바이포1967년 8월 1일 (21세)
15MF마이클 오비쿠1968년 9월 24일 (19세)
16FW샘슨 시아시아1967년 8월 14일 (21세)
17MF월레 오데그바미1962년 10월 5일 (25세)
18MF은두부이시 오코시에메1966년 9월 28일 (21세)
19MF주드 아가다1965년 10월 13일 (22세)
20GK헨리 은워수1965년 6월 14일 (23세)


3. 대한민국 대표팀

1988년 하계 올림픽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김정남 감독의 지휘 아래 출전했다.

No.포지션선수생년월일 (나이)클럽대회 출전대회 골출장 시간교체 아웃교체 투입경고/퇴장
1GK조병득1958년 5월 26일 (30세) 포항 아톰즈30270000
2DF박경훈1961년 1월 19일 (27세) 포항 아톰즈30270001
3MF최강희1959년 4월 12일 (29세) 현대 호랑이30196200
4DF조민국1963년 7월 5일 (25세) 럭키금성 황소30270000
5DF정용환1960년 2월 10일 (28세) 대우 로얄즈30270000
6MF이태호1961년 1월 29일 (27세) 대우 로얄즈1049010
7FW노수진1962년 2월 10일 (26세) 유공 코끼리1170100
8FW정해원1959년 7월 1일 (29세) 대우 로얄즈1024100
9FW김용세1960년 4월 21일 (28세) 유공 코끼리109010
10FW최상국1961년 2월 15일 (27세) 포항 아톰즈30246010
11FW변병주1961년 4월 26일 (27세) 대우 로얄즈30270000
12MF김판근1966년 3월 5일 (22세) 대우 로얄즈000000
13DF남기영1962년 7월 10일 (26세) 포항 아톰즈000000
14FW최순호1962년 1월 10일 (26세) 럭키금성 황소30270000
15FW김종건1964년 3월 29일 (24세) 현대 호랑이000000
16MF김주성1966년 1월 17일 (22세) 대우 로얄즈30270000
17DF구상범1964년 6월 15일 (24세) 럭키금성 황소30270001
18DF최윤겸1962년 4월 21일 (26세) 유공 코끼리20118010
19MF여범규1962년 6월 24일 (26세) 포항 아톰즈3098120
20GK김풍주1964년 10월 1일 (24세) 대우 로얄즈000000


3. 1. 선수 명단

다음은 1988년 서울에서 개최된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 참가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당시 소속팀
GK조병득1958년 5월 26일 포항 아톰즈
DF박경훈1961년 1월 19일 포항 아톰즈
MF최강희1959년 4월 12일 현대 호랑이
DF조민국1963년 7월 5일 럭키금성 황소
DF정용환1960년 2월 10일 대우 로얄즈
MF이태호1961년 1월 29일 대우 로얄즈
FW노수진1962년 2월 10일 유공 코끼리
FW정해원1959년 7월 1일 대우 로얄즈
FW김용세1960년 4월 21일 유공 코끼리
FW최상국1961년 2월 15일 포항 아톰즈
FW변병주1961년 4월 26일 대우 로얄즈
MF김판근1966년 3월 5일 대우 로얄즈
DF남기영1962년 7월 10일 포항 아톰즈
FW최순호1962년 1월 10일 럭키금성 황소
FW김종건1964년 3월 29일 현대 호랑이
MF김주성1966년 1월 17일 대우 로얄즈
DF구상범1964년 6월 15일 럭키금성 황소
DF최윤겸1962년 4월 21일 유공 코끼리
MF여범규1962년 6월 24일 포항 아톰즈
GK김풍주1964년 10월 1일 대우 로얄즈


3. 2. 조별 리그

대한민국은 소련, 미국, 아르헨티나와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C조 첫 경기인 소련과의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미국과의 두 번째 경기에서도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8강 진출의 희망을 이어갔다. 아르헨티나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1:2로 패하며 아쉽게 조 3위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노수진은 아르헨티나전에서 골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올림픽 축구 역사상 첫 골의 주인공이 되었다.

