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3~2014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2014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시즌은 2013년 10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5개의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했다. 이 기간 동안 아마라, 브루스, 헬렌과 같은 강력한 사이클론이 발생하여 로드리게스, 모리셔스, 마다가스카르 등에 피해를 입혔다. 이 시즌에는 1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피해액은 8920만 달러 이상으로 추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재난 - 2013년 사바르 건물 붕괴 사고
    2013년 4월 24일 방글라데시 사바르에서 발생한 건물 붕괴 사고로 1,129명이 사망하고 2,500명이 부상당했으며, 이는 방글라데시 의류 산업의 열악한 노동 환경과 안전 기준 미비를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 2013년 재난 - 노량진 배수지 수몰 사고
    노량진 배수지 수몰 사고는 2012년 집중 호우로 노량진 배수지 송수관 공사 현장 터널로 물이 유입되어 작업자 7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부실한 안전 관리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연도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 2010~2011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2010-2011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시즌은 라니냐 현상과 워커 순환의 영향으로 사이클론 활동이 활발했으며, 사이클론 빙기자가 마다가스카르에 큰 피해를 입혔다.
  • 연도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 2011~2012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2011-2012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은 2011년 12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발생한 14개의 열대 저기압, 열대 폭풍, 사이클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리나가 마다가스카르에 큰 피해를 입히고 푼소와 지오바나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2013~2014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정보
기저남서인도양
연도2014년
추적2013-2014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요약.png
첫 폭풍 형성2013년 10월 23일
마지막 폭풍 소멸2014년 4월 6일
가장 강력한 폭풍 이름헬렌
가장 강력한 폭풍 기압915
가장 강력한 폭풍 풍속125
평균 풍속10
총 요란15
총 저기압13
총 폭풍11
총 허리케인5
총 강렬5
총 슈퍼2 (최고 기록, 2014–15 및 2022–23 시즌과 동률)
ACE 지수103.68
사망자총 11명
피해액 (최소)89.2
이전 다섯 시즌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오스트레일리아 시즌2013–14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사이클론 시즌
남인도 시즌2013–14 남태평양 사이클론 시즌
사이클론 활동
연도2013
해역남서인도양
전체 경로 그림2013-2014 South-West Indian Ocean cyclone season summary.png
시작일2013년 7월 8일
종료일2014년 4월 6일
발생 수열대 요란 15개, 열대 저기압 12개, 열대 폭풍 10개, 사이클론 5개; 아열대 저기압 1개

2. 시즌 타임라인



ImageSize = width:800 height:200

PlotArea = top:10 bottom:80 right:20 left:20

Legend = columns:3 left:30 top:58 columnwidth:250

AlignBars = early

DateFormat = dd/mm/yyyy

Period = from:01/10/2013 till:30/04/2014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ScaleMinor = grid:black unit:month increment:1 start:01/10/2013

Colors =

id:canvas value:gray(0.88)

id:GP value:red

id:ZD value:rgb(0,0.52,0.84) legend:열대요란/열대저기압_=_≤31노트_(≤57_km/h)

id:TD value:rgb(0.43,0.76,0.92) legend:열대성_저기압/아열대성_저기압_=_32–38노트_(59–70_km/h)

id:TS value:rgb(0.30,1,1) legend:중간_강도_열대폭풍_=_39–54노트_(71–100_km/h)

id:ST value:rgb(0.75,1,0.75) legend:강한_열대폭풍_=_55–73노트_(102–134_km/h)

id:TC value:rgb(1,0.85,0.55) legend:열대_사이클론_=_74–103노트_(135–191_km/h)

id:IT value:rgb(1,0.45,0.54) legend:강한_열대_사이클론_=_104–133노트_(193–246_km/h)

id:VI value:rgb(0.55,0.46,0.9) legend:매우_강한_열대_사이클론_=_≥134노트_(≥248_km/h)

Backgroundcolors = canvas:canvas

BarData =

barset:Hurricane

bar:Month

PlotData=

barset:Hurricane width:11 align:left fontsize:S shift:(4,-4) anchor:till

from:23/10/2013 till:27/10/2013 color:TS text:"01 (MTS)"

from:14/12/2013 till:27/12/2013 color:IT text:"아마라 (ITC)"

from:20/12/2013 till:23/12/2013 color:VI text:"브루스 (VITC)"

from:27/12/2013 till:04/01/2014 color:IT text:"베지사 (ITC)"

from:07/01/2014 till:10/01/2014 color:TD text:"05 (TDe)"

from:09/01/2014 till:14/01/2014 color:IT text:"콜린 (ITC)"

from:14/01/2014 till:22/01/2014 color:TS text:"델리웨 (MTS)"

barset:break

from:16/01/2014 till:20/01/2014 color:ZD text:"08 (ZoDW)"

from:24/01/2014 till:31/01/2014 color:ZD text:"09 (TDi)"

