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주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화는 권위주의 정치 체제에서 민주주의 정치 체제로의 변화를 의미하며, 선거 제도 개혁, 참정권 확대 등을 포함한다. 민주화 정도는 프리덤 하우스, V-Dem 민주주의 지수 등의 지수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민주주의의 물결은 여러 차례 있었으며, 경제 발전, 사회적 평등, 문화, 시민 사회 등이 민주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4.19 혁명, 6월 항쟁 등을 거치며 민주화를 이루었으며,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도 민주화 과정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률 개혁 - 규제 개혁
    규제 개혁은 경쟁, 혁신, 성장을 저해하는 규제를 철폐하고 정부 규제 수준을 향상시키는 활동으로, OECD를 비롯한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가 추진하며 대한민국 역시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 법률 개혁 - 박근혜 정부의 규제개혁안
    박근혜 정부의 규제개혁안은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금융, 정보통신, 의료, 관광, 교육 등 서비스업 분야에서 규제 완화를 시도하고 시장 경쟁 촉진, 중소기업 육성, 인프라 확충 등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한 것이다.
  • 정치사 - 숙청
    숙청은 특정 조직이나 지역에서 개인이나 집단을 제거하는 행위로, 좁게는 독재 국가 등에서 반대파 제거를 위한 폭력 행위를, 넓게는 조직 내에서 사회적 지위 박탈, 해고 등의 행위를 포함하며, 주로 체제 유지를 위해 발생한다.
  • 정치사 - 섭정
    섭정은 군주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권한을 대신 행사하는 직책이며, 한국사에서는 대리청정이나 수렴청정으로 불리고 동서양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민주화 - 민회
    민회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정치 참여 및 의사 결정 기구로서 존재해 왔으며, 고대 아테네 민주주의의 핵심 기구, 중세 유럽 도시들의 자치권 확보, 계몽주의 시대 사회 계약론의 강조, 그리고 현대 대의 민주주의의 보완 역할을 수행한다.
  • 민주화 -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선거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선거는 모든 인종이 참여한 최초의 선거로, 넬슨 만델라가 이끄는 아프리카 민족회의(ANC)가 압승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종식과 민주화 이행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민주화
지도
정의
민주화정치 체제가 더욱 민주적으로 변화하는 과정
민주주의 이행
중요 요인핵심 개혁
유리한 정치 환경 조성
민주주의의 발전
국내 및 초국가적 관점민주주의 발전 연구의 두 가지 주요 관점
측정 방법
접근 방식정도 측정
유형 식별
전쟁과의 관계 분석
관련 용어
관련 용어정치
민주주의
직접 민주주의
간접 민주주의
대표 민주주의
공화주의
자유주의
자유 민주주의
입헌주의
입헌 민주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사회 민주주의
참여 민주주의
숙의 민주주의
전체주의적 민주주의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
아테네 민주주의
잭슨 민주주의
대의 민주주의
민주주의 운동
인민 민주주의
소시오크라시
신 민주주의
급진적 민주주의
합의 민주주의
전투적 민주주의
구제 민주주의
예측 민주주의
비당파적 민주주의
심층 민주주의
배심 민주주의
초국가적 민주주의
역사적 사건
역사적 사건마그나 카르타
시민 혁명
프랑스 혁명
미국 독립 선언
대정 데모크라시
전후 민주주의
관련 인물
관련 인물존 로크
장자크 루소
샤를 드 몽테스키외
관련 주제
관련 주제통치 형태
다수파 지배
소수자 지배
능력자 지배
무능자 지배
계몽주의
자유주의
다원주의
자연권
사회 계약
참정권
인민 주권
자치
합의제
투표
선거
다수결
탄핵
민주화 운동
시민권 운동
중우 정치
포퓰리즘
권위주의
독재 정치
전제 정치

2. 민주화의 정의와 측정

민주화는 권위주의 정치 체제에서 민주주의 정치 체제로의 거시적인 변화를 의미한다.[318] 민주화의 징후에는 선거 제도 개혁, 참정권 확대, 정치적 무관심 감소 등이 포함된다.[5] 프리덤 하우스(Freedom House), 폴리티 데이터 시리즈(Polity data series), V-Dem 민주주의 지수(V-Dem Democracy indices), 민주주의 지수(Democracy Index)와 같은 민주주의 지수를 통해 민주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민주화의 개념은 민주주의의 이상화, 참정권 획득, 시민사회의 성립, 헌법주의 확립 및 삼권분립 정비 등 다양한 사건이 동시에 진행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19세기의 알렉시 드 토크빌은 이러한 과정이 민주화라고 부를 수 있는, 특정한 원칙을 가진 현상으로 파악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토크빌의 연구를 출발점으로 삼아 이미 민주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로버트 달은 민주화를 세 단계의 이행으로 분류했다. 첫 번째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 폴리스에서 민주주의가 창설, 두 번째는 근대 국가에서 대의제 도입, 세 번째는 정치 제도와 사회 조직의 탈국가적, 지역적, 세계적인 민주화로 특징지어진다고 보았다. 이마누엘 칸트 등은 이러한 보편적인 민주화가 민주평화를 실현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국제기구와 각 국가의 민주화가 국제 질서를 안정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3. 민주화의 물결

민주주의의 물결은 역사상 민주주의가 크게 급증하는 것을 가리킨다. 세바 구니츠키는 이러한 물결이 "선도국들의 급격한 권력 분배가 국내 개혁에 독특하고 강력한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고 설명한다.[249][250] 그는 18세기부터 아랍의 봄(2011~2012년)까지 13개의 민주주의 물결을 언급했다.[251]

새뮤얼 P. 헌팅턴은 역사상 세 번의 주요 민주화 물결을 정의했다.[252][6] 첫 번째는 19세기에 서유럽과 북미에 민주주의를 가져왔으며, 전간기 동안 독재 정권의 부상으로 이어졌다. 두 번째 물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작되었지만 1962년에서 1970년대 중반 사이에 힘을 잃었다. 가장 최근의 세 번째 물결은 1974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 중이며, 라틴 아메리카와 구 동구권의 민주화가 이에 해당한다.

새뮤얼 헌팅턴이 제시한 민주주의의 세 가지 물결


민주화의 물결에는 탈민주화의 물결이 뒤따를 수 있다. 헌팅턴은 다음과 같이 민주화와 탈민주화의 흐름을 제시했다.[6]

  • 첫 번째 민주화 물결, 1828~1926년
  • 첫 번째 탈민주화 물결, 1922~1942년
  • 두 번째 민주화 물결, 1943~1962년
  • 두 번째 탈민주화 물결, 1958~1975년
  • 세 번째 민주화 물결, 1974년~


민주화의 물결 개념은 렌스케 도렌스플릿,[7] 존 마크오프,[8] 세바 구니츠키,[10] 스벤드-에릭 스카닝[9] 등 여러 학자에 의해 연구되었다.

중동은 세 번의 민주화 물결을 모두 거친 지역의 예시이다. 15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중동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 열강의 점령으로 유럽식 민주화와 국가 건설을 경험했다.[253] 그러나 인종 분열은 이라크 민주화에 어려움을 야기했으며, 에드워드 사이드는 "민주주의적 가치와 이슬람의 내재적 양립 불가능성"에 대한 서구식 인식을 '오리엔탈리즘'으로 규정하며, "중동 및 북아프리카는 민주화의 전제조건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254]

V-Dem 민주주의 보고서는 2023년 동티모르, 감비아, 온두라스, 피지, 도미니카 공화국, 솔로몬 제도, 몬테네그로, 세이셸, 코소보에서 9건의 독립적인 민주화 사례와 태국, 몰디브, 튀니지, 볼리비아, 잠비아, 베냉, 북마케도니아, 레소토, 브라질에서 9건의 U턴 민주화 사례를 확인했다.[11]

4. 민주화의 원인

민주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들이 존재한다.[37] 경제, 문화, 역사, 개인적 행위자와 그들의 선택, 국제적 및 역사적 요인 등 다양한 것들이 민주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37]

많은 이론가들은 산업화가 민주화의 원동력이라고 보았다.

