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는 2022년 2월 13일에 진행되었으며, 2021-22 ISU 쇼트트랙 월드컵 계주 종목 결과에 따라 상위 8개 팀이 올림픽에 진출했다. 네덜란드는 결승 A조에서 4분 03.409초의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은메달, 중화인민공화국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세부 종목으로,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는 예선, 준결승, 결승으로 진행되었으며, 황대헌이 금메달, 스티븐 뒤부아가 은메달,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세부 종목으로,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는 2월 5일 예선전을 시작으로 2월 7일 결승에서 아리안나 폰타나(이탈리아)가 금메달,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이 은메달, 킴 부탱(캐나다)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예선에서 쉬자너 스휠팅이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 |
연도 | 2022 |
종목 | 쇼트트랙 |
세부 종목 | 여자 3000m 계주 |
개최국 | 중화인민공화국 |
개최 도시 | 베이징 |
경기장 | 수도체육관 |
개최 기간 | 2월 9일 (예선) 2월 13일 (결선) |
참가국 | 8 |
참가 선수 | 32 |
메달 획득 | |
금메달 국가 | NED |
금메달 | 쉬자너 스휠팅 셀마 파우츠마 산드라 펠제부르 야라 판 케르크호프 |
은메달 국가 | KOR |
은메달 | 서휘민 최민정 김아랑 이유빈 |
동메달 국가 | CHN |
동메달 | 취춘위 장취퉁 판커신 장위팅 |
올림픽 쇼트트랙 | |
이전 | 2018 |
다음 | 2026 |
기타 | |
참조 | Beijing 2022 Olympic Winter Games Competition Schedule Version 9 (PDF) |
2. 출전권 예선
2021-22 ISU 쇼트트랙 월드컵 계주 종목 결과에 따라 상위 8위까지 올림픽에 진출한다.[2]
이번 대회 이전의 세계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결승전은 결승 A조와 결승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결승 B조에서는 이탈리아와 폴란드가 각각 5위와 6위를 기록했다.
3. 기록
유형 선수 기록 장소 날짜 세계 기록 셀마 파우츠마, 쉬자너 스휠팅, 야라 판 케르크호프, 산드라 펠제부르 (네덜란드) 4:02.809 중국 베이징 2021년 10월 23일 올림픽 기록 쉬자너 스휠팅, 야라 판 케르크호프, 라라 판라위번, 요린 테르모르스 (네덜란드) 4:03.471 대한민국 강릉 2018년 2월 20일
경기 결과 다음과 같은 올림픽 신기록이 세워졌다.날짜 라운드 선수 기록 유형 2월 13일 결승 A조 쉬자너 스휠팅, 셀마 파우츠마, 산드라 펠제부르, 야라 판 케르크호프 (네덜란드) 4:03.409 OR[3]
4. 결과
결승 A조에서는 네덜란드가 4분 03.409초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4분 03.627초로 은메달을, 중화인민공화국은 4분 03.863초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캐나다는 4분 04.329초로 4위에 머물렀다.
4. 1. 준결승전
순위 | 조 | 국가 | 선수 | 기록 | 비고 |
---|---|---|---|---|---|
1 | 1 | 쉬자너 스휠팅, 셀마 파우츠마, 산드라 펠제부르, 야라 판 케르크호프 | 4:04.133 | QA | |
2 | 1 | 한유통, 취춘위, 판커신, 장위팅 | 4:04.383 | QA | |
3 | 1 | 니콜라 마주르, 나탈리아 말리셰프스카, 카밀라 스토르모프스카, 파트리차 말리셰프스카 | 4:10.074 | QB | |
4 | 1 | 아리안나 폰타나, 친티아 마시토, 마르티나 발체피나, 아리안나 발체피나 | 4:17.438 | QB | |
1 | 2 | 코트니 새롤, 플로렌스 브루넬, 킴 부탱, 앨리슨 찰스 | 4:05.893 | QA | |
2 | 2 | 서휘민, 최민정, 김아랑, 이유빈 | 4:05.904 | QA | |
3 | 2 |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 옐레나 세레지나, 안나 보스트리코바 | 4:06.064 | QB | |
4 | 2 | 크리스턴 산토스, 코린 스토더드, 맴 비니, 줄리 레타이 | 4:06.098 | QB |
4. 2. 결승전
셀마 파우츠마산드라 펠제부르
야라 판 케르크호프
최민정
김아랑
이유빈
장추퉁
판커신
장위팅
플로렌스 브루넬
킴 부탱
앨리슨 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