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남자
- 3. 여자
- 3.1. 팀
- 3.2. 라운드로빈 순위
- 3.3. 라운드로빈 경기결과
- 3.3.1. 1차전 (11월 9일 일요일 오전 9시)
- 3.3.2. 2차전 (11월 9일 일요일 오후 4시)
- 3.3.3. 3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전 9시)
- 3.3.4. 4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후 3시)
- 3.3.5. 5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
- 3.3.6. 6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후 3시)
- 3.3.7. 7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
- 3.3.8. 8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후 3시)
- 3.3.9. 9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전 9시)
- 3.3.10. 10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후 2시)
- 3.4. 플레이오프
- 참조
1. 개요
2014년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는 2014년 11월에 개최된 컬링 대회로,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었다. 남자부에서는 일본, 대한민국, 중국,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중화 타이베이, 카자흐스탄이 참가했으며,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가 경쟁했다. 남자부 결승에서는 중국이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여자부에서는 중국이 대한민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노현의 스포츠 - 2009 태평양 컬링 선수권 대회
2009년 태평양 컬링 선수권 대회는 남자부에서 중국, 여자부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우승했으며, 남자부에는 6개국, 여자부에는 5개국이 참가했다. - 일본에서 개최된 컬링 대회 - 1998년 동계 올림픽 컬링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컬링이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되어 스위스와 캐나다가 각각 남자부와 여자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를 계기로 대한민국 컬링이 성장하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여자 컬링 대표팀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 일본에서 개최된 컬링 대회 - 1991 태평양 컬링 선수권 대회
1991년 태평양 컬링 선수권 대회는 남자부에서 대한민국이 준우승,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을 차지한 컬링 대회이다. -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 - 1991 태평양 컬링 선수권 대회
1991년 태평양 컬링 선수권 대회는 남자부에서 대한민국이 준우승,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을 차지한 컬링 대회이다. -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 - 2016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
2016년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는 2016년에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2014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2014년 퍼시픽-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 |
![]() | |
개최 도시 | 가루이자와 (일본) |
경기장 | 가루이자와 아이스 파크 |
개최 기간 | 2014년 11월 8일 ~ 11월 15일 |
남자부 | |
우승국 | 중국 |
우승 컬링 클럽 | 없음 |
스킵 | 장자량 |
서드 | 쩌우더자 |
세컨드 | 바더신 |
리드 | 저우창 |
후보 | 왕진보 |
준우승국 | 일본 (모로즈미 유스케) |
여자부 | |
우승국 | 중국 |
스킵 | 류쓰자 |
서드 | 리우진리 |
세컨드 | 위신나 |
리드 | 왕루이 |
후보 | 메이졔 |
코치 | 장웨이 |
준우승국 | 대한민국 (김은정) |
대회 흐름 |
2. 남자
2. 1. 참가팀
2014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에는 다음의 팀들이 참가했다.[4][1]
2. 2. 라운드로빈 순위
wikitext범례 | |
---|---|
style="background:#ffffcc; width:20px;"| | 플레이오프 진출 팀 |
style="background:#ccffcc; width:20px;"| | 타이브레이크 진출 팀 |
순위 | 팀 | 스킵 | 승패 | 대전표 | |||||||
---|---|---|---|---|---|---|---|---|---|---|---|
승 | 패 | ||||||||||
1 | 일본 | 모로즈미 유스케 | 6 | 0 | - | ○ | ○ | ○ | ○ | ○ | ○ |
2 | 대한민국 | 김수혁 | 5 | 1 | × | - | ○ | ○ | ○ | ○ | ○ |
3 | 중국 | 장자아리앙 | 4 | 2 | × | × | - | ○ | ○ | ○ | ○ |
4 | 뉴질랜드 | 케니 톰슨 | 2 | 4 | × | × | × | - | ○ | × | ○ |
5 | 오스트레일리아 | 이언 팔란지오 | 2 | 4 | × | × | × | × | - | ○ | ○ |
6 | 란다이 신 | 2 | 4 | × | × | × | ○ | × | - | ○ | |
7 | 카자흐스탄 | 빅토르 킴 | 0 | 6 | × | × | × | × | × | × | - |
일본의 모로즈미 유스케 팀이 6승 0패, 대한민국의 김수혁 팀이 5승 1패, 중국의 장자아리앙 팀이 4승 2패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뉴질랜드의 케니 톰슨 팀, 오스트레일리아의 이언 팔란지오 팀, 중화 타이베이의 란다이 신 팀은 2승 4패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드로우 샷 챌린지(DSC) 결과에 따라 중화 타이베이가 탈락하고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가 타이브레이크에 진출했다. 카자흐스탄의 빅토르 킴 팀은 6패를 기록했다.