4. 1. 경제 발전과 현대화

세이모어 마틴 립셋[202], 칼스 부익스, 수잔 스토크스[203], 디트리히 루슈마이어, 에블린 스티븐스, 존 스티븐스[204] 같은 학자들은 경제 발전이 민주화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38][39][40] 로버트 달은 시장경제가 민주주의 기관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206][44]

1인당 GDP 증가는 민주주의와 관련이 있으며, 일부에서는 가장 부유한 민주주의 국가들이 권위주의로 전락한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207][45] 그러나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히틀러와 나치의 득세는 명백한 반례로 볼 수 있다. 1930년대 초 독일은 이미 선진 경제였지만, 제1차 세계 대전(1910년대) 이후 사실상 경제 위기에 처해 있었고, 이 위기는 대공황의 영향으로 더욱 악화되었다.[207] 산업혁명 이전에는 민주주의가 매우 드물었다는 일반적인 관측도 있다. 따라서 경험적 연구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경제 발전이 민주주의로의 이행 가능성을 높이거나 새롭게 수립된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게 만들었다.[207][208][45][46]

한 연구에서는 경제 발전이 민주화를 촉진하지만 중간 규모(10-20년)에서만 일어난다고 하였다. 발전된 민주주의는 재임 중인 지도자가 단단히 자리잡도록 도와주지만 그에 반해 권력의 대물림은 막기 때문이다.[209][47] 그러나 민주주의가 부의 결과인지, 그 원인인지, 아니면 두 과정과 무관한지에 대한 논쟁은 결코 확정적이지 않다.[210][48] 또 다른 연구는 경제 발전이 민주주의를 촉진하기 위한 국가의 정치적 안정에 달려 있다고 시사한다.[211][49]

아담 프셰보르스키와 페르난도 리몽기는 경제 발전이 민주주의가 권위주의로 변하는 것을 덜 가능하게 만들지만, 개발이 민주화(권위주의 국가를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를 야기한다고 결론 내릴 만한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214][52] 경제 개발은 단기적으로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높일 수 있다.[216][53] 앤드류 네이선은 경제 개발이 민주화를 야기한다는 주장에 중국이 문제적인 사례라고 주장한다.[217][54]

4. 2. 평등과 포괄적 제도

다론 아세모글루(Daron Acemoglu)와 제임스 A. 로빈슨(James A. Robinson)은 사회적 평등과 민주주의 이행 간의 관계가 복잡하다고 주장했다. 평등한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혁명을 일으킬 동기가 적기 때문에 민주화 가능성이 낮다. 고도로 불평등한 사회에서는 민주주의에서의 부의 재분배와 권력 재분배가 엘리트들에게 매우 해로울 수 있어, 엘리트들은 민주화를 막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 할 것이다. 민주화는 중간 정도의 불평등을 가진 국가에서, 엘리트들이 혁명의 위협을 신뢰할 만하고 양보의 비용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여 양보를 하는 경우에 더 가능성이 높다.[83] 이러한 예상은 민주주의가 평등한 사회에서 더 안정적이라는 경험적 연구와 일치한다.[45]

카를레스 보익스(Carles Boix), 스테판 해거드(Stephan Haggard)와 로버트 카우프만(Robert Kaufman), 벤 안셀(Ben Ansell)과 데이비드 새뮤얼스는 불평등과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다른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84][85]

아세모글루와 로빈슨은 엘리트와 사회 간의 관계의 성격이 안정적인 민주주의 출현 여부를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엘리트가 지나치게 우세하면 전제 국가가, 사회가 지나치게 우세하면 약한 국가가 나타난다. 엘리트와 사회가 균형을 이루면 포괄적인 국가가 나타난다.[86][87]

4. 3. 문화

특정 문화가 민주적 가치에 더 적합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이는 민족 중심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224] 전형적으로 서구 문화가 민주주의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경향이 있지만, 인도, 일본, 인도네시아, 나미비아, 보츠와나, 대만, 대한민국 등 비서구 민주주의 국가들도 다수 존재한다.[224] "서구 교육을 받은 지도자들은 한 나라의 민주화 전망을 상당히 그리고 실질적으로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224]

이슬람과 민주주의의 양립 가능성은 계속해서 논의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이 이미지는 사우디아라비아 메디나의 모스크를 보여준다.


스티븐 피시와 로버트 바로는 이슬람교를 비민주적인 결과와 연결시켰다.[225][226] 그러나 마이클 로스는 이슬람 세계 일부 지역에서 민주주의의 부재는 이슬람보다 자원 저주의 역효과와 더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227] 리사 블레이데스와 에릭 섀니는 서방과 중동의 민주적 차이를 이슬람 통치자들이 맘루크(노예 병사)에 의존한 것과 유럽의 통치자들이 군사력을 위해 현지 엘리트들에게 의존해야 했고, 따라서 엘리트는 대의 정부를 추진할 수 있는 협상권을 가지게 된것에서 찾았다.[228]

로버트 달은 저서 "민주주의에 관하여"에서 민주 정치 문화를 가진 국가들이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생존에 더 유리하다고 주장했다.[206] 그는 또한 문화적 동질성과 소규모가 민주주의의 생존에 기여한다고 주장했다.[206][229]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작은 국가와 동질성이 민주주의를 강화한다는 개념에 이의를 제기했다.[230]

4. 4. 사회적 자본과 시민 사회

로버트 퍼트넘은 시민 단체의 수평적 네트워크가 밀집된 공동체가 민주화에 필요한 신뢰, 상호주의, 시민 참여 규범을 구축하는 데 유리하다고 주장한다.[231][122] 퍼트넘은 수평적 네트워크를 가진 지역사회를 수직적 네트워크와 후원자-고객 관계를 가진 지역사회와 대조하며, 후자는 민주화에 필요한 시민 참여 문화를 구축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231]

시민 참여
, 특히 자원봉사는 민주화에 도움이 된다. 이 자원봉사자들은 2012년 허리케인 샌디 이후의 청소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셰리 버먼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사례를 들어 시민 사회가 나치당의 발흥을 촉진했다고 주장하며 퍼트넘의 이론을 반박했다.[232][123] 버먼에 따르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민주화는 국가 시민 사회의 재개발을 허용했지만, 이 활기찬 시민 사회가 배타적인 지역 사회 조직의 생성으로 인해 기존의 사회적 분열을 악화시키면서 결국 독일 내 민주주의를 약화시켰다고 주장한다.[123] 이후의 경험적 연구는 버먼의 주장을 뒷받침했다.[233][124] 예일대학교 정치학자 다니엘 매팅리는 중국의 시민사회가 중국의 독재 정권이 통제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234][125]

시민 사회는 시민들의 이익, 우선순위 및 의지를 증진하는 비정부기구 및 기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사회 자본은 개인들이 공유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함께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 생활의 특징, 즉 네트워크, 규범 및 신뢰를 의미한다.[8] 클락, M. 골더, 그리고 S. 골더는 민주화에는 시민 문화가 필요하다고 믿는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과거 연구에 대한 여러 재분석에 의해 생성된 경험적 증거는 이 주장이 부분적으로만 뒷받침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14] 필립 C. 슈미터 또한 시민 사회의 존재가 민주주의로의 이행에 필요조건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오히려 민주화는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더라도) 시민 사회의 부활에 의해 일반적으로 뒤따른다고 주장한다.[16]

연구에 따르면 민주주의 시위는 민주화와 관련이 있다. 자유의 집(Freedom House)의 한 연구에 따르면, 1972년 이후 독재 정권이 무너진 67개국 중 비폭력 시민 저항은 70% 이상의 시간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126] 2016년 연구에 따르면 1989년부터 2011년 사이에 발생한 모든 민주주의 시위 사례 중 약 4분의 1이 민주화로 이어졌다.[127]

4. 5. 지배층 중심의 민주화

학자들은 민주화 과정이 엘리트가 주도하거나 권위주의적인 현직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는 엘리트가 대표 정부에 대한 대중의 요구 속에서 권력을 유지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235][236][237] 억압 비용이 권력을 포기하는 비용보다 더 높다면, 독재자들은 민주화와 포용적인 제도를 선택할 수 있다.[238][239][240] 권위주의 주도 민주화는 권위주의 현역의 정당 세력이 높은 경우에 민주주의를 지속시킬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41] 그러나 퇴임 독재자들에 의해 시행된 민주적 규칙은 퇴임 독재 정권과 그 지지자들에게 유리하게 민주주의를 왜곡시켜 없애기 어려운 "나쁜" 제도를 초래할 수 있다.[242]

정치학자 다니엘 트리스만의 연구에 따르면, 민주화에 대한 영향력 있는 이론들은 독재자들이 권력을 나누거나 포기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선택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많은 경우에 민주화는 현직 엘리트들이 그것을 선택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을 막기 위해 노력하면서 권력 장악력을 약화시키는 실수를 했기 때문에 일어났다.[243] 흔히 저지르는 실수로는 선거를 치르거나 군사적 충돌을 일으키지만, 선거에서 패배하고, 대중의 불안을 무시하고 타도되고, 걷잡을 수 없는 제한된 개혁을 시작하고, 은밀한 민주주의자를 지도자로 선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수는 과신이나 통제에 대한 환상과 같은 잘 알려진 인지적 편견을 반영한다.[142]

샤룬 무칸트와 다니 로드릭은 엘리트 주도의 민주화가 자유 민주주의를 낳는다고 주장하며, 자유민주주의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낮은 수준의 불평등과 취약한 정체성 균열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44]

