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국가들의 예선 경기였다. 8개 팀이 4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이, B조에서는 일본과 이란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32개 팀이 8개 조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쟁하여 각 조 1위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은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참가국의 1차 예선 경기로, 괌-네팔 경기가 취소되었고 승점, 득실차, 다득점, 승자승, FIFA 랭킹 순으로 순위가 결정된다. - 2005년 3월 - 튤립 혁명
튤립 혁명은 2005년 키르기스스탄 의회 선거의 부정 의혹으로 촉발된 시위로, 아스카르 아카예프 대통령의 퇴진을 가져왔으며, 조지아의 장미 혁명, 우크라이나의 오렌지 혁명과 유사한 사건이다. - 2005년 3월 - 2005년 세계 박람회
2005년 일본 아이치현에서 '자연의 지혜'를 주제로 개최된 세계 박람회는 환경 논란 후 규모 축소 및 주제 변경을 거쳐 아이치 청소년 공원을 중심으로 열렸으며, 2,200만 명 이상의 관람객과 흑자를 기록하며 21세기형 박람회 모델로 평가받아 국제박람회기구로부터 등록박람회로 인정받았다. - 2005년 2월 - 제11회 미국 배우 조합상
2004년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뛰어난 연기를 보여준 배우들에게 수여된 제11회 미국 배우 조합상은 영화 부문 앙상블상에 《사이드웨이》, 남우주연상에 제이미 폭스, 여우주연상에 힐러리 스왱크, 텔레비전 부문 앙상블 연기상에 《CSI 과학수사대》와 《위기의 주부들》,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을 사후에 제리 오바크, 공로상에 제임스 가너가 수상했다. - 2005년 2월 - 제5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2005년 제5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는 《에비에이터》가 최우수 작품상을, 마이크 리가 《베라 드레이크》로 감독상을, 제이미 폭스와 이멜다 스턴턴이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에비에이터》는 4개 부문에서 수상하여 최다 수상작이 되었다.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
---|
2. 진행 방식
이전 라운드에서 각 조 1위를 차지한 8개 팀은 4팀씩 2개 조로 나뉘어 각 조의 다른 3개 팀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1]
조 추첨은 2004년 12월 9일에 진행되었다.[5][6]
{
각 조 상위 2개 팀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
3. 조 추첨 및 시드 배정
4. 경기 결과
조 날짜 팀 1 점수 팀 2 경기장 비고 A조 2005년 2월 9일 대한민국 2–0 쿠웨이트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이동국 , 이영표 [2] 2005년 2월 9일 우즈베키스탄 1–1 사우디아라비아 파흐타코르 경기장, 타슈켄트 솔리에프 (우즈베키스탄); 알자베르 (사우디아라비아) [2] 2005년 3월 25일 사우디아라비아 2–0 대한민국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카리리 , 알카타니 (사우디아라비아) [2] 2005년 3월 25일 쿠웨이트 2–1 우즈베키스탄 카즈마 SC 스타디움, 쿠웨이트 시티 압둘라 , (쿠웨이트); 게인리흐 (우즈베키스탄) [2] 2005년 3월 30일 쿠웨이트 0–0 사우디아라비아 카즈마 SC 스타디움, 쿠웨이트 시티 [2] 2005년 3월 30일 대한민국 2–1 우즈베키스탄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이영표 , 이동국 (대한민국); 게인리흐 (우즈베키스탄) [2] 2005년 6월 3일 사우디아라비아 3–0 쿠웨이트 킹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알샬호브 , , 알하르티 (사우디아라비아) [2] 2005년 6월 3일 우즈베키스탄 1–1 대한민국 파흐타코르 경기장, 타슈켄트 샤츠키흐 (우즈베키스탄); 박주영 (대한민국) [2] 2005년 6월 8일 쿠웨이트 0–4 대한민국 카즈마 SC 스타디움, 쿠웨이트 시티 박주영 , 이동국 , 정경호 , 박지성 (대한민국) [2] 2005년 6월 8일 사우디아라비아 3–0 우즈베키스탄 킹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알자베르 , , 알하르티 (사우디아라비아) [2] 2005년 8월 17일 대한민국 0–1 사우디아라비아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알안바르 (사우디아라비아) [2] 2005년 8월 17일 우즈베키스탄 3–2 쿠웨이트 파흐타코르 경기장, 타슈켄트 제파로프 , 샤츠키흐 , 솔리에프 (우즈베키스탄); 알무타와 , 압둘라 (쿠웨이트) [2] B조 2005년 2월 9일 일본 2–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오가사와라 , 오구로 (일본); 남성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 2005년 2월 9일 바레인 0–0 이란 바레인 국립 경기장, 리파 2005년 