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태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ASEAN) 회원국 9개 팀이 참가했다. 태국은 결승전에서 인도네시아를 4-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말레이시아는 3, 4위전에서 베트남을 3-0으로 이겼다. 대회 최우수 선수로는 태국의 키아티삭 세나무앙이 선정되었고, 겐두트 도니 크리스티아완(인도네시아)과 워라웃 스리마카(태국)가 공동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11월 - 가토의 난
    가토의 난은 2000년 가토 고이치가 모리 내각 불신임안을 추진했으나 실패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하고 자민당 내 파벌 구도가 재편된 사건이다.
  • 2000년 11월 - 2000년 FIFA 풋살 세계 선수권 대회
    2000년 FIFA 풋살 세계 선수권 대회는 과테말라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CDAG 돔 폴리데포르티보와 테오도로 팔라시오스 플로레스 국립 체육관에서 개최된 FIFA 주관 네 번째 풋살 월드컵 대회로, 스페인이 브라질을 꺾고 우승했다.
  •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199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1996년 9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1회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태국이 말레이시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자이날 아비딘 하산이 최우수 선수상, 네티퐁 스리통인이 득점왕을 차지했다.
  •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200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200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싱가포르가 결승에서 인도네시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AFF 챔피언십
연도2000년
다른 명칭2000 아세안 축구 챔피언십
타이거 컵 2000
개최국태국
개최 기간11월 5일 ~ 11월 18일
참가 팀 수9팀
경기장 수3개
개최 도시 수3개
결과
우승태국 (2회 우승)
준우승인도네시아
3위말레이시아
4위베트남
총 경기 수20경기
총 득점 수67골
최다 득점자겐두트 도니 (5골)
워라웃 스리마카 (5골)
최우수 선수키아티삭 세나무앙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98년
다음 대회2002년

2. 참가 팀

ASEAN 축구 연맹 회원국 10개국 중 9개국이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브루나이는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기권했다.[1]

3. 경기 장소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태국에서 개최되었다. 녹아웃 스테이지는 방콕의 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조별 리그는 치앙마이의 700주년 기념 경기장과 송클라의 틴술라논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방콕에 위치한 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


치앙마이에 위치한 700주년 기념 경기장


송클라에 위치한 틴술라논 경기장


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80,000명, 700주년 기념 경기장은 25,000명, 틴술라논 경기장은 20,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4. 선수 명단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선수 명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라.

5. 심판

wikitable

주심부심


5. 1. 주심

주심부심


5. 2. 부심

리 라타나
라프리 A 라자크
폰시리그나봉 폰아페우트
카심 카디르 바차
우 흘라 마잉 흘라
셀소 솔데빌라
클리엔클라드 시티쿤
쯔엉 테 투안


6. 조별 리그

''모든 시간은 태국 표준시 - (THA) UTC+7를 따른다.

== A조 ==

A조의 모든 경기는 치앙마이의 700주년 기념 경기장에서 열렸다. A조에서는 태국인도네시아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태국330092+79
인도네시아320194+56
미얀마310248−43
필리핀300308−80



2000년 11월 6일에는 인도네시아필리핀을 3-0으로, 태국미얀마를 3-1로 이겼다. 11월 8일에는 미얀마필리핀을 3-0으로 이겼다. 11월 10일에는 태국인도네시아를 4-1로 이겼다. 11월 12일에는 미얀마인도네시아에 0-5로 패배했고, 태국필리핀을 2-0으로 이겼다.

== B조 ==

B조의 모든 경기는 송클라의 띤술라논 경기장에서 열렸다. 베트남말레이시아가 승점 10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베트남이 골득실에서 앞서 조 1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는 승점 6점으로 3위, 캄보디아는 승점 3점으로 4위, 라오스는 승점 없이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베트남4310120+1210
말레이시아431092+710
싱가포르420242+26
캄보디아4103510−53
라오스4004016−160



2000년 11월 5일에는 싱가포르캄보디아를 1-0으로 이겼고, 같은 날 베트남말레이시아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1월 7일에는 말레이시아라오스를 5-0으로 대파했고, 베트남캄보디아를 6-0으로 이겼다.

11월 9일, 말레이시아캄보디아에 3-2 승리를 거두었고, 싱가포르라오스를 3-0으로 제압했다. 11월 11일에는 캄보디아라오스를 3-0으로 이겼고, 베트남싱가포르를 1-0으로 꺾었다.

11월 13일, 말레이시아싱가포르를 1-0으로 이겼고, 베트남라오스에 5-0 대승을 거두었다.

6. 1. A조

A조의 모든 경기는 치앙마이의 700주년 기념 경기장에서 열렸다. A조에서는 태국인도네시아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태국330092+79
인도네시아320194+56
미얀마310248−43
필리핀300308−80



2000년 11월 6일에는 인도네시아필리핀을 3-0으로, 태국미얀마를 3-1로 이겼다. 11월 8일에는 미얀마필리핀을 3-0으로 이겼다. 11월 10일에는 태국인도네시아를 4-1로 이겼다. 11월 12일에는 미얀마인도네시아에 0-5로 패배했고, 태국필리핀을 2-0으로 이겼다.