왕정, 민정, 군사 등 3대 독재 정권은 각자의 목표에 따라 민주화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다르다. 군주독재의 경우 세습통치를 통해, 민간독재의 경우 탄압을 통해 무한정 정권을 유지하려 한다. 군사 독재 정권은 자신들이 결함이 있다고 여기는 민간 정부를 대신할 임시 정부 역할을 할 권력을 장악한다. 군사 독재 정권은 민주주의로 이행될 가능성이 더 높은데, 그 이유는 군사 독재 정권은 시작부터 임시방편적인 해결책이 될 뿐 아니라 새로운 허용 가능한 정부 형태를 갖추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246][247][248]

4. 6. 민주주의의 물결

민주주의의 물결은 역사상 민주주의가 크게 급증하는 것을 가리킨다. 세바 구니츠키에 따르면, 이러한 물결은 "선도국들의 급격한 권력 분배가 국내 개혁에 독특하고 강력한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고 한다.[249][250] 세바 구니츠키는 18세기부터 아랍의 봄(2011-2012)까지 13개의 민주주의 물결에 대해 언급했다.[251]

새뮤얼 헌팅턴은 역사상 일어난 세 가지 민주화의 물결을 정의했다.[252] 세 번째 물결은 1974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진행 중이며, 라틴 아메리카와 전 동구권의 민주화가 이에 해당된다. 헌팅턴에 따르면 민주화의 물결에는 탈민주화의 물결이 뒤따를 수 있다.[6]

  • 첫 번째 민주화 물결, 1828~1926년
  • 첫 번째 탈민주화 물결, 1922~1942년
  • 두 번째 민주화 물결, 1943~1962년
  • 두 번째 탈민주화 물결, 1958~1975년
  • 세 번째 민주화 물결, 1974년~


민주화의 물결이라는 개념은 렌스케 도렌스플릿,[7] 존 마크오프,[8] 세바 구니츠키,[10] 그리고 스벤드-에릭 스카닝[9]을 포함한 많은 다른 저자들에 의해서도 사용되고 조사되었다.

중동은 세 차례의 민주화 물결을 모두 겪은 지역 중 하나이다. 15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중동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제국이 붕괴되면서 서양 군대의 점령을 받았다.[253] 이는 유럽의 확장과 국가 건설 행위로 이어졌으나, "인종분열은 이라크를 민주화하려는 미국의 노력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는 포수스니와 앵그리스트의 주장처럼[253] 국내외 복합요소가 민주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민주주의적 가치와 이슬람의 내재적 양립불가능성"에 대한 서구식 인식을 '오리엔탈리즘'으로 규정하며, "중동 및 북아프리카는 민주화의 전제조건이 부족하다"고 말한다.[254]

V-Dem 민주주의 보고서는 2023년 동티모르, 감비아, 온두라스, 피지, 도미니카 공화국, 솔로몬 제도, 몬테네그로, 세이셸, 코소보에서 9건의 독립적인 민주화 사례와 태국, 몰디브, 튀니지, 볼리비아, 잠비아, 베냉, 북마케도니아, 레소토, 브라질에서 9건의 U턴 민주화 사례를 확인했다.[11]

4. 7. 계급의 동맹과 분열

배링턴 무어 주니어(Barrington Moore Jr.)는 그의 저서 《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에서 계급 간의 권력 분배와 동맹의 성격이 민주, 권위주의 또는 공산주의 혁명을 결정한다고 주장했다.[255] 그는 근대 세계로 가는 세 가지 길 – 자유민주주의, 파시즘, 공산주의 – 이 존재하며, 각각 산업화의 시기와 전환기의 사회 구조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했다.[68][69]

배링턴 무어 주니어와 같은 이론가들은 민주화의 뿌리가 농업 사회에서 지주와 농민 사이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농업의 기계화로 인해 육상 엘리트들이 농업 노동자들의 탄압에 덜 의존하게 되면서, 민주주의에 대한 적대감이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56] 뉴욕대 정치학자 데이비드 스타사베이지(David Stasavage)는 "한 사회가 여러 가지 정치적 틈새로 분열될 때 대표 정부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257]

4. 8. 과세에 대한 통치자의 필요성

로버트 베이츠와 도널드 리엔은 통치자들의 세금에 대한 요구가 자산 소유 엘리트들에게 공공 정책에 대한 발언권을 요구할 수 있는 협상력을 주었고, 따라서 민주주의 기관들이 생겨났다고 주장했다.[260][261][262][77][78][79] 몬테스키외는 상업의 유동성은 통치자들이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 상인들과 흥정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국가를 이끌거나 그들의 상업 활동을 숨길 것이다.[263][260][80][77] 데이비드 스타사베이지는 로마 제국의 몰락 후 유럽 통치자들의 약점뿐 아니라 유럽 국가들의 작은 규모와 후진성은 유럽 통치자들이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국민들로부터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262][261][79][78]

알버트 허쉬먼의 탈퇴, 목소리, 충성 모델을 적용하면 개인에게 타당한 탈퇴 옵션이 있다면 정부가 민주화될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제임스 C. 스콧은 인구가 이동 중일 때 정부가 인구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81]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면, 탈퇴, 목소리, 충성 모델은 국가가 그 인구를 대표하고 그들이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중을 달래야 함을 예측한다.[82]

4. 9. 외국의 영향 및 개입

유럽연합(EU)은 회원국 가입을 희망하는 국가들의 민주 개혁을 장려함으로써 민주주의 확산에 기여했다.[264] 토마스 리세는 2009년 동유럽 관련 문헌에서 유럽연합(EU) 가입 관점이 새 민주국가에 커다란 정착 효과를 가져다 줬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말하였다.[164] 스티븐 레비츠키와 루칸 웨이는 서방과의 긴밀한 유대 관계는 냉전 종식 후 민주화의 가능성을 높인 반면 서방과의 유대 관계가 약한 국가들은 경쟁적 권위주의 체제를 채택했다고 주장했다.[265][266]

2002년 연구에 따르면 지역 단체의 회원 자격은 1950년부터 1992년까지의 민주주의로의 이행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267] 반면 2004년의 연구는 외국의 원조가 민주화를 이끌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268]

민주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과 독일처럼 군사적 개입에 의해 종종 강요되어 왔다.[269][270] 다른 경우에, 탈식민지는 때때로 독재 정권에 의해 곧 대체된 민주주의의 확립을 촉진했다. 예를 들어, 시리아는 냉전 초기에 프랑스의 강제 통치로부터 독립한 후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는 데 실패하여 결국 붕괴되었고 바트 독재 정권에 의해 대체되었다.[271]

로버트 달은 ''On Democracy''에서 소련의 동유럽 개입과 미국의 중남미 개입을 거론하며 외국의 개입이 민주주의 실패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206] 그러나 제국의 위임은 이전의 식민지가 독립을 얻고 민주주의를 구현함에 따라 민주주의의 출현에 기여하였다.[206] 여러 연구에 따르면 국제기구들이 민주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1][162][163]

4. 10. 교육

교육은 안정적이고 민주적인 사회를 촉진한다는 이론이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273] 연구에 따르면 교육은 정치적 관용과 참여를 증가시키고 불평등을 감소시킨다.[274] 한 연구는 "교육 수준의 증가는 민주주의의 수준을 향상시키며 교육의 민주화 효과는 가난한 국가에서 더 강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274]

그러나 민주화가 전 세계 초등교육 확대를 가속화했다는 주장에 대한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다는 연구도 있다. 1820년부터 2010년까지 109개국의 과거 학생 등록률을 분석한 결과, 민주화가 전 세계 초등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증가시켰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없다. 민주주의로의 이행이 초등교육 확장의 가속화와 종종 일치한 것은 사실이지만, 비민주적인 국가에서 동일한 가속화가 관찰되었다.[275]

4. 11. 천연 자원

석유의 풍부함은 때때로 저주로 여겨진다.


