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CONCACAF 골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1년 CONCACAF 골드컵은 미국에서 개최된 CONCACAF 골드컵의 첫 번째 대회이다. 미국, 멕시코, 캐나다가 자동 진출하고, 카리브해와 중앙 아메리카 지역 예선을 통과한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과테말라가 본선에 진출했다. 로스앤젤레스와 패서디나에서 경기가 열렸으며, 미국이 결승전에서 온두라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CONCACAF 골드컵 - 1991년 카리브컵
1991년 카리브컵은 자메이카에서 열렸으며, 자메이카가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꺾고 우승하여 CONCACAF 골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 1991년 CONCACAF 골드컵 - 1991년 카리브컵 예선
1991년 카리브컵 예선은 1991년 카리브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도미니카 공화국, 마르티니크, 케이맨 제도, 가이아나, 세인트루시아가 각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하고 쿠바는 부전승으로 진출했으나 기권했다. - 1991년 6월 -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는 30년 만에 지방 자치 부활의 첫걸음으로 기초의원 및 광역의원 선거로 나뉘어 실시되었으며,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의 압승, 낮은 투표율, 야권 분열 등의 결과를 낳았다. - 1991년 6월 - 1991년 지중해 게임
1991년 지중해 게임은 그리스에서 18개국이 참가하여 골프, 농구, 축구 등 23개 종목에서 경기를 치른 제10회 대회로, 이탈리아가 금메달 67개, 총 168개로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했다. - 1991년 미국 - 제63회 아카데미상
제63회 아카데미상은 1991년 3월 25일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늑대와 함께 춤을》이 최다 부문 후보에 올라 작품상 등을 포함해 7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 1991년 미국 - 소련의 붕괴
소련의 붕괴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정치적, 경제적 체제가 붕괴된 사건으로,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과 민족주의 운동, 경제 위기, 체르노빌 사고 등이 원인이 되어 각 공화국의 독립 선언 후 1991년 12월 26일 공식 해체되었고 냉전 종식과 새로운 국제 관계 구도를 형성했다.
1991년 CONCACAF 골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CONCACAF 골드컵 |
기타 명칭 | CONCACAF 챔피언십 |
연도 | 1991 |
개최국 | 미국 |
개최 기간 | 1991년 6월 28일 – 1991년 7월 7일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2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 50 |
총 관중 수 | 299,749 |
결과 | |
우승 | 미국 (1회 우승) |
준우승 | 온두라스 |
3위 | 멕시코 |
4위 | 코스타리카 |
최다 득점자 | 벤하민 갈린도 (4골) |
대회 MVP | 토니 메올라 |
통계 | |
이전 대회 | 1989 (CONCACAF 챔피언십) |
다음 대회 | 1993 |
이미지 | |
![]() |
2. 예선
1991년 CONCACAF 골드컵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 미국(개최국), 멕시코, 캐나다는 자동으로 진출하였다.
-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는 1991년 UNCAF 네이션스컵을 통해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과테말라가 진출하였다.
-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1991년 카리브컵을 통해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진출하였다.
2. 1. 본선 진출국
자동으로 진출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중앙아메리카 지역(1991년 UNCAF 네이션스컵)에서는 다음 국가들이 진출했다.
카리브해 지역(1991년 카리브컵)에서는 다음 국가들이 진출했다.
코스타리카는 1991년 UNCAF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하였으나, 1989년 CONCACAF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하여 자동으로 진출하였다.
팀 | 예선 통과 | 출전 횟수 | 최고 성적 |
---|---|---|---|
1989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를 통해 예선 통과 | |||
우승 | 1회 | 첫 출전 | |
북미 지역 | |||
자동 진출 | 1회 | 첫 출전 | |
자동 진출 | 1회 | 첫 출전 | |
자동 진출 | 1회 | 첫 출전 | |
카리브 지역은 1991년 카리브컵을 통해 예선 통과 | |||
우승 | 1회 | 첫 출전 | |
준우승 | 1회 | 첫 출전 | |
중앙 아메리카 지역은 1991년 UNCAF 네이션스컵을 통해 예선 통과 | |||
준우승 | 1회 | 첫 출전 | |
3위 | 1회 | 첫 출전 |
1991년 CONCACAF 골드컵에 참가하는 8개국 대표팀은 18명의 선수 명단을 등록해야 했다. 이 선수 명단에 포함된 선수들만 대회에 참가할 수 있었다.
1991년 CONCACAF 골드컵 조별 리그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4. 선수 명단
5. 조별 리그
A조에서는 온두라스와 멕시코가 각각 2승 1무로 승점 5점을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온두라스는 득실차에서 멕시코에 앞서 조 1위를 차지했다. 캐나다는 1승 2패, 자메이카는 3패로 탈락했다.
B조에서는 미국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코스타리카가 1승 2패로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과테말라는 각각 1승 2패를 기록했으나, 승점에서 코스타리카에 밀려 탈락했다.
