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선수들로 구성되어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 등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팀이다. 1991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분리되어 하위 대표팀으로 출범했으며,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U-23 대표팀으로 올림픽에 참가했다. 올림픽에서는 2012년 런던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24년 대회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다. AFC U-23 아시안컵에서는 2020년 우승, 2016년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아시안 게임에서는 2014년, 2018년, 2022년 금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다 우승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팀의 역대 감독으로는 김삼락, 홍명보, 김학범 등이 있으며, 현재는 황선홍이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일본인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아시안 게임 우승 및 올림픽 4강 진출, AFC U-23 아시안컵 우승 등 국제 대회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대한축구협회 창립 후 국제 무대에서 활동하며 월드컵 4강, 아시안컵 2회 우승, EAFF E-1 풋볼 챔피언십 5회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한 '태극전사'로 불리는 팀으로, 붉은색 유니폼과 호랑이 엠블럼을 상징으로 한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은 미래의 한국 축구를 이끌어갈 청소년 대표팀으로, FIFA U-17 월드컵 8강 진출 3회, AFC U-17 아시안컵 우승 2회, 난징 청소년 올림픽 은메달 획득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B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B팀은 A팀의 일정과 겹치거나 2원화 상비군 체제 운영을 위해, 또는 국제 대회 참가를 위해 수시로 구성되었으며, AFC 아시안컵 3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참가 등의 활동을 하다가 1993년 이후 연령별 대표팀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FIVB에 가입하여 올림픽 동메달과 4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최근 네이션스리그에서 부진을 보이는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은 토마스컵, 우버컵, 수디르만컵 등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대한민국의 대표팀으로, 과거 세계적인 강팀이었으나 최근 부진하며 선수 육성 시스템 개선 및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FIFA 트리그램 | KOR |
별칭 | 태극전사 붉은 악마 아시아의 호랑이 |
협회 | 대한축구협회 (KFA) |
대륙 연맹 | AFC (아시아) |
하위 연맹 | EAFF (동아시아) |
감독 | 명재용 |
최다 출장 선수 | 이기형 (48) |
최다 득점 선수 | 최용수 (25) |
유니폼 | |
홈 유니폼 색상 |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빨간색 |
원정 유니폼 색상 |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검은색 |
첫 경기 및 최대/최소 점수차 승/패 | |
첫 경기 | 대한민국 5–0 인도네시아 (마산, 대한민국; 1991년 3월 24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대한민국 10–0 필리핀 (서울, 대한민국; 1991년 5월 18일) 대한민국 10–0 필리핀 (양곤, 미얀마; 2012년 6월 30일) 대한민국 10–0 마카오 (호치민시, 베트남; 2017년 7월 19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스웨덴 3–0 대한민국 (스웨덴; 1995년 11월 7일) 일본 4–1 대한민국 (도쿄, 일본; 1999년 9월 7일) 스페인 3–0 대한민국 (애들레이드,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 9월 14일) 이탈리아 3–0 대한민국 (친황다오시, 중국; 2008년 8월 10일) 브라질 3–0 대한민국 (맨체스터, 잉글랜드; 2012년 8월 7일) 우즈베키스탄 4–1 대한민국 (쿤산시, 중국; 2018년 1월 23일) 멕시코 6–3 대한민국 (요코하마시, 일본; 2021년 7월 31일) 대한민국 0–3 일본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2022년 6월 12일) |
주요 대회 성적 | |
하계 올림픽 출전 횟수 | 8회 |
하계 올림픽 첫 출전 | 1992년 |
하계 올림픽 최고 성적 | 동메달 ( 2012년) |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 | 6회 |
아시안 게임 첫 출전 | 2002년 |
아시안 게임 최고 성적 | 금메달 (2014년, 2018년, 2022년) |
AFC U-23 아시안컵 출전 횟수 | 5회 |
AFC U-23 아시안컵 첫 출전 | 2013년 |
AFC U-23 아시안컵 최고 성적 | 우승 (2020년) |
메달 기록 |
2. 역사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뿌리는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기 위해 1983년 멕시코에서 4강 신화를 창조한 박종환 감독의 대한민국 U-20팀을 주축으로 출범한 88 올림픽 대표팀이다.[43][44] 1985년 이전까지는 1988년 하계 올림픽에 프로 선수 진출이 허용되지 않았거나 23세 이하 나이 제한이 적용될 수도 있는 불확실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프로에 입단하지 않은 대학생 위주의 아마추어 선수로 대표팀을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1992년 하계 올림픽부터 국제 축구 연맹에 의해 23세 이하 선수들만 출전이 허용되는 규정이 적용되면서 1991년 3월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분리되어 하급 대표팀으로 재편되었으며, 1992년 하계 올림픽 이후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 등 4년에 한 번씩 치러지는 국제 대회마다 꾸준히 출전하고 있다.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기 위해 1983년 멕시코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4강 신화를 이룬 박종환 감독의 대한민국 U-20팀을 주축으로 출범한 88 올림픽 대표팀이 그 뿌리이다.[43][44] 1992년 하계 올림픽부터 국제 축구 연맹(FIFA)에 의해 23세 이하 선수들만 출전이 허용되는 규정이 적용되면서, 1991년 3월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분리되어 하급 대표팀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 등 4년에 한 번씩 치러지는 국제 대회에 꾸준히 출전하고 있다.