연구에 따르면 석유와 같은 천연 자원의 부는 민주주의 수준을 낮추고 독재 통치를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276][277][278][279][280][281][282][283][284][285] 마이클 로스에 따르면, 석유는 "더 적은 민주주의와 더 나쁜 기관과 일관되게 상관관계가 있는 유일한 자원"이며, 자원의 저주 효과를 식별하는 "대부분의 핵심 변수"이다.[286] 2014년 메타 분석은 석유 부가 민주화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시켜 준다.[287]

그러나 천연 자원 임대료가 엘리트에게 분배 또는 사회 정책의 위험을 줄여 민주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되었다.[288]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정치학자 태드 더닝은 에콰도르의 민주주의 복귀 사례를 통해, 국가가 엘리트 부유층이나 소득이 아닌 천연자원 임대료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정책에 자금을 대는 다른 수익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엘리트에 대한 분배 또는 사회 정책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상황이 있다고 설명한다.[288] 1970년대 에콰도르와 같이 높은 불평등을 겪고 있는 나라들에서, 그 결과는 민주화의 더 높은 가능성이 될 것이다.[289] 에콰도르의 경우 1972년 군사 쿠데타는 재분배에 대한 엘리트들의 두려움으로 발생했지만, 같은 해 석유는 국가의 주요 재정 자원이 되었다.[290] 1979년 제2차 석유 붐은 에콰도르의 재민주화와 시기적으로 일치하는데, 더닝의 주장대로 석유 임대료의 증가는 공공 지출을 늘리고 엘리트층의 재분배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시켜 민주적 기관의 원활한 전환과 성장을 가능하게 했다.[290]

하지만, 역사학자 스티븐 헤이벌과 정치학자 빅터 메날도는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2011)에 발표한 논문에서 천연 자원 의존도와 민주주의 간의 부정적 관계에 대해 반박했다. 그들은 천연 자원 의존도가 외생 변수가 아니며, 이를 고려하면 자원 의존도 증가는 권위주의와 관련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103]

4. 12. 시민 갈등의 시위와 위협

연구에 따르면 민주주의 시위는 민주화와 관련이 있다.[291] 1989년과 2011년 사이의 민주화 시위 사례 중 약 4분의 1이 민주화로 이어졌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91] 시민 분쟁의 위협은 정권들이 민주적인 양보를 하도록 장려한다.[292]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가뭄으로 인한 폭동은 분쟁을 우려한 정권들이 민주적인 양보를 이끌었다는 2016년 연구 결과가 있다.[292]

오늘날 전 세계에는 자국의 민주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집단이 존재한다. 이들은 국내에서 불법 단체로 간주되는 경우도 많으며, 민주화 운동의 방법은 집단에 따라 다르고, 평화적인 활동과 폭력적인 활동 모두 존재한다.

민주화를 위해 활동했다고 여겨지는(혹은 여겨졌던) 집단·인물·운동은 다음과 같다.

4. 13. 전쟁 촉진

제프리 허스트는 그의 논문 "아프리카의 전쟁과 국가"에서 유럽 국가들의 민주화가 전쟁에 의해 조장된 정치적 발전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294][154] 전쟁과 이웃의 침략 위협은 유럽 국가가 효율적으로 수익을 모으고, 행정 능력을 향상시키며, 국가 통합과 정체성을 조성하도록 강요했다.[294][154] 허브스트는 대부분의 비유럽 국가들은 전쟁 없이 독립을 얻고 안보 위협에 직면하지 않아 다른 환경에서 발전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대한민국과 대만이 외부 위협에 의해 형성된 "대부분의 전쟁" 국가라고 지적한다.[294][154]

엘리자베스 키어는 총력전이 민주화를 촉진한다는 주장에 대해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과 이탈리아의 사례를 들어 반론을 제기했다.[155]

4. 14. 평화와 안보

전쟁은 민주주의로의 이행에 앞서 국가 건설에 기여할 수 있지만, 민주화에 심각한 장애물이다.[295][296] 민주 평화론 지지자들은 민주주의가 평화를 가져온다고 믿지만, 역사적 증거는 평화가 민주주의보다 우선함을 보여준다.[156][157][158] 거의 모든 경우에 평화가 민주주의에 앞섰다. 많은 학자들은 민주주의가 평화를 가져온다는 가설에 대한 지지가 거의 없지만, 평화가 민주주의를 가져온다는 반대 가설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있다고 주장한다.[156][157][158] 영토 평화 이론은 평화가 민주주의를 가져온다는 주장을 편다. 사실, 전쟁과 한 국가에 대한 영토적 위협은 권위주의를 증가시키고 독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전쟁과 민주화의 관계는 일부 이론의 초점이 되어 왔습니다.


크리스티안 벨첼의 인간 역량 강화 이론은 존재적 안전이 해방적인 문화적 가치와 민주적 정치 조직에 대한 지지를 이끈다고 말한다.[159][297] 이것은 진화 심리학에 기반한 이론과 일치한다. 소위 왕권 이론은 사람들이 전쟁이나 인지된 집단적 위험 상황에서 강력한 지도자와 권위주의적 정부 형태를 선호하는 심리적 경향을 발전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면에 사람들은 평화와 안전 상황에서 평등주의적 가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선호를 지지할 것이다.[160][298] 그 결과 사회는 집단적 위험을 인식하면 독재와 권위주의 정부의 방향으로 발전하는 반면, 민주적 방향으로의 발전에는 집단적 안전이 필요하다.[160]

5. 대한민국의 민주화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이승만, 유신 체제 시기 박정희, 전두환 등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권위주의 정부를 극복하기 위한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1960년 4·19 혁명은 이승만 정권의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일어난 민주화 운동이었다. 1969년 3선 개헌 반대 투쟁은 박정희 정권의 장기 집권을 위한 개헌 시도에 반대하는 투쟁이었다.1970년대 반(反) 10월 유신 투쟁, 1979년 부마민중항쟁은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이었다.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전두환 신군부의 권력 장악에 맞서 광주 시민들이 벌인 민주화 운동이었다. 1987년 6월 항쟁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일어난 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의 결과물이었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통령 후보는 대통령의 단임제와 직접 선거제 등을 골자로 하는 민주화 방안을 발표했다.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고, 민주적 절차에 따른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절차적 민주주의가 확립되었다.[325] 1997년, 2007년, 2017년, 2022년까지 4차례에 걸친 수평적인 정권 교체로 실질적인 측면에서 민주화가 공고화되었다.[325] 정권 교체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바라보게 되는 '정치의 일상화' 현상이 나타났다.[325]

5. 1. 이승만과 군사독재자들에 대한 투쟁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이승만, 유신 체제 시기 박정희, 전두환 등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권위주의 정부를 극복하기 위한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1960년 4.19 혁명은 이승만 정권의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일어난 민주화 운동이었다. 1969년 3선 개헌 반대 투쟁은 박정희 정권의 장기 집권을 위한 개헌 시도에 반대하는 투쟁이었다.1970년대 반(反) 10월 유신 투쟁, 1979년 부마민중항쟁은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이었다.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전두환 신군부의 권력 장악에 맞서 광주 시민들이 벌인 민주화 운동이었다. 1987년 6월 항쟁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일어난 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의 결과물이었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통령 후보는 대통령의 단임제와 직접 선거제 등을 골자로 하는 민주화 방안을 발표했다.

5. 2. 민주화 운동의 종식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고, 민주적 절차에 따른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절차적 민주주의가 확립되었다.[325] 1997년, 2007년, 2017년, 2022년까지 4차례에 걸친 수평적인 정권 교체로 실질적인 측면에서 민주화가 공고화되었다.[325] 정권 교체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바라보게 되는 '정치의 일상화' 현상이 나타났다.[325]

6. 주요 국가별 민주화 사례

1688년 의회와 빌럼 1세 판 오라녜가 연합하여 명예혁명을 일으켜 의회 민주주의를 정착시켰다.[23][24] 19세기 말에는 군주의 영향력이 대폭 축소되어 오늘날의 입헌군주제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19] 영국에 의회민주주의가 정착하자 다른 세계 여러나라에서도 민주화의 바람이 불게 되었다. 또한 근대시민사회로 가는데 기여하여 산업혁명이 일어나는데 영향을 주게된다.

영국 도서관에 소장된 대헌장. 이 문서는 "영국 민주주의의 주요 원인"으로 묘사되었다.


영국에서는 17세기에 대헌장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일었다. 잉글랜드 의회는 1628년에 권리청원을 제정하여 신민의 특정 자유를 확립하였다.[20] 잉글랜드 내전(1642~1651)은 왕과 과두정치적이지만 선출된 의회 사이에서 벌어졌으며, 이 기간 동안 1647년 퍼트니 논쟁에서 정치적 대표권에 대한 권리를 놓고 논쟁하는 그룹들과 함께 정당의 개념이 형성되었다.[21] 그 후 보호령(1653~1659)과 잉글랜드 왕정 복고(1660)는 의회가 1679년에 인신 보호법을 통과시켜 충분한 이유나 증거 없이 구금하는 것을 금지하는 관례를 강화했지만, 더욱 전제적인 통치를 회복했다. 1689년 권리장전은 개인의 특정 권리와 자유를 성문화하였고, 정기적인 의회, 자유 선거, 의회에서의 발언의 자유에 대한 규칙을 규정하고 군주권력을 제한하여 왕권 절대주의가 확립되지 않도록 하였다. 1884년 국민대표법이 제정되고 나서야 남성 대다수가 투표권을 얻게 되었다.

6. 1. 영국

1688년 의회와 빌럼 1세 판 오라녜가 연합하여 명예혁명을 일으켜 의회 민주주의를 정착시켰다.[23][24] 19세기 말에는 군주의 영향력이 대폭 축소되어 오늘날의 입헌군주제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19] 영국에 의회민주주의가 정착하자 다른 세계 여러나라에서도 민주화의 바람이 불게 되었다. 또한 근대시민사회로 가는데 기여하여 산업혁명이 일어나는데 영향을 주게된다.

