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경기는 2008년 8월 10일 베이징 사격관에서 열렸다. 이 대회에서 궈원쥔(중국)은 492.3점(본선 390점, 결선 102.3점)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은메달은 나탈리야 파데리나(러시아), 동메달은 니노 살루크바체(조지아)가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여자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경기는 베이징 클레이 사격장에서 개최되었으며, 핀란드의 사투 매켈라-누멜라가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여자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스키트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스키트에서는 키아라 카이네로가 금메달, 킴 로드가 은메달, 크리스틴 브링커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결선에서 키아라 카이네로, 킴벌리 로드, 크리스틴 브링커는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경기는 팡웨이가 금메달, 진종오가 은메달, 제이슨 터너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김정수는 도핑 테스트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권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권총은 베이징 사격관에서 진행된 종목으로, 진종오가 금메달, 탄 종량이 은메달, 블라디미르 이사코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은메달을 획득했던 김정수는 도핑 문제로 실격 처리되었다. - 올림픽 사격 -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은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6일까지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사격은 권총, 소총, 클레이 종목으로 진행되어 총 15개의 메달이 수여되었으며, 중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 신기록이 수립된 대회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여자 10m 공기권총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
경기장 | 베이징 사격관 |
날짜 | 2008년 8월 10일 |
참가 선수 | 44명 |
참가 국가 | 30개국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12 |
메달 정보 | |
금메달 | 궈원쥔 |
금메달 국가 | CHN |
은메달 | 나탈리야 파데리나 |
은메달 국가 | RUS |
동메달 | 니노 살루크바체 |
동메달 국가 | GEO |
우승 점수 | 492.3 (OR) |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경기는 베이징 베이징 사격관에서 열렸다.
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베이징 사격관 | 전 경기 |
2. 1. 베이징 사격관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경기는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사격관에서 열렸다.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베이징 사격관 | 전 경기 |
경기는 중국 표준시(UTC+8) 기준으로 2008년 8월 10일에 진행되었다.
3. 경기 일정
시간 경기 9:00-11:15 본선 12:00-12:20 결선
3. 1. 본선
2008년 8월 10일 오전 9시부터 11시 15분까지 본선 경기가 진행되었다.[1] 경기는 중국 표준시(UTC+8) 기준이다.[1]
3. 2. 결선
2008년 8월 10일 12시부터 12시 20분까지 결선 경기가 진행되었다.[1]
4. 기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종목에서는 예선과 결선에서 모두 올림픽 신기록이 나왔다. 나탈리아 파데리나 (러시아)가 예선에서 391점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고, 궈원쥔 (중화인민공화국)은 결선에서 492.3점(390+102.3)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땄다.[1]
4. 1. 기존 기록
