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3년 국제 경기를 시작하여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아직 성공하지 못했지만,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04년 AFC 아시안컵 8강, 2011년 AFC 아시안컵 8강, 2019년 AFC 아시안컵 16강 진출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아시아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도 했다. 역대 주요 선수로는 아메르 샤피, 함자 알-다르두르 등이 있으며, 현재 자말 셀라미가 감독을 맡고 있다. 홈 경기장으로는 암만 국제경기장과 압둘라 2세 국왕 경기장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의 축구 - 요르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05년 창단된 요르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서아시아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서아시아 강호로 자리매김했고, 2018년 FIFA 여자 아시안컵을 개최한 최초의 아랍 국가이지만, FIFA 여자 월드컵이나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는 아직 진출하지 못했다. - 요르단의 축구 - 요르단 축구 협회
요르단 축구 협회는 알리 빈 알 후세인 왕자가 회장을 맡아 요르단의 축구 국가대표팀과 리그 시스템, 컵 대회를 관리하며 요르단 축구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협회이다. - 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النشامى (용맹한 자들) |
협회 | 요르단 축구 협회 |
연맹 | AFC (아시아) |
하위 연맹 | WAFF (서아시아) |
감독 | 자말 셀라미 |
주장 | 이흐산 하다드 |
최다 출장 선수 | 아메르 샤피 (171경기) |
최다 득점 선수 | 함자 알-다르두르 (33골) |
홈 경기장 | 암만 국제경기장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
FIFA 코드 | JOR |
FIFA 최고 랭킹 | 37위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4년 8월 – 9월 |
FIFA 최저 랭킹 | 152위 |
FIFA 최저 랭킹 날짜 | 1996년 7월 |
Elo 랭킹 | }} |
Elo 최고 랭킹 | 37위 |
Elo 최고 랭킹 날짜 | 2004년 7월 23일 |
Elo 최저 랭킹 | 143위 |
Elo 최저 랭킹 날짜 | 1984년 9월, 1985년 7월 |
유니폼 | |
![]() | |
![]() | |
![]() | |
경기 정보 | |
첫 경기 | 시리아 3–1 요르단 (1953년 8월 1일,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
최대 점수차 승리 | 요르단 9–0 네팔 (2011년 7월 23일, 암만, 요르단) |
최대 점수차 패배 | 레바논 6–0 요르단 (1957년 10월 22일, 베이루트, 레바논) 알제리 6–0 요르단 (1974년 9월 29일, 다마스쿠스, 시리아) 이라크 7–1 요르단 (1982년 2월 21일, 바그다드, 이라크) 중국 6–0 요르단 (1984년 9월 15일, 광저우시, 중국) 일본 6–0 요르단 (2012년 6월 8일, 사이타마시, 일본) 노르웨이 6–0 요르단 (2023년 9월 7일, 오슬로, 노르웨이) |
지역 대회 | |
아시안컵 출전 횟수 | 6회 |
아시안컵 첫 출전 | 2004년 |
아시안컵 최고 성적 | 준우승 (2023년) |
아랍컵 출전 횟수 | 9회 |
아랍컵 첫 출전 | 1963년 |
아랍컵 최고 성적 | 4강 (2002년) |
WAFF 챔피언십 출전 횟수 | 9회 |
WAFF 챔피언십 첫 출전 | 2000년 |
WAFF 챔피언십 최고 성적 | 준우승 (2002년, 2008년, 2014년) |
아랍 게임 출전 횟수 | 10회 |
아랍 게임 첫 출전 | 1953년 |
아랍 게임 최고 성적 | 우승 (1997년, 1999년) |
메달 정보 | |
AFC 아시안컵 | 2023년 준우승 |
아랍 게임 | 1997년 우승 1999년 우승 2011년 준우승 |
WAFF 챔피언십 | 2002년 준우승 2008년 준우승 2014년 준우승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jfa.jo |
2. 역사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3년 이집트에서 열린 첫 국제 경기에서 시리아에 1-3으로 패했다.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을 통해 처음으로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1]
1990년대 후반부터 모하마드 아와드(Mohammad Awad), 브랑코 스밀야니치(Branko Smiljanić), 마흐무드 엘 고하리(Mahmoud El-Gohary) 등 여러 감독들을 거치며 발전했다. 특히 엘 고하리 감독 시절인 2004년에는 AFC 아시안컵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8강에 올랐고, FIFA 랭킹 37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순위를 경신했다.[24]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최종 예선까지 진출, 우즈베키스탄과의 5차 예선에서 승리하며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남미 지역 예선 5위 우루과이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며[26][27]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2019년 UAE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는 등[28] 선전했지만 16강에서 베트남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29]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후세인 아무타 감독의 지휘 아래 사상 처음으로 결승전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비록 결승에서 카타르에 패해[6]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요르단 축구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조 1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32]