영국에서는 17세기에 대헌장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일었다. 잉글랜드 의회는 1628년에 권리청원을 제정하여 신민의 특정 자유를 확립하였다.[20] 잉글랜드 내전(1642~1651)은 왕과 과두정치적이지만 선출된 의회 사이에서 벌어졌으며, 이 기간 동안 1647년 퍼트니 논쟁에서 정치적 대표권에 대한 권리를 놓고 논쟁하는 그룹들과 함께 정당의 개념이 형성되었다.[21] 그 후 보호령(1653~1659)과 잉글랜드 왕정 복고(1660)는 의회가 1679년에 인신 보호법을 통과시켜 충분한 이유나 증거 없이 구금하는 것을 금지하는 관례를 강화했지만, 더욱 전제적인 통치를 회복했다. 1689년 권리장전은 개인의 특정 권리와 자유를 성문화하였고, 정기적인 의회, 자유 선거, 의회에서의 발언의 자유에 대한 규칙을 규정하고 군주권력을 제한하여 왕권 절대주의가 확립되지 않도록 하였다. 1884년 국민대표법이 제정되고 나서야 남성 대다수가 투표권을 얻게 되었다.

6. 2.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 1792년 공화정을 선포했다. 1799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쿠데타를 일으켜 1804년 황제로 즉위하였으나, 워털루 전투에서의 패배로 프랑스 제1제국은 붕괴한다. 그 후 만들어진 프랑스 제2공화국은 1851년 쿠데타로 전복되어 프랑스 제2제국이 출범하였으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패배하여 붕괴되었다. 이는 프랑스 마지막 제정이었다. 이후 프랑스 제3공화국이 공화정으로서 수십년간 존재하고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독일국에 패배하여 일부는 독일의 영토가 되고 남부의 일부 지역은 비시 프랑스라는 독일의 괴뢰국이 된다. 독일 치하에서도 프랑스 국민들은 시민군을 조직해 저항했다. 독일의 패망 이후 현재까지 프랑스는 공화국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프랑스 혁명(1789년)은 잠시 동안 광범위한 참정권을 허용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나폴레옹 전쟁은 20년 이상 지속되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1870-71년)은 프랑스 제3공화국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6. 3. 독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이 패망한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이 탄생했다. 하지만 대공황 이후 브뤼닝 내각의 경제정책은 붕괴되고 국민들의 지지에 나치의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로 취임한다. 1934년 힌덴부르크 대통령이 사망하자 아돌프 히틀러는 국민투표를 통해 총통의 자리에 올라 전체주의 독재를 하게 된다.[17]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망하자 연합국은 독일을 분할 통치하였다. 이후 미국, 프랑스, 영국의 점령지역은 독일연방공화국으로 통합해 민주정치를 하였고, 소련 점령지역은 독일민주공화국을 선포해 공산주의 독재를 하였다. 1980년대 후반 공산권의 붕괴가 가속화되고 결국 1990년 10월 3일 독일은 독일연방공화국으로 통일되어 현재까지 민주정부가 통치하고 있다.[18]

6. 4. 일본

메이지 유신으로 1868년 성립된 일본제국은 1889년 일본 제국 헌법을 발표해 입헌 국가가 되었다.[30] 이후 다이쇼 데모크라시라고 일컬어지는 자유주의, 민주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보통선거, 언론과 집회및 결사의 자유, 노동권등의 쟁취를 목표로하는 이 운동은 대공황의 여파로 인해 급속도로 식어버린다.[30] 이누카이 츠요시 수상 암살 이후 극우 세력이 히로히토 천황을 앞세워 전체주의적 정치를 하게 되었고,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종말을 맞는다.[30]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배하자 일본은 자유민주주의 사회가 된다.[30]

메이지 시대, 다이쇼 시대(1912~1926년), 그리고 초기 쇼와 시대(1926~1989년)에 제한적인 민주 개혁이 도입되었으나, 자유민권운동과 같은 친민주주의 운동에도 불구하고 일본 사회는 보수적인 사회와 관료제에 의해 억압되었다.[30] 역사가 켄트 E. 캘더(Kent E. Calder)는 메이지 지도부가 전략적인 이유로 일부 다원주의적 특징을 가진 입헌 정부를 받아들였고,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 사회는 다원주의와 개혁에 반대하는 "지주 농촌 엘리트, 대기업, 군부"의 "느슨한 연합"에 의해 지배되었다고 언급한다.[30]

6. 5. 중국

청나라는 내부적, 외부적 문제로 인해 무너져가고 있었다. 이때 중국 동맹회가 결성되어 1911년 신해혁명을 일으킨다. 이후 1912년 쑨원이 중화민국을 건국한다. 이때 중화민국의 건국에 도움이 되었던 청의 군벌 위안스카이가 중화민국의 총통이 되었다. 위안스카이는 북양함대를 기반으로 하여 독재체제를 굳혔고, 결국 1915년 중화제국을 선포한다. 하지만 1년만에 붕괴되어 각지의 군벌이 난립해 내란상태가 된다. 이후 장제스국민정부북벌을 하여 북양정부를 멸망시키고 군벌 시대를 종식시킨다. 이후 제1차 국공내전이 발발했다. 1937년 이후 일본의 침략이 본격화되자 제2차 국공합작으로 일본과 싸워 승리한다. 전후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은 또다시 내전을 하였으나 국민당의 연이은 실책에 의해 공산당이 승리하였고 국민당 정부는 모든 국가기반을 대만섬으로 이전한다. 중국 공산당이 장악한 중국대륙에서는 1949년 마오쩌둥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했다. 이후 덩샤오핑 정부 치하에서 민주화 운동이 있었으나 무력으로 진압되었다. 시진핑 정부에서도 홍콩의 민주정부 보장을 요구하는 시위가 있었으나, 홍콩 국보법으로 사실상 해산되었다.

한편 대만으로 이전한 중화민국은 국민당이 1987년까지 독재를 하다 계엄령이 해제되고 민주화 된다.

6. 6. 러시아

러시아 제국은 구시대적 전제군주제를 유지하고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사회정책에는 무관심했다. 결국 이는 민중들의 분노를 일으키게 되었고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난다. 이후 볼셰비키가 적백내전에서 승리하고 1922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세운다. 그후 수십년간 공산당 1당 독재체제를 유지하였으나 미하일 고르바초프글라스노스트,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에 의해 다당제가 허용된다. 1991년 소련이 붕괴하고 소련의 후계국가임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러시아 연방은 민주적 선거로 대통령을 선출했다. 2011년 러시아 총선에서 부정선거의 정황이 여럿 발견되자 러시아의 국민들은 대규모의 시위를 일으켰다.

또한 영국으로 망명해 푸틴을 비판하는 활동을 하던 전직 러시아 연방보안국 요원 알렉산드르 발테로비치 리트비넨코가 폴로늄이 들어간 홍차를 마시고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블라디미르 푸틴의 종신집권을 가능하게 하는 내용으로 개헌이 되는등 현재 러시아는 반민주적인 국가라고 평가받고 있다.

6. 7. 아랍의 봄

2010년대 초 튀니지에서 시작된 민주화 시위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아랍의 여러 국가에서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7. 각 국가별 민주화 운동에 대한 규정

대한민국에서는 민주화 운동을 1964년 3월 24일 이후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하여 민주 헌정 질서의 확립에 기여하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회복, 신장시킨 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326]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에는 4·19 혁명, 광주 민주화 운동, 6월 항쟁 등이 있다.

