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1992년 베오그라드 반전 시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1년~1992년 베오그라드 반전 시위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반대하며 세르비아에서 일어난 시민 저항 운동이다. 반전 운동 지휘부, 검은 여성, 인도주의적 법률 센터, 베오그라드 서클 등 단체와 이반 스탐볼리치 등 정치인,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등 반체제 인사들이 시위를 주도했다. 림투티투키 밴드는 공연을 통해 반전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B92와 RTV 스튜디오 B 등 독립 언론은 반전 활동을 보도했다. 부코바르 전투 참전 군인 블라디미르 지브코비치의 전차 시위는 시위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전 시위 - 1992년 사라예보 반전 시위
1992년 사라예보 반전 시위는 의회 건물 습격과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의 연설 등이 있었고, 사망자 발생에 대해 보슈냐크인과 크로아트인은 수아다 딜베로비치와 올가 수치치를, 세르브인은 니콜라 가르도비치를 첫 희생자로 간주하며 논쟁이 있으며, 알렉산다르 바실레비치의 주장이 거짓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 세르비아의 항의행동 - 반관료제 혁명
반관료제 혁명은 1980년대 후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하여 세르비아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일련의 사건이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세르비아의 항의행동 - 불도저 혁명
불도저 혁명은 2000년 10월 세르비아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을 몰아낸 비폭력 혁명으로, 장기 집권, 경제 혼란, 부정선거 의혹 속에 오트포르!의 주도와 굴삭기를 이용한 시위로 인해 발생했으며,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아 밀로셰비치 사임 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되는 결과를 낳았고, 다른 국가의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1991년~1992년 베오그라드 반전 시위 | |
---|---|
개요 | |
![]() | |
위치 |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기간 | 1991년 – 1992년 |
원인 |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의 세르비아 역할 부코바르 전투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사라예보 포위전 전쟁 프로파간다 |
목표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철수 전쟁 선포에 대한 국민투표 징병제 방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사임 출판의 자유 |
방법 | 시위, 항의, 저항가요 |
결과 | 50,000–200,000명 탈영 100,000–150,000명의 징집병 이민 |
교전 세력 | |
반전 운동 진영 | 반전행동센터 림투티투키 검은 옷을 입은 여성 인도주의법센터 베오그라드 서클 |
정부 진영 | 유고슬라비아 정부 세르비아 정부 |
주요 인물 (반전 운동) | 밀란 믈라데노비치 람보 아마데우스 조란 코스티치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나타샤 칸디치 |
주요 인물 (정부)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도브리차 초시치 |
규모 | 150,000명 이상의 시위대 |
2. 시위대 내 주요 세력
세르비아 내 반전 운동은 여러 단체와 개인들의 참여로 이루어졌다. 반전 운동 지휘부, 검은 여성, 인도주의적 법률 센터, 베오그라드 서클과 같은 단체들이 반전 사상을 이끌었다.[18][20] 에카타리나 벨리카, 엘렉트리치니 오르가잠, 파르티브레이케르스 멤버들이 모인 록 슈퍼그룹 림투티투키는 동원령 반대 운동을 펼쳤다.[30]
이반 스탐볼리치는 시위를 지지했으며, 민주당, 인민농부당, 세르비아 자유당, 세르비아 개혁당 등은 "검은 리본 행진"에 참여했다.[23] 보그단 보그다노비치는 반체제 인사로 활동했고, 미랴나 카라노비치, 라데 셰르베지야 등은 "Neću protiv druga svog"(네추 프로티브 드루가 스보그, "난 내 친구에게 총부리를 들 수 없어")라는 노래를 불렀다.[32]
B92, RTV 스튜디오 B 등은 반전 활동을 홍보했고,[19][30][33] 군인 블라디미르 지브코비치는 부코바르 전투를 거부하고 세르비아 국민의회 의사당 앞에 전차를 주차했다.[25][34]
2. 1. 반전 단체 및 NGO
세르비아 내 반전 사상과 운동을 주도한 대표적인 단체 및 비정부 기구(NGOs)로는 반전 운동 지휘부, 검은 여성, 인도주의적 법률 센터, 베오그라드 서클 등이 있다.[18][20] 이들은 전쟁에 반대하고 평화를 촉구하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동원령에 반대하는 서명 공연에는 에카타리나 벨리카, 엘렉트리치니 오르가잠, 파르티브레이케르스 멤버들이 모여 결성한 록 슈퍼그룹 림투티투키가 참여했다.[30] 림투티투키는 베오그라드 공화국 광장에서 콘서트를 열었고, 베오그라드 거리를 트럭으로 이동하며 반전 노래를 연주했다.[21][30]
이러한 반전 운동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 및 반전 운동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예술가들의 역할, 독립 언론의 중요성 등은 두 운동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2. 2. 주요 참여 인물