2. 3. 라운드로빈 경기 결과
모든 경기 시간은 일본 표준시 (UTC+9)를 기준으로 한다.[6]=== 3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전 9시) ===
=== 4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후 3시) ===
(모로즈미)는 5점을 득점하였고, (김수혁)은 3점을 득점하였다.
(장자아리앙)은 12점을 득점하였고, (톰슨)은 5점을 득점하였다.
(신)은 6점을 득점하였고, (팔란지오)는 8점을 득점하였다.
=== 5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 ===
=== 6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후 3시) ===
중화 타이베이 (신) 팀은 11점을 득점하여 카자흐스탄 (V. 킴) 팀을 0점으로 이겼다.
오스트레일리아 (팔란지오) 팀은 5점을 득점하였으나, 뉴질랜드 (톰슨) 팀이 7점을 득점하여 패배하였다.
일본 (모로즈미) 팀은 10점을 득점하여 중국 (장) 팀을 2점으로 이겼다.
=== 7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 ===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에 진행된 7차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트 C | 시트 D | 시트 E |
---|---|---|
중국 (장자아리앙) 12 : 1 중화 타이베이 (신) | 카자흐스탄 (V. 킴) 4 : 11 오스트레일리아 (팔란지오) | 대한민국 (김수혁) 9 : 4 뉴질랜드 (톰슨) |
- 시트 C에서는 중국 대표팀이 중화 타이베이 대표팀을 큰 점수 차로 꺾고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 시트 D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이 카자흐스탄 대표팀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 시트 E에서는 대한민국 대표팀이 뉴질랜드 대표팀에 승리하였다. 특히 대한민국 대표팀은 4점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였다.
=== 8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후 3시) ===
=== 9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후 9시) ===
뉴질랜드 (톰슨) 팀은 카자흐스탄 (V. 킴) 팀을 상대로 9-1로 승리하였다.
대한민국 (김수혁) 팀은 중국 (장자아리앙) 팀을 상대로 9-8로 승리하였다.
일본 (모로즈미) 팀은 오스트레일리아 (팔란지오) 팀을 상대로 9-3으로 승리하였다.
2. 3. 1. 3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전 9시)
wikitable
2. 3. 2. 4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후 3시)
(모로즈미)는 5점을 득점하였고, (김수혁)은 3점을 득점하였다.(장자아리앙)은 12점을 득점하였고, (톰슨)은 5점을 득점하였다.
(신)은 6점을 득점하였고, (팔란지오)는 8점을 득점하였다.
2. 3. 3. 5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
11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 | |||
---|---|---|---|
시트 A | (장자아리앙) | (팔란지오) | 점수 |
0 | 0 | 5 | |
0 | 0 | 3 | |
1 | 0 | ||
1 | 0 | ||
0 | 0 | ||
1 | 0 | ||
0 | 2 | ||
2 | 0 | ||
0 | 1 | ||
X | X |
11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 | |||
---|---|---|---|
시트 B | (신) | (모로즈미) | 점수 |
0 | 1 | 4 | |
1 | 0 | 6 | |
1 | 0 | ||
0 | 2 | ||
1 | 0 | ||
0 | 1 | ||
0 | 0 | ||
0 | 2 | ||
1 | 0 | ||
X | X |
11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 | |||
---|---|---|---|
시트 E | (V. 킴) | (김수혁) | 점수 |
0 | 0 | 0 | |
0 | 5 | 11 | |
0 | 0 | ||
0 | 1 | ||
0 | 3 | ||
0 | 2 | ||
X | X | ||
X | X | ||
X | X | ||
X | X |
2. 3. 4. 6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후 3시)
wikitext(신) 팀은 11점을 득점하여 (V. 킴) 팀을 0점으로 이겼다.