3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2 바레인 김일성경기장, 평양 박성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알리 , (바레인) 2005년 3월 25일 이란 2–1 일본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하셰미안 , (이란); 후쿠니시 (일본) 2005년 3월 3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2 이란 김일성경기장, 평양 마다비키아 , 네쿠남 (이란) 2005년 3월 30일 일본 1–0 바레인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살민 (일본) 2005년 6월 3일 이란 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레자에이 (이란) 2005년 6월 3일 바레인 0–1 일본 바레인 국립 경기장, 리파 오가사와라 (일본) 2005년 6월 8일 이란 1–0 바레인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노스라티 (이란) 2005년 6월 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2 일본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태국) 야나기사와 , 오구로 (일본); 무관중 경기[4] 2005년 8월 17일 일본 2–1 이란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요코하마 가지 , 오구로 (일본); 다에이 (이란) 2005년 8월 17일 바레인 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바레인 국립 경기장, 리파 이사 , 알리 (바레인); 최철만, 김철호, 안철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1. A조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A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우즈베키스탄, 쿠웨이트가 맞붙었다.[2]
사우디아라비아가 4승 2무(승점 14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이 3승 1무 2패(승점 10점)로 조 2위를 기록하여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2] 우즈베키스탄은 1승 2무 3패(승점 5점)로 3위, 쿠웨이트는 1승 1무 4패(승점 4점)로 4위를 기록했다.
A조 경기 결과[2]
대한민국 vs 쿠웨이트 | 2–0 |
---|---|
우즈베키스탄 vs 사우디아라비아 | 1–1 |
사우디아라비아 vs 대한민국 | 2–0 |
쿠웨이트 vs 우즈베키스탄 | 2–1 |
쿠웨이트 vs 사우디아라비아 | 0–0 |
대한민국 vs 우즈베키스탄 | 2–1 |
사우디아라비아 vs 쿠웨이트 | 3–0 |
우즈베키스탄 vs 대한민국 | 1–1 |
쿠웨이트 vs 대한민국 | 0–4 |
사우디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 3–0 |
대한민국 vs 사우디아라비아 | 0–1 |
우즈베키스탄 vs 쿠웨이트 | 3–2 |
4. 1. 1. 대한민국 경기 결과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조에 속해 사우디아라비아, 우즈베키스탄, 쿠웨이트와 경기를 치렀다.[2]- '''대한민국 vs 쿠웨이트''' (2–0 승):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이동국과 이영표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2]
- '''사우디아라비아 vs 대한민국''' (2–0 패): 사우디아라비아 원정에서 0-2로 패배하였다.[2]
- '''대한민국 vs 우즈베키스탄''' (2–1 승):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이영표와 이동국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2]
- '''우즈베키스탄 vs 대한민국''' (1–1 무): 우즈베키스탄 원정에서 박주영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2]
- '''쿠웨이트 vs 대한민국''' (0–4 승): 쿠웨이트 원정에서 박주영, 이동국, 정경호, 박지성의 골로 4-0 대승을 거두었다.[2]
- '''대한민국 vs 사우디아라비아''' (0–1 패):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에서 0-1로 패배하였다.[2]
최종 결과 대한민국은 3승 1무 2패, 승점 10점으로 조 2위를 기록하여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
4. 2. B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일본 | 15 | 6 | 5 | 0 | 1 | 9 | 4 | +5 |
이란 | 13 | 6 | 4 | 1 | 1 | 7 | 3 | +4 |
바레인 | 4 | 6 | 1 | 1 | 4 | 4 | 7 | -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6 | 1 | 0 | 5 | 5 | 11 | -6 |
- '''일본'''과 '''이란'''이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 '''바레인'''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탈락했다.
