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는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와 제펠트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0개를 획득하여 오스트리아와 함께 공동 1위를 차지했으며, 획득한 금메달은 모두 쇼트트랙에서 나왔다. 최은경은 쇼트트랙 여자부문에서 5관왕을, 안현수는 남자부문에서 4관왕을 차지했다. 주요 경기장으로는 인스브루크의 베르기젤 점프대, 티볼리-노이, 퀴타이, 티롤 아이스 아레나, 아이스슈넬라우프반, 올림픽홀과 제펠트 아레나, 제펠트 하키 센터 등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스포츠 - 2005년 월드 게임
2005년 월드 게임은 독일 뒤스부르크에서 열린 국제경기연맹총회 주관의 비올림픽 종목 종합 스포츠 대회로, 러시아가 1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6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심판 판정 논란과 운영 미숙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2005년 스포츠 - 200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2005년 마카오에서 개최된 동아시아 경기 대회는 9개 국가 및 지역이 참가하여 17개 종목을 겨룬 국제 스포츠 행사로, 중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마카오는 도시 이미지 개선의 기회를 얻었다. -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대회 - 1976년 동계 올림픽
1976년 동계 올림픽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개최되었으며, 37개국이 참가하여 6개 종목에서 37개의 경기가 치러졌고, 아이스 댄스가 처음으로 올림픽 종목에 포함되었다. -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대회 - 1964년 동계 올림픽
1964년 동계 올림픽은 인스브루크에서 개최되어 정치적 긴장 속에서 36개국이 참가, 소련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루지 종목 첫 선과 스타 선수 배출, 그리고 사망 사고라는 안타까움 속에 치러졌다.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 |
---|---|
대회 개요 | |
명칭 | 제22회 동계 유니버시아드 |
슬로건 | "u better be there" (거기 있는 게 좋을 거야) |
개최 도시 | 인스브루크, 제펠트 (오스트리아) |
예상 참가국 | 53개국 |
참가 선수 | 1,500명 |
경기 종목 | 13개 종목 |
개막일 | 2005년 1월 12일 |
폐막일 | 2005년 1월 22일 |
개회 선언 | 하인츠 피셔 |
주 경기장 | 올림피아 월드 인스브루크-올림픽 스타디움 |
이전 대회 | 2003 타르비시오 |
다음 대회 | 2007 토리노 |
![]() |
2. 대회 이모저모
- 대한민국은 쇼트트랙에 걸린 금메달 10개를 모두 획득하여,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한 국가가 되었다.[1]
- 최은경은 쇼트트랙 여자부문 전 종목을 석권하며 5관왕에 올랐다.
- 안현수는 쇼트트랙 남자부문에서 4관왕을 차지했다.
3. 경기장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는 오스트리아의 인스브루크와 제펠트에서 열렸다.
도시 | 경기장 | 종목 | 수용 인원 |
---|---|---|---|
인스브루크 | 베르기젤 점프대 | 스키 점프 | 28,000 |
인스브루크 | 티볼리-노이 | 개회식 | 35,000 |
인스브루크 | 퀴타이 |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 | 8,000 |
인스브루크 | 티롤 아이스 아레나 | 아이스하키 | 8,000 |
인스브루크 | 아이스슈넬라우프반 | 스피드 스케이팅 | 4,000 |
인스브루크 | 올림픽홀 | 피겨 스케이팅, 쇼트트랙 | 10,600 |
제펠트 | 제펠트 아레나 | 폐막식,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 12,000 |
제펠트 | 제펠트 하키 센터 | 아이스하키 | 5,000 (임시) |
3. 1. 인스브루크
경기장 | 종목 | 수용 인원 |
---|---|---|
베르기젤 점프대 | 스키 점프 | 28,000 |
티볼리-노이 | 개회식 | 35,000 |
퀴타이 |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 | 8,000 |
티롤 아이스 아레나 | 아이스하키 | 8,000 |
아이스슈넬라우프반 | 스피드 스케이팅 | 4,000 |
올림픽홀 | 피겨 스케이팅, 쇼트트랙 | 10,600 |
3. 2. 제펠트
경기장 | 종목 | 수용 인원 |
---|---|---|
제펠트 아레나 | 폐막식,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 12,000 |
제펠트 하키 센터 | 아이스하키 | 5,000 (임시) |
4.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계 |
---|---|---|---|---|---|
1 | 오스트리아 | 10 | 8 | 4 | 22 |
2 | 대한민국 | 10 | 7 | 6 | 23 |
3 | 러시아 | 7 | 5 | 9 | 21 |
4 | 일본 | 5 | 6 | 6 | 17 |
5 | 폴란드 | 5 | 2 | 1 | 8 |
6 | 우크라이나 | 4 | 10 | 2 | 16 |
7 | 카자흐스탄 | 4 | 1 | 2 | 7 |
8 | 이탈리아 | 4 | 0 | 5 | 9 |
9 | 중국 | 3 | 6 | 8 | 17 |
10 | 네덜란드 | 3 | 5 | 2 | 10 |
11 | 슬로베니아 | 3 | 4 | 3 | 10 |
12 | 체코 | 3 | 2 | 4 | 9 |
13 | 프랑스 | 2 | 1 | 4 | 7 |
14 | 스위스 | 1 | 3 | 3 | 7 |
15 | 핀란드 | 1 | 2 | 2 | 5 |
16 | 미국 | 1 | 2 | 0 | 2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1 | 2 | 0 | 3 | |
영국 | 1 | 2 | 0 | 3 | |
17 | 독일 | 1 | 1 | 3 | 5 |
18 | 벨라루스 | 0 | 3 | 2 | 5 |
20 | 슬로바키아 | 0 | 0 | 2 | 2 |
20 | 불가리아 | 0 | 0 | 1 | 1 |
대한민국은 금메달 10개를 획득하여 2위를 차지하였으나, 금메달은 모두 쇼트트랙에서 나왔다.[1] 최은경은 쇼트트랙 여자부문 전 종목을 석권하며 5관왕에 올랐고, 안현수는 쇼트트랙 남자부문에서 4관왕을 차지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