(팔란지오) 팀은 5점을 득점하였으나, (톰슨) 팀이 7점을 득점하여 패배하였다.
(모로즈미) 팀은 10점을 득점하여 (장) 팀을 2점으로 이겼다.
2. 3. 5. 7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에 진행된 7차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시트 C | 시트 D | 시트 E |
---|---|---|
(장자아리앙) 12 : 1 (신) | (V. 킴) 4 : 11 (팔란지오) | (김수혁) 9 : 4 (톰슨) |
- 시트 C에서는 중국 대표팀이 중화 타이베이 대표팀을 큰 점수 차로 꺾고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 시트 D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이 카자흐스탄 대표팀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 시트 E에서는 대한민국 대표팀이 뉴질랜드 대표팀에 승리하였다. 특히 대한민국 대표팀은 4점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였다.
2. 3. 6. 8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후 3시)
B 시트 | |||||||||||
---|---|---|---|---|---|---|---|---|---|---|---|
0 | 0 | 1 | 0 | 0 | 0 | 0 | 1 | 0 | X | 2 | |
중국 | 4 | 2 | 0 | 3 | 1 | 0 | 1 | 0 | 0 | X | 11 |
C 시트 | |||||||||||
---|---|---|---|---|---|---|---|---|---|---|---|
0 | 0 | 0 | 1 | 0 | 0 | 0 | 1 | 0 | X | 2 | |
일본 | 1 | 1 | 1 | 0 | 2 | 0 | 0 | 0 | 2 | X | 7 |
D 시트 | |||||||||||
---|---|---|---|---|---|---|---|---|---|---|---|
대한민국 | 0 | 1 | 0 | 0 | 1 | 0 | 1 | 0 | 2 | 1 | 6 |
1 | 0 | 1 | 1 | 0 | 1 | 0 | 1 | 0 | 0 | 5 |
2. 3. 7. 9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후 9시)
wikitext(톰슨) 팀은 (V. 킴) 팀을 상대로 9-1로 승리하였다.
(김수혁) 팀은 (장자아리앙) 팀을 상대로 9-8로 승리하였다.
(모로즈미) 팀은 (팔란지오) 팀을 상대로 9-3으로 승리하였다.
2. 4. 플레이오프
'''준결승'''2014년 11월 14일 금요일 오전 9시에 열린 준결승 2경기에서는 일본 (모로즈미)팀이 오스트레일리아 (팔란지오)팀을 6-4로 꺾었다. 같은 시간, 대한민국 (김수혁)팀은 중국 (장자아리앙)팀에게 6-8로 패배했다.
11월 14일 금요일 오후 2시에 열린 준결승 3경기에서 대한민국 (김수혁)팀은 중국 (장자아리앙)팀에게 6-7로 다시 패배했다.
'''동메달 결정전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대한민국은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에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로 7-4로 승리했다. 대한민국 (김수혁)은 3엔드에서 3득점, 5엔드와 7엔드, 8엔드에서 각각 1득점, 10엔드에서 1득점하며 경기를 유리하게 이끌었다. 오스트레일리아 (팔란지오)는 4엔드에서 2득점, 6엔드와 9엔드에서 각각 1득점하며 추격했지만, 대한민국의 꾸준한 득점을 막지 못하고 패배했다.
'''결승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2. 4. 1. 준결승
2014년 11월 14일 금요일 오전 9시에 열린 준결승 2경기에서는 일본 (모로즈미)팀이 오스트레일리아 (팔란지오)팀을 6-4로 꺾었다. 같은 시간, 대한민국 (김수혁)팀은 중국 (장자아리앙)팀에게 6-8로 패배했다.11월 14일 금요일 오후 2시에 열린 준결승 3경기에서 대한민국 (김수혁)팀은 중국 (장자아리앙)팀에게 6-7로 다시 패배했다.