2. 1. 초기 역사 (1953년 ~ 1996년)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국제 경기는 1953년 이집트에서 열렸으며, 시리아에 1-3으로 패했다. 요르단이 처음 참가한 FIFA 월드컵 예선은 1986년 예선이었고, 아직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성공하지 못했다.[1]2. 2. 발전기 (1997년 ~ 2007년)
모하마드 아와드(Mohammad Awad) 감독은 1992년부터 1999년까지 요르단 대표팀을 이끌며 1997년 베이루트(Beirut)와 1999년 암만(Amman)에서 열린 아랍 게임즈(Arab Games)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세르비아 출신 브랑코 스밀야니치(Branko Smiljanić) 감독 부임 이후 요르단 대표팀은 더욱 발전하기 시작했다.[1] 그는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2002 FIFA World Cup qualification) 1차 예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아쉽게도 다음 라운드 진출에는 실패했다.[1] 브랑코 감독은 2002년 아랍컵(2002 Arab Cup) 준결승, 2000년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2000 West Asian Football Federation Championship) 4위, 2004년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2004 West Asian Football Federation Championship) 2위 등 굵직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우승컵을 들어 올리지는 못했다.[1]
브랑코 감독의 뒤를 이어 이집트 출신 마흐무드 엘 고하리(Mahmoud El-Gohary) 감독이 요르단 대표팀 지휘봉을 잡았다.[1] 엘 고하리 감독의 지도 아래 요르단은 2004년 중국에서 열린 AFC 아시안컵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하여 8강에 오르는 쾌거를 달성했다.[1] 비록 8강에서 일본과의 경기에서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준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지만,[1] 엘 고하리 감독 부임 기간 동안 요르단은 2004년 FIFA 랭킹 37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순위를 경신했다.[24]
엘 고하리 감독 역시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AFC)(2006 FIFA World Cup qualification (AFC)) 1차 예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2004년과 2007년 WAFF 선수권 대회에서는 각각 3위와 준결승 진출을 이끌었다.[1]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2007 AFC Asian Cup qualification) 6경기 중 5경기를 지휘한 후 엘 고하리 감독은 은퇴했고,[1] 요르단 축구 협회(Jordan Football Association)는 포르투갈 출신 넬로 빙가다(Nelo Vingada)를 후임 감독으로 선임했다.[1] 하지만 빙가다 감독은 2007년 AFC 아시안컵(2007 AFC Asian Cup)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1]
2. 3. 부흥기 (2008년 ~ 2015년)
요르단은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 B조 3위를 기록, A조 3위 우즈베키스탄과 5차 예선에서 맞붙었다. 2경기 합계 2-2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9-8로 승리하며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그러나 남미 지역 예선 5위 우루과이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 1차전 홈 경기에서 0-5로 크게 패했고,[26] 원정 2차전에서 무승부를 기록했지만,[27] 합계 0-5로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2018년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2차 예선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홈에서 2-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으나, 조 2위에 그치며 최종 예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9년 UAE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는 등[28] 2승 1무의 뛰어난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16강에서 베트남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29] 대회를 마감했다.
2. 4. 침체기 (2016년 ~ 2023년)
2023년 6월, 후세인 아무타가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5] 2024년 초, 그는 팀을 이끌고 아시안컵 결승전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요르단은 이라크를 상대로 추가 시간에 두 골을 넣어 3-2로 승리했고, 타지키스탄을 1-0, 한국을 2-0으로 꺾는 파란을 일으켰다. 비록 결승전에서 개최국 카타르에 승부차기 끝에 3-1로 패했지만,[6] 요르단 축구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 요르단은 첫 경기 말레이시아전에서 4-0 대승을 거두며 기분 좋게 출발했다. 한국과의 경기에서는 전반 9분 손흥민에게 페널티킥으로 실점했지만, 전반 종료 직전 야잔 알나이맛의 역전골로 승점 1점을 획득하며 저력을 과시했다. 조별 리그 3차전 바레인과의 경기에서는 전반 34분 아브둘라 유수프 헤랄에게 선제골을 내주며 0-1로 패했지만, 각 조 3위 팀 중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일본을 꺾고 D조 1위를 차지한 이라크를 만나 전반 종료 직전 야잔 알나이맛의 선제골로 앞서갔다. 