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김일성경기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김일성경기장은 평양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1926년 기림리공설운동장으로 건설되어 경평 축구 경기가 열렸다.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다가 1969년 모란봉경기장으로 재건되었고, 1982년 김일성 생일을 기념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며, 약 5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며, 2010년과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대한민국과의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매년 평양 마라톤의 출발점 및 결승점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시의 스포츠 시설 - 류경정주영체육관
    류경정주영체육관은 북한 평양에 위치한 15,000명 수용 규모의 실내 체육 시설로, 현대 그룹과 북한의 합의로 건설되어 남북 교류 관련 주요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특히 2013년에는 북한에서 대한민국 국기가 게양되고 애국가가 연주되기도 했다.
  • 평양시의 스포츠 시설 - 평양빙상관
    평양빙상관은 1982년 평양에 건설된 6,000석 규모의 북한 최대 실내 아이스 링크 경기장으로, 아이스하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에 사용되며, 김일성 주석의 지시로 건설되었고, 백두산상 국제 피겨 스케이팅 축전과 IIHF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 1926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산 시로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AC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 두 팀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스포츠 이벤트와 콘서트가 개최되며, 2026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나 신구장 건설 계획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 1926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메탈리스트 경기장
    메탈리스트 경기장은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1926년에 개장하여 여러 차례 개조 공사를 거쳐 UEFA 유로 2012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FC 메탈리스트 1925 하르키우의 홈 구장으로 사용된다.
김일성경기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일성경기장 서쪽에서 본 모습
김일성경기장 서쪽에서 본 모습
위치평양직할시
이전 명칭기림리 경기장
모란봉 경기장
개장1926년 (원래)
1969년 (현재)
개보수1982년
표면인조 잔디, 육상 트랙
건축가김일성 조선 노동자 단체
건설 비용5,325억 북한 원
수용 인원50,000명
대중교통[[파일:Logo of the Pyongyang Metro.svg|22px|link=평양 지하철]] 천리마선: 개선역
사용
임차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평양 연고 축구단

2. 역사

김일성경기장은 원래 1926년 일제에 의해 '''기림리공설운동장'''으로 건설되었으며,[1]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경성 FC와 평양 FC 간의 연례 경평 축구 경기가 열렸다.

분단 이후 정치인들의 연설 장소로 사용되었다. 1945년 10월 14일,[3] 김일성이 평양 해방 후 행한 승리 연설 "새로운 민주주의 조선 건설을 위한 모든 노력"이 열린 장소이기도 하다.[2][3]

1950년에서 1953년까지의 한국 전쟁 동안 경기장의 대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주로 미국의 수도 공습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1969년에 재건되었으며, 당시에는 '''모란봉경기장'''이라고 불렸으나, 1982년 4월에 개조되어 김일성을 기려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며, 1990년대까지 집단체조가 이곳에서 열렸다(현재는 5·1 경기장에서 개최).

대동강 서안, 개선문 동쪽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모란봉 경기장"이라는 소규모 운동장이었으나, 1982년 김일성주석이 70세 생일을 맞이한 것을 기념하여 개칭됨과 동시에 확장되었다[6].

수용 가능 인원은 약 5만 명[7]이다. 육상트랙과 인조 잔디 축구 코트를 갖춘 경기장이다.

매년 4월에 열리는 만경대상 국제 마라톤(평양 국제 마라톤)에서는, 본 경기장이 출발/골인 지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2. 1. 일제강점기 (1926-1945)

김일성경기장은 원래 1926년 일본에 의해 '''기림리공설운동장'''으로 건설되었으며,[1]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경성 FC와 평양 FC 간의 연례 경평 축구 경기가 열렸다. 분단 이후 정치인들의 연설 장소로 사용되었다. 1945년 10월 14일,[3] 김일성이 평양 해방 후 행한 승리 연설 "새로운 민주주의 조선 건설을 위한 모든 노력"이 열린 장소이기도 하다.[2][3]

2. 2. 해방 이후 (1945-1950)

해방 이후, 김일성경기장은 정치인들의 연설 장소로 사용되었다.[3] 1945년 10월 14일에는 김일성이 평양 해방 후 첫 승리 연설인 "새로운 민주주의 조선 건설을 위한 모든 노력"을 이곳에서 했다.[2][3]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이어진 한국 전쟁 동안 경기장은 대부분 파괴되었는데, 주로 미국의 평양 폭격으로 인한 피해였다.