2. 4. 2. 동메달 결정전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대한민국은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에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로 7-4로 승리했다. 대한민국 (김수혁)은 3엔드에서 3득점, 5엔드와 7엔드, 8엔드에서 각각 1득점, 10엔드에서 1득점하며 경기를 유리하게 이끌었다. 오스트레일리아 (팔란지오)는 4엔드에서 2득점, 6엔드와 9엔드에서 각각 1득점하며 추격했지만, 대한민국의 꾸준한 득점을 막지 못하고 패배했다.2. 4. 3. 결승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wikitable
3. 여자
3. 1. 팀
다음은 여자부 경기에 참가한 팀 목록이다.[4][1]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은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선수는 모두 경상북도 의성 출신으로, 끈끈한 팀워크와 뛰어난 실력으로 한국 컬링의 새 역사를 썼다는 평가를 받는다.
3. 2. 라운드로빈 순위
범례 | |
---|---|
style="background:#ffffcc; width:20px;"| | 플레이오프 진출 팀 |
style="background:#ccffcc; width:20px;"| | 타이브레이크 진출 팀 |
순위 | 팀 | 스킵 | 승패 | 대전표 | ||||||||||
---|---|---|---|---|---|---|---|---|---|---|---|---|---|---|
승 | 패 | |||||||||||||
1 | 대한민국 | 김은정 | 8 | 0 | - | ○ | ○ | ○ | ○ | ○ | ○ | ○ | ○ | |
2 | 중화인민공화국 | 류스자/Liu Sijia영어 | 5 | 3 | × | × | - | ○ | × | ○ | ○ | ○ | ○ | |
3 | 일본 | 오가사와라 아유미 | 5 | 3 | × | × | × | ○ | - | ○ | ○ | ○ | ○ | |
4 | 오스트레일리아 | 킴 포지/Kim Forge영어 | 1 | 7 | × | × | × | × | × | × | - | ○ | × | |
5 | 뉴질랜드 | 첼시 파레이 | 1 | 7 | × | × | × | × | × | × | × | ○ | - |
3. 3. 라운드로빈 경기결과
모든 경기 시간은 일본 표준시(UTC+9)를 기준으로 한다.[6][3]1차전 (11월 9일 일요일 오전 9시)
D 시트 | |
---|---|
(팔리) | 4 |
대한민국 (김은정) | 9 |
E 시트 | |
---|---|
(포지) | 7 |
일본 (오가사와라 아유미) | 10 |
2차전 (11월 9일 일요일 오후 4시)
- C 시트: 대한민국 (김은정) 6-4 일본 (오가사와라)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은 일본과의 경기에서 초반부터 리드를 잡았다. 2엔드에 2득점, 3엔드에 1득점하며 앞서나갔다. 일본은 4엔드와 5엔드에 각각 1점씩을 만회했지만, 대한민국은 6엔드에 다시 2점을 추가하며 점수 차를 벌렸다. 9엔드까지 5:4로 대한민국이 근소하게 앞선 가운데, 마지막 10엔드에서 대한민국이 1점을 추가하며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승리함으로써 대한민국 여자컬링 국가대표팀은 2014년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발판을 마련했고, 일본과의 라이벌전에서 우위를 점했다.
- E 시트: 뉴질랜드 (팔리) 2-12 중국 (리우시지아)
중국은 뉴질랜드를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1엔드부터 2점을 획득하며 기선을 제압했고, 이후 2, 3, 4엔드에서 연속 득점에 성공했다. 6엔드에는 무려 4점을 추가하며 사실상 승부를 결정지었다. 뉴질랜드는 5엔드와 7엔드에서 1점씩을 얻는 데 그쳤고, 결국 중국이 큰 점수 차로 승리했다. 이 경기는 중국 여자 컬링의 성장세를 보여주는 동시에, 뉴질랜드 컬링의 약세를 드러냈다.
