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2013년 10월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여자 U-19 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예선을 거쳐 총 6개 팀이 참가했으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은 201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13
2013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여자 유로 대회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독일이 우승을 차지하고 로타 셸린이 득점왕에 오른 대회이다. - 2013년 여자 축구 -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예선을 거쳐 대한민국에서 결선 라운드가 개최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다. - 2013년 청소년 축구 -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2013년 AFC U-22 챔피언십은 16개국이 참가하여 오만에서 개최된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대회로, 이라크가 우승, 카베 레자에이가 득점왕, 암자드 칼라프가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이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 - 2013년 청소년 축구 - 2013년 FIFA U-17 월드컵
2013년 FIFA U-17 월드컵은 2013년 10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 아랍에미리트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멕시코를 꺾고 우승하였다. - AFC U-20 여자 아시안컵 - 2015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2015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19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 국제 대회이며,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이 상위 3위를 차지하여 2016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 AFC U-20 여자 아시안컵 -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중국과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상위 3개 팀은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연도 | 2013년 |
![]() | |
개최국 | 중국 |
개최 기간 | 2013년 10월 11일 – 2013년 10월 20일 |
참가 팀 수 | 6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 | 대한민국 (2회 우승) |
준우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위 | 중국 |
4위 | 일본 |
통계 | |
총 경기 수 | 15 |
총 득점 | 56 |
득점왕 | 장슬기 (8골) |
최우수 선수 | 장슬기 |
페어 플레이 상 | 중국 |
대회 기록 | |
이전 대회 | 2011년 |
다음 대회 | 2015년 |
2. 예선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예선에는 총 19개국이 참가하여 1차 예선과 2차 예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2012년 10월 17일부터 24일까지, 2차 예선은 2012년 12월 2일부터 9일까지 치러졌다. 미얀마가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6]
예선 방식은 다음과 같다.[7]
- 시드 배정: 지난 대회 6위 및 7위 팀(태국, 베트남)은 1차 예선을 면제받았다.
- 1차 예선: 12개 팀을 4팀씩 3개 조로 나누어 각 조별로 1라운드 풀 리그를 진행하여 각 조 상위 2개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조 편성은 동아시아・동남아시아(4팀)와 중앙・남・서아시아(8팀)로 구분되었다.
- 2차 예선: 1차 예선 통과 6팀 및 1차 예선 면제 2팀, 총 8팀을 4팀씩 2개 조로 나누어 각 조별로 1라운드 풀 리그를 진행했다. 이후 각 조 1위 팀끼리 대결을 펼쳐 승리 팀이 본선 진출권을 얻었다.
1차 예선과 2차 예선 조 추첨은 2012년 3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AFC 본부에서 진행되었다.
2. 1. 1차 예선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1차 예선은 지난 대회 7위 이내에 들지 못한 12개국(키르기스스탄은 기권)이 참가하여 3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 2위까지 2차 예선에 진출했으며, A조는 말레이시아 말라카, B조는 요르단 암만, C조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되었다.- A조: 인도와 우즈베키스탄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키르기스스탄은 기권했다.
- B조: 요르단과 이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 C조: 미얀마와 중화 타이베이가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 1. 1. A조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2차 예선 A조 경기는 2012년 12월 2일부터 12월 6일까지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열렸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태국 | 3 | 2 | 1 | 0 | 9 | 3 | +6 | 7 |
이란 | 3 | 1 | 2 | 0 | 6 | 4 | +2 | 5 |
요르단 | 3 | 1 | 0 | 2 | 1 | 5 | -4 | 3 |
우즈베키스탄 | 3 | 0 | 1 | 2 | 1 | 5 | -4 | 1 |
2012년 12월 2일 | 태국 | 3 – 0[1] | 요르단 |
2012년 12월 2일 | 우즈베키스탄 | 1 – 1[2] | 이란 |
2012년 12월 4일 | 요르단 | 1 – 0[3] | 우즈베키스탄 |
2012년 12월 4일 | 이란 | 3 – 3[4] | 태국 |
2012년 12월 6일 | 태국 | 3 – 0[5] | 우즈베키스탄 |
2012년 12월 6일 | 이란 | 2 – 0[6] | 요르단 |
1차 예선 A조 경기는 말레이시아 믈라카에서 2012년 10월 20일부터 10월 24일까지 열렸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인도 | 2 | 2 | 0 | 0 | 2 | 0 | +2 | 6 |
우즈베키스탄 | 2 | 1 | 0 | 1 | 2 | 1 | +1 | 3 |
방글라데시 | 2 | 0 | 0 | 2 | 0 | 3 | -3 | 0 |
- 키르기스스탄은 기권했다.