3. 국제 대회 경력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첫 출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5번의 AFC U-23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여 2020년 대회에서 사상 첫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1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3년과 2018년 대회에서는 4강에 이름을 올렸다.
3. 1. 올림픽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U-23 대표팀 경기로 규칙이 변경된 이후,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8회 연속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45]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다.[38][39][40][41]
특히,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U-23 대표팀과 성인대표팀을 통틀어 사상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 성공했다.[46] 이는 종전 최고 성적이었던 1948년 대회와 2004년 대회 8강을 뛰어넘는 역대 올림픽 최고 성적이었다.
하계 올림픽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2년 | 조별 리그 | 3 | 0 | 3 | 0 | 2 | 2 |
1996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2 | 2 |
2000년 | 조별 리그 | 3 | 2 | 0 | 1 | 2 | 3 |
2004년 | 8강 | 4 | 1 | 2 | 1 | 8 | 8 |
2008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2 | 4 |
2012년 | 동메달 | 6 | 2 | 3 | 1 | 5 | 5 |
2016년 | 8강 | 4 | 2 | 1 | 1 | 12 | 4 |
2020년 | 8강 | 4 | 2 | 0 | 2 | 13 | 7 |
2024년 | 예선 탈락 | ||||||
합계 | 동메달 | 30 | 11 | 11 | 8 | 46 | 35 |
3. 2. AFC U-23 아시안컵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U-23 아시안컵에 2013년 대회를 시작으로 2024년 대회까지 6회 연속 본선에 진출했다.[42] 2020년 대회에서 우승했고, 201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했다.[42]개최 연도 | 라운드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13년 | 4위 | 6 | 3 | 2 | 1 | 8 | 3 |
2016년 | 준우승 | 6 | 4 | 1 | 1 | 14 | 6 |
2018년 | 4위 | 6 | 3 | 1 | 2 | 8 | 9 |
2020년 | 우승 | 6 | 6 | 0 | 0 | 10 | 3 |
2022년 | 8강 | 4 | 2 | 1 | 1 | 6 | 5 |
2024년 | 8강[42] | 4 | 3 | 1 | 0 | 6 | 2 |
총계 | 6/6 | 32 | 21 | 6 | 5 | 52 | 28 |
3. 3.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축구는 2002년 대회부터 U-23 경기로 치러지고 있다.[47]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2년부터 2022년까지 6회 연속 아시안 게임에 참가했으며, 2014년, 2018년, 2022년 대회에서 3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축구 최다 우승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아시안 게임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2 | 동메달 | 6 | 5 | 1 | 0 | 17 | 2 | |
2006 | 4위 | 6 | 4 | 0 | 2 | 9 | 2 | |
2010 | 동메달 | 7 | 5 | 0 | 2 | 17 | 6 | |
2014 | 금메달 | 7 | 7 | 0 | 0 | 13 | 0 | |
2018 | 금메달 | 7 | 6 | 0 | 1 | 19 | 7 | |
2022 | 금메달 | 7 | 7 | 0 | 0 | 27 | 3 | |
2026 | 미정 | |||||||
2030 | ||||||||
2034 | ||||||||
합계 | 3회 우승 | 40 | 34 | 1 | 5 | 102 | 20 |
4. 선수단
올림픽은 1996년부터 23세 이하 규정에 3명의 연령 초과 선수(Overage Player)가 참가할 수 있으며, 아시안 게임은 2002년부터 23세 이하 규정에 3명의 연령 초과 선수가 참가할 수 있다.[4] 국내 언론에서는 올림픽 축구 연령 초과 선수와 아시안 게임 축구 연령 초과 선수를 와일드카드 선수라는 명칭으로 많이 사용한다.
