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9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는 수하르토의 퇴진 이후 치러진 선거로, 국민협의회(MPR)에서 간접 선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압두라만 와히드가 373표를 얻어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를 꺾고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며, 메가와티는 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이 선거는 인도네시아에서 유일하게 간접 선거로 치러진 민주적 대통령 선거였으며, 집권당인 골카르당에서 후보가 나오지 않은 첫 번째 선거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선거 - 2014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
2014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는 조코 위도도와 프라보워 수비안토 간의 경쟁에서 조코 위도도가 당선되었으나 프라보워 수비안토의 부정 선거 의혹 제기로 논란이 있었으며, 인도네시아 자유 선거 역사상 가장 박빙의 승부였다. - 인도네시아의 선거 - 2024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
2024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는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임기 만료로 프라보워 수비안토가 당선되었으나, 부정선거 의혹과 부통령 후보 자격 논란이 있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 국내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1999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 | |
---|---|
선거 정보 | |
국가 | 인도네시아 |
선거 종류 |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99년 10월 20일 ~ 21일 |
대통령 선거 결과 | |
선거 이름 | 대통령 선거 |
선거 종류 | 대통령 |
이전 선거 | 1998년 대통령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98년 |
선거일 | 1999년 10월 20일 |
다음 선거 | 2004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2004년 |
투표 수 | 국민협의회 의원 700명 |
필요 득표 수 | 351표 |
투표율 | 98.71% (5.64%p 증가) |
![]() | |
후보 | 압두라흐만 와히드 |
정당 | 국민계몽당 |
득표수 | 373 |
득표율 | 54.37% |
![]() | |
후보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
정당 | 인도네시아 민주투쟁당 |
득표수 | 313 |
득표율 | 45.63% |
![]() | |
지도 범례 | 압두라흐만 와히드: 373표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313표 무효/공란: 5표 기권: 9표 |
대통령 당선 이전 |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
이전 대통령 소속 정당 | 골카르 |
대통령 당선 이후 | 압두라흐만 와히드 |
대통령 당선인 소속 정당 | 국민계몽당 |
부통령 선거 결과 | |
선거 이름 | 부통령 선거 |
선거 종류 | 대통령 |
이전 선거 | 1998년 대통령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98년 |
선거일 | 1999년 10월 21일 |
다음 선거 | 압두라흐만 와히드 탄핵 이후 |
다음 선거 연도 | 2001년 |
투표 수 | 국민협의회 의원 700명 |
필요 득표 수 | 351표 |
투표율 | 97.86% (2.14%p 감소) |
![]() | |
후보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
정당 | 인도네시아 민주투쟁당 |
득표수 | 396 |
득표율 | 58.24% |
![]() | |
후보 | 함자 하즈 |
정당 | 통합개발당 |
득표수 | 284 |
득표율 | 41.76% |
![]() | |
지도 범례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396표 함자 하즈: 284표 무효/공란: 5표 기권: 15표 |
부통령 당선 이전 | 공석 |
부통령 당선 이후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
부통령 당선인 소속 정당 | 인도네시아 민주투쟁당 |
2. 역사적 배경
수하르토 정권 퇴진 이후 정치적 격변기를 거쳐 1999년 10월, 새로운 지도자를 선출하기 위한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대통령 선거는 국민 직접 선거가 아닌 간선제로 진행되었다. 인민 대표 위원회(DPR) 의원 500명과 군 및 각계 대표 200명으로 구성된 총 700명의 인민 협의회(MPR)가 대통령과 부통령을 선출하는 방식이었다.
처음에는 총 4명의 후보가 대통령직에 도전했다. 압두라흐만 와히드,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그리고 유스릴 이흐자 마헨드라였다.
그러나 선거 과정에서 후보 변동이 있었다. MPR에서 하비비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책임 연설이 거부되자, 하비비는 선거 전날 골카르의 대통령 후보 지명을 공식적으로 거부했다. 또한, 유스릴 이흐자 마헨드라 후보 역시 선거 당일 후보직에서 사퇴했다.[3] 이로 인해 대통령 선거는 압두라흐만 와히드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의 양자 대결 구도로 좁혀지게 되었다.