from:03/02/2014 till:07/02/2014 color:ST text:"에딜슨 (STS)"

from:05/02/2014 till:16/02/2014 color:ST text:"포반 (STS)"

from:17/02/2014 till:21/02/2014 color:ST text:"기토 (STS)"

from:25/02/2014 till:01/03/2014 color:TD text:"13 (SD)"

from:26/03/2014 till:05/04/2014 color:VI text:"헬렌 (VITC)"

barset:break

from:03/04/2014 till:06/04/2014 color:TS text:"이바노 (MTS)"

bar:Month width:5 align:center fontsize:S shift:(0,-20) anchor:middle color:canvas

from:01/10/2013 till:31/10/2013 text:10월

from:01/11/2013 till:30/11/2013 text:11월

from:01/12/2013 till:31/12/2013 text:12월

from:01/01/2014 till:31/01/2014 text:1월

from:01/02/2014 till:28/02/2014 text:2월

from:01/03/2014 till:31/03/2014 text:3월

from:01/04/2014 till:30/04/2014 text:4월

TextData =

pos:(525,23)

text:"(자세한 내용은"

pos:(672,23)

text:"규모를 참조하십시오.)"


2. 1. 10월

10월 25일 낮 12시에 디에고가르시아 남서쪽 약 200nmi 부근 해상에서 제1호 열대요란이 발생하였다. 당시 제1호 열대요란은 아열대 고기압을 따라 서남서진하였다. 약한 윈드 시어와 강한 상층 발산에 힘입어 점차 발달하여 10월 26일 오전 6시에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하였다. 그러나 섭씨 26~27도의 약간 낮은 수온과 약한 하층 수렴의 영향으로 하층 순환 중심이 대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으로부터 멀어졌다. 게다가 10월 27일부터는 윈드 시어도 강해져 더 이상 발달하지 못했고, 아열대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향을 서쪽으로 틀던 제1호 열대저기압은 26°C 경계선을 통과하면서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결국 같은 날 정오에 열대요란으로 약화되었고, 오후 6시에는 RSMC 라 리유니온에서 마지막 사이클론 정보를 발표하였다.

2. 2. 11월

이 섹션에서는 11월에 발생한 사이클론은 없었다. 10월에 발생하여 11월까지 영향을 준 사이클론은 다음과 같다.

  • 10월 23일부터 10월 27일까지 중간 강도 열대폭풍(MTS) 등급의 "01 (MTS)"이 활동했다.

2. 3. 12월

2013년 12월 14일에는 사이클론 아마라가 발생하였고, 12월 16일에는 사이클론 브루스가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에서 이동해왔다.[1][2] 두 사이클론 모두 12월 23일에 소멸하였다.[1][2]

이름발생일소멸일10분 최대풍속최저 기압
아마라12월 14일12월 23일110노트 (205km/h)933 hPa
브루스12월 16일12월 23일125노트 (230km/h)912 hPa


2. 4. 1월

2013년 12월 28일에 발생하여 2014년 1월 6일에 소멸한 사이클론 베지사(Bejisa)는 10분 최대풍속이 90노트, 최저기압이 953hPa였다. 2014년 1월 8일에 발생하여 1월 11일에 소멸한 아열대 저기압은 10분 최대풍속이 30노트, 최저기압이 997hPa였다. 2014년 1월 9일에 발생하여 1월 16일에 소멸한 사이클론 콜린(Colin)은[1] 10분 최대풍속이 100노트, 최저기압이 930hPa였으며, 호주 근해에서 이동해 왔다.[2] 2014년 1월 16일에 발생하여 1월 18일에 소멸한 사이클론 델리웨(Deliwe)는[3] 10분 최대풍속이 45노트, 최저기압이 992hPa였다. 2014년 1월 18일에 발생하고 소멸한 열대 저기압은 10분 최대풍속이 20노트, 최저기압이 1004hPa였다.[4] 2014년 1월 28일에 발생하여 1월 29일에 소멸한 열대 저기압은 10분 최대풍속이 25노트, 최저기압이 1003hPa였다.[5]

이름발생일소멸일10분 최대풍속최저기압
베지사2013년 12월 28일2014년 1월 6일90노트953hPa
아열대 저기압2014년 1월 8일2014년 1월 11일30노트997hPa
콜린2014년 1월 9일2014년 1월 16일100노트930hPa
델리웨2014년 1월 16일2014년 1월 18일45노트992hPa
열대 저기압2014년 1월 18일2014년 1월 18일20노트1004hPa
열대 저기압2014년 1월 28일2014년 1월 29일25노트1003hPa


2. 5. 2월

2014년 2월에는 다음과 같은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다.