2. 3. 한국전쟁과 재건 (1950-1982)

김일성경기장은 원래 1926년 일본에 의해 '''기림리공설운동장'''으로 건설되었으며,[1]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경성 FC와 평양 FC 간의 연례 경평 축구 경기가 열렸다.

분단 이후 정치인들의 연설 장소로 사용되었다. 1945년 10월 14일,[3] 김일성이 평양 해방 후 행한 승리 연설 "새로운 민주주의 조선 건설을 위한 모든 노력"이 열린 장소이기도 하다.[2][3][3]

1950년에서 1953년까지의 한국 전쟁 동안 경기장의 대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주로 미국의 공습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1969년에 재건되었으며, 당시에는 '''모란봉경기장'''이라고 불렸다. 1982년 4월에 개조되어 김일성을 기려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며, 1990년대까지 집단체조가 이곳에서 열렸다.

2. 4. 현재 (1982-현재)

1969년에 재건된 모란봉경기장은 1982년 4월에 김일성의 70세 생일을 기념하여 개조 및 개칭되었다.[6]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었으며, 1990년대까지 집단체조가 이곳에서 열렸으나 현재는 5·1 경기장에서 개최된다. 오늘날 김일성경기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평양시체육단기관차체육단의 홈 구장으로 사용된다.

2008년에는 2010년 월드컵 예선 경기 중 평양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대한민국과의 두 차례 경기가 북한 당국이 김일성경기장에서 애국가를 연주하거나 대한민국 국기를 게양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아 상하이로 옮겨져야 했다.[1] 북한과 대한민국은 서로 공식적인 외교적 승인을 한 적이 없다.

매년 열리는 평양 마라톤의 시작과 결승점이 김일성경기장에서 열린다.[6] 대동강 서안, 개선문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수용 가능 인원은 약 5만 명이다.[7] 육상 트랙과 인조 잔디 축구 코트를 갖추고 있다. 매년 4월에 열리는 만경대상 국제 마라톤(평양 국제 마라톤)의 출발 및 골인 지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3. 경기 및 행사

오늘날 김일성경기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평양시체육단기관차체육단의 홈 구장으로 사용된다.

2005년 3월 30일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B조 최종 예선의 북한-이란 경기에서는, 심판의 판정에 격분한 관중들이 의자를 경기장에 던지고, 이란 대표팀을 태운 버스를 에워싸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북한은 FIFA로부터 2만 스위스 프랑의 제재금을 부과받았고, 같은 해 6월 8일 본 경기장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최종 예선 북한-일본 경기는 태국에서의 제3국 무관중 경기가 되었다[6]

2008년, 두 차례에 걸쳐 2010년 월드컵 예선 경기, 평양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대한민국과의 경기가 북한 당국이 김일성경기장에서 애국가를 연주하거나 대한민국 국기를 게양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아 상하이로 옮겨져야 했다. 북한과 대한민국은 서로 공식적인 외교적 승인을 한 적이 없다.

2011년 11월 15일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3차 예선 C조에서는, 본 경기장에서 북한-일본 경기가 개최되었다. 일본 경기가 평양 시내에서 개최된 것은 22년 만이었다[8]

2019년 10월 15일에 열린,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차 예선 H조의 북한-대한민국 경기에서는, 북한이 선수단을 제외한 한국 측 인원의 방북을 설명 없이 모두 불허했기 때문에, 경기 중계 방송이 실시되지 않았고, 북한 측 관중도 동원되지 않아 사실상 무관중 경기가 되었으며, 대한민국 대표팀은 취재진이나 응원단이 한 명도 없는 상황에서 경기를 치러야 했다[8][9][10] (이후 북한의 출전 포기로 인해 경기 결과는 무효 처리되었다).