6. 2. B조

B조의 모든 경기는 송클라의 띤술라논 경기장에서 열렸다. 베트남과 말레이시아가 승점 10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베트남이 골득실에서 앞서 조 1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는 승점 6점으로 3위, 캄보디아는 승점 3점으로 4위, 라오스는 승점 없이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베트남4310120+1210
말레이시아431092+710
싱가포르420242+26
캄보디아4103510−53
라오스4004016−160



2000년 11월 5일에는 싱가포르캄보디아를 1-0으로 이겼고, 같은 날 베트남말레이시아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1월 7일에는 말레이시아라오스를 5-0으로 대파했고, 베트남캄보디아를 6-0으로 이겼다.

11월 9일, 말레이시아캄보디아에 3-2 승리를 거두었고, 싱가포르라오스를 3-0으로 제압했다. 11월 11일에는 캄보디아라오스를 3-0으로 이겼고, 베트남싱가포르를 1-0으로 꺾었다.

11월 13일, 말레이시아싱가포르를 1-0으로 이겼고, 베트남라오스에 5-0 대승을 거두었다.

7. 결선 토너먼트

11월 16일 방콕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인도네시아베트남을 연장전 끝에 3-2로 꺾었다. 같은 날 태국말레이시아를 2-0으로 이겼다.

11월 18일 방콕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태국인도네시아를 4-1로 대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3·4위전에서는 말레이시아베트남을 3-0으로 완파했다.

7. 1. 준결승전

2000년 11월 16일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준결승전 2경기가 열렸다. 첫 번째 경기에서는 베트남인도네시아에 2-3으로 패배했다. 응우옌 홍 선과 부 꽁 투옌이 득점했으나, 인도네시아의 겐둣 도니 크리스티아완이 연장전에서 골든골을 기록하며 인도네시아가 결승에 진출했다. 두 번째 경기에서는 태국말레이시아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키아티숙 세나무앙과 타완 스리판이 득점했다.

7. 2. 3·4위전

2000년 11월 18일, 방콕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3·4위전이 열렸다. 말레이시아베트남을 3-0으로 이겼다. 로스디 탈리브가 전반 42분에 첫 골을 넣었고, 러스디 수파르만이 후반 59분과 90분에 두 골을 추가했다. 심판은 태국의 한룸야웅 판야가 맡았다.

7. 3. 결승전

2000년 11월 18일, 방콕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태국인도네시아를 4-1로 이겼다. 워라웃 시리마카가 14분, 18분, 32분에 득점을 기록했고, 타농삭 쁘라자카트가 65분에 득점을 기록했다. 인도네시아의 우스톤 나와위는 20분에 득점을 기록했다.

8. 우승

2번째 우승


9. 수상

최우수 선수골든 부트페어 플레이상
끼아띠삭 세나무앙 겐두트 크리스티아완
워라웃 스리마카


10. 득점 선수

5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인도네시아의 겐두트 도니 크리스티아완, 태국의 워라웃 스리마카가 있다. 4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말레이시아의 루스디 수파르만, 태국의 키아티숙 세나무앙, 베트남의 부 꽁 투옌이 있다.

캄보디아의 혹 소체트라, 인도네시아쿠르니아완 드위 율리안토, 말레이시아의 아즈만 아드난, 베트남의 레 후잉 덕은 3골을 기록했다.

인도네시아의 우스톤 나와위, 말레이시아의 아흐마드 샤흐룰 아자르 소피안과 하이루딘 오마르, 싱가포르의 라피 알리, 베트남의 응우옌 홍 손은 2골을 기록했다.

1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캄보디아의 포크 찬탄, 체아 마카라, 인도네시아의 아지 산토소, 에코 푸르지안토, 세토 누르디안토로, 말레이시아의 로스디 탈리브, 미얀마의 아웅 쿄 투, 텟 나잉 소에, 조 흐티케, 네이 투 흘라잉, 싱가포르의 나즈리 나시르, 스티븐 탄 텡 추안, 태국의 사케산 피투라타나, 수라차이 자투라파타퐁, 두싯 차렘산, 아누락 스리케르드, 타완 스리판, 타농삭 프라작카타, 베트남의 응우옌 반 시, 팜 훙 중, 부 민 히에우, 반 시 투이가 있다.

11. 팀 통계

이 표는 200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전반에 걸친 팀의 순위를 보여준다.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
결승
1태국5500153+12
2인도네시아53021310+3
준결승
3말레이시아6411124+8
4베트남6312146+8
조별 예선 탈락
5싱가포르420242+2
6미얀마310248–4
7캄보디아4103510–5
8필리핀300308–8
9라오스400401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