이름발생일소멸일10분 최대풍속1분 최대풍속최저 기압위성 사진이동 경로
에딜슨 (Edilson)2월 4일2월 8일55kn55kn980 hPa--
포반 (Fobane)2월 6일2월 14일60kn60kn975 hPa
기토 (Guito)2월 18일2월 22일60kn65kn977 hPa--
13R2월 27일2월 28일100kn-996 hPa--

[1]

2. 6. 3월

3월 27일 제14호 열대요란이 발생하였다. 이 열대요란은 이동하여 고수온 해역에 진입하면서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했고, 3월 30일 오전에 강한 열대폭풍 헬렌(Hellen)으로 발달하였다. 같은 날 강한 사이클론으로 급격히 발달하였다. 헬렌은 더 발달하여 최저 기압 915 hPa, 최대 풍속 125 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한 후 마다가스카르와의 마찰로 인해 급격히 약화되어 4월 1일 열대요란으로 하향 조정되었다. 그 이후 남서진하면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이 저기압은 4월 5일 모잠비크에 상륙한 직후 소멸하였다.

2. 7. 4월

4월 4일 디에고가르시아 섬 남동쪽 약 1155 km 부근 해상에서 제15호 열대요란이 발생하였다. 다음 날, 이 열대요란은 약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하여 '이바노에'(Ivanoe)로 명명되었다. 같은 날 강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하였으나, 몇 시간 되지 않아 다시 약화되었다. 수온이 낮아지면서 약한 열대폭풍 이바노에는 계속 약화되었다. 4월 6일 이바노에는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고, RSMC 라 리유니온에서는 마지막 사이클론 정보를 발표하였다.[1]

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분 최대 풍속10분 최대 풍속
4월 4일4월 6일980 hPa45 kt50 kt


3. 사이클론 목록

2013~2014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시즌에는 여러 사이클론이 발생하여 인도양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름발생일소멸일10분 최대 풍속최저 기압비고
제1호 약한 열대폭풍10월 23일10월 27일45노트997 hPa
아마라12월 14일12월 27일110노트933 hPa로드리게스섬에 피해
브루스12월 20일12월 23일120노트920 hPa
베지사12월 27일1월 4일95노트940 hPa
제5호 약한 아열대폭풍1월 7일1월 10일30노트999 hPa마다가스카르에 피해
콜린1월 9일1월 14일100노트945 hPa
델리웨1월 14일1월 22일35노트998 hPa마다가스카르에 피해
제8호 약한 열대요란1월 18일1월 18일20노트1004 hPa
제9호 열대요란1월 28일1월 29일25노트1003 hPa-- --
에딜슨2월 3일2월 7일55노트980 hPa모리셔스에 영향
포베인2월 5일2월 16일60노트970 hPa
구이토2월 18일2월 21일65노트965 hPa
제13호 아열대저기압2월 25일3월 1일30노트자료 없음
헬렌3월 26일4월 5일125노트915 hPa마다가스카르에 피해
이바노에4월 3일4월 6일45노트993 hPa



각 사이클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 표에서 사이클론 이름을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다.

3. 1. 열대요란 (2013년 7월)

2013년 7월 8일부터 7월 9일까지 활동한 이 열대요란에는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다.

3. 2. 제1호 약한 열대폭풍 01S

10월 25일 12시에 디에고가르시아 남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에서 제1호 열대요란이 발생하였다. 당시 제1호 열대요란은 아열대 고기압을 따라 서남서진하였다. 약한 윈드 시어와 강한 상층 발산에 힘입어 점차 발달하여 10월 26일 오전 6시에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하였다.[4][6] 그러나 섭씨 26~27도의 약간 낮은 수온과 약한 하층 수렴의 영향으로 하층 순환 중심이 대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으로부터 멀어졌다. 10월 27일부터는 윈드 시어도 강해져 더 이상 발달하지 못했고, 아열대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향을 서쪽으로 틀던 제1호 열대저기압은 26°C 경계선을 통과하면서 약화되기 시작하였다.[5][7][8][9] 같은 날 정오에 열대요란으로 약화되었고,[10] 오후 6시에는 RSMC 라 리유니온에서 마지막 사이클론 정보를 발표하였다.[12]

3. 3. 제2호 강한 사이클론 아마라

아마라는 12월 14일 몬순 골짜기 내의 교란으로부터 발달했다.[13][14] 다음 날, 이 시스템은 열대성 저기압 상태에 도달했다.[15] 조직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16] 저기압은 계속해서 세력을 강화하여 12월 16일 서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중간 강도의 열대성 폭풍 상태에 도달했다.[17] 유리한 대기 환경에 위치하여, 아마라가 12월 18일 열대 사이클론 상태에 도달한 후 급격한 강화 기간이 이어졌다.[18][19] 세력이 변동한 후,[20][21] 사이클론은 12월 21일 최대 지속 풍속 205km/h와 최저 기압 933 mbar로 정점에 달했으며, 이는 Météo-France에서 사용하는 강도 척도를 기준으로 강렬한 열대 사이클론으로 분류되었다.[22] 직후, 아마라가 남동쪽으로 이동하면서 풍속 시어가 강화되어 약화 단계가 발생했다.[23] 전단 효과로 인해 사이클론은 급격히 약화되었고,[24] 12월 23일까지 아마라는 잔류 저기압으로 약화된 것으로 판명되었다.[25]