날짜 | 팀 1 | 점수 | 팀 2 | 경기장 | 비고 |
---|---|---|---|---|---|
2005년 2월 9일 | 일본 | 2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사이타마 | 오가사와라, 오구로 득점 (일본); 남성철 득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7] |
2005년 2월 9일 | 바레인 | 0 - 0 | 이란 | 리파 | |
2005년 3월 2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2 | 바레인 | 평양 | 박성관 득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알리 2득점 (바레인) |
2005년 3월 25일 | 이란 | 2 - 1 | 일본 | 테헤란 | 하셰미안 2득점 (이란); 후쿠니시 득점 (일본) |
2005년 3월 3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2 | 이란 | 평양 | 마다비키아, 네쿠남 득점 (이란) |
2005년 3월 30일 | 일본 | 1 - 0 | 바레인 | 사이타마 | 살민 자책골 (일본) |
2005년 6월 3일 | 이란 | 1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테헤란 | 레자에이 득점 (이란) |
2005년 6월 3일 | 바레인 | 0 - 1 | 일본 | 리파 | 오가사와라 득점 (일본) |
2005년 6월 8일 | 이란 | 1 - 0 | 바레인 | 테헤란 | 노스라티 득점 (이란) |
2005년 6월 8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2 | 일본 | 방콕 (태국) | 야나기사와, 오구로 득점 (일본); 무관중 경기[4] |
2005년 8월 17일 | 일본 | 2 - 1 | 이란 | 요코하마 | 가지, 오구로 득점 (일본); 다에이 페널티킥 득점 (이란) |
2005년 8월 17일 | 바레인 | 2 - 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리파 | 이사, 알리 득점 (바레인); 최철만, 김철호, 안철혁 득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국가대표팀 | 득점 |
---|---|---|---|
1 | 이동국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4 |
1 | 알리 카리미 | ایران|이란fa | 4 |
1 | 자바드 네쿠남 | ایران|이란fa | 4 |
4 | 안정환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3 |
4 | 박지성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3 |
4 | 박주영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3 |
4 | 이영표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3 |
4 | 알리 나세르 알가나미 |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 | 3 |
4 | 사미 알자베르 |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 | 3 |
4 | 사우드 카리리 |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 | 3 |
4 | 모하메드 알샬후브 |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 | 3 |
4 | 야세르 알카타니 |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 | 3 |
4 | 바데르 알무타와 | الكويت|쿠웨이트ar | 3 |
4 | 마크 비두카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3 |
4 |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3 |
4 | 막심 샤츠키흐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3 |
2골을 기록한 선수, 1골을 기록한 선수, 자책골을 기록한 선수는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Cup 2006 Qualifying
https://www.rsssf.or[...]
2009-11-26
[2]
웹사이트
2006 FIFA World Cup Germany Preliminaries: Asian Zone
http://www.fifa.com/[...]
2008-01-11
[3]
웹사이트
FIFA decision on N Korea on April 29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The-AFC.com
2005-04-27
[4]
웹사이트
FIFA.com - Korea DPR to play Japan in Thailand
https://www.fifa.com[...]
FIFA|FIFA.com
2005-05-09
[5]
뉴스
獨월드컵 예선 홈3경기 서울서
http://sports.news.n[...]
2018-04-08
[6]
뉴스
한국, 사우디등과 한 조‥독일월드컵 최종예선
http://sports.news.n[...]
2018-04-08
[7]
문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바레인, 이란과의 홈 경기에서 일어난 관중들의 폭동에 대한 FIFA의 징계에 따라 일본과의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태국 방콕에서 관중 없이 치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