7.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민주화운동을 1964년 3월 24일 이후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하여 민주 헌정 질서의 확립에 기여하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회복, 신장시킨 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326]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에는 4·19 혁명, 광주 민주화 운동, 6월 항쟁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The Palgrave Encyclopedia of Global Security Studi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 학술지 The Matthew effect in political science: head start and key reforms important for democratization 2020
[3] 학술지 Domestic and Transnational Perspectives on Democratization http://www.jstor.org[...]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Wiley
[4] 학술지 Measures of Democratization: From Degree to Type to War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Utah, Sage Publications, Inc.
[5] 웹사이트 Global Dashboard https://bti-project.[...] 2023-04-17
[6] 서적 Democratiz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7] 학술지 Reassessing the Three Waves of Democratization
[8] 서적 Waves of Democracy: Social Movements and Political Change Routledge
[9] 학술지 Waves of autocratization and democratization: A critical note o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https://www.tandfonl[...] 2020
[10] 학술지 Democratic Waves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individual.ut[...] 2018
[11] 웹사이트 Democracy Report 2024, Varieties of Democracy https://v-dem.net/do[...]
[12] 서적 Shock to the system: coups, elections, and war on the road to democratiz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학술지 Don't Call It a Comeback: Autocratic Ruling Parties After Democratization https://www.cambridg[...] 2021-04
[14] 웹사이트 How Democracy Works: Lessons from Europe http://www.journalof[...] 2008-04-17
[15] 웹사이트 Democratization and Political Violence https://ourworld.unu[...] 2021-02-14
[16] 학술지 Democratization and Violent Conflict: Is There A Scandinavian Exception? https://onlinelibrar[...] 2021
[17] 서적 The Attempt at Democratization under Weimar Springer
[18] 서적 Democracy Imposed: U.S. Occupation Policy and the German Public, 1945–1949 Yale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From legal document to public myth: Magna Carta in the 17th century https://www.bl.uk/ma[...] 2017-10-16
[20] 웹사이트 Origins and growth of Parliament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5-04-07
[21] 웹사이트 Putney debates https://www.bl.uk/ta[...] The British Library 2016-12-22
[22] 웹사이트 Britain's unwritten constitution http://www.bl.uk/mag[...] British Library 2015-11-27
[23] 웹사이트 Constitutionalism: America & Beyond http://www.ait.org.t[...] Bureau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Programs (IIP), U.S. Department of State 2014-10-30
[24] 웹사이트 Rise of Parliament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0-08-22
[25] 웹사이트 AUTONOMISMO E UNITÀ https://pti.regione.[...] 2023-09-16
[26] 서적 Modern Italy: A Politic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7] 백과사전 Italia Treccani
[28] 비디오 Damage Foreshadows A-Bomb Test, 1946/06/06 (1946) https://archive.org/[...] Universal Newsreel 2012-02-22
[29] 학술지 Italy: From Fascism to the Republic (1943–1946)
[30] 서적 East Asian Democratic Transitions Routledge
[31] 서적 Democracy and the Limits of Self-Gover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학술지 Democracy and the Limits of Self-Gover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Shaping the Political Arena: Critical Junctures, the Labor Movement, and Regime Dynamics in Latin America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Radicalism of the American Revolution
[35] 서적 chapter 70
[36] 웹사이트 Expansion of Rights and Liberties – The Right of Suffrage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15-04-21
[37] 논문 Does Democracy Matter? 2022
[38] 논문 Some Social Requisites of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Legitimacy 1959
[39] 논문 Endogenous Democratization 2003
[40] 서적 Capitalist Development and Democra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 웹사이트 What Causes Democratization https://www.oxfordha[...] 2011
[42] 논문 The political sociologist Seymour M. Lipset: Remembered in political science, neglected in sociology 2019
[43] 논문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Predispositions and Triggers 2020
[44] 웹사이트 On Democracy https://yalebooks.ya[...] Yale University Press 2020-02-02
[45] 서적 Democracy and Development: Political Institutions and Well-Being in the World, 1950–1990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논문 Democracy, Economic Wealth and Social Capital: Sorting Out the Causal Connections 2002-12-01
[47] 논문 Income, Democracy, and Leader Turnover https://zenodo.org/r[...] 2015-10-01
[48] 논문 Income and the stability of democracy: Pushing beyond the borders of logic to explain a strong correlation?
[49] 논문 Democracy,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Growth 1997-07
[50] 논문 Power and politics: insights from an exit, voice, and loyalty game https://projects.iq.[...]
[51] 웹사이트 Origins and growth of Parliament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5-04-07
[52] 논문 Modernization: Theories and Facts 1997
[53] 서적 Voting for Autocracy: Hegemonic Party Survival and its Demise in Mexico https://www.cambridg[...] Cambridge Core 2019-12-17
[54] 웹사이트 The Puzzle of the Chinese Middle Class https://www.journalo[...] 2019-12-22
[55] 논문 Economic Development, Violent Leader Removal, and Democratization 2012
[56] 논문 Transforming Cities: Does Urbanization Promote Democratic Change? http://www.nber.org/[...] 2017
[57] 논문 Endogenous democracy: causal evidence from the potato productivity shock in the old world 2020
[58] 웹사이트 Aristotle: Politic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iep.utm.[...] 2020-02-03
[59] 서적 The Autocratic Middle Class: How State Dependency Reduces the Demand for Democrac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60] 논문 Non-Modernization: Power–Culture Trajectories and the Dynamics of Political Institutions https://www.annualre[...]
[61] 논문 Modernization Theory as a Case of Failed Knowledge Production https://mk0apsaconne[...] 2018
[62] 논문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cy https://muse.jhu.edu[...] 2024
[63] 논문 The Economic Origins of Democracy Reconsidered 2012
[64] 논문 Capital Mobility and Democratic Stability 2000
[65] 논문 The Coevolution of Trade Agreement Networks and Democracy 2016-02-01
[66] 논문 International Trade And Democracy: How Trade Partners Affect Regime Change And Persistence https://wp.hse.ru/da[...] Elsevier BV
[67] 서적 Capital Ideas: The IMF and the Rise of Financial Liberalization http://www.jstor.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68] 서적 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lord and peasant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Beacon Press
[69] 서적 State Formation, Regime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Routledge Press
[70] 서적 Capitalist Development and Democra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1] 논문 Contingent Democrats: Industrialists, Labor, and Democratization in Late-Developing Countries 2000-01-01
[72] 서적 Class Relations and Democratization: A Reassessment of Barrington Moore's Mod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73] 서적 Knowledge Accumulation in Comparative Historical Research: The Case of Democracy and Authoritar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4] 논문 Lord, Peasant … and Tractor? Agricultural Mechanization, Moore's Thesis, and the Emergence of Democracy https://www.cambridg[...] 2020-01-01
[75] 서적 Public Debt and the Birth of the Democratic State: France and Great Britain 1688–1789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12-24
[76] 논문 Constitutional Origins and Liberal Democracy: A Global Analysis, 1900–2015 https://www.cambridg[...] 2021-01-01
[77] 논문 A Note on Taxation, Development,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https://authors.libr[...] 1985-03-01
[78] 논문 Representation and Consent: Why They Arose in Europe and Not Elsewhere 2016-05-11
[79] 서적 Decline and rise of democracy: a global history from antiquity to toda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80] 서적 Bounding Power: Republican Security Theory from the Polis to the Global Village https://muse.jhu.edu[...]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81] 서적 The Art of not being governed: an anarchist history of upland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NUS Press 2010
[82] 웹사이트 Power and politics: insights from an exit, voice, and loyalty game. http://projects.iq.h[...]
[83] 서적 Economic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4] 간행물 Special issue on "Inequality and Democratization: What Do We Know?"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Comparative Democratization 2013-01-01
[85] 논문 The scientific limits of understanding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complex social phenomena: the case of democracy and inequality. 2016-01-01
[86] 논문 Weak, Despotic, or Inclusive? How State Type Emerges from State versus Civil Society Competition https://www.cambridg[...] 2022-01-01
[87] 서적 The Narrow Corridor: States, Societies, and the Fate of Libert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9
[88] 논문 Does Oil Hinder Democracy? 2011-06-13
[89] 논문 Oil and Autocratic Regime Survival 2015-04-01
[90] 논문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in Africa http://www.nyu.edu/g[...] 2004-09-01
[91] 논문 Natural-Resource Wealth and the Survival of Autocracy 2007-08-01
[92] 논문 Resource Curse or Rentier Peace? The Ambiguous Effects of Oil Wealth and Oil Dependence on Violent Conflict https://www.ssoar.in[...] 2009-11-01
[93] 논문 The Big Oil Change A Closer Look at the Haber–Menaldo Analysis https://brage.bibsys[...] 2014-06-01
