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원 지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000원 지폐는 대한민국에서 통용되는 지폐로, 1972년 처음 발행된 이후 여러 차례 도안이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이이의 초상과 한국은행 본관, 오죽헌, 무궁화 등을 소재로 사용했으며, 현재는 이이, 오죽헌 몽룡실, 신사임당의 초충도 등이 사용된다. 지폐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숨은 그림, 홀로그램, 특수 잉크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000 단위 지폐 - 5000엔 지폐
5000엔 지폐는 일본은행에서 발행하는 일본 엔 지폐 중 하나로, 쇼토쿠 태자, 니토베 이나조, 히구치 이치요 등의 인물과 후지 산, 붓꽃 등의 도안이 사용되었으며 위조 방지 기술 강화를 위해 디자인이 변경되어 왔고, 2024년에는 쓰다 우메코와 등나무를 도안으로 한 새로운 디자인의 F호권이 발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 원 지폐 - 1000원 지폐
1000원 지폐는 대한민국의 통화로, 다양한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어 발행된다. - 대한민국 원 지폐 - 10000원 지폐
대한민국의 고액권 지폐인 10000원 지폐는 여러 차례 도안 변경을 거쳤으며, 위조 방지 기술 강화와 디자인 변화를 통해 세종대왕, 경복궁 경회루, 혼천시계 등의 도안이 사용되었다. - 이이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이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5000원 지폐 | |
---|---|
지폐 정보 | |
액면 | 5000원 |
나라 | 대한민국 |
가치 | 5000 |
단위 | 대한민국 원 |
가로 | 142 |
세로 | 68 |
위조 방지 | 숨은그림(은화) 돌출은화 홀로그램 패치 앞뒤판맞춤 요판 인쇄 숨은막대 숨은은선(은선) 미세문자(요판 미세문자, 평판 미세문자) 요판 잠상 시변각잉크 형광인쇄 |
종이 종류 | 목화 섬유 |
인쇄 년도 | 2006년~현재 |
디자인 (앞면) | |
![]() | |
앞면 디자인 | 이이의 초상화, 오죽헌 몽룡실, 대나무(오죽) |
앞면 디자인 날짜 | 2005년 11월 2일 |
디자인 (뒷면) | |
![]() | |
뒷면 디자인 | 《신사임당 초충도병》 중 수박, 맨드라미 |
뒷면 디자인 날짜 | 2005년 11월 2일 |
2. 도안 변천사
5000원 지폐는 여러 차례 도안이 변경되었다. 1972년 7월 1일에 최초로 발행된 '가'권은 갈색이며, 앞면에는 이이 초상화, 뒷면에는 한국은행 본관[1]이 있다. 1977년 6월 1일에 발행된 '나'권은 주황색이며, 앞면은 이이 초상화, 뒷면은 오죽헌과 무궁화이다.
1983년 6월 11일에 발행된 '다'권은 주황색이며, 크기는 156 × 76 mm이다. 앞면에는 이이와 벼루, 뒷면에는 오죽헌이 있다. 2002년 6월 12일에 발행된 '라'권은 '다'권과 크기 및 도안이 같다.
2006년 1월 2일에 발행된 '마'권은 현재 사용 중이며, 주황색이고 크기는 142 × 68 mm이다. 앞면에는 이이, 오죽헌 몽룡실, 대나무(오죽)가, 뒷면에는 신사임당의 초충도병 중 수박과 맨드라미가 있다.
2. 1. 권종별 변천사
권종 | 최초 발행 | 발행 정지 | 색상 | 크기(mm)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
가권 | 1972년 7월 1일 | 1980년 12월 1일 | 갈색 | 167 × 77 | ![]() ![]() | |
나권 | 1977년 6월 1일 | 1993년 5월 12일 | 주황색 | 167 × 77 | ![]() ![]() | |
다권 | 1983년 6월 11일 | 2016년 6월 1일 | 주황색 | 156 × 76 | ![]() ![]() | |
라권 | 2002년 6월 12일 | 2016년 6월 1일 | 주황색 | 156 × 76 | ![]() ![]() | |
마권 | 2006년 1월 2일 | 주황색 | 142 × 68 | ![]() | ![]() |
2. 2. 디자인 특징
권종 | 최초 발행 | 발행 정지 | 색상 | 크기(mm)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
가권 | 1972년 7월 1일 | 1980년 12월 1일 | 갈색 | 167 × 77 | 이이 | 한국은행 본관[1] |
나권 | 1977년 6월 1일 | 1993년 5월 12일 | 주황색 | 가권하고 동일 | 이이 | 오죽헌, 무궁화 |
다권 | 1983년 6월 11일 | 2016년 6월 1일 | 주황 | 156 × 76 | 이이, 벼루 | 오죽헌 |
라권 | 2002년 6월 12일 | 2016년 6월 1일 | 주황 | 다권하고 동일 | 이이, 벼루 | 오죽헌 |
마권 | 2006년 1월 2일 | 주황 | 142 × 68 | 이이, 오죽헌 몽룡실, 대나무(오죽) | 신사임당초충도병 - 수박, 맨드라미 |
5000원 지폐에는 여러 가지 위변조 방지 요소가 적용되어 있다.