3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전 9시)
중국 (류시지아) | |||
---|---|---|---|
1 | 0 | 2 | 0 |
2 | 0 | 0 | 2 |
0 | X | 7 |
일본 (오가사와라) | |||
---|---|---|---|
0 | 1 | 0 | 1 |
0 | 1 | 1 | 0 |
0 | X | 4 |
대한민국 (김은정) | |||
---|---|---|---|
2 | 0 | 2 | 0 |
2 | 0 | 3 | 1 |
0 | X | 10 |
오스트레일리아 (포지) | |||
---|---|---|---|
0 | 1 | 0 | 0 |
0 | 1 | 0 | 0 |
1 | X | 3 |
4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후 3시)
4차전 - 11월 10일 월요일 15:00 | |||
---|---|---|---|
시트 B | 중국/中国중국어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결과 |
류시자 | 포지 | 7-6 | |||
시트 C | 일본/日本일본어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결과 |
오가사와라 아유미 | 팔리 | 8-6 |
5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 (팔리)
:0|2|0|0|1|0|0|2|3|0| |8
(포지)
:2|0|0|3|0|2|2|0|0|1| |10
(김은정)
:1|0|0|3|1|0|1|0|1|X| |7
(리우시지아)
:0|0|2|0|0|1|0|1|0|X| |4
대한민국 대표팀은 중국과의 경기에서 노련한 경기 운영으로 7-4 승리를 거두며, 예선 라운드에서 좋은 성적을 이어갔다. 특히, 김은정 스킵은 중요한 순간마다 정확한 샷으로 득점에 성공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반면, 중국은 대한민국 대표팀의 압박에 고전하며 실수를 연발, 아쉬운 패배를 기록했다. 이번 승리로 대한민국은 메달 획득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6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후 3시) (김) 팀은 3엔드에 3점, 5엔드에 1점, 7엔드에 4점을 획득하며 뉴질랜드를 9-2로 대파했다. (오가사와라) 팀은 2엔드에 2점, 4엔드에 1점, 1엔드와 6엔드에 무려 6점을 획득하며 오스트레일리아를 9-3으로 대파했다.
7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
7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 | |||
---|---|---|---|
시트 A | (리우시지아) | (팔리) | |
점수 | 9 | 5 | |
시트 B | (오가사와라) | (김은정) | |
점수 | 4 | 7 |
8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후 3시)Sheet A영어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포지)와 대한민국의 경기는 4-6으로 대한민국이 승리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Sheet}} A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총점 |
---|---|---|---|---|---|---|---|---|---|---|---|
(김은정) | 0 | 0 | 3 | 0 | 1 | 0 | 0 | 2 | 0 | X | 6 |
Sheet E영어에서 열린 일본(오가사와라)와 중국(리우시지아)의 경기는 7-4로 일본이 승리하였다.
일본/Sheet}} E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총점 |
---|---|---|---|---|---|---|---|---|---|---|---|
(리우시지아) | 0 | 0 | 0 | 0 | 0 | 0 | 1 | 0 | 3 | X | 4 |
대한민국의 김은정 팀은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로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승리하여, 대한민국 컬링의 밝은 미래를 보여주었다. 반면, 일본은 중국과의 경기에서 승리하였으나, 독도 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이 없는 일본의 태도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9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전 9시)
9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전 9시) | ||||||||||
---|---|---|---|---|---|---|---|---|---|---|
시트 A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팔리) | 일본/日本일본어 (오가사와라) | ||||||||
0 | 2 | 0 | 1 | 0 | 0 | 0 | 0 | 1 | X | 4 |
1 | 0 | 1 | 0 | 1 | 3 | 0 | 1 | 0 | X | 7 |
시트 E | 중국/中國중국어 (리우시지아)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포지) | ||||||||
1 | 0 | 0 | 2 | 0 | 0 | 2 | 0 | 4 | X | 9 |
0 | 1 | 0 | 0 | 1 | 2 | 0 | 2 | 0 | X | 6 |
10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후 2시)중국 (류시지아)과 대한민국 (김은정)의 경기는 C 시트에서 진행되었다. 중국은 0, 0, 1, 0, 0, 0, 0, 0, 0, 1, 0, 총 2점을 획득하였고, 대한민국은 0, 0, 0, 0, 1, 0, 0, 1, 0, 0, 1, 총 3점을 획득하여 대한민국이 승리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포지)와 뉴질랜드 (팔리)의 경기는 D 시트에서 진행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0, 0, 1, 1, 0, 2, 0, 0, 1, 총 5점을 획득하였고, 뉴질랜드는 1, 3, 0, 0, 2, 0, 1, 1, 0, 총 8점을 획득하여 뉴질랜드가 승리하였다.