매년 열리는 평양 마라톤의 시작과 결승점이 김일성경기장에서 열린다.

3. 1. 클럽 축구

평양시를 연고로 하는 일부 팀들이 김일성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AFC컵에 출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부류축구련맹전 소속 팀들이 이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삼아 대회에 나섰다.[12]

2019년 11월 2일 이 곳에서 AFC컵 결승전이 열릴 예정이었으나, 2019년 10월 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마케팅 권리에 대한 보장 미비 및 방송 중계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개최권을 박탈하여 실제 경기는 열리지 못했다.[12]

3. 2. 국가대표 축구

김일성경기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남녀 축구대표팀의 홈구장으로 A매치와 같은 많은 국가대표팀 경기가 개최되고 있다.[1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김일성경기장에서 2005년 3월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월드컵 예선전 패배 이후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았다.[13]

2008년, 2010년 월드컵 예선 경기 중 평양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대한민국과의 경기는, 북한 당국이 김일성경기장에서 애국가 연주와 대한민국 국기 게양을 허용하지 않아 상하이로 장소가 변경되었다.[13]

2005년 3월 30일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B조 최종 예선 북한-이란 경기에서는 심판 판정에 격분한 관중들이 난동을 부려 FIFA로부터 제재를 받았다.[6] 이로 인해 6월 8일 예정되었던 북한-일본 경기는 태국에서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다.[6]

2011년 11월 15일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3차 예선 C조 북한-일본 경기는 22년 만에 평양에서 개최되었다.[8]

2019년 10월 15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차 예선 H조 북한-대한민국 경기는 북한이 한국 측 인원의 방북을 불허하여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고, 중계 방송도 이루어지지 않았다.[8][9][10]

3. 3. 주요 국제 경기

김일성경기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남녀 축구대표팀의 홈구장으로 A매치와 같은 많은 국가대표팀 경기가 개최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 경기장에서 2005년 3월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월드컵 예선전 패배 이후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았다.[13]

2008년, 2010년 월드컵 예선 경기 중 평양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대한민국과의 경기는, 북한 당국이 애국가 연주와 대한민국 국기 게양을 허용하지 않아 상하이로 장소가 변경되었다.

2005년 3월 30일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B조 최종 예선 북한-이란 경기에서는 심판 판정에 격분한 관중들이 난동을 부려, 북한은 FIFA로부터 제재금을 부과받았고, 6월 8일 예정되었던 북한-일본 경기는 태국에서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다.[6]

2011년 11월 15일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3차 예선에서는 북한-일본 경기가 22년 만에 평양에서 개최되었다.[8]

2019년 10월 15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차 예선 북한-대한민국 경기는 북한이 한국 측 인원의 방북을 불허하여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고, 대한민국 대표팀은 취재진이나 응원단 없이 경기를 치렀다.[8][9][10] (이후 북한의 출전 포기로 인해 경기 결과는 무효 처리).

매년 열리는 평양 마라톤의 시작과 결승점이 김일성경기장에서 열린다.

3. 4. 평양 마라톤

김일성경기장은 매년 열리는 평양 마라톤의 출발점이자 결승점이다. 밋밋한 경기장 디자인에 김일성김정일의 초상화를 걸어 놓아 분위기를 최대한 을씨년스럽게 만들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홈 경기를 이곳에서 하는데 이 분위기를 이용해 홈 한정으로 무패 전적을 기록하고 있다.

2008년, 두 차례에 걸쳐 2010년 월드컵 예선 경기가 평양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북한 당국이 김일성경기장에서 애국가를 연주하거나 대한민국 국기를 게양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아 상하이로 옮겨져야 했다. 북한과 대한민국은 서로 공식적인 외교적 승인을 한 적이 없다.