후반 76분 아이만 후세인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위기를 맞았으나, 경기 종료 직전 연속골로 극적인 3-2 역전승을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타지키스탄을 상대로 66분 바흐다트 하노노프의 자책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사상 첫 4강 진출이라는 역사를 썼다. 준결승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만났던 한국을 다시 만나 후반 53분 야잔 알나이맛의 선제골과 무사 알타마리의 추가골로 2-0 완승을 거두며 결승에 진출했다.[30] 결승전에서는 개최국이자 2019년 대회 우승팀인 카타르를 상대로 전반 22분 아크람 아피프에게 페널티킥 선제골을 내줬지만, 후반 67분 야잔 알나이맛이 동점골을 터뜨렸다. 그러나 아크람 아피프에게 페널티킥으로만 2골을 더 내주며 1-3으로 패해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31]
아시안컵에서의 선전으로 요르단의 FIFA 랭킹은 70위까지 상승했는데, 이는 2014년 9월 이후 최고 순위이다.[7][8]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를 골득실차로 앞서며[32] 조 1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이후 3회 연속 최종 예선 진출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3. 국제 대회 경력
요르단은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AFC 아시안컵에서는 2004년, 2011년, 2019년, 2023년 대회에 출전하여 꾸준히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특히, 2004년 대회에서는 첫 출전임에도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18] 일본과의 8강전에서는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다.[19]
2023년 대회에서는 후세인 아무타 감독의 지휘 아래 사상 처음으로 결승전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5] 요르단은 이라크, 타지키스탄, 한국을 차례로 꺾었으나, 결승전에서 개최국 카타르에 승부차기 끝에 1-3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6]
아시안컵 결승 진출이라는 역사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요르단의 FIFA 랭킹은 2014년 9월 이후 최고 순위인 70위로 상승했다.[7][8]
이 외에도 요르단은 팬아랍 게임에서 두 차례(1997년, 1999년)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3. 1. FIFA 월드컵
요르단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은 없지만,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3승 1무 4패로 B조 3위를 차지하며 아시아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 우즈베키스탄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월드컵 예선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26][27]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는 우루과이를 만나 홈에서 0-5로 패하고,[26] 원정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며[27] 최종 탈락했다.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년 | 독립 이전 | 독립 이전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1954년 | ||||||||||||||||
1958년 | 불참 | 불참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예선 탈락 | 1|0|3|3|7 | ||||||||||||||
1990년 | 2|1|3|5|7 | |||||||||||||||
1994년 | 2|3|3|12|15 | |||||||||||||||
1998년 | 1|1|2|4|4 | |||||||||||||||
2002년 | 2|2|2|12|7 | |||||||||||||||
2006년 | 4|0|2|10|6 | |||||||||||||||
2010년 | 3|1|4|8|8 | |||||||||||||||
2014년 | 8|5|7|30|31 | |||||||||||||||
2018년 | 5|1|2|21|7 | |||||||||||||||
2022년 | 4|2|2|13|3 | |||||||||||||||
2026년 | 미정 | 진행중 | ||||||||||||||
2030년 | 미정 | 미정 | ||||||||||||||
2034년 | 미정 | 미정 | ||||||||||||||
합계 | 78 | 32 | 16 | 30 | 118 | 95 |
3. 2. AFC 아시안컵
요르단은 AFC 아시안컵 본선에 5번 진출했다. 2004년과 2011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고, 2019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올랐다. 2019년 대회 16강에서는 박항서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과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패하며 8강 진출에 실패했다.2023년 대회에서는 후세인 아무타 감독의 지휘 아래 사상 처음으로 결승전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5] 이라크, 타지키스탄, 한국을 차례로 꺾었으나, 결승전에서 개최국 카타르에 승부차기 끝에 3-1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6]
개최년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56 | 불참 | ||||||
1960 | |||||||
1964 | |||||||
1968 | |||||||
1972 | 예선 탈락 | ||||||
1976 | 불참 | ||||||