3. 3. 1. 1차전 (11월 9일 일요일 오전 9시)
D 시트 | |
---|---|
(팔리) | 4 |
대한민국 (김은정) | 9 |
E 시트 | |
---|---|
(포지) | 7 |
일본 (오가사와라 아유미) | 10 |
3. 3. 2. 2차전 (11월 9일 일요일 오후 4시)
- C 시트: 대한민국 (김은정) 6-4 일본 (오가사와라)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은 일본과의 경기에서 초반부터 리드를 잡았다. 2엔드에 2득점, 3엔드에 1득점하며 앞서나갔다. 일본은 4엔드와 5엔드에 각각 1점씩을 만회했지만, 대한민국은 6엔드에 다시 2점을 추가하며 점수 차를 벌렸다. 9엔드까지 5:4로 대한민국이 근소하게 앞선 가운데, 마지막 10엔드에서 대한민국이 1점을 추가하며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승리함으로써 대한민국 여자컬링 국가대표팀은 2014년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발판을 마련했고, 일본과의 라이벌전에서 우위를 점했다.
- E 시트: 뉴질랜드 (팔리) 2-12 중국 (리우시지아)
중국은 뉴질랜드를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1엔드부터 2점을 획득하며 기선을 제압했고, 이후 2, 3, 4엔드에서 연속 득점에 성공했다. 6엔드에는 무려 4점을 추가하며 사실상 승부를 결정지었다. 뉴질랜드는 5엔드와 7엔드에서 1점씩을 얻는 데 그쳤고, 결국 중국이 큰 점수 차로 승리했다. 이 경기는 중국 여자 컬링의 성장세를 보여주는 동시에, 뉴질랜드 컬링의 약세를 드러냈다.
3. 3. 3. 3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전 9시)
중국 (류시지아) | |||
---|---|---|---|
1 | 0 | 2 | 0 |
2 | 0 | 0 | 2 |
0 | X | 7 |
일본 (오가사와라) | |||
---|---|---|---|
0 | 1 | 0 | 1 |
0 | 1 | 1 | 0 |
0 | X | 4 |
대한민국 (김은정) | |||
---|---|---|---|
2 | 0 | 2 | 0 |
2 | 0 | 3 | 1 |
0 | X | 10 |
오스트레일리아 (포지) | |||
---|---|---|---|
0 | 1 | 0 | 0 |
0 | 1 | 0 | 0 |
1 | X | 3 |
3. 3. 4. 4차전 (11월 10일 월요일 오후 3시)
4차전 - 11월 10일 월요일 15:00 | |||
---|---|---|---|
시트 B | 중국/中国중국어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결과 |
류시자 | 포지 | 7-6 | |||
시트 C | 일본/日本일본어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결과 |
오가사와라 아유미 | 팔리 | 8-6 |
3. 3. 5. 5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
wikitext(팔리)
:0|2|0|0|1|0|0|2|3|0| |8
(포지)
:2|0|0|3|0|2|2|0|0|1| |10
(김은정)
:1|0|0|3|1|0|1|0|1|X| |7
(리우시지아)
:0|0|2|0|0|1|0|1|0|X| |4
대한민국 대표팀은 중국과의 경기에서 노련한 경기 운영으로 7-4 승리를 거두며, 예선 라운드에서 좋은 성적을 이어갔다. 특히, 김은정 스킵은 중요한 순간마다 정확한 샷으로 득점에 성공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반면, 중국은 대한민국 대표팀의 압박에 고전하며 실수를 연발, 아쉬운 패배를 기록했다. 이번 승리로 대한민국은 메달 획득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3. 3. 6. 6차전 (11월 11일 화요일 오후 3시)
(김) 팀은 3엔드에 3점, 5엔드에 1점, 7엔드에 4점을 획득하며 뉴질랜드를 9-2로 대파했다. (오가사와라) 팀은 2엔드에 2점, 4엔드에 1점, 1엔드와 6엔드에 무려 6점을 획득하며 오스트레일리아를 9-3으로 대파했다.3. 3. 7. 7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
wikitable7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전 9시) | |||
---|---|---|---|
시트 A | (리우시지아) | (팔리) | |
점수 | 9 | 5 | |
시트 B | (오가사와라) | (김은정) | |
점수 | 4 | 7 |
3. 3. 8. 8차전 (11월 12일 수요일 오후 3시)
Sheet A영어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포지)와 대한민국의 경기는 4-6으로 대한민국이 승리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포지) A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총점 |
---|---|---|---|---|---|---|---|---|---|---|---|
(김은정) | 0 | 0 | 3 | 0 | 1 | 0 | 0 | 2 | 0 | X | 6 |
Sheet E영어에서 열린 일본(오가사와라)와 중국(리우시지아)의 경기는 7-4로 일본이 승리하였다.