2. 1. 수하르토 정권 퇴진과 민주화 요구
1967년부터 집권한 수하르토 대통령은 장기 집권 동안 인권 유린과 고문 자행 등으로 인해 국내외적으로 많은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1998년 대통령 선거에서 연임에 성공한 직후에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결국 계속되는 시위 압력 속에 수하르토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났고,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하비비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민주화를 약속했지만, 수하르토 정권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인식과 함께 '독재자의 후계자'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또한 집권 이후에도 반민주적인 행태가 이어진다는 지적 속에 비난 여론이 거세졌다. 이러한 정치적 불안 속에서 집권 여당인 골카르 내부에서도 혼란이 발생했다. 당초 부통령 후보로 거론되던 위란토가 하비비 지지를 철회했고,[9] 대안으로 악바르 탄중을 내세웠으나 그 역시 후보직을 사퇴하면서[9] 여당의 차기 대선 준비는 더욱 불투명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2. 2. 1999년 총선과 정국 혼란
1967년부터 인도네시아를 통치한 수하르토는 장기 집권 과정에서 인권 유린, 고문 등으로 수많은 비판을 받았다. 1998년 대선에서 연임한 직후 전국적인 반정부 시위에 부딪혀 결국 대통령직에서 사퇴했고, B. J. 하비비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하비비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민주화를 약속했으나, 독재자로 평가받는 수하르토의 후계자라는 점과 계속되는 반민주적 행태로 인해 많은 비난을 받았다. 이러한 정치적 혼란 속에서 집권 여당인 골카르(노동당)는 후보 선출 과정에서 심각한 내분을 겪었다. 당초 골카르의 부통령 후보였던 위란토가 하비비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는 일이 발생했고,[9] 이후 골카르는 악바르 탄중을 후보로 내세웠으나 그마저 사퇴하면서[9] 여당의 대선 후보 선출은 불투명한 상태에 놓였다.
3. 선거 과정
1999년 6월 총선거 이후, 인도네시아는 수하르토 정권 퇴진 후 첫 대통령 선출 절차에 들어갔다. 총선에서 제1당이 된 투쟁민주당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를, 제3당인 국민계몽당은 압둘라흐만 와히드를 후보로 내세웠다. 반면, 과거 집권당이었던 골카르당은 총선에서 2위로 밀려났으며, 현직 대통령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가 당내 지지 확보에 실패하고 후보 지명을 거부하는 등[9] 혼란을 겪었다. 유스릴 이흐자 마헨드라 등 다른 후보들도 사퇴하면서[3] 최종적으로 압둘라흐만 와히드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의 양자 대결 구도가 형성되었다.
1999년 10월, 인민 대표 위원회 의원들과 군 및 선발된 민간인 출신 200명으로 구성된 총 700명의 인민 협의회(MPR)에서 간접 선거 방식으로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8] 이는 인도네시아 역사상 유일하게 간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진 민주적 대통령 선거였다. 10월 20일 투표 결과, 압둘라흐만 와히드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를 누르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며, 다음 날인 10월 21일에는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5]
3. 1. 후보 선출
투쟁민주당은 1999년 6월 7일 총선에서 33.7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수카르노 전 대통령의 딸인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했다.수하르토 정권 시절부터 여당이었던 골카르당은 국민적 지지를 상당 부분 잃어 총선에서 2위로 밀려났다. 총선을 앞두고 지지 확보를 위해 음식 등을 제공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으나[10] 투쟁민주당의 상승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당초 현직 대통령인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의 재선 출마가 유력했으나, 재임 중의 실정 문제로 부통령 후보였던 위란토가 지지를 철회하는 등[9] 당내 기반이 흔들렸다. 이에 골카르당은 악바르 탄중을 후보로 선출하기도 했다.[9]
이슬람 정당인 국민계몽당은 총선에서 12.62%를 득표하여 3위를 차지했으며, 1999년 8월 8일 압둘라흐만 와히드 총재가 대통령 출마를 선언했다.[11]
10월, 인민 대표 위원회 의원들과 군 및 선발된 민간인 출신 200명으로 구성된 총 700명의 인민 협의회(MPR)가 소집되어 대통령과 부통령을 선출하는 절차를 진행했다. 이는 인도네시아 역사상 유일하게 간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진 민주적 대통령 선거였다.