이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유형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예선 세계 기록 | 스베틀라나 스미르노바 (러시아) | 393점 | 뮌헨|뮌헨de (독일) | 1998년 5월 23일 |
예선 올림픽 기록 | 마리나 로그비넨코 (러시아) | 390점 | 애틀랜타 (미국) | 1996년 7월 21일 |
타오 루나 (중화인민공화국) | 아테네 (그리스) | 2004년 8월 17일 | ||
결선 세계 기록 | 런제(任洁|런제중국어) | 493.5점(390+103.5) | 뮌헨|뮌헨de (독일) | 1999년 5월 22일 |
결선 올림픽 기록 | 올가 클로치네바 (러시아) | 490.1점(389+101.1) | 애틀랜타 (미국) | 1996년 7월 21일 |
이 대회에서 나탈리아 파데리나가 예선 올림픽 기록을, 궈원쥔이 결선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1]
4. 1. 1. 예선 기록
이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유형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예선 세계 기록 | 스베틀라나 스미르노바 (러시아) | 393점 | 뮌헨|뮌헨de (독일) | 1998년 5월 23일 |
예선 올림픽 기록 | 마리나 로그비넨코 (러시아) | 390점 | 애틀랜타 (미국) | 1996년 7월 21일 |
타오 루나 (중화인민공화국) | 아테네 (그리스) | 2004년 8월 17일 |
나탈리아 파데리나가 예선에서 391점으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1]
4. 1. 2. 결선 기록
세계 기록은 런제(任洁|런제중국어)가 1999년 5월 22일 독일 뮌헨에서 세운 493.5점(390+103.5)이고, 올림픽 기록은 올가 클로치네바가 1996년 애틀란타에서 세운 490.1점(389+101.1)이었다.[1]이 대회에서 나탈리아 파데리나가 예선 기록을 391점으로, 궈원쥔이 결선 기록을 492.3점(390+102.3)으로 경신하며 두 올림픽 기록이 모두 깨졌다.[1]
4. 2. 대회 기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종목에서는 나탈리야 파데리나(러시아)와 궈원쥔(중화인민공화국)이 각각 예선과 결선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4. 2. 1. 예선 기록
Наталья Падерина|나탈리야 파데리나ru (러시아)가 391점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4. 2. 2. 결선 기록
궈원쥔(중화인민공화국)이 492.3점(390+102.3)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2]5. 경기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경기는 본선과 결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본선에서는 각 선수당 40발을 사격하여 상위 8명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에서는 본선 성적에 10발의 추가 사격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본선 결과, 러시아의 나탈리야 파데리나가 391점으로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1위로 결선에 진출했고, 중국의 궈원쥔이 390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의 김윤미는 382점으로 16위를 기록,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결선에서는 궈원쥔이 102.3점을 추가하여 총점 492.3점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달성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나탈리야 파데리나는 98.1점을 추가하여 총점 489.1점으로 은메달, 조지아의 니노 살루크바체는 101.4점을 추가해 총점 487.4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선수 | 국가 | 본선 | 결선 | 총점 | 비고 |
---|---|---|---|---|---|---|
궈원쥔|궈원쥔중국어 | 중국 | 390 | 102.3 | 492.3 | 올림픽 기록 | |
Наталья Падерина|나탈리야 파데리나ru | 러시아 | 391 | 98.1 | 489.1 | ||
ნინო სალუქვაძე|니노 살루크바체ka | 조지아 | 386 | 101.4 | 487.4 | ||
4 | 빅토리아 차이카 | 벨라루스 | 384 | 98.0 | 482.0 | |
5 | 미로스와바 사군레반도프스카 | 폴란드 | 384 | 97.3 | 481.3 | |
6 | 야스나 셰카리치 | 세르비아 | 384 | 96.9 | 480.9 | |
7 | 미라 네반수 | 핀란드 | 384 | 96.5 | 480.5 | |
