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 종목은 70m 거리에서 리커브 보우를 사용하여 남녀 혼성 2인조 팀이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랭킹 라운드를 통해 16개 팀이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대한민국은 김제덕, 안산 선수가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은 2021년 유메노시마 공원 양궁장에서 12개 팀이 참가하여 리커브 보우로 경쟁한 종목으로, 김우진, 오진혁, 김제덕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대표팀이 금메달을,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은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9번째로 열린 종목으로, 대한민국이 9연패를 달성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혼성 종목 - 2020년 하계 올림픽 수영 혼성 4 × 100m 혼계영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 도입된 수영 혼성 4 × 100m 혼계영은 남자 선수 2명과 여자 선수 2명으로 구성된 팀이 배영, 평영, 접영, 자유형 순서로 경기를 진행하는 종목으로, 2021년 결승에서 영국 대표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혼성 종목 -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혼성 10m 공기권총 단체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혼성 10m 공기권총 단체 경기는 2021년 도쿄에서 열렸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우크라이나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 올림픽 양궁 메달리스트 - 김우진 (양궁 선수)
김우진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2관왕을 시작으로 세계 선수권, 올림픽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양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양궁 선수이다. - 올림픽 양궁 메달리스트 - 최미선 (양궁 선수)
최미선은 2013년 국가대표 발탁 후 2015년 월드컵 우승, 2016년 리우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 2017년 세계 선수권 금메달 등 국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이다.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양궁 혼성 단체 |
하계 올림픽 | 2020년 하계 올림픽 |
경기장 | 유메노시마 공원 |
날짜 | 2021년 7월 23일 (랭킹 라운드) 2021년 7월 24일 (본선) |
참가 국가 | 29개국 |
참가 선수 | 58명 |
메달 정보 | |
금메달 | 김제덕, 안산 |
금메달 국가 | KOR |
은메달 | 스테버 베일러르, 가브리엘라 슐로세 |
은메달 국가 | NED |
동메달 | 루이스 알바레스,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동메달 국가 | MEX |
올림픽 종목 | |
다음 대회 | 2024 |
관련 문서 | |
관련 링크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참가 선수 목록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 예선 |
개인전 | 남자 여자 |
단체전 | 남자 혼성 여자 |
2. 역사적 배경
양궁 혼성 단체 종목은 2007년 월드컵 대회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200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 시범 종목으로 선정되었으며, 다음 대회인 201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확대됐다. 올림픽에서는 2010년 하계 유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고, 패럴림픽에서도 2016년 하계 패럴림픽부터 도입되었다.[10]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이 대회가 새로운 종목이었으며, 1988년 남자 및 여자 단체전이 추가된 이후 양궁 종목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변경이 있었다.[2]
2. 1. 올림픽 도입
양궁 남녀 단체 종목은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도입되었으며, 혼성 단체 종목은 이번 대회부터 신설되었다.[9]혼성 단체 종목은 2007년 월드컵 대회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200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 시범 종목으로 선정되었으며, 다음 대회인 201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확대됐다. 올림픽에서는 2010년 하계 유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고, 패럴림픽에서도 2016년 하계 패럴림픽부터 도입되었다.[10]
3. 경기 방식
2020년 도쿄 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전은 리커브 보우를 사용하며, 세계 양궁 연맹의 승인을 받은 70m 규격 경기장에서 관련 규정에 따라 진행되었다. 한 팀은 남자 1명, 여자 1명으로 구성되며, 랭킹 라운드를 통해 상위 16개 팀이 토너먼트전에 진출했다.
경기는 남자 개인전, 여자 개인전과 랭킹 라운드를 겸하여 진행되었다. 각 선수당 총 72발을 쏘아 랭킹 라운드의 최고 기록을 합산하여 순위를 정했다.
토너먼트전은 한 경기당 4발씩(각 선수당 2발) 총 4세트로 진행되었다. 매 세트마다 4발의 점수를 합산해 최고점을 기록한 팀이 '세트포인트' 2점을 얻고, 동점일 경우 1점을 얻었다. 세트포인트 5점에 먼저 도달한 팀이 승리하며, 4세트 후에도 4-4 동점인 경우 타이브레이커 세트(각 선수당 1발)를 통해 승리 팀을 결정했다. 타이브레이커 세트에서도 동점일 경우, 과녁 중앙에 가장 가까운 화살을 쏜 팀이 승리했다.[11][4]
3. 1. 팀 구성
양궁 혼성 단체전은 리커브 보우를 사용하며 세계 양궁 연맹의 승인을 받은 70m 규격 경기장에서 관련 규정에 따라 진행된다. 한 팀은 남녀 선수 각 1명으로 구성되며, 총 16개 팀이 토너먼트전에 진출한다.[11] 경기는 남자 개인전, 여자 개인전 랭킹라운드를 겸하여 진행되며, 각 선수당 총 72발을 쏘아 최고기록을 합산해 순위를 정한다.[11]3. 2. 경기 진행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전은 리커브 보우를 사용하며 세계 양궁 연맹의 승인을 받은 70m 규격 경기장에서 관련 규정에 따라 진행되었다. 한 팀은 남녀 선수 각 1명씩, 총 2명으로 구성되었다.경기는 남자 개인전, 여자 개인전과 겸하는 랭킹 라운드로 시작되었으며, 각 선수당 총 72발을 쏘아 랭킹 라운드의 최고 기록을 합산해 상위 16개 팀이 토너먼트전에 진출했다.