3. 3. 평가

비록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대한민국 대표팀은 세계적인 강호들을 상대로 대등한 경기를 펼치며 한국 축구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1986년 FIFA 월드컵에 이어 올림픽 본선 무대 경험은 한국 축구가 한 단계 더 성장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1]

4. 대회 결과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에서는 각 조 1, 2위 팀들이 8강에 진출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그 결과, 소련이 금메달, 브라질이 은메달, 서독이 동메달을 차지했다.[1]

나이지리아, 이라크, 튀니지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나이지리아'''

포지션선수생년월일대회 출전대회 득점
GK데이비드 응고디가1962년 10월 23일10
DF에메카 에제우고1965년 12월 16일20
DF앤드루 우베1967년 10월 12일30
DF아데몰라 아데시나1964년 6월 4일30
DF치디 므와누1967년 1월 1일20
DF다히루 사디1965년 12월 10일30
DF어거스틴 에구아보엔1965년 8월 19일30
MF실바누스 오크팔라1961년 5월 5일30
FW도미닉 이오르파1962년 10월 1일20
MF사무엘 오콰라지1964년 3월 19일30
FW라시디 예키니1964년 10월 23일31
GK크리스찬 오비1967년 1월 2일20
DF브라이트 오모카로1965년 2월 24일10
MF오사로 오보바이포1966년 8월 1일10
MF마이크 오비쿠1968년 9월 24일20
FW샘슨 시아시아1967년 8월 14일30
FW볼레 오데그바미1962년 10월 5일20
MF은두부이시 오코시메1966년 9월 28일00
DF주드 아가다1965년 10월 22일00
MF헨리 누오수1963년 6월 14일00



'''이라크'''

포지션선수생년월일
GK아흐메드 자심1960년 5월 4일
DF아드난 디르잘1960년 1월 26일
DF하산 카말1964년 7월 1일
DF가님 오라이비1961년 8월 16일
DF사미르 샤케르1958년 2월 28일
MF하비브 자파르1966년 7월 1일
FW유니스 아베드 알리1968년 8월 1일
FW아흐메드 라디1964년 3월 21일
MF이스마일 모하메드 샤리프1962년 1월 19일
FW후세인 사이드1958년 1월 21일
FW사드 카이스1967년 7월 2일
DF카림 살만1965년 3월 4일
MF카림 알라위1960년 4월 1일
MF바실 고르기스1961년 1월 15일
MF나티크 하심1960년 1월 15일
DF무다파르 자바르1965년 1월 11일
MF라이스 후세인1968년 10월 13일
DF라디 셰나이실1969년 8월 11일
DF살람 하심1966년 10월 7일
GK에마드 하심1969년 2월 10일



'''튀니지'''

포지션선수생년월일
GK나세르 쇼샤네1955년 5월 3일
DF하셰미 엘-우아시1960년 12월 25일
DF압데라자크 샤하트1962년 1월 14일
DF이마드 미조우리1966년 10월 20일
DF알리 벤 네지1961년 9월 26일
MF아델 스미라니1967년 10월 7일
FW자멜레딘 리맘1967년 6월 11일
MF하템 아비드1965년 9월 22일
FW카이스 야쿠비1966년 8월 18일
MF타라크 디아브1954년 7월 15일
FW로트피 루이시1965년 11월 13일
MF나빌 마알룰1962년 12월 25일
MF타우피크 메헤드헤비1965년 12월 13일
DF모하메드 알리 마흐주비1966년 12월 28일
DF칼레드 벤 야히아1959년 11월 12일
FW무라드 라네네1967년 1월 6일
MF누레딘 부스니나1963년 1월 17일
DF무라드 오크비1965년 9월 1일
MF모데르 바우아브1961년 5월 13일
GK슬라헤딘 페시1956년 11월 15일


4. 1. 8강 토너먼트

각 조 1, 2위 팀들이 8강에 진출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4. 2. 메달

순위국가
1 소련 (금메달)
2 브라질 (은메달)
3 서독 (동메달)


5. 주목할 만한 선수

6. 기타

이 대회는 대한민국이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하여 국제 무대에서의 경험을 쌓고, 세계 축구와의 실력 차이를 좁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