다음은 1991년~1992년 베오그라드 반전 시위에 참여한 주요 인물 및 단체 목록이다.구분 | 참여 주체 | 활동 내용 |
---|---|---|
시민 단체 | 반전 운동 지휘부, 검은 여성, 인도주의적 법률 센터, 베오그라드 서클[20][18] | 세르비아 내 반전 사상 및 운동 주도 |
음악 그룹 | 림투티투키 (에카타리나 벨리카, 엘렉트리치니 오르가잠, 파르티브레이케르스 멤버 참여)[30] | 동원령 반대 서명 공연, 베오그라드 공화국 광장 콘서트, 베오그라드 거리 트럭 시위 중 반전 노래 연주[21][30] |
정치인 | 이반 스탐볼리치[30] | 시위 지지 |
정당 | 민주당, 인민농부당, 세르비아 자유당, 세르비아 개혁당[23] | "검은 리본 행진" 참여 |
예술가 | 보그단 보그다노비치[31] | 반체제 활동 |
미랴나 카라노비치, 라데 셰르베지야 등[32] | "Neću protiv druga svog"(네추 프로티브 드루가 스보그, "난 내 친구에게 총부리를 들 수 없어") 노래 부르기 | |
언론 | B92, RTV 스튜디오 B[19][33][30] | 반전 활동 홍보 (서방 자금 지원) |
군인 | 블라디미르 지브코비치[25][34] | 부코바르 전투 거부, 세르비아 국민의회 의사당 앞에 전차 주차 |
2. 3. 림투티투키 (Rimtutituki)
림투티투키는 에카타리나 벨리카, 엘렉트리치니 오르가잠, 파르티브레이케르스 멤버들이 징집 반대 서명에 참여하기 위해 결성한 록 슈퍼그룹이다.[30][13] 베오그라드 공화국 광장에서 콘서트를 열었고, 베오그라드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트럭 위에서 반전 노래를 연주했다.[21][30]2. 4. 언론
세르비아의 독립 언론은 민족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국민 동원을 목표로 한 밀로셰비치의 선전과 반대되는 반전 활동을 보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19] 이 시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언론사로는 서방의 자금 지원을 받은 B92와 RTV 스튜디오 B 등이 있다.[2][19][30][33]3. 주요 사건
1991년에서 1992년 사이에 베오그라드에서는 여러 반전 시위가 일어났다. 부코바르 전투에 참전했던 블라디미르 지브코비치는 전투를 거부하고 전차를 몰고 돌아와 세르비아 국민의회 의사당 앞에 전차를 세운 일도 있었다.[25][34]
3. 1. 블라디미르 지브코비치의 전차 시위
부코바르 전투에 참전했던 군인 블라디미르 지브코비치는 전투를 거부하고 전차를 몰아 200km를 되돌아와 세르비아 국민의회 의사당 건물 앞에 전차를 주차했다.[25][34] 이는 반전 시위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 중 하나로 꼽힌다.참조
[1]
서적
[2]
서적
[3]
웹사이트
Antiratne i mirovne ideje u istoriji Srbije i antiratni pokreti do 2000. godine
http://www.republika[...]
2020-05-04
[4]
웹사이트
Sećanje na antiratni pokret u Jugoslaviji početkom 1990-ih
https://sr.globalvoi[...]
2020-05-04
[5]
서적
[6]
문서
Ženski sud
[7]
뉴스
Olovka piše mržnjom
https://web.archive.[...]
E-novine
2009-05-18
[8]
웹사이트
Spomenik neznanom dezerteru
https://www.vreme.co[...]
2020-05-04
[9]
서적
[10]
서적
[11]
웹사이트
Comment: Milosevic's Propaganda War
https://iwpr.net/glo[...]
2020-05-05
[12]
서적
[13]
웹사이트
Manje pucaj, više tucaj
https://www.6yka.com[...]
2020-05-04
[14]
서적
[15]
웹사이트
Regionalna škola tranzicione pravde - Zbornik
http://www.hlc-rdc.o[...]
2020-05-05
[16]
서적
[17]
뉴스
Spomenik dezerteru, negde u Vojvodini
https://www.slobodna[...]
2020-05-05
[18]
서적
[19]
서적
[20]
웹인용
Antiratne i mirovne ideje u istoriji Srbije i antiratni pokreti do 2000. godine
http://www.republika[...]
2020-05-04
[21]
웹인용
Sećanje na antiratni pokret u Jugoslaviji početkom 1990-ih
https://sr.globalvoi[...]
2020-05-04
[22]
서적
[23]
문서
Ženski sud
[24]
뉴스
Olovka piše mržnjom
https://web.archive.[...]
E-novine
2009-05-18
[25]
웹인용
Spomenik neznanom dezerteru
https://www.vreme.co[...]
2020-05-04
[26]
서적
[27]
서적
[28]
웹인용
Comment: Milosevic's Propaganda War
https://iwpr.net/glo[...]
2020-05-05
[29]
서적
[30]
웹인용
Manje pucaj, više tucaj
https://www.6yka.com[...]
2020-05-04
[31]
서적
[32]
웹인용
Regionalna škola tranzicione pravde - Zbornik
http://www.hlc-rdc.o[...]
2020-05-05
[33]
서적
[34]
뉴스
Spomenik dezerteru, negde u Vojvodini
https://www.slobodna[...]
2020-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