3. 위변조 방지 요소
1972년, 1977년, 1983년판 지폐에는 숨은그림(은화), 요판인쇄, 앞뒤판맞춤(1983년판 한정) 등의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었다. 2002년판에는 홀로그램 삽입 부분노출은선과 숨은막대가 추가되었다. 2006년판에는 숨은그림 외에 돌출은화가 추가되었고, 홀로그램 패치, 숨은은선, 미세문자, 요판 잠상, 시변각잉크, 형광인쇄 등 다양한 위변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었다.
3. 1. 1972 · 1977 · 1983년판
요소 | 특징 | |
---|---|---|
숨은그림(은화)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지폐에 숨겨진 이이의 초상화가 나타난다. | |
요판인쇄 | 지폐에 쓰여 있는 글자, 액면 숫자, 시각장애인용 점자(동그라미 2개, 1983년판 한정)가 볼록하게 인쇄되어 있다. | |
앞뒤판맞춤 (1983년판 한정)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앞면과 뒷면에 그려진 두루미 무늬가 일치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 |
디자인 | 1972년판 | |
* 원판 : 당시 국내 화폐 제조기술이 부족하여 한국조폐공사측이 영국 인쇄업체 데 라 루(De La Rue)에서 제작한 원판을 바탕으로 하여 발행. | ||
1977년판 | ||
* 원판 : 당시 국산이 부족하여 일본 현지에서 수입. | ||
1983년판 | ||
* 원판 : 자체기술로 제작. |
3. 2. 2002년판
2002년에 발행된 5000원권 지폐에는 다음과 같은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었다.요소 | 특징 |
---|---|
숨은그림(은화)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숨겨진 이이의 초상화가 나타난다. |
요판인쇄 | 지폐에 쓰여진 글자, 액면 숫자, 시각장애인용 점자(동그라미 2개)가 볼록하게 인쇄되어 있다. |
앞뒤판맞춤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앞면과 뒷면에 그려진 두루미 무늬가 일치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
홀로그램 삽입 부분노출은선 | 지폐 앞면에 "BOK"라는 홀로그램 문자가 삽입된 부분노출은선 6개(가로 1.5mm, 세로 5mm)가 인쇄되어 있다. |
숨은막대 | 지폐 앞면을 밝은 빛에 비추면 이이의 초상화 옆에 세로 막대 2개(가로 1.5mm, 세로 25mm)가 나타난다. |
디자인 |
3. 3. 2006년판
요소 | 특징 |
---|---|
숨은그림(은화), 돌출은화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지폐에 숨겨진 이이의 초상화와 액면 숫자 "5000"이 나타난다. |
홀로그램 패치 | 보는 각도에 따라 한반도 지도, 액면 숫자 "5000"과 태극 무늬, 4괘가 번갈아 나타난다. |
앞뒤판맞춤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앞면과 뒷면에 그려진 태극 무늬가 완성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
요판 인쇄 | 지폐에 쓰여져 있는 글자, 액면 숫자가 볼록하게 인쇄되어 있다. |
숨은막대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숨은 가로 막대 3개가 나타난다. |
숨은은선(은선)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한국은행", "5000", "BANK OF KOREA BANK OF KOREA"라는 문자가 삽입된 얇은 플라스틱 필름 띠가 나타난다. |
미세문자(요판 미세문자, 평판 미세문자) | 지폐를 확대해서 보면 "5000 WON", "BANK OF KOREA" 문자가 미세하게 연속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
요판 잠상 | 지폐 앞면을 기울여 보면 숨겨져 있던 "WON"이라는 문자가 나타난다. |
시변각잉크 | 보는 각도에 따라 액면 숫자의 색상이 금색이나 녹색으로 바뀐다. |
형광인쇄 | 지폐를 자외선에 비추면 오죽헌 몽룡실과 대나무(오죽), 형광 색사가 나타난다. |
디자인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