아마라는 처음에는 로드리게스 섬 위를 직접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이에 따라 광범위한 예방 조치가 취해졌고 모리셔스 기상청에서 최고 긴급 경보를 의미하는 클래스 4 경보가 발령되었다.[26][27] 열대 사이클론이 결국 섬 동쪽으로 지나갔지만, 아마라는 로드리게스 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가까이 있었다.[28] 퐁트 캐논에서 측정된 최대 152km/h의 강풍[27]으로 금속 시트가 찢어지고 나무가 뿌리째 뽑히는 등 광범위한 기반 시설 피해가 발생했다.[28][29] 광범위한 정전으로 12,000가구의 전력이 끊기고 섬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29][30] 아마라가 몰고 온 폭우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하고 토양 침식이 발생했다.[31][32]

3. 4. 제3호 매우 강한 사이클론 브루스

12월 16일, 인도네시아 근처의 복잡한 기상 이변이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에 의해 열대 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33] 12월 18일, 이 저기압은 남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열대 사이클론으로 발달했다.[34] 12월 19일 21시(UTC)에 브루스는 최대 풍속 155km/h로 90°E를 지나면서 Météo-France의 관할 구역으로 이동했다.[35] 남서 인도양으로 진입했을 때 브루스는 이미 뚜렷한 눈을 가지고 있었고,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35][36] 6시간 후, 브루스는 강한 열대 사이클론으로 격상되었다.[37] 12월 20일 18시(UTC)에 Météo-France는 브루스를 매우 강한 열대 사이클론으로 격상시켰는데, 이는 열대 사이클론 강도 척도에서 가장 높은 등급이다.[38]

다음 날, 브루스는 일시적으로 강한 열대 사이클론으로 약화되었지만,[39] 12월 22일 0시(UTC)에 다시 매우 강한 열대 사이클론 등급을 회복했다. 결과적으로 브루스는 풍속 220km/h 및 최저 기압 920 mbar (hPa)로 최대 세력에 도달했다.[40]

최대 세력 이후, 브루스는 깊은 대류 지역이 감소하면서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다.[41] 12월 22일 12시(UTC)에 브루스는 강한 열대 사이클론으로 약화되었고, 점차 비대칭적인 형태로 변해갔다.[42][43] 같은 시간, 브루스는 근처 아열대 고기압의 서쪽 가장자리를 돌면서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43] 12월 23일, 사이클론의 눈은 차가워진 해수면 온도의 영향으로 약화되었고, 브루스는 Météo-France에 의해 낮은 수준의 열대 사이클론으로 강등되었다.[44][45] 그날 말, 브루스는 대부분의 대류가 저고도 순환 중심에서 벗어나면서 강한 열대 폭풍으로 더욱 약화되었다.[46][47] 브루스는 동남쪽으로 가속하면서 12월 24일에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고, Météo-France의 감시는 중단되었다.[48]

3. 5. 제4호 강한 사이클론 베지사

2013년 12월 말, 컴퓨터 예측 모델은 마다가스카르 북쪽 몬순 골짜기 내에서 열대 저기압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하기 시작했다.[49] 12월 27일 협정 세계시(UTC) 18시, 합동 태풍 경보 센터(JTWC)는 레위니옹 북북서쪽 약 1350km 지점에서 발달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확인했다.[50] 이튿날 폭풍 복합체는 남쪽 주변에 강우대를 발달시켰다.[51] 12월 28일 UTC 12시, 메테오-프랑스는 이 시스템을 해당 시즌의 네 번째 열대 교란으로 지정했다.[52] 당시 이 시스템은 이례적으로 높은 기압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53] 메테오-프랑스는 이 시스템이 마스카린 제도에 영향을 미치기 전 열대 저기압으로 정점을 찍고 약간 약화될 것으로 예상했다.[54]

12월 28일부터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교란은 꾸준히 조직되었다. 풍속 변화로 인해 시스템의 저고도 순환 중심은 부분적으로 노출되었지만, 전단 조건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55] 12월 29일 UTC 0시, 교란은 열대성 저기압으로 격상되었다.[56] 같은 날 UTC 18시, 저기압은 중간 강도의 열대 폭풍으로 강화되어 모리셔스 기상청에 의해 ''베지사''라는 이름을 받았다.[57][58] 이는 폭풍의 중심 밀집 구름의 위성 모습이 개선된 것과 일치한다.[58] 이후 강도가 빠르게 증가하여 다음 날 UTC 6시 베지사는 강한 열대 폭풍으로 간주되었다.[59] 동시에 대류권 중층에서 강화되는 능선이 폭풍을 남남동쪽으로 유도하기 시작했다.[60] 작은 핀홀 눈의 발달에 따라, 베지사는 12월 30일 UTC 12시에 열대 사이클론 상태로 격상되었고,[61] 6시간 후에는 강렬한 열대 사이클론 상태로 격상되었다.[62] 이 강화 단계는 눈벽 교체 주기로 인해 폭풍의 조직과 구조가 약간 악화되고 변동되어 짧게 지속되었다.[63]