4.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2008년 3월 26일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원정 경기, 2008년 9월 10일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원정 경기를 평양에 위치한 김일성경기장 대신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위치한 훙커우 축구장에서 치렀다.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에게 대한 국가를 인정 하지 못해서 태극기 게양과 애국가 연주를 거부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1일까지 평양에서 열린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B조 경기를 이 곳에서 치렀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콩, 우즈베키스탄을 상대로 경기를 치렀으며 예선 B조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2019년 10월 15일에 열리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2022년 월드컵 2차 예선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이 김일성경기장에서 경기를 열기로 하면서 대한민국 남자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예선 평양 원정을 떠나는 것이 확정되었다. 이 경기에서 양 팀은 0-0으로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경기 외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측은 무관중으로 경기를 진행했으며 대한민국에 실시간 중계도 허락하지 않아 많은 화제를 낳았다.[14] 이 경기는 심판을 비롯한 최소한의 진행요원과 양팀 구성원만 참가해 최소한의 인원만으로 치뤄진 경기였다. 이후 북한의 출전 포기로 인해 경기 결과는 무효 처리되었다.[8][9][10]

4. 1.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2008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2008년 3월 26일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원정 경기, 2008년 9월 10일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원정 경기를 평양에 위치한 김일성경기장 대신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위치한 훙커우 축구장에서 치렀다.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에게 대한 국가를 인정 하지 못해서 태극기 게양과 애국가 연주를 거부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4. 2.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2017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원정 경기를 평양에 위치한 김일성경기장 대신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위치한 훙커우 축구장에서 치렀다.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태극기 게양과 애국가 연주를 거부했기 때문이다.[14]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1일까지 평양에서 열린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B조 경기를 이 곳에서 치렀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콩, 우즈베키스탄을 상대로 경기를 치렀으며 예선 B조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4. 3.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2019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9년 10월 15일에 김일성경기장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H조 경기를 치렀다.[14] 대한민국 남자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예선 평양 원정을 떠나는 것이 확정되었다.[14]

이 경기에서 양 팀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은 이 경기를 무관중으로 진행했으며 대한민국에 실시간 중계도 허락하지 않았다.[14] 이 경기는 심판을 비롯한 최소한의 진행요원과 양팀 구성원만 참가하여 최소한의 인원으로 치러졌다.[14]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회 포기로 인해 해당 경기 결과는 무효 처리되었다.[8][9][10]

5. 시설

5. 1. 교통

평양 지하철 천리마선의 개선역이 가장 가까운 역이다.

6. 사진



참조

[1] 뉴스 平壤府運動塲(평양부운동장) 明日(명일)부터開塲(개장)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26-09-23
[2] 서적 A Journey through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3] 서적 Korean communism, 1945–1980: a reference guide to the political syste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Hawaii 2015-07-07
[4] 뉴스 Clash of North and South Koreas ends all squar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8-09-10
[5] 서적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6] 서적 北朝鮮の歩き方 未知の国からの招待状 彩図社
[7] 웹사이트 World Stadiums: Stadiums in North Korea http://www.worldstad[...]
[8] 웹사이트 【萬物相】先行き不透明な南北サッカー https://news.livedoo[...] 2019-10-20
[9] 웹사이트 "「非正常国家と五輪共同開催とは」…無中継サッカー波紋で対北政策懐疑論が拡大" http://www.chosunonl[...] 2019-10-20
[10] 웹사이트 "サッカー:平壌からの生中継中止か、韓国政府は北の顔色ばかりうかがいお手上げ-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x[...] 2019-10-20
[11] 뉴스 평양부운동장 명일부터 개장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6-09-23
[12] 뉴스 AFC, 북한의 AFC컵 결승 홈 개최권 박탈 http://www.donga.com[...]
[13] 뉴스 인조잔디·광적인 응원… 김일성경기장은 '원정팀의 무덤' https://news.chosun.[...]
[14] 뉴스 희한한 평양 남북축구, 결국 중계도 관중도 골도 없이 끝났다 https://www.joongan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