1980 | |||||||
1984 | 예선 탈락 | ||||||
1988 | |||||||
1992 | 불참 | ||||||
1996 | 예선 탈락 | ||||||
2000 | |||||||
2004 | 8강 | 4 | 1 | 3 | 0 | 3 | 1 |
2007 | 예선 탈락 | ||||||
2011 | 8강 | 4 | 2 | 1 | 1 | 5 | 4 |
2015 | 조별리그 탈락 | 3 | 1 | 0 | 2 | 5 | 4 |
2019 | 16강 | 4 | 2 | 2 | 0 | 4 | 1 |
2023 | 준우승 | 7 | 4 | 1 | 2 | 13 | 8 |
합계 | 5/18 | 22 | 10 | 7 | 5 | 30 | 18 |
2004년 대회에서는 첫 출전임에도 불구하고 조별 리그에서 1승 2무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20] 8강전에서는 일본과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패했다.[21]
2011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일본과 비기는 등[25] 선전하며 8강에 진출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는 등[28]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으나, 베트남과의 16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29]
2023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한국과 비기고,[30] 16강에서 이라크를 꺾고, 8강에서 타지키스탄을 꺾으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한국을 다시 만나 2-0으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으나,[30] 카타르와의 결승전에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31]
3. 3. 아시안 게임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한번도 출전하지 않았으나 U-23 대표팀으로는 3번 참가하여 이 중 2014년 대회에서 요르단 축구 역사상 첫 아시안 게임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51년 | 불참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
1998년 | |||||||||
합계 | 3회 진출(3/17) | 8강(1회) | 13 | 4 | 4 | 5 | 20 | 16 | 16 |
3. 4. 기타 국제 대회
FIFA 아랍컵에는 10번의 대회 중 2012년 대회를 제외한 모든 대회에 참가하여 1988년과 2002년 대회에서 4강에 올랐고, 2021년 대회에서는 8강에 올랐다.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9번 출전하여 이 중 3번의 대회(2002년, 2008년, 2014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팬아랍 게임에는 10번 출전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63 | 조별 리그 탈락 | 4 | 0 | 0 | 4 | 1 | 14 |
1964 | 조별 리그 탈락 | 4 | 0 | 1 | 3 | 3 | 10 |
1966 | 조별 리그 탈락 | 4 | 1 | 1 | 2 | 6 | 7 |
1985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0 | 2 | 0 | 6 |
1988 | 4위 | 6 | 2 | 1 | 3 | 4 | 7 |
1992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0 | 2 | 2 | 5 |
1998 | 조별 리그 탈락 | 2 | 1 | 0 | 1 | 2 | 3 |
2002 | 4강 | 5 | 2 | 2 | 1 | 7 | 6 |
2012 | 참가하지 않음 | ||||||
2021 | 8강 | 4 | 2 | 0 | 2 | 7 | 8 |
총계 | 10/10 | 33 | 8 | 5 | 20 | 32 | 66 |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2000년 | 4위 | 4 | 1 | 2 | 1 | 3 | -2 | |
2002년 | 준우승 | 4 | 3 | 0 | 1 | 6 | 4 | +2 |
2004년 | 3위 | 4 | 2 | 1 | 1 | 7 | 3 | +4 |
2007년 | 4강 | 3 | 1 | 0 | 2 | 3 | +1 | |
2008년 | 준우승 | 4 | 2 | 1 | 1 | 7 | 3 | +4 |
2010년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2 | 0 | 3 | 3 | 0 |
2012년 | 2 | 0 | 0 | 2 | 1 | 3 | -2 | |
2014년 | 준우승 | 4 | 2 | 1 | 1 | 3 | 3 | 0 |
2019년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4 | 2 | +2 |
총계 | 9/9 | 30 | 12 | 8 | 10 | 37 | 27 | +10 |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1953년 | 4위 | 3 | 1 | 0 | 2 | 7 | -5 | |
1957년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0 | 2 | 5 | -3 | |
1961년 | 2 | 0 | 1 | 1 | 2 | 4 | -2 | |
1965년 | 2 | 0 | 0 | 2 | 0 | 3 | -3 | |
1976년 | 2 | 0 | 1 | 1 | 2 | 3 | -1 | |
1985년 | 2 | 0 | 0 | 2 | 1 | 4 | -3 | |
1992년 | 2 | 0 | 1 | 1 | 2 | 5 | -3 | |
1997년 | 우승 | 5 | 4 | 1 | 0 | 7 | 2 | +5 |
1999년 | 7 | 6 | 0 | 1 | 18 | 7 | +11 | |
2007년 | 불참 | |||||||
2011년 | 준우승 | 5 | 2 | 2 | 1 | 6 | 2 | +4 |
합계 | 10/11 | 32 | 13 | 6 | 13 | 47 | 42 | +5 |
4. 선수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 선수 명단과 역대 주요 선수, 그리고 용품 공급업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선수 명단'''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이라크와 쿠웨이트와의 경기를 위해 2024년 11월 14일과 19일에 각각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15]