3. 6. 제5호 약한 아열대폭풍 05R

2014년 1월 7일 1800 UTC,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모잠비크 해협 내에 있는 이 시스템을 처음 감시하기 시작했다. 당시 이미 잘 정의된 하층 순환 중심부가 발달했으며, 컴퓨터 모델은 폭풍이 유리한 대기 환경 내에서 예상되는 진로를 따라 열대 저기압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64] 1월 8일 1200 UTC에 Météo-France는 이 시스템을 교란된 기압 구역으로 분류했지만,[65] 당시 폭풍의 대류 활동은 간헐적이었다.[66] 지정을 받은 직후 이 시스템은 얕지만 대류 밴딩을 형성했다.[64] 다음 날 0600 UTC에 교란된 기압 구역은 마다가스카르 서해안에서 열대 저기압 상태로 격상되었다.[67]

저기압 발생 초기에 발표된 예보에서는 마다가스카르 남서부 지역에 폭우가 내릴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었지만,[69] 이러한 비는 비정상적으로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 기간에 내릴 것으로 예상되었다.[68] 그 결과, 마다가스카르 국가 위험 및 재난 관리국은 5개 마다가스카르 구역에 임박한 폭우를 의미하는 적색 경보를 발령했고, 7개 구역에는 폭우 위협을 의미하는 황색 경보를 발령했다. 모론다바에서는 205명의 사람들이 당국이 식량을 제공하는 안전한 대피소로 대피했다.[69]

3. 7. 제6호 강한 사이클론 콜린

사이클론 콜린은 2014년 1월 9일, 호주 근해에서 발생하여 남서인도양으로 이동해 온 열대 저기압이다.[71] 발생 초기에는 상당한 풍속 변화를 겪었으나, 마이크로파 영상을 통해 하부에 눈이 조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72] 1월 10일, 중간 강도의 열대 폭풍으로 격상되어 "콜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73]

1월 11일, 풍속 변화가 약해지면서 콜린은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했다. 남서쪽으로 이동하며 24시간 만에 강한 열대 사이클론으로 빠르게 발달했고, 1월 12일에는 최대 풍속 185km/h (115mph)에 도달하며 최성기를 맞았다.[74] 콜린은 아마라와 브루스와 같이 급격한 심화를 겪은 사이클론 중 하나이다.

1월 13일, 콜린의 눈벽이 붕괴되면서 강한 열대 폭풍으로 약화되었다. 이후 차가운 해역으로 이동하면서 1월 14일에는 열대 폭풍 수준으로 더욱 약화되었고,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계속해서 불리한 환경 조건에 놓이면서, 1월 15일에는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75]

3. 8. 제7호 약한 열대폭풍 델리웨

2014년 1월 16일, 마다가스카르 기상청은 남서쪽으로 이동하는 작은 시스템을 열대성 교란 7호로 지정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이 시스템을 열대성 사이클론 09S로 선언했다.[76] 같은 날 1800z에, 메테오-프랑스는 좁은 곡선 밴드 패턴을 유지하고 있는 이 시스템을 ''델리웨''라고 명명했다.[76]

델리웨는 마다가스카르 해안에서 멀어지면서 보통의 열대성 폭풍 세력을 유지했지만, 상층부 저기압과 관련된 윈드시어가 증가하면서 열대성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77] 서쪽으로 방향을 튼 델리웨는 남쪽으로 깎여 나가 저고도 순환 중심이 노출되었지만, 레위니옹이 이 시스템에 대한 마지막 자문을 발표한 후에도 짧은 기간 동안 강풍 영역을 유지했다.[77] 이후 델리웨의 잔해는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모잠비크에 접근하면서 소멸되었다.

델리웨는 마다가스카르 멜라키 지역에 폭우를 쏟아부어 심각한 홍수를 일으켰고, 최소 2명의 사망자를 냈다. 미친조에서는 불어난 마하잠바 강에 휩쓸려 한 사람이 실종되었다. 마하장가에서는 수위 상승으로 463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강한 돌풍으로 인해 보에니의 소알라에 있는 한 학교의 지붕이 날아가는 등 일부 피해가 발생했다.[78]

3. 9. 제8호 약한 열대요란

1월 16일 늦게 마다가스카르 동북동쪽에서 광범위한 저기압대가 형성되었다. 1월 18일 초, 이 저기압대는 따뜻한 해수면 온도로 인해 열대 저기압 08로 발달했다. 그러나 약 12시간 후, 차가운 해수면 온도와 연직 바람 시어(wind shear)로 인해 잔해성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1월 21일 초, 이 시스템의 잔해는 마다가스카르에 상륙한 후 완전히 소멸되었다.

