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는 2020년 1월 태국에서 개최된, 23세 이하 아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대회이다. 2019년 3월 예선을 거쳐 총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대한민국이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오스트레일리아는 이 대회를 통해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은 2020년 1월 26일 태국 방콕의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에서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였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1-0으로 승리하여 우승했고 3,672명의 관중이 관람했다.
  •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은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2019년에 진행되었으며, 44개 팀이 참가하여 각 조 1위 팀, 각 조 2위 팀 중 상위 4개 팀, 그리고 개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20년 청소년 축구 - 2020년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2020년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은 콜롬비아에서 개최되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총 2팀이 2020년 도쿄 올림픽 남자 축구 본선에 진출하였다.
  • 2020년 청소년 축구 - 202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202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취소되었으며, 바레인에서 개최 예정이었고 대한민국을 포함한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할 예정이었으나, 대회 취소로 예선 결과는 무효가 되었다.
  • 2020년 태국 - 태국의 코로나19 범유행
    태국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1월 중국 외 국가 중 처음으로 확진자가 발생하며 시작되어 지역 사회 감염 확산, 델타 변이 유행을 거쳐 정부의 방역 정책 시행 후 2022년 6월 풍토병으로 분류,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20년 태국 - 2020–2021년 태국 시위
    2020–2021년 태국 시위는 미래전진당 해산 결정으로 시작되어 쁘라윳 짠오차 총리 사퇴, 헌법 개정, 군주제 개혁 등 다양한 요구를 내세우며 전국적으로 확산된 반정부 시위로, 경제적 어려움과 와치라롱꼰 국왕의 권력 강화에 대한 불만이 시위를 격화시켰다.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이름2020년 AFC U-23 챔피언십
다른 이름ฟุตบอลชิงชนะเลิศแห่งเอเชีย รุ่นอายุไม่เกิน 23 ปี 2020
개최국태국
개최 기간1월 8일 ~ 1월 26일
참가팀16개
대륙1
경기장 수4
도시 수4
결과
우승대한민국
우승 횟수1
준우승사우디아라비아
3위오스트레일리아
4위우즈베키스탄
통계
경기 수32
득점 수69
관중 수101701
최다 득점 선수니클러스 다고스티노 (3골)
모함메드 나시프 (3골)
자로엔삭 웡곤 (3골)
자예드 알아메리 (3골)
이슬롬 코빌로프 (3골)
최우수 선수원두재
최우수 골키퍼송범근
페어 플레이 상사우디아라비아
대회 연혁
이전 대회2018
다음 대회2022
로고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로고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로고

2. 대회 개요

2. 1. 대회 방식

2. 2. 예선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은 2019년 3월 22일부터 3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 44개 팀이 11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과 조 2위 팀 중 상위 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개최국인 태국은 자동 진출하지만, 예선에 참가하여 G조 1위를 기록했다.

3. 참가 팀

3. 1. 본선 진출팀

국가진출 자격진출 확정 날짜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1
태국개최국2018년 8월 30일2회 (2016, 2018)
카타르지역 예선 A조 1위2019년 3월 26일2회 (2016, 2018)
바레인지역 예선 B조 1위2019년 3월 26일첫 진출
이라크지역 예선 C조 1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아랍에미리트지역 예선 D조 1위2019년 3월 26일2회 (2013, 2016)
요르단지역 예선 E조 1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우즈베키스탄지역 예선 F조 1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역 예선 G조 1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대한민국지역 예선 H조 1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일본지역 예선 I조 1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중국지역 예선 J조 1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베트남지역 예선 K조 1위2019년 3월 26일2회 (2016, 2018)
오스트레일리아지역 예선 H조 2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이란지역 예선 C조 2위2019년 3월 26일2회 (2013, 2016)
시리아지역 예선 E조 2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사우디아라비아지역 예선 D조 2위2019년 3월 26일3회 (2013, 2016, 2018)


3. 2. 시드 배정

시드 배정은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3. 3. 선수 명단

2020년 AFC U-23 챔피언십에 참가한 팀들은 23명의 선수로 최종 명단을 구성했다. 각 팀별 선수 명단은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경기장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창 아레나


틴술라논 경기장


탐마삿 경기장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는 태국의 4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방콕에 위치한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은 49,722명을 수용할 수 있다. 부리람에 있는 창 아레나는 32,6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송클라의 틴술라논 경기장은 4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랑싯의 탐마삿 경기장은 2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방콕부리람송클라랑싯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창 아레나틴술라논 경기장탐마삿 경기장
수용인원: 49,722수용인원: 32,600수용인원: 45,000수용인원: 25,000


5. 심판진

2020년 1월 3일, AFC는 2020년 AFC U-23 챔피언십에 선정된 심판 목록을 발표했다. 34명의 주심, 26명의 부심, 2명의 예비 부심이 이 대회에 임명되었으며, 비디오 부심(VAR)이 이번 대회에 도입되었다.[1][2]