[3][5]
최근 12개월 동안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소속팀 | 최근 차출 |
---|---|---|---|---|
DF | 김지수 | 브렌트퍼드 (잉글랜드) | 2024 AFC U-23 아시안컵 WD | |
DF | 조위제 | 부산 아이파크 | 2024 WAFF U-23 챔피언십 INJ | |
DF | 김주환 | 울산 현대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DF | 김륜성 | 부산 아이파크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DF | 이준재 | 경남 FC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MF | 양현준 | 셀틱 (스코틀랜드) | 2024 AFC U-23 아시안컵 WD | |
MF | 배준호 | 스토크 시티 (잉글랜드) | 2024 AFC U-23 아시안컵 WD | |
MF | 이재욱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24 WAFF U-23 챔피언십 | |
MF | 고영준 | 파르티잔 (세르비아)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WD | |
MF | 박창환 | 서울 이랜드 FC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MF | 오재혁 | 성남 FC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INJ | |
MF | 전병관 | 전북 현대 모터스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MF | 이승원 | 김천 상무 FC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MF | 박현빈 | 부천 FC 1995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MF | 김용학 | 포르티모넨세 (포르투갈)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FW | 성진영 | 전북 현대 모터스 | 2024 모리스 레벨로 토너먼트 INJ | |
FW | 강현묵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24 WAFF U-23 챔피언십 | |
FW | 허율 | 광주 FC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
FW | 박호민 | 부천 FC 1995 | 안탈리아 전지훈련 (2024년 1월) |
INJ 부상으로 인해 참가 철회.
WD 부상 이외의 사유로 인해 참가 철회.
A A대표팀 차출.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6월 2024 모리스 레벨로 토너먼트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0][11]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소속팀 |
---|---|---|---|
GK | 이승환 | 포항 스틸러스 | |
GK | 김동화 | 선문대학교 | |
GK | 한준성 | 전주대학교 | |
DF | 안재민 | 김포 FC | |
DF | 이찬욱 | 경남 FC | |
DF | 황인택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DF | 강민준 | 고려대학교 | |
DF | 정성우 | 부산 아이파크 | |
DF | 홍성민 | 충북 청주 | |
DF | 장석환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DF | 강동현 | 호남대학교 | |
MF | 박재성 | 상지대학교 | |
MF | 홍용준 | 명지대학교 | |
MF | 류승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MF | 문성우 | FC 안양 | |
MF | 조진호 | 라드니치키 니시 | |
MF | 전유상 | 전남 드래곤즈 | |
MF | 홍기욱 | 아주대학교 | |
MF | 김정현 | 충북 청주 | |
MF | 백지웅 | 서울 이랜드 | |
FW | 박주영 | 제주 유나이티드 | |
FW | 김건남 | 건국대학교 | |
FW | 정승배 | 수원 FC | |
FW | 이동열 | 숭실대학교 |
4. 2. 연령 초과 선수 (와일드카드)
하계 올림픽 축구와 아시안 게임 축구는 23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각 팀마다 23세를 초과하는 선수를 3명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선수들을 대한민국에서는 "와일드카드"라고 부른다.[12] 대한민국 법률에 따라 올림픽 메달리스트와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는 병역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력 있는 선수들은 와일드카드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기도 한다.[13]다음은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역대 와일드카드 선수 명단이다.