각 조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날짜 경기 결과 1991년 6월 28일 캐나다 vs 온두라스 2 – 4 1991년 6월 28일 멕시코 vs 자메이카 4 – 1 1991년 6월 30일 자메이카 vs 온두라스 0 – 5 1991년 6월 30일 캐나다 vs 멕시코 1 – 3 1991년 7월 2일 자메이카 vs 캐나다 2 – 3 1991년 7월 2일 멕시코 vs 온두라스 1 – 1 날짜 경기 결과 1991년 6월 29일 코스타리카 vs 과테말라 2 – 0 1991년 6월 29일 미국 vs 트리니다드 토바고 2 – 1 1991년 7월 1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vs 코스타리카 2 – 1 1991년 7월 1일 과테말라 vs 미국 0 – 3 1991년 7월 3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vs 과테말라 0 – 1 1991년 7월 3일 미국 vs 코스타리카 3 – 2
5. 1. A조
- 1991년 6월 28일: 캐나다 2 – 4 온두라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 1991년 6월 28일: 멕시코 4 – 1 자메이카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 1991년 6월 30일: 자메이카 0 – 5 온두라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 1991년 6월 30일: 캐나다 1 – 3 멕시코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 1991년 7월 3일: 자메이카 2 – 3 캐나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 1991년 7월 3일: 멕시코 1 – 1 온두라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5. 2. B조
B조에서는 미국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코스타리카가 1승 2패로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과테말라는 각각 1승 2패를 기록했으나, 승점에서 코스타리카에 밀려 탈락했다.날짜 | 경기 | 결과 |
---|---|---|
1991년 6월 29일 | 코스타리카 vs 과테말라 | 2 – 0 |
1991년 6월 29일 | 미국 vs 트리니다드 토바고 | 2 – 1 |
1991년 7월 1일 | 트리니다드 토바고 vs 코스타리카 | 2 – 1 |
1991년 7월 1일 | 과테말라 vs 미국 | 0 – 3 |
1991년 7월 3일 | 트리니다드 토바고 vs 과테말라 | 0 – 1 |
1991년 7월 3일 | 미국 vs 코스타리카 | 3 – 2 |
6.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정규 시간 종료 시 경기가 동점일 경우, 연장전이 각 15분씩 두 번 진행되며, 각 팀은 여섯 번째 교체를 할 수 있었다. 연장전 후에도 동점일 경우, 경기는 승부차기로 결정되었다.[3]
1991년 7월 5일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미국은 멕시코를 2-0으로, 온두라스는 코스타리카를 2-0으로 꺾었다.
1991년 7월 7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멕시코가 코스타리카를 2-0으로 이겼고, 결승전에서는 미국과 온두라스가 맞붙어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겼으나, 승부차기에서 미국이 4-3으로 승리하며 초대 골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6. 1. 준결승전
1991년 7월 5일,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6. 2. 3·4위전
1991년 7월 7일,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멕시코와 코스타리카 간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멕시코가 2-0으로 승리했다.멕시코 | 코스타리카 | ||||
---|---|---|---|---|---|
GK | 12 | 아드리안 차베스 | GK | 1 | 루이스 가벨로 코네호 |
RB | 2 | 후안 에르난데스 | DF | 2 | 블라디미르 케사다 |
CB | 3 | 에프라인 에레라 | DF | 3 | 로헤르 플로레스 (주장) |
CB | 14 | 펠릭스 크루스 | DF | 4 | 로날드 곤살레스 |
LB | 5 | 엑토르 에스파르사 | DF | 13 | 리카르도 차콘 |
RM | 15 | 미사엘 에스피노사 | DF | 6 | 엑토르 마르체나 |
CM | 6 | 카를로스 무뇨스 (주장) | MF | 12 | 오스틴 베리 |
CM | 11 | 곤잘로 파르판 | MF | 10 | 오스카르 라미레스 |
LM | 10 | 벤하민 갈린도 | MF | 16 | 플로이드 구트리 |
RF | 27 | 카를로스 에르모시요 | MF | 17 | 후안 카를로스 아르구에다스 |
LF | 17 | 루이스 로베르토 알베스 | FW | 9 | 에르난 메드포드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GK | 1 | 파블로 라리오스 | MF | 5 | 로헤르 고메스 |
CB | 4 | 로베르토 루이스 에스파르사 | FW | 7 | 클라우디오 하라 |
RM | 8 | 호세 마누엘 데 라 토레 | MF | 8 | 카를로스 벨라스케스 |
LF | 13 | 파울 모레노 | FW | 11 | 레오니다스 플로레스 |
RM | 16 | 호르헤 다발로스 | FW | 14 | 노르만 고메스 |
LB | 18 | 기예르모 무뇨스 | DF | 15 | 에드윈 살라자르 |
RF | 19 | 루이스 가르시아 | GK | 18 | 페드로 쿠비요 |
DF | 20 | 마우리시오 몬테로 | |||
감독: | 감독: | ||||
루이스 페르난도 테나 | 롤란도 비야로보스 |
6. 3. 결승전
1991년 7월 7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열린 1991년 CONCACAF 골드컵 결승전에서 미국과 온두라스가 맞붙었다. 양 팀은 연장전까지 0-0으로 팽팽하게 맞섰으나, 결국 승부차기에서 미국이 온두라스를 4-3으로 꺾고 초대 골드컵 우승을 차지했다.7. 우승 팀
미국
첫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