2024년 10월 15일 오만과의 경기 후 기준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이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수 | 득점 수 | 소속팀 | |
---|---|---|---|---|---|---|---|
1 | GK | 야지드 아불라이라 | Yazeed Abulaila|야지드 아불라일라영어 | 1993년 1월 8일(1993-01-08)(31세) | 47 | 0 | 알 후세인 |
12 | GK | 누르 바니 아티아 | Nour Bani Attiah|누르 바니 아티아영어 | 1993년 1월 25일(1993-01-25)(31세) | 0 | 0 | 알 파이살리 |
22 | GK | 압달라 알-파쿠리 | Abdallah Al-Fakhouri|압달라 알 파쿠리영어 | 2000년 1월 22일(2000-01-22)(24세) | 8 | 0 | 알 와흐다트 |
2 | DF | 모하마드 아부 하시시 | Mohammad Abu Hashish|모하마드 아부 하시시영어 | 1995년 5월 9일(1995-05-09)(29세) | 35 | 0 | 자코 |
3 | DF | 압달라 나시브 | Abdallah Nasib|압달라 나시브영어 | 1994년 2월 25일(1994-02-25)(30세) | 39 | 2 | 알 후세인 |
4 | DF | 후삼 아부 다합 | Husam Abu Dahab|후삼 아부 다합영어 | 2000년 5월 13일(2000-05-13)(24세) | 3 | 0 | 알 파이살리 |
5 | DF | 야잔 알-아랍 | Yazan Al-Arab|야잔 알 아랍영어 | 1996년 1월 31일(1996-01-31)(28세) | 60 | 2 | FC 서울 |
16 | DF | 모하마드 아부알나디 | Mohammad Abualnadi|모하마드 아부알나디영어 | 2001년 2월 8일(2001-02-08)(23세) | 2 | 0 | 셀랑고르 |
19 | DF | 사에드 알-로산 | Saed Al-Rosan|사에드 알 로산영어 | 1997년 2월 1일(1997-02-01)(27세) | 6 | 1 | 알 후세인 |
23 | DF | 이산 하다드 | Ihsan Haddad|이산 하다드영어 | 1994년 2월 5일(1994-02-05)(30세) | 76 | 2 | 알 후세인 |
DF | 유세프 아부 알-자자르 | Yousef Abu Al-Jazar|유세프 아부 알 자자르영어 | 1999년 10월 25일(1999-10-25)(24세) | 5 | 0 | 알 와흐다트 | |
DF | 히자지 마헤르 | Hijazi Maher|히자지 마헤르영어 | 1997년 9월 20일(1997-09-20)(26세) | 0 | 0 | 이스트 벵골 | |
DF | 알리 하자비 | Ali Hajabi|알리 하자비영어 | 2004년 5월 2일(2004-05-02)(20세) | 0 | 0 | 알 후세인 | |
13 | MF | 마무드 알-마르디 | Mahmoud Al-Mardi|마무드 알 마르디영어 | 1993년 10월 6일(1993-10-06)(30세) | 60 | 7 | 알 후세인 |
14 | MF | 라자이 아예드 | Rajaei Ayed|라자이 아예드영어 | 1993년 7월 25일(1993-07-25)(30세) | 52 | 0 | 알 후세인 |
15 | MF | 이브라힘 사데 | Ibrahim Sadeh|이브라힘 사데영어 | 2000년 4월 27일(2000-04-27)(24세) | 31 | 2 | 알 무하라크 |
20 | MF | 모하나드 아부 타하 | Mohannad Abu Taha|모하나드 아부 타하영어 | 2003년 2월 2일(2003-02-02)(21세) | 6 | 0 | 알 카르크 |
21 | MF | 니자르 알-라시단 | Nizar Al-Rashdan|니자르 알 라시단영어 | 1999년 3월 23일(1999-03-23)(25세) | 24 | 2 | 알 칼리디야 |
MF | 모하마드 아부 자라익 | Mohammad Abu Zrayq|모하마드 아부 자라익영어 | 1997년 12월 30일(1997-12-30)(26세) | 21 | 3 | 알 쇼르타 | |
MF | 아메르 자무스 | Amer Jamous|아메르 자무스영어 | 2002년 7월 3일(2002-07-03)(21세) | 0 | 0 | 알 와흐다트 | |
MF | 모하나드 셈린 | Mohannad Semreen|모하나드 셈린영어 | 2002년 1월 8일(2002-01-08)(22세) | 0 | 0 | 알 와흐다트 | |
9 | FW | 알리 올완 | Ali Olwan|알리 올완영어 | 2000년 3월 26일(2000-03-26)(24세) | 44 | 15 | 셀랑고르 |
10 | FW | 무사 알-타마리 | Mousa Al-Tamari|무사 알 타마리영어 | 1997년 6월 10일(1997-06-10)(27세) | 69 | 22 | 몽펠리에 |
11 | FW | 야잔 알-나이마트 | Yazan Al-Naimat|야잔 알 나이마트영어 | 1999년 6월 4일(1999-06-04)(25세) | 46 | 21 | 알 아라비 |
FW | 이브라힘 사브라 | Ibrahim Sabra|이브라힘 사브라영어 | 2006년 2월 1일(2006-02-01)(18세) | 1 | 0 | 알 와흐다트 | |
FW | 레지크 바니 하니 | Reziq Bani Hani|레지크 바니 하니영어 | 2002년 1월 28일(2002-01-28)(22세) | 1 | 0 | 알 후세인 |
4. 1. 주요 선수
4. 2. 역대 선수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의 명단은 방대하며, 이들을 모두 나열하기는 어렵다. 다음은 주요 선수 및 감독에 대한 간략한 정보이다.'''역대 주요 선수'''
'''역대 감독'''
감독 | 기간 |
---|---|
셰하데 무사 | 1963년–1964년, 1971년–1972년 |
바다시 미클로시 | 1966년–1967년 |
조지 스키너 | 1968년–1969년 |
모하마드 아와드 | 1972년–1975년, 1985년–1986년, 1997년–2000년 |
요제프 슈타이거 | 1975년–1976년 |
대니 맥레넌 | 1978년–1980년 |
무다르 알-사이드 | 1981년 |
토니 밴필드 | 1983년, 1989년 |
에드손 타바레스 | 1986년–1987년 |
슬로보단 오그사노비치 | 1988년–1989년 |
에자트 함자 | 1992년, 1995년 |
알렉산드르 막시멘코프 | 1992년–1993년 |
부카신 비슈네바츠 | 1998년 |
리카르도 카루가티 | 2000년–2001년 |
브랑코 스밀야니치 | 2001년–2002년 |
마흐무드 엘 고하리 | 2002년–2007년 |
넬루 빙가다 | 2007년–2009년 |
아드난 하마드 | 2009년–2013년, 2021년 6월–2023년 6월 |
호삼 하산 | 2013년–2014년 |
아흐메드 압델 카데르 | 2014년, 2015년 |
레이 윌킨스 | 2014년–2015년 |
폴 풋 | 2015년 6월–2016년 1월 |