8 | Цогбадрахын Мөнхзул|촉바드라힌 뭉크줄mn | 몽골 | 387 | 92.6 | 479.6 |
- OR: 올림픽 기록
5. 1. 본선
순위 | 선수 | 국가 | 1 | 2 | 3 | 4 | 총점 | 비고 |
---|---|---|---|---|---|---|---|---|
1 | 나탈리야 파데리나 | 97 | 98 | 98 | 98 | 391 | Q 올림픽 기록 | |
2 | 궈원쥔 | 96 | 98 | 99 | 97 | 390 | Q | |
3 | 초그바드라킨 몽크줄 | 96 | 95 | 97 | 99 | 387 | Q | |
4 | 니노 살루크바제 | 97 | 96 | 96 | 97 | 386 | Q | |
5 | 빅토리아 차이카 | 97 | 94 | 96 | 97 | 384 | Q | |
6 | 야스나 셰카리치 | 96 | 94 | 98 | 96 | 384 | Q | |
7 | 미로스와바 사군레반도프스카 | 95 | 96 | 97 | 96 | 384 | Q | |
8 | 미라 네반수 | 99 | 95 | 95 | 95 | 384 | Q | |
9 | 스베틀라나 스미르노바 | 96 | 95 | 94 | 98 | 383 | ||
10 | 클라우디아 베르디치오 | 93 | 98 | 96 | 96 | 383 | ||
11 | 마리아 그로즈데바 | 96 | 93 | 95 | 98 | 382 | ||
12 | 오트리야드 군데그마 | 97 | 93 | 95 | 97 | 382 | ||
13 | 자우레시 바이부시노바 | 94 | 94 | 98 | 96 | 382 | ||
14 | 소니아 프란케트 | 93 | 97 | 96 | 96 | 382 | ||
15 | 조영숙 | 98 | 96 | 93 | 95 | 382 | ||
16 | 김윤미 | 96 | 95 | 97 | 94 | 382 | ||
17 | 코르넬리아 프뢸리히 | 96 | 96 | 94 | 95 | 381 | ||
18 | 랠리타 야울레우스카야 | 97 | 95 | 96 | 93 | 381 | ||
19 | 런제 | 97 | 96 | 95 | 93 | 381 | ||
20 | 탄야폰 프륵사꼰 | 95 | 95 | 93 | 97 | 380 | ||
21 | 이호림 | 92 | 97 | 95 | 96 | 380 | ||
22 | 황이린 | 96 | 93 | 94 | 96 | 379 | ||
23 | 브리지트 루아 | 93 | 94 | 97 | 95 | 379 | ||
24 | 뭉크바야르 도리수렌 | 95 | 93 | 97 | 94 | 379 | ||
25 | 마리아 필라르 페르난데스 | 93 | 97 | 96 | 93 | 379 | ||
26 | 렌카 마루슈코바 | 96 | 96 | 94 | 93 | 379 | ||
27 | 잔드라 콜리 | 94 | 92 | 97 | 95 | 378 | ||
28 | 마우라 제노베시 | 94 | 94 | 95 | 95 | 378 | ||
29 | 촌커 조피어 | 94 | 93 | 97 | 94 | 378 | ||
30 | 스와보미라 슈페크 | 95 | 95 | 94 | 94 | 378 | ||
31 | 올레나 코스테우이치 | 98 | 93 | 94 | 93 | 378 | ||
32 | 이레나 타노바 | 96 | 93 | 95 | 93 | 377 | ||
33 | 스테파니 티로드 | 96 | 94 | 94 | 93 | 377 | ||
34 | 루이사 마이다 | 94 | 93 | 93 | 95 | 375 | ||
35 | 미하엘라 무실로바 | 95 | 94 | 93 | 93 | 375 | ||
36 | 디나 아스판디야로바 | 96 | 96 | 94 | 89 | 375 | ||
37 | 브렌다 신 | 89 | 98 | 93 | 93 | 373 | ||
38 | 후쿠시마 미치코 | 91 | 94 | 97 | 91 | 373 | ||
39 | 애비애나 차오 | 89 | 93 | 94 | 94 | 370 | ||
40 | 린디타 코드라 | 92 | 93 | 93 | 92 | 370 | ||
41 | 레베카 스나이더 | 93 | 92 | 94 | 91 | 370 | ||
42 | 자나 샤피알레비치 | 91 | 92 | 95 | 90 | 368 | ||
43 | 카롤리나 로사도 | 93 | 92 | 92 | 90 | 367 | ||
44 | 파트리시아 윌카 | 90 | 91 | 27 | 208 | DNF |
'''DNF''' 기권 – '''OR''' 올림픽 기록 – '''Q''' 결선 진출
5. 2. 결선
'''OR'''은 올림픽 기록을 의미한다.
6. 메달리스트
참조
[1]
간행물
Russian and Georgian medalists embrace on podium
https://www.theguard[...]
2008-08-10
[2]
웹사이트
Olympics 2008: Shooting | Sport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
[3]
웹사이트
Beijing 2008 Shooting - Olympic Results by Discipline
https://www.olympic.[...]
[4]
웹사이트
2008 Summer Olympics Shooting Results - Beijing, China - ESPN
http://www.espn.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