토너먼트전은 한 경기당 4발씩 총 4세트, 각 선수당 2발씩 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매 세트마다 4발의 점수를 합산해 최고점을 기록한 팀이 '세트포인트' 2점을 획득하고, 세트에서 동점을 기록하면 세트포인트 1점을 획득했다. 세트포인트가 먼저 5점에 도달한 팀이 승리했다. 4세트까지 진행했음에도 세트포인트가 4-4로 동점을 이루면 타이브레이커 세트를 진행해 한 사람당 한 발씩 돌아가며 쏘았다. 타이브레이커 세트도 동점을 이룬다면 표적 가운데에 가장 가까운 과녁을 쏜 팀이 승리했다.[11][4]
3. 2. 1. 랭킹 라운드
혼성 단체전 경기는 남자 개인전, 여자 개인전과 겸하는 랭킹 라운드로 시작되며, 여기서 각 선수당 총 72발을 쏘게 된다. 랭킹 라운드의 최고 기록을 합산해 상위 16개 팀이 토너먼트전에 진출한다.[11]순위 | 국가 | 선수 | 점수 | 10점 | X |
---|---|---|---|---|---|
1 | 김제덕 안산 | 1368 (OR) Q | 79 | 31 | |
2 | 브래디 엘리슨 매켄지 브라운 | 1350 Q | 69 | 24 | |
3 | 무토 히로키 야마우치 아즈사 | 1343 Q | 67 | 19 | |
4 | 루이스 알바레즈 발렌티나 발렌시아 | 1336 Q | 60 | 23 | |
5 | 웨이 샤오쉬안 양 샤오레이 | 1328 Q | 57 | 11 | |
6 | 스티브 위일러 가브리엘라 슐로세르 | 1327 Q | 60 | 15 | |
7 | 메테 가조즈 야세민 아나고즈 | 1321 Q | 57 | 18 | |
8 | 탕 츠춘 린 지아엔 | 1319 Q | 59 | 13 | |
9 | 프라빈 자드하브 디피카 쿠마리 | 1319 Q | 52 | 18 | |
10 | 갈산 바자르자포프 크세니아 페로바 | 1317 Q | 53 | 16 | |
11 | 마우로 네스폴리 키아라 레바글리아티 | 1316 Q | 52 | 15 | |
12 | 패트릭 허스턴 사라 베틀스 | 1311 Q | 55 | 20 | |
13 | 플로리안 운루 미셸 크로펜 | 1309 Q | 49 | 12 | |
14 | 피에르 플리옹 리사 바르벨린 | 1307 Q | 55 | 16 | |
15 | 리아우 에가 아가타 디아난다 초이루니사 | 1297 Q | 52 | 15 | |
16 | 루만 샤나 디야 시디케 | 1297 Q | 47 | 16 | |
colspan="6" | | |||||
17 | 크리스핀 두에나스 스테파니 배럿 | 1295 | 38 | 10 | |
18 | 올렉시 훈빈 베로니카 마르첸코 | 1291 | 57 | 18 | |
19 | 카이룰 아누아르 모하마드 샤키에라 마샤야이흐 | 1291 | 46 | 15 | |
20 |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달메이다 아네 마르셀레 도스 산토스 | 1287 | 39 | 14 | |
21 | 다니엘 카스트로 이네스 데 벨라스코 | 1278 | 39 | 11 | |
22 | 단 올라루 알렉산드라 미르카 | 1275 | 40 | 11 | |
23 | 응우옌 호앙 피 부 도 티 아인 응우엣 | 1275 | 38 | 8 | |
24 | 스와보미르 나프워셰크 실비아 지잔스카 | 1267 | 43 | 16 | |
25 | 테일러 워스 앨리스 잉글리 | 1267 | 36 | 11 | |
26 | 다니엘 피네다 발렌티나 아코스타 | 1266 | 38 | 11 | |
27 | 옷곤볼드 바아타르후야그 비신데기인 우란퉁갈라그 | 1260 | 36 | 8 | |
28 | 모하메드 하메드 리합 엘왈리드 | 1240 | 28 | 8 | |
29 | 유소프 톨바 아말 아담 | 1215 | 35 | 13 |
참고: 중국은 랭킹 라운드에서 최고 점수를 받은 선수들을 교체했다.[6] 왕다펑과 우 지아신이 최종 라운드에 출전한다.
프랑스는 랭킹 라운드에서 최고 점수를 받은 남자 양궁 선수를 교체했다.[7] 장 샤를 발라동이 최종 라운드에 출전한다.