발생일소멸일10분최대풍속최저기압
2014년 1월 18일2014년 1월 18일201004


3. 10. 제9호 열대요란

제9호 열대요란은 2014년 1월 28일에 발생하여 1월 29일에 소멸하였다. 10분 최대 풍속은 25노트, 최저 기압은 1003hPa이었다.

3. 11. 제10호 강한 열대폭풍 에딜슨

2월 3일, 이전 열대 저기압이 소멸한 지 일주일도 되지 않아 새로운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2월 4일 늦은 시각, 프랑스 기상청(MFR)과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이 열대 저기압을 열대폭풍 에딜슨(Edilson)으로 격상시켰다.[79] 에딜슨은 다음 날 많은 비를 동반하며 모리셔스에 영향을 주었다.[79]

3. 12. 제11호 강한 열대폭풍 포베인

2014년 2월 5일, 강한 열대폭풍 에딜슨(Edilson)이 최대 강도에 도달했을 때, 그 북동쪽에 열대성 저기압이 형성되었다. 이 저기압은 메테오-프랑스(Météo-France)에 의해 열대저기압 제11호로 격상되었고, 2월 8일까지 급격히 세력을 확장하여 강한 열대폭풍 포베인(Fobane)이 되었다.[80] 2월 9일 동안 포베인은 남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다가 동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 폭풍은 상층 기압골 및 낮은 해양 열 함량과 상호 작용하여 구조가 변했다. 2월 10일 정오, 메테오-프랑스는 포베인이 하이브리드형이지만 온핵 사이클론으로 전환되었다고 발표하여 아열대 저기압으로 분류했다.[80] 2월 11일에는 대류 현상이 빠르게 형성되며 기압이 10 밀리바 감소했다.[80] 포베인은 다음 날 아열대 상태에서 최대 강도에 도달했다. 그 후 며칠 동안 포베인은 남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가 서쪽으로 향했고, 새로운 고기압이 서쪽에 형성되면서 속도가 느려졌다. 이 폭풍은 더 차가운 해역으로 계속 진입했고, 2월 14일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80]

3. 13. 제12호 강한 열대폭풍 구이토

2월 18일, 모잠비크 동부의 대류역이 모잠비크 해협으로 이동하여 열대성 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81] 같은 날 늦게 JTWC는 15S로 지정했다. 2월 18일에 점차 강해져 강한 열대 폭풍 구이토가 되었다. 다음 날 구이토는 카테고리 1등급 열대성 저기압으로 강화되었고, 불규칙한 눈이 형성되었다.[82]

3. 14. 제13호 아열대저기압

2월 27일, RSMC 라 레위니옹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 동남쪽 725km 지점에서 아열대 저기압이 발생했다고 보고했다.[83]

3. 15. 제14호 매우 강한 사이클론 헬렌

3월 27일 제14호 열대요란이 발생하였다. 이 열대요란은 이동하여 고수온 해역에 진입하면서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했고, 3월 30일 오전에 강한 열대폭풍 헬렌(Hellen)으로 발달하였다. 같은 날 강한 사이클론으로 급격히 발달하였다. 이후 최저 기압 915 hPa, 최대 풍속 125 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한 후 마다가스카르와의 마찰로 인해 급격히 약화되어 4월 1일 열대요란으로 하향 조정되었다. 그 이후 남서진하면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이 저기압은 4월 5일 모잠비크에 상륙한 직후 소멸하였다.

3. 16. 제15호 강한 열대폭풍 이바노에

4월 4일 디에고가르시아섬 남동쪽 약 1155km 부근 해상에서 제15호 열대요란이 발생하였다. 다음 날, 이 열대요란은 약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하여 '이바노에'(Ivanoe)로 명명되었다. 같은 날 강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하였으나, 몇 시간 되지 않아 다시 약화되었다. 수온이 낮아지면서 약한 열대폭풍 이바노에는 계속 약화되었다. 4월 6일이 되자 이바노에는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고, 이로써 RSMC 라 리유니온에서는 마지막 사이클론 정보를 발표하였다.

이바노에의 온대저기압 잔해는 호주 동부에 영향을 주면서 남동쪽으로 계속 이동했다. 4월 9일 아침, 이바노에의 잔해는 완전히 소멸되었다.