처음에는 압둘라흐만 와히드,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유스릴 이흐자 마헨드라 등 4명이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었다. 그러나 선거 전날, 하비비는 MPR에서 자신의 책임 연설이 거부되자 골카르의 대통령 후보 지명을 거부했다. 이 결정으로 인해 집권당이었던 골카르당은 최종적으로 대통령 후보를 내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유스릴 이흐자 마헨드라는 선거 당일 후보직을 사퇴했다.[3]
결과적으로 압둘라흐만 와히드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두 후보가 대통령직을 놓고 경쟁하게 되었다.
3. 2. 후보 사퇴
노동당 악바르 탄중 후보는 선거 전 사퇴했으며, 와히드 측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9]3. 3. 선거 방식
1999년 대통령 선거는 국민협의회(MPR)에서 간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졌다. 투표자의 단순 과반수를 얻은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방식이었다.[8] 당시 국민협의회는 인민 대표 위원회 의원들과 군 및 선발된 민간인 출신 200명을 포함하여 총 7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이 모여 대통령과 부통령을 선출했다.처음에는 압두라흐만 와히드, 바하루딘 유수프 하비비,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유스릴 이흐자 마헨드라 등 4명이 대통령 후보로 나섰다. 그러나 선거 전날, 하비비는 MPR에서 자신의 책임 연설이 거부되자 골카르당의 후보 지명을 거부했고, 유스릴은 선거 당일 후보직에서 사퇴했다.[3]
10월 20일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각성당(PKB) 의장인 와히드가 373표를 얻어 313표를 얻은 메가와티를 누르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메가와티의 정당인 투쟁민주당(PDI-P)이 직전 총선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고 국회 의석의 3분의 1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와히드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메가와티 지지자들 사이에서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다음 날인 10월 21일, 메가와티는 와히드의 정당인 PKB 등의 지지를 받아 부통령 후보로 나섰고, 396표를 얻어 284표를 얻은 통일개발당(PPP)의 함자 하즈 후보를 꺾고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메가와티가 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거리 시위는 가라앉았다.[4][5]
이 선거는 인도네시아 역사상 유일하게 간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진 민주적 대통령 선거였으며, 동시에 집권당이었던 골카르당에서 대통령 후보를 내지 않은 첫 번째 선거이기도 했다.
4. 선거 결과
1999년 10월 20일 인도네시아 국민협의회(MPR)에서 실시된 간접 선거 결과, 국민계몽당의 압둘라흐만 와히드 후보가 투쟁민주당의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8] 다음 날인 10월 21일 치러진 부통령 선거에서는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후보가 당선되어 정치적 안정을 도모했다.[4][5]
이 선거는 인도네시아 역사상 유일하게 국민협의회(MPR)에 의한 간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진 민주적 대통령 선거였으며, 오랜 기간 집권해 온 골카르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첫 번째 대통령 선거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상세한 선거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대통령 선거
10시 20분 아미엔 라이스 국민협의회 의장이 개회를 선언했고, 이어 두 후보의 지명 수락을 발표한 뒤 선거가 시작되었다.[8] 개표는 후보 이름이 적힌 개표상황판에 득표수를 하나하나 기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8] 개표 초반에는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가 앞섰으나, 후반으로 가면서 압둘라흐만 와히드가 역전하여 최종적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8]득표순위 | 이름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압둘라흐만 와히드 | 국민계몽당 | 373 | 53.98% | 당선 |
2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 투쟁민주당 | 313 | 45.30% | |
기권 | 5 | ||||
691 | 100% | 투표율: 99.28% |
10월 20일, 국민계몽당 의장 압둘라흐만 와히드가 373표를 얻어 313표를 득표한 투쟁민주당의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비록 메가와티의 투쟁민주당이 앞서 치러진 총선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고 국회 의석의 3분의 1 가량을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와히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메가와티 지지자들은 크게 반발하며 거리로 나와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다음 날인 10월 21일, 상황 수습을 위해 메가와티는 와히드의 국민계몽당 등 여러 정파의 추대를 받아 부통령 후보로 나섰고, 투표 결과 396표를 얻어 284표를 얻은 통일개발당의 함자 하즈 후보를 꺾고 부통령에 당선되었다. 메가와티가 부통령이 되면서 거리 시위는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다.[4][5]
이 선거는 인도네시아 역사상 유일하게 국민협의회(MPR)에 의한 간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진 민주적 대통령 선거였으며, 오랜 기간 집권해 온 골카르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첫 번째 대통령 선거라는 의미를 가진다.