주심은 다음과 같다: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숀 에번스 (오스트레일리아)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푸밍 (중국)마닝 (중국)
리우궉만 (홍콩)알리레자 파가니 (이란)알리 사바 (이라크)모하나드 카심 (이라크)이다 준페이 (일본)
기무라 히로유키 (일본)사토 류지 (일본)도조 미노루 (일본)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아흐메드 알알리 (요르단)
김희곤 (대한민국)김종혁 (대한민국)고형진 (대한민국)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말레이시아)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압둘라 알마리 (카타르)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카미스 알쿠와리 (카타르)카미스 알마리 (카타르)투르키 알쿠드하이르 (사우디아라비아)
무하맛 타키 (싱가포르)헤티캄카남게 페레라 (스리랑카)한나 하타브 (시리아)시바꼰 푸우돔 (태국)암마르 알제네이비 (아랍에미리트)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오마르 모하메드 알알리 (아랍에미리트)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부심은 다음과 같다:

안톤 슈체티닌 (오스트레일리아)애쉴리 비참 (오스트레일리아)모하메드 살만 (바레인)압둘라 알로와이미 (바레인)차오이 (중국)
스샹 (중국)모함마드레자 아볼파질 (이란)모함마드레자 만수리 (이란)아흐마드 로알레 (요르단)모함마드 알카라프 (요르단)
미하라 준 (일본)야마우치 히로시 (일본)박상준 (대한민국)윤광열 (대한민국)아부 바카르 알암리 (오만)
라시드 알가이티 (오만)사우드 알마칼레 (카타르)탈레브 알마리 (카타르)모함메드 알아바크리 (사우디아라비아)칼라프 일샴마리 (사우디아라비아)
로니 코 민 키아트 (싱가포르)팔리다 헤마둥가 (스리랑카)모하메드 알함마디 (아랍에미리트)하산 알마흐리 (아랍에미리트)티무르 가이눌린 (우즈베키스탄)
안드레이 차펜코 (우즈베키스탄)



보조 부심은 다음과 같다:

모흐드 유스리 무하마드 (말레이시아)라웃 나까릿 (태국)


6. 조별 리그


  • 태국 시간 (UTC+7) 기준


조별 리그 순위 결정 기준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A조'''

2020년 1월 8일부터 1월 14일까지 태국, 이라크, 오스트레일리아, 바레인이 A조에 속해 경기를 치렀다.

순위국가경기승점
1오스트레일리아312043+15
2태국311173+44
3이라크30304403
4바레인302138-52


  • 오스트레일리아와 태국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1차전에서 태국은 바레인을 5-0으로 대파했고, 이라크와 오스트레일리아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태국을 2-1로 이겼고, 바레인과 이라크는 2-2로 비겼다. 마지막 3차전에서 태국과 이라크는 1-1, 오스트레일리아와 바레인도 1-1로 비기면서, 오스트레일리아와 태국이 각각 조 1,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B조'''

B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승 1무로 1위, 시리아가 1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카타르는 3무, 일본은 1무 2패로 탈락했다.

2020년 1월 9일 탐마삿 경기장에서 열린 카타르시리아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카타르는 압두리삭의 선제골과 모함마드의 자책골로 앞서갔으나, 시리아는 바라카트와 달리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같은 날 일본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1로 승리했다. 일본은 메시노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알쿠라이프와 가리브의 골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1월 12일에는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가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시리아일본을 2-1로 꺾었다. 시리아는 바라카트와 달리가 득점했고, 일본은 소마가 한 골을 만회했다.

1월 15일 카타르일본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카타르는 알아흐라크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일본은 오가와가 동점골을 넣었다. 같은 날 사우디아라비아시리아를 1-0으로 이겼다. 알부라이칸이 결승골을 기록했다.

'''C조'''

순위경기승점결과
1대한민국330052+39결선 토너먼트 진출
2우즈베키스탄311143+14결선 토너먼트 진출
3이란31113304탈락
4중국300304-40탈락



2020년 1월 9일, 틴술라논 경기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이란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우즈베키스탄의 이슬롬 코빌로프가 페널티골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이란의 레자 데흐가니가 후반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대한민국은 이동준의 후반 추가시간 득점에 힘입어 중국을 1-0으로 이겼다.

1월 12일, 이란은 셰카리의 골에도 불구하고 이동준조규성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대한민국에 1-2로 패했다.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은 코빌로프와 투크타시노프의 골로 중국을 2-0으로 꺾었다.