압둘라 아부 제마 | 2016년 1월–2016년 3월, 2016년 3월–2016년 12월 |
해리 레드냅 | 2016년 3월 |
압둘라 메스페르 | 2016년 12월–2017년 10월 |
자말 아부 아베드 | 2017년 10월–2018년 9월 |
비탈 보르켈만스 | 2018년 9월–2021년 6월 |
후세인 아무타 | 2023년 6월–2024년 6월 |
자말 셀라미 | 2024년 6월– |
'''역대 용품 공급업체'''
용품 공급업체 | 기간 |
---|---|
푸마 | 1997년–1999년 |
아디다스 | 1999년–2005년, 2010년-2012년, 2015년–2018년[10] |
야코 | 2005년–2009년, 2012년-2015년[9], 2022년–2024년 |
울스포츠 | 2009년–2010년 |
호마 | 2018년–2021년[11] |
험브로 | 2021년–2022년 |
켈메 | 2024년–현재 |
4. 3.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이라크와 쿠웨이트와의 경기를 위해 2024년 11월 14일과 19일에 각각 소집된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26명의 선수 명단이다.[15]2024년 10월 15일 오만과의 경기 후 기준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이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수 | 득점 수 | 소속팀 | |
---|---|---|---|---|---|---|---|
1 | GK | 야지드 아불라이라 | Yazeed Abulaila|야지드 아불라일라영어 | 1993년 1월 8일(1993-01-08)(31세) | 47 | 0 | 알 후세인 |
12 | GK | 누르 바니 아티아 | Nour Bani Attiah|누르 바니 아티아영어 | 1993년 1월 25일(1993-01-25)(31세) | 0 | 0 | 알 파이살리 |
22 | GK | 압달라 알-파쿠리 | Abdallah Al-Fakhouri|압달라 알 파쿠리영어 | 2000년 1월 22일(2000-01-22)(24세) | 8 | 0 | 알 와흐다트 |
2 | DF | 모하마드 아부 하시시 | Mohammad Abu Hashish|모하마드 아부 하시시영어 | 1995년 5월 9일(1995-05-09)(29세) | 35 | 0 | 자코 |
3 | DF | 압달라 나시브 | Abdallah Nasib|압달라 나시브영어 | 1994년 2월 25일(1994-02-25)(30세) | 39 | 2 | 알 후세인 |
4 | DF | 후삼 아부 다합 | Husam Abu Dahab|후삼 아부 다합영어 | 2000년 5월 13일(2000-05-13)(24세) | 3 | 0 | 알 파이살리 |
5 | DF | 야잔 알-아랍 | Yazan Al-Arab|야잔 알 아랍영어 | 1996년 1월 31일(1996-01-31)(28세) | 60 | 2 | FC 서울 |
16 | DF | 모하마드 아부알나디 | Mohammad Abualnadi|모하마드 아부알나디영어 | 2001년 2월 8일(2001-02-08)(23세) | 2 | 0 | 셀랑고르 |
19 | DF | 사에드 알-로산 | Saed Al-Rosan|사에드 알 로산영어 | 1997년 2월 1일(1997-02-01)(27세) | 6 | 1 | 알 후세인 |
23 | DF | 이산 하다드 | Ihsan Haddad|이산 하다드영어 | 1994년 2월 5일(1994-02-05)(30세) | 76 | 2 | 알 후세인 |
DF | 유세프 아부 알-자자르 | Yousef Abu Al-Jazar|유세프 아부 알 자자르영어 | 1999년 10월 25일(1999-10-25)(24세) | 5 | 0 | 알 와흐다트 | |
DF | 히자지 마헤르 | Hijazi Maher|히자지 마헤르영어 | 1997년 9월 20일(1997-09-20)(26세) | 0 | 0 | 이스트 벵골 | |
DF | 알리 하자비 | Ali Hajabi|알리 하자비영어 | 2004년 5월 2일(2004-05-02)(20세) | 0 | 0 | 알 후세인 | |
13 | MF | 마무드 알-마르디 | Mahmoud Al-Mardi|마무드 알 마르디영어 | 1993년 10월 6일(1993-10-06)(30세) | 60 | 7 | 알 후세인 |
14 | MF | 라자이 아예드 | Rajaei Ayed|라자이 아예드영어 | 1993년 7월 25일(1993-07-25)(30세) | 52 | 0 | 알 후세인 |
15 | MF | 이브라힘 사데 | Ibrahim Sadeh|이브라힘 사데영어 | 2000년 4월 27일(2000-04-27)(24세) | 31 | 2 | 알 무하라크 |
20 | MF | 모하나드 아부 타하 | Mohannad Abu Taha|모하나드 아부 타하영어 | 2003년 2월 2일(2003-02-02)(21세) | 6 | 0 | 알 카르크 |
21 | MF | 니자르 알-라시단 | Nizar Al-Rashdan|니자르 알 라시단영어 | 1999년 3월 23일(1999-03-23)(25세) | 24 | 2 | 알 칼리디야 |
MF | 모하마드 아부 자라익 | Mohammad Abu Zrayq|모하마드 아부 자라익영어 | 1997년 12월 30일(1997-12-30)(26세) | 21 | 3 | 알 쇼르타 | |
MF | 아메르 자무스 | Amer Jamous|아메르 자무스영어 | 2002년 7월 3일(2002-07-03)(21세) | 0 | 0 | 알 와흐다트 | |
MF | 모하나드 셈린 | Mohannad Semreen|모하나드 셈린영어 | 2002년 1월 8일(2002-01-08)(22세) | 0 | 0 | 알 와흐다트 | |
9 | FW | 알리 올완 | Ali Olwan|알리 올완영어 | 2000년 3월 26일(2000-03-26)(24세) | 44 | 15 | 셀랑고르 |
10 | FW | 무사 알-타마리 | Mousa Al-Tamari|무사 알 타마리영어 | 1997년 6월 10일(1997-06-10)(27세) | 69 | 22 | 몽펠리에 |
11 | FW | 야잔 알-나이마트 | Yazan Al-Naimat|야잔 알 나이마트영어 | 1999년 6월 4일(1999-06-04)(25세) | 46 | 21 | 알 아라비 |
FW | 이브라힘 사브라 | Ibrahim Sabra|이브라힘 사브라영어 | 2006년 2월 1일(2006-02-01)(18세) | 1 | 0 | 알 와흐다트 | |
FW | 레지크 바니 하니 | Reziq Bani Hani|레지크 바니 하니영어 | 2002년 1월 28일(2002-01-28)(22세) | 1 | 0 | 알 후세인 |
5. 감독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직은 팀의 성적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다음은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과 관련된 주요 내용이다.