대회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
2002 | 이운재 (GK) | 김영철 (DF) | 이영표 (DF) |
2006 | 김동진 (DF) | 김두현 (MF) | 이천수 (FW) |
2010 | 김정우 (MF) | 박주영 (FW) | 미선발 |
2014 | 김승규 (GK) | 박주호 (DF) | 김신욱 (FW) |
2018 | 조현우 (GK) | 황의조 (FW) | 손흥민 (FW) |
2022 | 설영우 (DF) | 박진섭 (MF) | 백승호 (MF) |
4. 2. 1. 올림픽
대회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
1996 | 이임생 (DF) 이경춘 (DF)[1] | 하석주 (MF) | 황선홍 (FW) |
2000 | 강철 (DF) | 김상식 (DF) | 김도훈 (FW) |
2004 | 유상철 (MF) | 정경호 (FW) | 미선발 |
2008 | 김동진 (DF) | 김정우 (MF) | 미선발 |
2012 | 정성룡 (GK) | 김창수 (DF) | 박주영 (FW) |
2016 | 장현수 (DF) | 석현준 (FW) | 손흥민 (FW) |
2020 | 박지수 (DF) | 권창훈 (MF) | 황의조 (FW) |
4. 2. 2.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은 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이 참가하는 종합 스포츠 대회로, 축구는 이 대회의 주요 종목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노력한다.(참고: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2024 모리스 레벨로 토너먼트 선수 명단만 있고, 아시안 게임 관련 내용은 없습니다. 따라서 아시안 게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했습니다. 만약 아시안 게임 관련 내용을 추가하려면,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 대회별 주요 성적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하계 올림픽'''에서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하계 올림픽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48년–1988년 | A대표팀으로 참가 | |||||||
1992년 | 조별 리그 | 3 | 0 | 3 | 0 | 2 | 2 | |
1996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2 | 2 | |
2000년 | 조별 리그 | 3 | 2 | 0 | 1 | 2 | 3 | |
2004년 | 8강 | 4 | 1 | 2 | 1 | 8 | 8 | |
2008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2 | 4 | |
2012년 | 동메달 | 6 | 2 | 3 | 1 | 5 | 5 | |
2016년 | 8강 | 4 | 2 | 1 | 1 | 12 | 4 | |
2020년 | 8강 | 4 | 2 | 0 | 2 | 13 | 7 | |
2024년 | 예선 탈락 | |||||||
2028년 | 미정 | |||||||
2032년 | ||||||||
합계 | 동메달 | 30 | 11 | 11 | 8 | 46 | 35 |
- '''AFC U-23 아시안컵'''에서는 202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AFC U-23 아시안컵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2013 | 4위 | 6 | 3 | 2 | 1 | 8 | 3 | |
2016 | 준우승 | 6 | 4 | 1 | 1 | 14 | 6 | |
2018 | 4위 | 6 | 3 | 1 | 2 | 8 | 9 | |
2020 | 우승 | 6 | 6 | 0 | 0 | 10 | 3 | |
2022 | 8강 | 4 | 2 | 1 | 1 | 6 | 5 | |
2024 | 8강 | 4 | 3 | 1 | 0 | 6 | 2 | |
2026 | 미정 | |||||||
합계 | 1회 우승 | 32 | 21 | 6 | 5 | 52 | 28 |
- '''아시안 게임'''에서는 2014년 인천 대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 2022년 항저우 대회에서 3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
아시안 게임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51–1998 | 시니어 대표팀 참가 | |||||||
2002 | 동메달 | 6 | 5 | 1 | 0 | 17 | 2 | |
2006 | 4위 | 6 | 4 | 0 | 2 | 9 | 2 | |
2010 | 동메달 | 7 | 5 | 0 | 2 | 17 | 6 | |
2014 | 금메달 | 7 | 7 | 0 | 0 | 13 | 0 | |
2018 | 금메달 | 7 | 6 | 0 | 1 | 19 | 7 | |
2022 | 금메달 | 7 | 7 | 0 | 0 | 27 | 3 | |
2026 | 미정 | |||||||
2030 | ||||||||
2034 | ||||||||
합계 | 3회 우승 | 40 | 34 | 1 | 5 | 102 | 20 |
-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는 2024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 라운드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24 WAFF U-23 선수권 대회 | 우승 | 3 | 2 | 1 | 0 | 4 | 2 |
5. 1. 대륙 선수권 대회
2002년 대회부터 2022년 대회까지 6회 연속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홈에서 열린 2014년 대회에서 U-23 대표팀 출범 이후 처음이자 성인대표팀 시절이던 1986년 대회 이후 28년만에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4년 후 열린 2018년 대회와 5년 후 열린 2022년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3회 연속이자 통산 6번째 금메달로 역대 아시안 게임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이어나갔다.- '''AFC U-23 아시안컵'''
- * '''우승 (1)''': 2020
- * '''준우승 (1)''': 2016
- * '''4위 (2)''': 2014, 2018
5. 2.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1992년 대회를 시작으로 8번의 하계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U-23 대표팀과 성인대표팀을 통틀어 사상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 성공하면서 종전 최고 성적이었던 1948년 대회(성인대표팀 시절)와 2004년 대회 8강을 뛰어 넘어 역대 올림픽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33]2013년 대회 첫 출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5번의 AFC U-23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여 2020년 대회에서 사상 첫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1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3년과 2018년 대회에서는 4강에 이름을 올렸다.
1998년 대회까지 성인 경기로 치렀고, 대회 출전 자격이 U-23 국가대표팀으로 바뀐 이후의 성적만을 기술한다.