[94] 논문 Mass protests and the resource curse: The politics of demobilization in rentier autocracies 2016-07-27
[95] 논문 How oil income and missing hydrocarbon rents data influence autocratic survival: A response to Lucas and Richter (2016) 2017-07-01
[96] 논문 Is There a Resource Curse for Private Liberties? 2018-12-01
[97] 논문 The Long-Run Effects of Oil Wealth on Development: Evidence from Petroleum Geology https://mpra.ub.uni-[...]
[98] 논문 What Have We Learned about the Resource Curse? 2015-05-01
[99] 논문 Oil, Democracy, and Context A Meta-Analysis 2014-08-01
[100] 서적 Crude Democracy: Natural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01] 서적 Crude Democracy: Natural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02] 서적 Crude Democracy: Natural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03] 논문 Do Natural Resources Fuel Authoritarianism? A Reappraisal of the Resource Curse 2011-01-01
[104] 논문 Who Democratizes? Western-educated Leaders and Regime Transitions
[105] 논문 Democracy's Third Wave https://www.ned.org/[...] 1991-01-01
[106] 논문 Democracy's Third Wave
[107] 논문 Religion, Democracy, and the "Twin Tolerations"
[108] 논문 Islam and Authoritarianism 2002-10-01
[109] 논문 Determinants of Democracy http://nrs.harvard.e[...] 1999-12-01
[110] 논문 Oil, Islam, and Women 2008-02-01
[111] 논문 The Feudal Revolution and Europe's Rise: Political Divergence of the Christian West and the Muslim World before 1500 CE 2013-01-01
[112] 서적 Size and Democracy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3-01-01
[113] 논문 Is Small Really Beautiful?: The Microstate Mistake https://muse.jhu.edu[...] 2014-07-14
[114] 논문 The Missionary Roots of Liberal Democracy 2012-01-01
[115] 논문 Conversionary Protestants Do Not Cause Democracy https://www.cambridg[...] 2020-01-01
[116] 서적 Modernization, Cultural Change,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7] 서적 Modernization, Cultural Change,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8] 서적 Capitalism and Freedom
[119] 논문 The democratizing effect of education 2015-10-01
[120] 논문 The Non-Democratic Roots of Mass Education: Evidence from 200 Years 2021-02-01
[121] 논문 Getting Out the Vote with Voting Advice Applications https://doi.org/10.1[...]
[122] 논문 What makes democracy work? 1993-03-01
[123] 논문 Civil Society and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1997-01-01
[124] 논문 Bowling for Fascism: Social Capital and the Rise of the Nazi Party http://www.nber.org/[...] 2017-04-01
[125] 서적 The Art of Political Control in Chin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1-01
[126] 웹사이트 Study: Nonviolent Civic Resistance Key Factor in Building Durable Democracies, May 24, 2005 http://www.freedomho[...]
[127] 서적 Democracy Protests: Origins, Features and Signific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8] 논문 Transitions to Democracy: Toward a Dynamic Model http://revistas.usal[...] 1970-01-01
[129] 서적 Transitions to Democracy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01-01
[130] 서적 Transitions from Authoritarian Rule https://jhupbooks.p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09-01
[131] 논문 Democratic Theory After Transitions From Authoritarian Rule
[132] 서적 Democracy and the Market: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in Eastern Europe and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3] 서적 Authoritarianism and the Elite Origins of Democrac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1-01
[134] 논문 Poland's Contentious Elites Enter the Age of Revolution: Extending Social Movement Concepts https://onlinelibrar[...] 2015-01-01
[135] 논문 Autocratic ruling parties during regime transitions: Investigating the democratizing effect of strong ruling parties 2021-01-05
[136] 서적 From Development to Democracy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1-01
[137] 논문 Democracy, Redistribution, and Inequality http://www.nber.org/[...] Elsevier 2015-01-01
[138] 논문 Endogenous Democratization 2003-01-01
[139] 서적 Shock to the System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0] 논문 Authoritarian-Led Democratization 2020-03-04
[141] 논문 The Stickiness of "Bad" Institutions: Constitutional Continuity and Change under Democrac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42] 논문 Democracy by mistake 2017-10
[143] 논문 The Political Economy of Liberal Democracy
[144] 서적 Nonviolent Resistance and Democratic Consolidation https://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020
[145] 논문 Living by the Sword and Dying by the Sword? Leadership Transitions in and out of Dictatorships 2016-02-18
[146] 논문 Democracy and Dictatorship Revisited 2010
[147] 서적 Democracy in Lat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48] 논문 The Democratic Window of Opportunity Evidence from Riots in Sub-Saharan Africa https://kclpure.kcl.[...] 2016-06-01
[149] 논문 Dictatorship, Democracy and Development http://revistas.up.e[...] 1993
[150] 잡지 When Dictators Die https://foreignpolic[...] 2015-09-10
[151] 논문 Reassessing the Three Waves of Democratization 2000
[152] 서적 Engendering Transitions: Women's Mobilization, Institutions and Gender Outco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53] 논문 Women's suffrage in the measurement of democracy: Problems of operationalization https://link.springe[...] 2000
[154] 논문 War and the State in Africa 1990
[155] 서적 War and Democracy: Labor and the Politics of Pea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
[156] 논문 Democracy and th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Borders, 1919–2001 2017
[157] 서적 The Causes of War and the Spread of Peace: Will War Rebou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58] 논문 Does Democracy Cause Peace? 1998
[159] 서적 Freedom Rising: Human Empowerment and the Quest for Eman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60] 서적 Warlike and Peaceful Societies: The Interaction of Genes and Culture Open Book Publishers 2017
[161] 논문 Democracy from the Outside-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emocratization https://www.cambridg[...] 2002
[162] 논문 Democratization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2006
[163] 서적 Forced to Be Good: Why Trade Agreements Boost Human Right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
[164] 서적 Promoting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American and European Strategies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UK 2009
[165] 논문 Good for democracy? Evidence from the 2004 NATO expansion 2020
[166] 논문 What Causes Democratization 2011-07-07
[167] 논문 International Linkage and Democratization 2005-07-27
[168] 서적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Hybrid Regimes after the Cold War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69] 논문 Democracy from the Outside-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emocratization 2002-06-01
[170] 논문 Does Foreign Aid Promote Democracy? 2004-03-01
[171] 논문 The rule of capital and the rise of democracy https://newleftrevie[...] 1977-05
[172] 웹사이트 The Independent http://www.independe[...]
[173] 논문 The Fall of Democracy in Syria http://sam.gov.tr/wp[...] 2016-02-13
[174] 서적 The Deep Roots of Modern Democracy: Geography and the Diffusion of Political Institution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75] 서적 Bounding Power: Republican Security Theory from the Polis to the Global Villag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76] 서적 The Democratic Centu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4
[177] 서적 Critical Junctures and Developmental Paths: Colonialism and Long-Term Economic Prosperity Rowman & Littlefield 2022
[178] 서적 The Goals of Development Little Brown 1987
[179] 서적 Polyarchy: Participation and Opposition Yale University Press 1971
[180] 서적 Political Order and Political Decay: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to the Globalisation of Democracy Farrar, Straus, Giroux 2014
[181] 서적 Democracy and Dictatorship in Europe: From the Ancien Régime to the Present Day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82] 서적 One Road to Riches?: How State Building and Democratization Affect Economic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83] 서적 A Middle-Quality Institutional Trap: Democracy and State Capacity in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84] 논문 Chains in Episodes of Democratization http://dx.doi.org/10[...] 2023-06-28
[185] 서적 What do we know about War? Rowman & Littlefield 2021
[186] 웹사이트 데모크라티제이션 2021-12-25
[187] 간행물 「民主化の波」の成功と失敗──東欧諸国とアラブ諸国の比較試論 2015
[188] 간행물 チェコ事件の考察 1975
[189] 간행물 チェコ共和国における民主化と都市空間の変化 昭和女子大學 2012-07-01
[190] 간행물 「ソ連・東欧圏」における経済改革と政治危機 1960 年代のドイツ政治外交と「プラハの春」 2021
[191] 뉴스 「プラハの春」弾圧から50年、犠牲者を追悼 反ロシアデモも チェコ https://www.afpbb.co[...] AFP 2018-08-21
[192] 서적 チェコ経済の真実 毎日新聞社 1970
[193] 뉴스 東京新聞 2018-04-09
[194] 간행물 ラテンアメリカ 1968 年論序説 神奈川大学人文学研究所 2012-03-25
[195] 뉴스 Prague Spring: An Exercise in Democracy https://www.npr.org/[...] NPR 2008-08-21
[196] 웹사이트 AN ATTEMPT TO DEMOCRATIZATION: THE PRAGUE SPRING https://thefeasjourn[...] The FEAS Journal 2021-11-09
[197] 논문 Socialism With a Human Face: The Leadership and Legacy of the Prague Spring http://www.jstor.org[...] 2015
[198] 논문 Socialism with a Slovak Face: Feder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the Prague Spring (Date not specified)
[199] 웹사이트 The Prague Spring: Dubček, the Media, and Mass Demoralisation https://www.wilsonce[...] Wilson Center 2018-08-23
[200] 웹사이트 Commemo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PRAGUE SPRING https://ceeliinstitu[...] CEELI Institute, o.p.s.
[201] 웹사이트 The Dispute about the Legacy of the “Prague Spring” https://enrs.eu/arti[...] European Network Remembrance and Solidarity 2011-08-20
[202] 논문 Some Social Requisites of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Legitimacy 1959
[203] 논문 Endogenous Democratization 2003-07