- 무함마드 아와드(Mohammad Awad) (1992-2000): 1997년 베이루트(Beirut)와 1999년 암만(Amman)에서 열린 아랍 게임즈(Arab Games)에서 요르단의 우승을 이끌었다.[5]
- 브랑코 스밀야니치(Branko Smiljanić) (2000-2002):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2002 FIFA World Cup qualification)에서 요르단의 경기력 향상에 기여했지만, 다음 라운드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2년 아랍컵(2002 Arab Cup) 준결승, 2000년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2000 West Asian Football Federation Championship) 4위, 2004년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2004 West Asian Football Federation Championship) 2위를 기록했다.[5]
- 마흐무드 엘 고하리(Mahmoud El-Gohary) (2002-2007): 2004년 AFC 아시안컵에서 요르단을 8강으로 이끌었으며, 2004년 FIFA 세계 랭킹 37위라는 최고 순위를 달성하도록 기여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AFC)(2006 FIFA World Cup qualification (AFC)) 1차전에서 요르단의 경기력 향상에 기여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4년 WAFF 선수권 대회 3위, 2007년 WAFF 선수권 대회 준결승 진출을 이끌었다.[5]
- 넬루 빙가다(Nelo Vingada) (2007-2009):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과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지휘했지만, 2007년 AFC 아시안컵(2007 AFC Asian Cup)과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8년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요르단을 2위로 이끌었다.[5]
- 아드난 하마드(Adnan Hamad) (2009-2013, 2021-2023):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 요르단을 8강으로 이끌었으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최종 라운드에서 3위를 기록했다. 2011년 아랍 게임즈 2위, 2010년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요르단 국가대표팀을 이끌었다.[5]
- 호삼 하산(Hossam Hassan) (2013-2014):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우루과이에 패배하여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5]
- 레이 윌킨스(Ray Wilkins) (2014-2015): 2015년 AFC 아시안컵을 지휘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5]
- 폴 푸트(Paul Put) (2015-2016):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지휘했지만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지 못했다.[5]
- 비탈 보르켈만스(Vital Borkelmans) (2018-2021): 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 요르단을 16강으로 이끌었으나, 베트남과의 승부차기에서 패배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차 예선에서 조 3위를 기록했다.[5]
- 후세인 아무타(Hussein Ammouta) (2023-2024):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 요르단을 사상 첫 결승전으로 이끌었지만, 카타르에 패배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5] 요르단의 FIFA 랭킹을 70위로 상승시켰다.[7][8]
이름 | 국적 | 기간 |
---|---|---|
대니 맥레넌 (Danny McCrean) | 1984 | |
에디손 아라우주 타바레스 (Edison Araújo Tavares) | 1986 | |
무함마드 아와드 (Mohammad Awad) | 1992-2000 | |
브랑코 스밀야니치 (Branko Smiljanić) | 2000-2002 | |
마흐무드 엘 고하리 (Mahmoud El-Gohary) | 2002-2007 | |
넬루 빙가다 (Nelo Vingada) | 2007-2009 | |
아드난 하마드 (Adnan Hamad) | 2009-2013 | |
호삼 하산 (Hossam Hassan) | 2013-2014 | |
레이 윌킨스 (Ray Wilkins) | 2014-2015 | |
아마드 아브둘 카디르 (Ahmad Abdul Qader) | 2015 | |
폴 푸트 (Paul Put) | 2015-2016 | |
압둘라 아부 제마아 (Abdullah Abu Zema'a) | 2016 | |
해리 레드냅 (Harry Redknapp) | 2016 | |
압둘라 아부 제마아 (Abdullah Abu Zema'a) | 2016 | |
압둘라 메스페르 (Abdullah Mesfer) | 2016-2017 | |
자말 아부 아비드 (Jamal Abu Abid) | 2017-2018 | |
비탈 보르켈만스 (Vital Borkelmans) | 2018-2021 | |
아드난 하마드 (Adnan Hamad) | 2021-2023 | |
후세인 아무타 (Hussein Ammouta) | 2023-2024 | |
자말 셀라미 (Jamal Sellami) | 2024- |
6. 팀 이미지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푸마, 아디다스, 야코, 울스포츠, 호마, 험브로, 켈메 등 여러 브랜드의 유니폼을 착용했다.[9][10][11]
6. 1. 유니폼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 공급업체와 기간은 다음과 같다.용품 공급업체 | 기간 |
---|---|
푸마 | 1997년–1999년 |
아디다스 | 1999년–2005년 |
야코 | 2005년–2009년 |
울스포츠 | 2009년–2010년 |
아디다스 | 2010년–2012년 |
야코 | 2012년–2015년[9] |
아디다스 | 2015년–2018년[10] |
호마 | 2018년–2021년[11] |
험브로 | 2021년–2022년 |
야코 | 2022년–2024년 |
켈메 | 2024년–현재 |
요르단 대표팀은 역대 AFC 아시안컵에서 다음과 같은 유니폼을 착용했다.