- '''하계 올림픽'''
: Bronze medal영어 '''동메달 (1)''': 2012
- '''아시안 게임'''
: Gold medal영어 '''금메달 (3)''': 2014, 2018, 2022
: Bronze medal영어 '''동메달 (2)''': 2002, 2010
: '''4위 (1)''': 2006
-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우승 (1)''': 2023
하계 올림픽 기록 | 예선 기록[33] | |||||||||||||
---|---|---|---|---|---|---|---|---|---|---|---|---|---|---|
년도 | 라운드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선수 명단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1948년–1988년 | A대표팀으로 참가 | A대표팀으로 참가 | ||||||||||||
1992년 | 조별 리그 | 3 | 0 | 3 | 0 | 2 | 2 | 선수 명단 | 13 | 10 | 2 | 1 | 36GF | 4GA |
1996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2 | 2 | 선수 명단 | 9 | 8 | 1 | 0 | 25GF | 5GA |
2000년 | 조별 리그 | 3 | 2 | 0 | 1 | 2 | 3 | 선수 명단 | 7 | 6 | 1 | 0 | 24GF | 2GA |
2004년 | 8강 | 4 | 1 | 2 | 1 | 8 | 8 | 선수 명단 | 8 | 8 | 0 | 0 | 12GF | 0GA |
2008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2 | 4 | 선수 명단 | 12 | 8 | 3 | 1 | 14GF | 4GA |
2012년 | 동메달 | 6 | 2 | 3 | 1 | 5 | 5 | 선수 명단 | 8 | 4 | 4 | 0 | 12GF | 4GA |
2016년 | 8강 | 4 | 2 | 1 | 1 | 12GF | 4GA | 선수 명단 | AFC U-23 챔피언십을 통해 | |||||
2020년 | 8강 | 4 | 2 | 0 | 2 | 13GF | 7GA | 선수 명단 | ||||||
2024년 | 예선 탈락 | |||||||||||||
2028년 | 미정 | |||||||||||||
2032년 | ||||||||||||||
합계 | 동메달 | 30 | 11 | 11 | 8 | 46 | 35 | 8/9 | 57 | 44 | 11 | 2 | 123 | 19 |
AFC U-23 아시안컵 기록 | 예선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명단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2013 | 4위 | 6 | 3 | 2 | 1 | 8 | 3 | 명단 | 5 | 4 | 1 | 0 | 23GF | 3GA |
2016 | 준우승 | 6 | 4 | 1 | 1 | 14GF | 6GA | 명단 | 3 | 3 | 0 | 0 | 12GF | 0GA |
2018 | 4위 | 6 | 3 | 1 | 2 | 8 | 9 | 명단 | 3 | 2 | 1 | 0 | 12GF | 1GA |
2020 | 우승 | 6 | 6 | 0 | 0 | 10GF | 3GA | 명단 | 3 | 2 | 1 | 0 | 16GF | 3GA |
2022 | 8강 | 4 | 2 | 1 | 1 | 6 | 5 | 명단 | 3 | 3 | 0 | 0 | 14GF | 1GA |
2024 | 8강 | 4 | 3 | 1 | 0 | 6 | 2 | 명단 | 2 | 2 | 0 | 0 | 4 | 0 |
2026 | 미정 | |||||||||||||
합계 | 1회 우승 | 32 | 21 | 6 | 5 | 52 | 28 | 6/6 | 19 | 16 | 3 | 0 | 81 | 8 |
아시안 게임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선수 명단 |
1951–1998 | 시니어 대표팀 참가 | |||||||
2002 | 동메달 | 6 | 5 | 1 | 0 | 17GF | 2GA | 선수 명단 |
2006 | 4위 | 6 | 4 | 0 | 2 | 9 | 2 | 선수 명단 |
2010 | 동메달 | 7 | 5 | 0 | 2 | 17GF | 6GA | 선수 명단 |
2014 | 금메달 | 7 | 7 | 0 | 0 | 13GF | 0GA | 선수 명단 |
2018 | 금메달 | 7 | 6 | 0 | 1 | 19GF | 7GA | 선수 명단 |
2022 | 금메달 | 7 | 7 | 0 | 0 | 27GF | 3GA | 선수 명단 |
2026 | 미정 | |||||||
2030 | ||||||||
2034 | ||||||||
합계 | 3회 우승 | 40 | 34 | 1 | 5 | 102 | 20 | 6/6 |
대회 | 라운드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선수 명단 |
---|---|---|---|---|---|---|---|---|
2024 WAFF U-23 선수권 대회 | 우승 | 3 | 2 | 1 | 0 | 4 | 2 | 선수 명단 |
6. 역대 감독
올림픽 본선은 김삼락 감독 단독 지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