1월 15일, 우즈베키스탄은 압디솔리코프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오세훈에게 두 골을 내주며 대한민국에 1-2로 역전패했다. 같은 날, 이란은 누라프칸의 페널티골로 중국을 1-0으로 이겼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C조 1위를 차지하며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우즈베키스탄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함께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이란과 중국은 각각 1승 1무 1패, 3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D조'''

D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요르단이 각각 1승 2무로 승점 5점을 기록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는 골득실 +2, 요르단은 골득실 +1을 기록했다. 베트남은 2무 1패(승점 2점, 골득실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승 2패(승점 3점, 골득실 -2)로 탈락했다.

승점결과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ar, 아랍에미리트12031+25결선 토너먼트 진출
الاردنar, 요르단12032+15결선 토너먼트 진출
Việt Namvi, 베트남02112-12탈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0235-23탈락



2020년 1월 10일, 베트남아랍에미리트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요르단의 경기는 요르단의 2-1 승리로 끝났다. 요르단은 바니 아티에와 하니가 득점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량현주가 득점했다.

1월 13일, 아랍에미리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2-0으로 꺾었다. 알함마디와 알아메리가 득점했다. 같은 날 요르단베트남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월 16일, 베트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2로 패했다. 베트남은 응우옌띠엔린이 득점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국철과 리정규가 득점했다. 같은 날 요르단아랍에미리트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요르단은 알카왈데가, 아랍에미리트는 알아메리가 득점했다.

6. 1. A조

2020년 1월 8일부터 1월 14일까지 태국, 이라크, 오스트레일리아, 바레인이 A조에 속해 경기를 치렀다. 조별 리그 순위 결정 기준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순위국가경기승점
1오스트레일리아312043+15
2태국311173+44
3이라크30304403
4바레인302138-52


  • 오스트레일리아와 태국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1차전에서 태국은 바레인을 5-0으로 대파했고, 이라크와 오스트레일리아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태국을 2-1로 이겼고, 바레인과 이라크는 2-2로 비겼다. 마지막 3차전에서 태국과 이라크는 1-1, 오스트레일리아와 바레인도 1-1로 비기면서, 오스트레일리아와 태국이 각각 조 1,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6. 2. B조

B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승 1무로 1위, 시리아가 1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카타르는 3무, 일본은 1무 2패로 탈락했다.

2020년 1월 9일 탐마삿 경기장에서 열린 카타르시리아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카타르는 압두리삭의 선제골과 모함마드의 자책골로 앞서갔으나, 시리아는 바라카트와 달리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같은 날 일본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1로 승리했다. 일본은 메시노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알쿠라이프와 가리브의 골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1월 12일에는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가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시리아일본을 2-1로 꺾었다. 시리아는 바라카트와 달리가 득점했고, 일본은 소마가 한 골을 만회했다.

1월 15일 카타르일본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카타르는 알아흐라크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일본은 오가와가 동점골을 넣었다. 같은 날 사우디아라비아시리아를 1-0으로 이겼다. 알부라이칸이 결승골을 기록했다.

6. 3. C조

순위경기승점결과
1대한민국330052+39결선 토너먼트 진출
2우즈베키스탄311143+14결선 토너먼트 진출
3이란31113304탈락
4중국300304-40탈락



조별 리그 순위 결정 기준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2020년 1월 9일, 틴술라논 경기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이란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우즈베키스탄의 이슬롬 코빌로프가 페널티골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이란의 레자 데흐가니가 후반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대한민국은 이동준의 후반 추가시간 득점에 힘입어 중국을 1-0으로 이겼다.

1월 12일, 이란은 셰카리의 골에도 불구하고 이동준조규성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대한민국에 1-2로 패했다.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은 코빌로프와 투크타시노프의 골로 중국을 2-0으로 꺾었다.

1월 15일, 우즈베키스탄은 압디솔리코프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오세훈에게 두 골을 내주며 대한민국에 1-2로 역전패했다. 같은 날, 이란은 누라프칸의 페널티골로 중국을 1-0으로 이겼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C조 1위를 차지하며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우즈베키스탄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함께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이란과 중국은 각각 1승 1무 1패, 3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6. 4. D조

D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요르단이 각각 1승 2무로 승점 5점을 기록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는 골득실 +2, 요르단은 골득실 +1을 기록했다. 베트남은 2무 1패(승점 2점, 골득실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승 2패(승점 3점, 골득실 -2)로 탈락했다.

승점결과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ar, 아랍에미리트12031+25결선 토너먼트 진출
الاردنar, 요르단12032+15결선 토너먼트 진출
Việt Namvi, 베트남02112-12탈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0235-23탈락



2020년 1월 10일, 베트남아랍에미리트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요르단의 경기는 요르단의 2-1 승리로 끝났다. 요르단은 바니 아티에와 하니가 득점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량현주가 득점했다.

1월 13일, 아랍에미리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2-0으로 꺾었다. 알함마디와 알아메리가 득점했다. 같은 날 요르단베트남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월 16일, 베트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2로 패했다. 베트남은 응우옌띠엔린이 득점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국철과 리정규가 득점했다. 같은 날 요르단아랍에미리트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요르단은 알카왈데가, 아랍에미리트는 알아메리가 득점했다.