- 2004년 AFC 아시안컵
- 2011년 AFC 아시안컵
- 2015년 AFC 아시안컵
- 2019년 AFC 아시안컵
- 2023년 AFC 아시안컵
6. 2. 홈 경기장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주로 암만 국제경기장과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참조
[1]
뉴스
Who the Socceroos are facing as the Asian Cup kicks off, and when to watch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9-01-05
[2]
웹사이트
Amer Shafi Sabbah Mahmoud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FIFA Century Club
https://digitalhub.f[...]
[4]
웹사이트
The FIFA/Coca-Cola World Ranking - Associations - Jordan - Men's
http://www.fifa.com/[...]
[5]
웹사이트
Ammouta takes charge of Jordan
https://www.the-afc.[...]
[6]
뉴스
Akram Afif's hat-trick of penalties secures Asian Cup glory for Qatar
https://www.theguard[...]
2024-02-10
[7]
웹사이트
Men's Ranking
https://www.fifa.com[...]
[8]
웹사이트
https://www.fifa.com[...]
[9]
웹사이트
Jordan 2012/14 Jako Home and Away Jerseys
https://footballfash[...]
2012-09-13
[10]
웹사이트
Adidas signs partnership with Jordanian Football Federation
https://www.jfa.com.[...]
[11]
웹사이트
Jordan Olympic Committee announce JOMA kit deal
http://www.insidethe[...]
2018-08-15
[12]
뉴스
Malaysia to host Palestine vs Jordan World Cup Qualifier match
https://thesun.my/sp[...]
2024-08-08
[13]
웹사이트
Mohammed Mango - Jordan 1st Team Manager
https://www.instagra[...]
Instagram
[14]
웹사이트
Jordan national team coaches
https://www.rsssf.or[...]
[15]
뉴스
إعلان قائمة النشامى لمواجهتي كوريا الجنوبية وعُمان بتصفيات كأس العالم
https://www.jfa.jo/n[...]
Jordan Football Association
2024-11-06
[16]
웹사이트
Jordan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19-02-07
[17]
웹사이트
Jordan - Jordan - Results and fixtures - Soccerway
https://int.soccerwa[...]
[18]
웹사이트
asahi.com : スポーツ サッカー日本代表:アジアカップ2004
https://www.asahi.co[...]
[19]
웹사이트
asahi.com : スポーツ サッカー日本代表:アジアカップ2004
https://www.asahi.co[...]
[20]
웹사이트
アジアカップ2004 1次リーグ星取表
https://www.asahi.co[...]
[21]
웹사이트
asahi.com : スポーツ サッカー日本代表:アジアカップ2004
https://www.asahi.co[...]
[22]
웹사이트
歴史 - アジア杯2011 : nikkansports.com
https://www.nikkansp[...]
[23]
웹사이트
PKのサイド変更。15年前、宮本恒靖が大胆な進言に至った本当の理由
https://sportiva.shu[...]
2019-03-01
[24]
웹사이트
World Ranking - Jordan
https://inside.fifa.[...]
FIFA
[25]
뉴스
日本、ヨルダンとドロー サッカーアジア杯
https://www.nikkei.c[...]
2011-01-10
[26]
뉴스
5失点大敗に失望するヨルダン指揮官「本当に悲しい結果だ」 (2013年11月14日掲載)
https://news.livedoo[...]
[27]
웹사이트
Uruguay 0-0 Jordan (Nov 20, 2013) Final Score
https://www.espn.com[...]
[28]
뉴스
前回王者オーストラリア、大苦戦も劇的勝利!2位で決勝Tへ…FIFAランク109位ヨルダンが首位通過/アジア杯 {{!}} Goal.com 日本
https://www.goal.com[...]
2019-01-15
[29]
뉴스
ベトナムがPK戦でヨルダン下し準々決勝へ…日本、サウジアラビアに勝てば対戦
https://www.soccer-k[...]
2019-01-21
[30]
뉴스
ヨルダン、初のアジアカップ決勝進出! 16大会ぶりの優勝を目指した韓国は4強敗退
https://www.soccer-k[...]
2024-02-06
[31]
뉴스
アジアカップ初制覇逸も…ヨルダン指揮官「誇りしかない」「PKで非常に難しくなった」
https://www.goal.com[...]
2024-02-11
[32]
웹사이트
北中米W杯アジア2次予選特集ページ
https://web.gekisak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