4. 2. 부통령 선거
대통령 선거 다음 날인 1999년 10월 21일, 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전날 압두라만 와히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총선에서 최다 득표를 했던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후보의 지지자들 사이에서 시위가 발생하는 등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메가와티는 와히드 대통령의 소속 정당인 국민계몽당(PKB) 등의 지지를 받아 부통령 후보로 나섰다. 통일개발당(PPP) 소속의 함자 하즈 후보와 경쟁한 결과, 메가와티는 396표를 얻어 284표를 획득한 함자 하즈를 누르고 부통령에 당선되었다. 메가와티의 부통령 당선은 지지자들의 시위를 진정시키고 정치적 안정을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4][5]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 민주항쟁당 | 396 | 58.24% |
함자 하즈 | 통일개발당 | 284 | 41.76% |
합계 (유효표) | 680 | 100% | |
기권/무효표 | 5 | ||
총 투표수 | 685 | ||
선거인단 | 700 |
5. 의의 및 영향
1999년 10월 20일, 국민각성당(PKB) 의장 압두라만 와히드가 373표를 얻어 313표를 얻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메가와티가 이끄는 투쟁민주당(PDI-P)은 앞서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고 전체 의석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선거에서는 와히드가 승리한 것이다. 이 결과에 반발한 메가와티 지지자들 사이에서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다음 날인 10월 21일, 메가와티는 와히드 대통령 소속 정당인 국민각성당(PKB) 등의 지지를 받아 부통령 후보로 나섰고, 396표를 얻어 284표를 얻은 통일개발당(PPP)의 함자 하즈 후보를 꺾고 부통령에 당선되었다. 메가와티가 부통령이 되면서 거리 시위는 가라앉았다.[4][5]
이 선거는 수하르토 독재 정권 붕괴 이후 인도네시아가 민주주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인도네시아 역사상 유일하게 간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진 민주적 대통령 선거였으며, 과거 오랜 기간 집권했던 골카르당에서 후보를 내지 않은 첫 번째 대통령 선거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인도네시아 정치 지형의 변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이후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평가된다.
참조
[1]
뉴스
Pemilihan Presiden dari Masa ke Masa
https://news.detik.c[...]
news.Detik.com
2021-10-26
[2]
서적
The 1999 Presidential Election and Post-Election Developments in Indonesia: a Post Election Assessment Report
https://www.ndi.org/[...]
National Democratic Institute
1999-11-28
[3]
서적
Jejak kudeta, 1997-2005 catatan harian Letnan Jenderal (Purn) TNI Djadja Suparman
https://books.google[...]
Yayasan Pustaka Obor Indonesia
2021-10-26
[4]
서적
Indonesian Destinie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Palgrave Macmillan
2008
[6]
뉴스
하비비 사퇴…탄중 지명…철회 집권 골카르당 후보 못내고 오전내 갈팡질팡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4-05-17
[7]
웹인용
20 Oktober 1999: Abdurrahman Wahid dilantik sebagai Presiden Indonesia ke-4
http://palingseru.co[...]
2014-05-17
[8]
뉴스
메가와티 지지자 격렬한 시위 ▋인도네시아 대선 안팎
http://newslibrary.n[...]
한겨레
2014-05-17
[9]
뉴스
군소정당 한계 민주화 험난
http://newslibrary.n[...]
한겨레
2014-05-17
[10]
웹인용
인니 여당 골카르 매표관행 여전
https://news.naver.c[...]
2014-03-26
[11]
뉴스
압둘 와히드 국민각성당총재 "인도네시아 대선출마"
http://newslibrary.n[...]
한겨레
2014-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