4. 시즌 영향

이름날짜최대 강도피해 지역피해액
(USD)
사망자참고
범주풍속기압
0110월 23일~27일중간 열대성 폭풍65km/h997hPa차고스 제도없음없음
아마라12월 14일~27일강력 열대성 사이클론205km/h935hPa로드리게스없음없음
브루스12월 20일~23일매우 강력 열대성 사이클론225km/h920hPa없음없음없음
베지사12월 27일~1월 4일강력 열대성 사이클론175km/h950hPa세이셸, 레위니옹, 모리셔스8920만달러 이상1
051월 7일~10일열대성 저기압55km/h997hPa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없음없음
콜린1월 9일~14일강력 열대성 사이클론205km/h915hPa없음없음없음
델리웨1월 14일~22일중간 열대성 폭풍85km/h990hPa마다가스카르, 모잠비크불명2
081월 16일~20일교란된 날씨 구역35km/h1004hPa마다가스카르없음없음
091월 24일~31일열대성 교란45km/h1002hPa모잠비크없음없음
에딜슨2월 3일~7일강한 열대성 폭풍105km/h978hPa모리셔스, 레위니옹없음없음
포반2월 5일~16일강한 열대성 폭풍110km/h975hPa없음없음없음
기토2월 17일~21일강한 열대성 폭풍110km/h980hPa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없음없음
132월 25일~3월 1일아열대 저기압80km/h993hPa없음없음없음
헬렌3월 26일~4월 5일매우 강력 열대성 사이클론230km/h915hPa모잠비크, 코모로 제도, 마다가스카르불명8
이바노에4월 3일~6일중간 열대성 폭풍85km/h987hPa없음없음없음
총합15개 시스템10월 23일~4월 6일230km/h915hPa8920만달러 이상11