7. 결선 토너먼트

2020년 1월 18일 랑싯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태국을 1-0으로 이겼고, 방콕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시리아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이겼다. 2020년 1월 19일 랑싯에서 '''대한민국'''이 요르단을 2-1로 이겼고, 방콕에서 아랍에미리트우즈베키스탄에게 1-5로 크게 졌다.

2020년 1월 22일 랑싯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오스트레일리아를 2-0으로 이겼고, 방콕에서 '''사우디아라비아'''는 우즈베키스탄을 1-0으로 이겼다.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준결승전에서 승리하며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했다.

2020년 1월 25일 방콕에서 열린 3위 결정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우즈베키스탄을 1-0으로 이기고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결승전은 2020년 1월 26일 방콕에서 열렸으며, 대한민국사우디아라비아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7. 1. 8강전

2020년 1월 18일, 사우디아라비아는 탐마삿 경기장에서 열린 태국과의 경기에서 압둘라 알함단의 페널티골로 1 – 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오스트레일리아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시리아를 상대로 연장전 끝에 알 하산 투레이의 골로 1 – 0 승리를 기록했다.

1월 19일, 대한민국은 탐마삿 경기장에서 요르단과의 경기에서 조규성이동경의 골로 2 – 1 승리를 거두었다. 요르단의 야잔 알마이나트가 한 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는 아랍에미리트우즈베키스탄에게 1 – 5로 대패했다. 아랍에미리트의 자예드 알아메리가 한 골을 넣었지만, 우즈베키스탄의 일콤욘 알리아노프, 이슬롬 코비로프(페널티골), 오이벡 보조로프, 자수르베크 야크시보예프, 누릴로 투크타시노프가 득점하며 승리했다.

7. 2. 준결승전

2020년 1월 22일에 준결승전 2경기가 개최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우즈베키스탄을 1-0으로 이겼다. 알오므란이 후반 87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를 2-0으로 이겼다. 김대원이동경이 각각 후반 56분, 70분에 득점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은 이 경기에서 승리하며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했다.

7. 3. 3위 결정전

2020년 1월 25일 19시 30분(현지 시각) 라차망칼라 스타디움(방콕)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우즈베키스탄의 3위 결정전에서는 니클러스 다고스티노가 후반 47분에 득점하여 1-0으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승리했다. 이 경기의 주심은 아랍에미리트 소속의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가 맡았으며, 59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이 경기에서 승리함으로써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7. 4. 결승전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결승전은 2020년 1월 26일 19시 30분(현지시간) 방콕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사우디아라비아가 맞붙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크리스 비스가 심판을 맡았다.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정태욱이 113분에 골을 넣어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했다.

8. 최종 순위

순위경기득실차승점
1대한민국6600103+718
2사우디아라비아641152+313
3오스트레일리아632165+111
4우즈베키스탄621396+37
5요르단41214405
6아랍에미리트412146-25
7태국411274+24
8시리아411245-14
9이란31113304
10이라크30304403
11카타르30303303
1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10235-23
13베트남302112-12
14바레인302138-52
15일본301235-21
16중국300304-40



준결승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위 결정전의 경기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승부차기로 끝난 경기는 무승부에 포함되며, 승부차기에 의한 득점은 총 득점에 산입하지 않는다.

9. 수상

(3골, 4경기 136분 출전)[3] 송범근 원두재


9. 1. 개인 수상

득점왕최우수 골키퍼MVP페어 플레이
자로엔삭 웡곤(3골, 4경기 136분 출전)[3] 송범근 원두재


9. 2. 팀 수상

득점왕최우수 골키퍼MVP페어 플레이
자로엔삭 웡곤(3골, 4경기 136분 출전)[3] 송범근 원두재


10. 기록

10. 1. 득점 선수

'''3골'''

'''2골'''

'''1골'''

'''자책골'''

11.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11. 1. 올림픽 본선 진출팀

진출 확정 일자진출 자격 조건출전횟수
{{축구나라2013년 9월 7일개최국10 (1936, 1956, 1964, 1968,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축구나라2020년 1월 22일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10 (1948, 196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축구나라2020년 1월 22일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2 (1984, 1996)
{{축구나라2020년 1월 25일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3위7 (1956,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기울임체''는 개최국

대한민국이 2020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였다. 이는 다시 한번 대한민국이 아시아 축구의 강자임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인용 Match officials for Thailand 2020 appointed https://www.the-afc.[...] the-afc.com 2020-01-03
[2] 웹인용 Match officials https://www.the-afc.[...] the-afc.com 2020-01-03
[3] 문서 3골 기록한 5명의 선수들 중에서, 최소 출전 시간 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