일본}} (오가사와라) E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총점 |
---|---|---|---|---|---|---|---|---|---|---|---|
(리우시지아) | 0 | 0 | 0 | 0 | 0 | 0 | 1 | 0 | 3 | X | 4 |
대한민국의 김은정 팀은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로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승리하여, 대한민국 컬링의 밝은 미래를 보여주었다. 반면, 일본은 중국과의 경기에서 승리하였으나, 독도 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이 없는 일본의 태도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3. 3. 9. 9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전 9시)
wikitable9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전 9시) | ||||||||||
---|---|---|---|---|---|---|---|---|---|---|
시트 A | 뉴질랜드}} (팔리) (리우시지아) {{x/中國중국어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포지) | ||||||||
1 | 0 | 0 | 2 | 0 | 0 | 2 | 0 | 4 | X | 9 |
0 | 1 | 0 | 0 | 1 | 2 | 0 | 2 | 0 | X | 6 |
3. 3. 10. 10차전 (11월 13일 목요일 오후 2시)
wikitext중국 (류시지아)과 대한민국 (김은정)의 경기는 C 시트에서 진행되었다. 중국은 0, 0, 1, 0, 0, 0, 0, 0, 0, 1, 0, 총 2점을 획득하였고, 대한민국은 0, 0, 0, 0, 1, 0, 0, 1, 0, 0, 1, 총 3점을 획득하여 대한민국이 승리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포지)와 뉴질랜드 (팔리)의 경기는 D 시트에서 진행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0, 0, 1, 1, 0, 2, 0, 0, 1, 총 5점을 획득하였고, 뉴질랜드는 1, 3, 0, 0, 2, 0, 1, 1, 0, 총 8점을 획득하여 뉴질랜드가 승리하였다.
3. 4. 플레이오프
'''준결승'''2014년 11월 14일 금요일 오전 9시에 제3경기가, 오후 2시에 제4경기가 진행되었다.
제3경기 (오전 9시)
- Sheet D
- Sheet E
제4경기 (오후 2시)
- Sheet D
'''동메달 결정전'''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일본이 뉴질랜드를 상대로 8-4로 승리하였다.
'''결승'''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는 1엔드에 후공이었다는 표식이다.
3. 4. 1. 준결승
2014년 11월 14일 금요일 오전 9시에 제3경기가, 오후 2시에 제4경기가 진행되었다.제3경기 (오전 9시)
- Sheet D
- Sheet E
제4경기 (오후 2시)
- Sheet D
3. 4. 2. 동메달 결정전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일본이 뉴질랜드를 상대로 8-4로 승리하였다.
3. 4. 3. 결승 (11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는 1엔드에 후공이었다는 표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acific-Asia Curling Championships 2014 – Teams
http://pacc2014.curl[...]
World Curling Federation
2014-10-31
[2]
웹사이트
NZ sides named for Pacific-Asia CCs
http://www.curling.o[...]
New Zealand Curling Association
2014-10-03
[3]
웹사이트
Pacific-Asia Curling Championships 2014 Schedule
http://pacc2014.curl[...]
World Curling Federation
2014-10-02
[4]
웹인용
Pacific-Asia Curling Championships 2014 – Teams
http://pacc2014.curl[...]
World Curling Federation
2014-10-19
[5]
웹인용
NZ sides named for Pacific-Asia CCs
http://www.curling.o[...]
New Zealand Curling Association
2014-08-25
[6]
웹인용
Pacific-Asia Curling Championships 2014 Schedule
http://pacc2014.curl[...]
World Curling Feder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