2. 1. 2.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요르단 | 3 | 3 | 0 | 0 | 14 | 2 | +12 | 9 |
이란 | 3 | 2 | 0 | 1 | 22 | 5 | +17 | 6 |
타지키스탄 | 3 | 0 | 1 | 2 | 4 | 17 | -13 | 1 |
팔레스타인 | 3 | 0 | 1 | 2 | 2 | 18 | -16 | 1 |
2012년 10월 18일 |
---|
이란 12 – 2 타지키스탄 (페트라 스타디움) |
요르단 8 – 0 팔레스타인 (페트라 스타디움) |
2012년 10월 20일 |
팔레스타인 0 – 8 이란 (페트라 스타디움) |
타지키스탄 0 – 3 요르단 (페트라 스타디움) |
2012년 10월 22일 |
타지키스탄 2 – 2 팔레스타인 (페트라 스타디움) |
요르단 3 – 2 이란 (페트라 스타디움) |
2. 1. 3. C조
2012년 10월 17일부터 10월 21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진행된 C조 예선에서는 미얀마와 중화 타이베이가 2차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align="left"| | 3 | 3 | 0 | 0 | 15 | 1 | +14 | 9 |
align="left"| | 3 | 2 | 0 | 1 | 7 | 3 | +4 | 6 |
align="left"| | 3 | 1 | 0 | 2 | 2 | 5 | -3 | 3 |
align="left"| | 3 | 0 | 0 | 3 | 0 | 15 | -15 | 0 |
- 2012년 10월 17일
- * 1 - 3 (리잘 기념 경기장)
- * 2 - 0 (리잘 기념 경기장)
- 2012년 10월 19일
- * 0 - 5 (리잘 기념 경기장)
- * 4 - 0 (리잘 기념 경기장)
- 2012년 10월 21일
- * 8 - 0 (리잘 기념 경기장)
- * 0 - 1 (리잘 기념 경기장)
2. 2. 2차 예선
2차 예선은 1차 예선을 통과한 6개 팀과 지난 대회 6, 7위 팀인 태국, 베트남까지 총 8개 팀이 참가했다.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 후, 각 조 1위 팀끼리 결승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 팀을 가렸다.[7]2012년 3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AFC 본부에서 2차 예선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7] 경기는 2012년 12월 2일부터 9일까지 베트남 호치민 시에서 개최되었다.[7]
미얀마가 결승 플레이오프에서 태국을 꺾고 최종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7]
2. 2. 1. A조
순위 | 팀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 | 2 | 1 | 0 | 9 | 3 | +6 |
2 | ایران|이란fa | 1 | 2 | 0 | 6 | 4 | +2 |
3 | الأردن|요르단ar | 1 | 0 | 2 | 1 | 5 | -4 |
4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0 | 1 | 2 | 1 | 5 | -4 |
- 2012년 12월 2일 16:00, 태국 3 - 0 요르단 (통 냐트 경기장, 호찌민시)
- 2012년 12월 2일 19:00, 우즈베키스탄 1 - 1 이란 (통 냐트 경기장, 호찌민시)
- 2012년 12월 4일 16:00, 요르단 1 - 0 우즈베키스탄 (통 냐트 경기장, 호찌민시)
- 2012년 12월 4일 19:00, 이란 3 - 3 태국 (통 냐트 경기장, 호찌민시)
- 2012년 12월 6일 16:00, 태국 3 - 0 우즈베키스탄 (통 냐트 경기장, 호찌민시)
- 2012년 12월 6일 16:00, 이란 2 - 0 요르단 (콴 쿠 바이 경기장, 호찌민시)
2. 2. 2. B조
B조 조별 리그는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개최되었다.[7]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မြန်မာ|미얀마my | 3 | 2 | 1 | 0 | 11 | 2 | +9 |
2 | Việt Nam|베트남vi | 3 | 2 | 0 | 1 | 14 | 3 | +11 |
3 | 中華台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3 | 1 | 1 | 1 | 9 | 4 | +5 |
4 | भारत|인도hi | 3 | 0 | 0 | 3 | 0 | 25 | -25 |
'''경기 결과'''
2012년 12월 1일 | Việt Nam|베트남vi 1 - 2 မြန်မာ|미얀마my | 톤낫 스타디움 |
2012년 12월 1일 | 中華台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7 - 0 भारत|인도hi | 톤낫 스타디움 |
2012년 12월 3일 | မြန်မာ|미얀마my 1 - 1 中華台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톤낫 스타디움 |
2012년 12월 3일 | भारत|인도hi 0 - 10 Việt Nam|베트남vi | 톤낫 스타디움 |
2012년 12월 5일 | Việt Nam|베트남vi 3 - 1 中華台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톤낫 스타디움 |
2012년 12월 5일 | भारत|인도hi 0 - 8 မြန်မာ|미얀마my | 콴쿠 바이 스타디움 |
미얀마가 조 1위를 차지했다.
2. 2. 3. 결승 플레이오프
예예우my의 결승골로 미얀마가 태국을 꺾고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7] 경기는 2012년 12월 9일 19시(현지 시각)에 호치민의 통낫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1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3. 결선 라운드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최종 토너먼트에는 지난 대회 상위 5개 팀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와 2차 예선 플레이오프 승자인 미얀마[1]가 진출했다.