3. 2. 2. 토너먼트 라운드
혼성 단체전은 리커브 보우를 사용하며 세계 양궁 연맹의 승인을 받은 70m 규격 경기장에서 관련 규정에 따라 경기를 치렀다. 한 팀은 남녀 각 1명씩, 총 2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16개 팀이 매 라운드에서 두 팀씩 짝지어 서로 맞붙었다. 경기는 남자 개인전, 여자 개인전과 겸하는 랭킹라운드로 시작되었는데, 여기서 각 선수당 총 72발을 쏘았다. 랭킹라운드의 최고기록을 합산해 16팀이 토너먼트전에 진출했다. 토너먼트전은 한 경기당 4발씩 총 4세트, 각 선수당 2발씩으로 구성되었다. 매 세트마다 4발의 점수를 합산해 최고점을 기록한 팀이 '세트포인트' 2점을 획득했다. 세트에서 동점을 기록하면 세트포인트 1점을 획득했다. 이렇게 모은 세트포인트가 먼저 5점에 도달한 팀이 승리했다. 4세트까지 진행했음에도 세트포인트가 4-4로 동점을 이루면 타이브레이커 세트를 진행해 한 사람당 한 발씩 돌아가며 쏘게 되며, 타이브레이커 세트도 동점을 이룬다면 표적 가운데에 가장 가까운 과녁을 쏜 팀이 승리했다.[11][4]16강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6조 | 7조 | 8조 | |||||||
---|---|---|---|---|---|---|---|---|---|---|---|---|---|---|---|
대한민국 (1) | 6 | 인도 (9) | 5 | 중국 (5) | 3 | 독일 (13) | 2 | 일본 (3) | 3 | 이탈리아 (11) | 0 | 터키 (7) | 6 | 인도네시아 (15) | 5 |
방글라데시 (16) | 0 | 중화 타이베이 (8) | 3 | 영국 (12) | 5 | 멕시코 (4) | 6 | 프랑스 (14) | 5 | 네덜란드 (6) | 6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10) | 2 | 미국 (2) | 4 |
4. 예선
다른 양궁 종목과는 달리 혼성 단체전은 별도의 출전권 배정과 예선전이 진행되지 않았다. 대신 대회 첫날 진행된 남녀 랭킹라운드를 본선 진출전으로 겸하였다. 남녀 개인종목 모두 진출한 선수가 있는 국가 (NOC)라면 혼성 단체전에도 출전할 기회를 얻게 된다. 랭킹라운드전에서 각 국가별 남녀 최고점수를 합산해 혼성 단체전용 랭킹라운드 점수를 집계하며, 이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16개국이 혼성 단체전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1]
5. 2020 도쿄 올림픽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양궁 혼성 단체전은 새롭게 추가된 종목이었다. 이는 1988년 남자 및 여자 단체전이 추가된 이후 양궁 종목에 처음으로 생긴 변화였다.[2]
혼성 단체전은 2007년 월드컵 대회에서 처음으로 열렸으며, 200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 시범 종목으로, 201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10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과 2016년 하계 패럴림픽 프로그램에도 포함되었다.[3]
5. 1. 기록
본 대회 이전의 세계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올림픽 기록의 경우 이번 대회가 첫 도입이므로 존재하지 않았다.[12]- 144발 랭킹 라운드
유형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세계 기록 | 강채영한국어, 이우석한국어 (KOR) | 1388점 | 스헤르토겐보스, 네덜란드 | 2019년 6월 10일 |
올림픽 기록 | (신설 종목) | - | - | - |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이 경기는 새로운 종목이었으므로 올림픽 기록은 존재하지 않았다.[5]
5. 2. 일정
혼성 단체 종목은 이틀에 걸쳐 치러진다.[1] 모든 시간은 일본 표준시(UTC+9, 한국 시간과 동일) 기준이다.날짜 | 시간 | 라운드 |
---|---|---|
2021년 7월 23일 (금) | 9:00 13:00 | 여자 랭킹라운드 남자 랭킹라운드 |
2021년 7월 24일 (토) | 9:30 | 16강 |
2021년 7월 24일 (토) | 14:15 | 8강 |
2021년 7월 24일 (토) | 15:31 | 4강 |
2021년 7월 24일 (토) | 16:25 | 동메달전 |
2021년 7월 24일 (토) | 16:45 | 결승전 |
5. 3. 결과
안산매켄지 브라운
야마우치 아즈사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양샤오레이
가브리엘라 슬루서르
야세민 아나괴즈
린자언
디피카 쿠마리
크세니야 페로바
키아라 레발리아티
세라 비틀스
미셸 크로펜
리자 바르벨랭
디아난다 초이루니사
디야 시디크
스테퍼니 배릿
베로니카 마르첸코
시야키에라 마샤이크
아니 마르셀리 두스 산투스
이네스 데 벨라스코
알렉산드라 므르카
도티아인응우옛
실비아 지잔스카
앨리스 앵글리
발렌티나 아코스타 히랄도
비싱데깅 오랑통갈라그
리하브 엘왈리드
아말 아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