참조

[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Operational Plan: 2012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sation 2012-12-05
[2] 웹사이트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Advisory For The Indian Ocean – October 21, 113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6
[3] 웹사이트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Advisory For The Indian Ocean – October 21, 180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6
[4] 웹사이트 Tropical Disturbance 1 Warning Number 001/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5] 웹사이트 Tropical Disturbance 1 Forecast Warning Number 001/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6]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1 Warning Number 003/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7]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1 Warning Number 005/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8]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1 Warning Number 007/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9]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1S (One) Warning NR 00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6
[10] 웹사이트 Tropical Disturbance 1 Warning Number 008/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1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1S (One) Warning NR 003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6
[12] 웹사이트 Tropical Disturbance 1 Warning Number 009/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13] 웹사이트 Bulletin For Cyclonic Activity And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In The Southwest Indian Ocean – December 13, 1200 UTC http://www.meteo.fr/[...] Météo-France 2013-12-21
[14] 웹사이트 Tropical Disturbance 2 Warning Number 001/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15]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2 Warning Number 003/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16]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Formation Alert – December 15, 150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17] 웹사이트 Moderate Tropical Storm 2 (Amara) Warning Number 009/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18]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3S (Amara) Warning NR 00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19]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2 (Amara) Warning Number 016/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20]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3S (Amara) Warning NR 006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2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2 (Amara) Warning Number 019/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22] 웹사이트 Intense Tropical Cyclone 2 (Amara) Warning Number 027/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23]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3S (Amara) Warning NR 01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24]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3S (Amara) Warning NR 01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25]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2 (Ex-Amara) Warning Number 036/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4
[26] 뉴스 Amara continue de se rapprocher de Rodrigues http://www.ipreunion[...] 2013-12-23
[27] 뉴스 Rodrigues en alerte maximale http://www.clicanoo.[...] 2013-12-23
[28] 뉴스 Cyclone tropical intense Amara: des premiers dégâts à Rodrigues http://www.ipreunion[...] 2013-12-23
[29] 뉴스 Rodrigues sous le cyclone tropical intense Amara http://reunion.la1er[...] 2013-12-23
[30] 간행물 Southern Africa: Weekly Report (17 to 23 December 2013)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13-12-23
[31] 웹사이트 Rodrigues touchée par le cyclone Amara http://www.catnat.ne[...] National Commission for Computing and Liberties 2013-12-23
[32] 뉴스 Rodrigues : Le passage du cyclone Amara provoque "des dégâts considérables" http://www.zinfos974[...] 2013-12-23
[33]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Technical Bulletin for Tropical Low 03U – December 16, 060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6
[34]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Technical Bulletin for Tropical Cyclone Bruce 03U – December 18, 000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6
[35]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3 (Bruce) Warning Number 001/3 http://weather.unisy[...] Unisys 2013-12-26
[36]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4S (Bruce) Warning NR 006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0
[37] 웹사이트 Intense Tropical Cyclone 3 (Bruce) Warning Number 002/3 http://weather.unisy[...] Unisys 2013-12-20
[38] 웹사이트 Very Intense Tropical Cyclone 3 (Bruce) Warning Number 004/3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0
[39] 웹사이트 Intense Tropical Cyclone 3 (Bruce) Warning Number 007/3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1
[40] 웹사이트 Very Intense Tropical Cyclone 3 (Bruce) Warning Number 009/3 http://weather.unisy[...] Unisys 2013-12-22
[4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4S (Bruce) Warning NR 011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2
[42] 웹사이트 Intense Tropical Cyclone 3 (Bruce) Warning Number 011/3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2
[43]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4S (Bruce) Warning NR 012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44]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3 (Bruce) Warning Number 015/3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45]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4S (Bruce) Warning NR 013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46] 웹사이트 Severe Tropical Cyclone 3 (Bruce) Warning Number 016/3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47]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04S (Bruce) Warning NR 01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3
[48] 웹사이트 Post-Tropical Depression 3 (Ex-Bruce) Warning Number 017/3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4
[49] 웹사이트 Bulletin For Cyclonic Activity And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In The Southwest Indian Ocean – December 27, 1200 UTC http://www.meteo.fr/[...] Météo-France 2013-12-27
[50] 웹사이트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Advisory For The Indian Ocean – December 27, 183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7
[51] 웹사이트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Advisory For The Indian Ocean– December 28, 100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8
[52] 웹사이트 Tropical Disturbance 4 Warning Number 001/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8
[53] 웹사이트 Bulletin For Cyclonic Activity And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In The Southwest Indian Ocean – December 28, 1200 UTC http://www.meteo.fr/[...] Météo-France 2013-12-28
[54] 웹사이트 Tropical Disturbance 1 Forecast Warning Number 001/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8
[55]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Formation Alert –December 29, 030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9
[56]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4 Warning Number 003/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9
[57] 웹사이트 Moderate Tropical Storm 4 (Bejisa) Warning Number 007/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9
[58] 웹사이트 Moderate Tropical Storm 4 (Bejisa) Forecast Warning Number 006/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29
[59] 웹사이트 Severe Tropical Storm 4 (Bejisa) Warning Number 008/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30
[60] 웹사이트 Severe Tropical Storm 4 (Bejisa) Forecast Warning Number 008/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30
[6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4 (Bejisa) Warning Number 009/4 http://weather.unisy[...] Unsys 2013-12-30
[62] 웹사이트 Intense Tropical Cyclone 4 (Bejisa) Warning Number 010/4 http://weather.unisy[...] Unsys 2013-12-30
[63] 웹사이트 Intense Tropical Cyclone 4 (Bejisa) Forecast Warning Number 013/4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31
[64] 웹사이트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Advisory For The Indian Ocean – January 7, 1800 UTC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1-07
[65] 웹사이트 Zone of Disturbed Weather 5 Warning Number 001/5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1-08
[66] 웹사이트 Zone of Disturbed Weather 5 Forecast Warning Number 001/5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1-08
[67]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5 Warning Number 002/5 http://weather.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1-09
[68] 보고서 Africa Hazards Outlook January 9 – January 15, 2014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14-01-08
[69] 보고서 Tropical Depression Path (as of 8th January 2014)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14-01-08
[70]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Outlook for the Western Region, Issued at 1:35 pm WST on Monday 6 January 2014 http://gwydir.demon.[...] TCWC Perth 2014-01-06
[7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Outlook for the Western Region, Issued at 2:00 pm WST on Thursday 9 January 2014 http://gwydir.demon.[...] TCWC Perth 2014-01-09
[72] 웹사이트 Moderate Tropical Storm 6 (Colin) – Warning #3 http://gwydir.demon.[...] RSMC La Réunion 2014-01-10
[73] 웹사이트 Cyclone Warning 003 for Moderate Tropical Storm Colin http://gwydir.demon.[...] RSMC La Réunion 2014-01-10
[74] 웹사이트 Intense Tropical Cyclone 6 (Colin) – Warning #12 http://gwydir.demon.[...] RSMC La Réunion 2014-01-12
[75] 웹사이트 NASA Sees Tropical Cyclone Colin's Final Bow http://www.nasa.gov/[...] NASA 2014-01-10
[76] 웹사이트 Moderate Tropical Storm 7 (Deliwe) – Warning #2 http://gwydir.demon.[...] RSMC La Réunion 2014-01-16
[77] 웹사이트 Remnant Low 7 (Deliwe) – Warning #7 http://gwydir.demon.[...] RSMC La Réunion 2014-01-18
[78] 웹사이트 Le cyclone Deliwe dévaste l'Ouest de Madagascar http://www.lexpressm[...] L'Express de Madagascar 2014-01-18
[79] 웹사이트 NASA Spots Very Heavy Rainfall Rates in Tropical Cyclone Edilson http://www.nasa.gov/[...] NASA 2014-02-05
[80] 웹사이트 NASA's TRMM Satellite Eyes Rainfall in Tropical Cyclone Fobane http://www.nasa.gov/[...] Rob Gutro, & NASA 2014-02-07
[8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Forecast Warning 01 http://weather.noaa.[...] RSMC La Réunion
[82] 웹사이트 NASA satellite sees a ragged eye develop in Tropical Cyclone Guito http://www.scienceco[...] 2014-02-19
[83] 웹사이트 Forecast Warning 001 for Subtropical Depression 13 http://gwydir.demon.[...] RSMC La Réunion 2014-02-27
[84]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Operational Plan for the South-West Indian Ocean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