최종 토너먼트는 각 팀이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별도의 토너먼트 스테이지는 없었다.[2]
두 팀 이상이 조별 리그 경기 종료 시점에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기준에 따라 순위를 결정했다.[2]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이 더 많은 팀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골득실차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이 더 많은 팀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이 더 많은 팀
# 승점이 같은 두 팀만 관련된 경우, 그리고 두 팀이 모두 경기장에 있는 경우 승부차기
# 조별 리그 경기에서 받은 옐로 카드와 레드 카드의 합이 더 적은 팀 (경고 누적)
# 추첨
3. 1. 개최 도시 및 경기장
, , , , , 는 지난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자동 진출하였으며, 주어진 자료에는 개최 도시 및 경기장에 대한 정보가 없다.3. 2. 결과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각 팀이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토너먼트 스테이지는 없었다.[2]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대한민국 | 5 | 4 | 1 | 0 | 15 | 4 | +11 | 13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 | 3 | 1 | 1 | 10 | 4 | +6 | 10 |
3 | 중국 | 5 | 2 | 2 | 1 | 14 | 6 | +8 | 8 |
4 | 일본 | 5 | 2 | 2 | 1 | 11 | 4 | +7 | 8 |
5 | 오스트레일리아 | 5 | 1 | 0 | 4 | 6 | 12 | -6 | 3 |
6 | 미얀마 | 5 | 0 | 0 | 5 | 0 | 26 | -26 | 0 |
경기 결과 상세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13년 10월 11일 | 중국 | 2 – 2 | 대한민국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11일 | 일본 | 7 – 0 | 미얀마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1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2 | 오스트레일리아 | 장쑤 축구 훈련 기지 경기장 |
2013년 10월 13일 | 대한민국 | 7 – 0 | 미얀마 | 장쑤 축구 훈련 기지 경기장 |
2013년 10월 13일 | 오스트레일리아 | 0 – 2 | 일본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13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0 | 중국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15일 | 일본 | 0 – 2 | 대한민국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15일 | 미얀마 | 0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장쑤 축구 훈련 기지 경기장 |
2013년 10월 15일 | 오스트레일리아 | 1 – 2 | 중국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18일 | 미얀마 | 0 – 2 | 오스트레일리아 | 장쑤 축구 훈련 기지 경기장 |
2013년 10월 18일 | 대한민국 | 2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18일 | 중국 | 2 – 2 | 일본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20일 | 일본 | 0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장닝 스포츠 센터 |
2013년 10월 20일 | 오스트레일리아 | 1 – 2 | 대한민국 | 장쑤 축구 훈련 기지 경기장 |
2013년 10월 20일 | 미얀마 | 0 – 8 | 중국 | 장닝 스포츠 센터 |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이 4승 1무로 우승을 차지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준우승을 차지했다.
- 중국이 3위를 차지했다.
- 일본이 4위를 차지했다.
- 오스트레일리아가 5위를 차지했다.
- 미얀마가 6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은 2014 FIFA U-20 여자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4. 우승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이 5회 대회 만에 통산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5. 수상
최우수 선수 | 득점왕 | 페어 플레이상 |
---|---|---|
-- 장슬기 | -- 장슬기 (8골) | -- 중국 |
'''득점 순위'''
순위 | 선수 | 득점 |
---|---|---|
1 | -- 장슬기 | 8 |
2 | -- 왕솽 | 5 |
3 | -- 리은심 | 4 |
4 | -- 최유리 | 3 |
4 | -- 쑹두안 | 3 |
6 | -- 헤일리 라소 | 2 |
6 | -- 리멍원 | 2 |
6 | -- 미치가미 아야카 | 2 |
6 | -- 다나카 미나 | 2 |
6 | -- 이금민 | 2 |
6 | -- 김소향 | 2 |
6. 201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참가 팀
대한민국 (우승)[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준우승)[2]
중국 (3위)[3]
참조
[1]
문서
Myanmar qualified to the final tournament by beating Thailand in the deciding play-off 1–0.
[2]
웹사이트
Regulations AFC U-19 Women's Championship China 2013
http://www.the-afc.c[...]
[3]
웹사이트
Jang Sel-gi wins MVP, Top Scorer awards
http://www.the-afc.c[...]
the-afc.com
2013-10-21
[4]
웹사이트
http://www.the-afc.c[...]
[5]
웹사이트
AFC U-19女子選手権 中国2013 マッチスケジュール
http://www.jfa.or.jp[...]
2013年8月23日付日本サッカー協会HP
[6]
문서
"[[#regulation|大会規定]] 第17・18・19章"
[7]
웹사이트
U-19 women's rivalries renewed
http://www.the-afc.c[...]
아시아サッカー連盟
2012-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