[204] 서적 Capitalist Development and Democra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205] 논문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Predispositions and Triggers 2020-01-10
[206] 웹사이트 On Democracy Yale University Press 2020-02-02
[207] 서적 Democracy and Development: Political Institutions and Well-Being in the World, 1950-199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08] 논문 Democracy, Economic Wealth and Social Capital: Sorting Out the Causal Connections 2002-12-01
[209] 논문 Income, Democracy, and Leader Turnover 2015-10-01
[210] 논문 Income and the stability of democracy: Pushing beyond the borders of logic to explain a strong correlation? 2014
[211] 논문 Democracy,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Growth 1997-07
[212] 논문 Power and politics: insights from an exit, voice, and loyalty game 2013
[213] 웹사이트 Origins and growth of Parliament 2015-04-07
[214] 논문 Modernization: Theories and Facts 1997
[215] 논문 Contingent Democrats: Industrialists, Labor, and Democratization in Late-Developing Countries 2000-01
[216] 웹사이트 Voting for Autocracy: Hegemonic Party Survival and its Demise in Mexico 2019-12-17
[217] 웹사이트 The Puzzle of the Chinese Middle Class 2019-12-22
[218] 논문 Economic Development, Violent Leader Removal, and Democratization 2012
[219] 논문 Transforming Cities: Does Urbanization Promote Democratic Change? 2017
[220] 논문 Endogenous democracy: causal evidence from the potato productivity shock in the old world 2020
[221] 논문 The Coevolution of Trade Agreement Networks and Democracy 2016-02-01
[222] 논문 The Matthew effect in political science: head start and key reforms important for democratization 2020-09-25
[223] 서적 Economic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24] 논문 Who Democratizes? Western-educated Leaders and Regime Transitions 2015
[225] 논문 Islam and Authoritarianism 2002-10
[226] 논문 Determinants of Democracy 1999-12-01
[227] 논문 Oil, Islam, and Women 2008-02
[228] 논문 The Feudal Revolution and Europe's Rise: Political Divergence of the Christian West and the Muslim World before 1500 CE 2013
[229] 서적 Size and Democr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3
[230] 논문 Is Small Really Beautiful?: The Microstate Mistake 2014-07-14
[231] 논문 What makes democracy work? 1993-03
[232] 논문 Civil Society and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1997
[233] 논문 Bowling for Fascism: Social Capital and the Rise of the Nazi Party 2017-04-01
[234] 서적 The Art of Political Control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235] 서적 Authoritarianism and the Elite Origins of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236] 논문 Poland's Contentious Elites Enter the Age of Revolution: Extending Social Movement Concepts 2015
[237] 논문 Autocratic ruling parties during regime transitions: Investigating the democratizing effect of strong ruling parties 2021-01-05
[238] 논문 Democracy, Redistribution, and Inequality 2015
[239] 논문 Endogenous Democratization 2003
[240] 서적 Shock to the Syste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241] 논문 Authoritarian-Led Democratization 2020-03-04
[242] 논문 The Stickiness of "Bad" Institutions 2020
[243] 논문 Democracy by mistake 2017-10
[244] 논문 The Political Economy of Liberal Democracy 2020
[245] 서적 Nonviolent Resistance and Democratic Consolidation Palgrave Macmillan 2020
[246] 논문 Living by the Sword and Dying by the Sword? Leadership Transitions in and out of Dictatorships 2016-02-18
[247] 논문 Democracy and Dictatorship Revisited 2010
[248] 서적 Democracy in Lat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49] 논문 From Shocks to Waves: Hegemonic Transitions and Democrat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2014
[250] 서적 Aftershocks 2017-03-28
[251] 논문 Democratic Waves in Historical Perspective 2018
[252] 서적 Democratiz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1
[253] 서적 Rethinking Middle East Politics: State Formation and Development Polity Press 1994
[254] 서적 Authoritarianism in the Middle East: Regimes and Resistance Lynne Rienner Publishers, Inc. 2005
[255] 서적 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lord and peasant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Beacon Press 1993
[256] 논문 Lord, Peasant … and Tractor? Agricultural Mechanization, Moore's Thesis, and the Emergence of Democracy 2020
[257] 서적 Public Debt and the Birth of the Democratic State: France and Great Britain 1688–17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58] 논문 Constitutional Origins and Liberal Democracy: A Global Analysis, 1900–2015 2021
[259] 웹사이트 Aristotle: Politics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60] 논문 A Note on Taxation, Development,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1985-03
[261] 논문 Representation and Consent: Why They Arose in Europe and Not Elsewhere 2016-05-11
[262] 서적 Decline and rise of democracy : a global history from antiquity to toda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263] 서적 Bounding Power: Republican Security Theory from the Polis to the Global Vill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64] 논문 Conclusions: Towards Transatlantic Democracy Promotion? 2009
[265] 논문 International Linkage and Democratization 2005-07-27
[266] 서적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Hybrid Regimes after the Co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67] 논문 Democracy from the Outside-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emocratization 2002-06-01
[268] 논문 Does Foreign Aid Promote Democracy? 2004-03-01
[269] 논문 The rule of capital and the rise of democracy: Capital and suffrage (cover title) 1977
[270] 뉴스 The Independent
[271] 논문 The Fall of Democracy in Syria 2011
[272] 논문 Dictatorship, Democracy and Development 1993
[273] 서적 Capitalism and Freedom 1962
[274] 논문 The democratizing effect of education 2015-10-01
[275] 논문 The Non-Democratic Roots of Mass Education: Evidence from 200 Years 2021-02
[276] 논문 Does Oil Hinder Democracy? 2011-06-13
[277] 논문 Oil and Autocratic Regime Survival 2015-04-01
[278] 논문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in Africa 2004-09-01
[279] 논문 Natural-Resource Wealth and the Survival of Autocracy 2007-08-01
[280] 논문 Resource Curse or Rentier Peace? The Ambiguous Effects of Oil Wealth and Oil Dependence on Violent Conflict 2009-11-01
[281] 논문 The Big Oil Change A Closer Look at the Haber–Menaldo Analysis 2014-06-01
[282] 논문 Mass protests and the resource curse: The politics of demobilization in rentier autocracies 2016-07-27
[283] 논문 How oil income and missing hydrocarbon rents data influence autocratic survival: A response to Lucas and Richter (2016) 2017-07-01
[284] 논문 Is There a Resource Curse for Private Liberties? 2018-12
[285] 논문 The Long-Run Effects of Oil Wealth on Development: Evidence from Petroleum Geology 2019
[286] 논문 What Have We Learned about the Resource Curse? 2015-05
[287] 논문 Oil, Democracy, and Context A Meta-Analysis 2014-08-01
[288] 서적 Crude Democracy: Natural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89] 서적 Crude Democracy: Natural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90] 서적 Crude Democracy: Natural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91] 서적 Democracy Protests: Origins, Features and Signific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92] 논문 The Democratic Window of Opportunity Evidence from Riots in Sub-Saharan Africa 2016-06-01
[293] 뉴스 When Dictators Die 2015-09-10
[294] 논문 War and the State in Africa 1990
[295] 논문 Democracy and th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Borders, 1919–2001 2017
[296] 서적 The Causes of War and the Spread of Peace: Will War Rebou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97] 서적 Freedom Rising: Human Empowerment and the Quest for Eman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98] 서적 Warlike and Peaceful Societies: The Interaction of Genes and Culture Open Book Publishers 2017
[299] 웹사이트 Transitions from Authoritarian Ru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9-12-23
[300] 서적 Transitions to Democrac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301] 논문 Transitions to Democracy: Toward a Dynamic Model 1970
[302] 간행물 Journal of Democracy
[303] 웹사이트 Democratization and Political Violence - Our World 2021-02-14
[304] 논문 Democratization and Violent Conflict: Is There A Scandinavian Exception? 2021
[305] 웹사이트 From legal document to public myth: Magna Carta in the 17th century 2017-10-16
[305] 웹사이트 Magna Carta: Magna Carta in the 17th Century 2017-10-16
[306] 웹사이트 Putney debates 2016-12-22
[307] 웹사이트 Origins and growth of Parliament 2015-04-07
[308] 웹사이트 Britain's unwritten constitution 2015-11-27
[309] 웹사이트 Constitutionalism: America & Beyond 2014-10-30
[310] 웹사이트 Rise of Parliament 2010-08-22
[311] 서적 The Radicalism of the American Revolution 1992
[312] 서적 1994
[313] 웹사이트 Expansion of Rights and Liberties - The Right of Suffrage National Archives 2015-04-21
[314] 서적 The Attempt at Democratization under Weimar Springer 2000
[315] 서적 Democracy Imposed: U.S. Occupation Policy and the German Public, 1945–1949 Yale University Press 1995
[316] 서적 East Asian Democratic Transitions Routledge
[317] 연구 Study: Nonviolent Civic Resistance Key Factor in Building Durable Democracies 2005-05-24
[318] 간행물 Economic Freedom, Political Freedom, and Economic Well-Being: A Causality Analysis https://web.archive.[...] 2005-04-11
[319] 논문 Empowerment or Discipline? Two Logics of Governmental Reform http://ssrn.com/abst[...] 2008-12-23
[320] 서적 The Art of not being governed : an anarchist history of upland Southeast Asia NUS Press
[321] 논문 Power and politics: insights from an exit, voice, and loyalty game
[322] 웹사이트 The Ferguson Kleptocracy 2015-03-05
[323] 서적 Democratizing Innovation MIT Press
[324] 서적 Mass Customization and Design Democratization Routledge
[325] 뉴스 정권교체 ‘일상화’ 정착…사회전반 변화 불가피 http://media.daum.ne[...] 경향신문 (추정) 2007-12-20
[326] 법률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 2000-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