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25 전쟁의 미국 제8군 전투 서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25 전쟁의 미국 제8군 전투 서열은 1950년부터 1953년 휴전까지 기간 동안 제8군에 배속된 부대들의 편성 정보를 담고 있다. 제8군은 본부 및 본부중대, 특수병력대, 3개의 군단, 공병여단, 항공기포병단, 통신정찰단, 병기단, 헌병단, 군사고문단, 군수사령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참전 초기에는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 영국군 부대가 혼성으로 편성되었다. 전쟁의 전개에 따라 부대 편성은 변화하였으며, 휴전 당시에는 3개의 군단과 대한민국 육군 사단이 주축을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의 전투 서열 - 장진호 전투의 전투 서열
    장진호 전투의 전투 서열은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으로 나뉘어 구성되었으며, 유엔군은 더글러스 맥아더가 총사령관, 에드워드 알몬드가 지휘하는 제9(X)군단에 제1해병사단 등을 배속했고, 중국인민지원군은 쑹스룬이 지휘하는 제9집단군에 제20군 등을 편성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8군 (미국)
    제8군은 1944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선, 일본 점령,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주한 미군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5공군
    제5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 공군 부대로, 현재는 일본에 사령부를 두고 동아시아 안보와 재해 지원에 기여한다.
6.25 전쟁의 미국 제8군 전투 서열
6.25 전쟁 당시의 미국 제8군 전투 서열 (U.S. Eighth Army Korean War order of battle)
미국 제8군 휘장
미국 제8군 휘장
개요
시기6.25 전쟁 발발 시점
지휘부
사령관월턴 워커 중장 (1950년 7월 ~ 1950년 12월)
부사령관존 B. 콜터 소장
참모장클라크 러프너 준장
부참모장존 H. 처치 대령 (작전)
예하 부대
헌병대제803 헌병대대
공병대제548 공병대대 (전투)
정보대제501 정보대대
보충대제2 보충창
군사 원조주한미군 군사고문단 (KMAG)
직할 부대제1 기병사단
제2 보병사단
제24 보병사단
제25 보병사단
수도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1951년 12월 ~ 1953년 7월)
제1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1951년 12월 ~ 1953년 7월)
제2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제3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1951년 12월 ~ 1953년 7월)
제5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제6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제7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제8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1951년 12월 ~ 1953년 7월)
제9사단(1950년 7월 ~ 1951년 10월)
제11사단(1951년 12월 ~ 1953년 7월)
해병대(1950년 7월 ~ 1951년 10월)
제1해병연대(1950년 7월 ~ 1951년 10월)
기타 유엔군영국군
제27 영국 연방 여단
제29 독립 보병 여단
캐나다군제25 캐나다 보병 여단
오스트레일리아군제3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뉴질랜드군뉴질랜드 포병 연대
태국군태국 파견대
필리핀군필리핀 파견대
튀르키예군튀르키예 파견대
참고 자료
출처Appleman, Roy E. (1990).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Washington, D.C.: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Retrieved June 20, 2004.
Ecker, Richard E. (2004). *Battles of the Korean War: A Chronology, with Brief Explanations*. McFarland & Company. ISBN 978-0-7864-1980-7.
Fehrenbach, T.R. (2001). *This Kind of War*. Brassey's. ISBN 978-1-57488-334-3.

2. 한국 전쟁 (1950년 ~ 1953년)

6.25 전쟁 당시 미국 제8군의 전투 서열은 시기별로 변화를 겪었다. 주요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2. 1. 참전 초기 (1950년 6월 ~ 9월)



1950년 9월에는 증원 요청된 3개 군단이 도착하였다.

2. 1. 1. 6월 25일

2. 1. 2. 7월 13일

주한 제8군(Eighth United States Army in Korea (EUSAK)영어)은 1950년 9월 증원 요청된 3개 군단이 도착하기 전까지 다음과 같이 편성되었다.

2. 2. 반격 및 중공군 개입 (1950년 9월 ~ 1951년)

2. 3. 교착 및 휴전 (1951년 ~ 1953년)

1951년부터 1953년까지 6.25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결국 휴전으로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미국 제8군의 주요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2. 3. 1. 1953년 7월 27일 (휴전)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체결 당시 미국 제8군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

한국 전쟁 당시 제8군의 최종 전투서열

3. 예하 부대

6.25 전쟁 당시 미국 제8군은 본부 및 본부중대, 특수병력대와 더불어 아래와 같은 예하 부대를 두었다.


  • 제1(I)군단: 1950년 9월 13일 재소집되어 휴전 시까지 활동했다.
  • 제9(IX)군단: 1950년 9월 23일 재소집되어 휴전 시까지 활동했다.
  • 제10(X)군단: 1950년 9월 26일 재소집되어 휴전 시까지 활동했다.
  • 제2공병여단: 1950년 9월 15일 재소집되어 휴전 시까지 활동했다.
  • 제409공병여단: 1951년 7월 27일에 배속되었다.
  • 제10대항공기포병단: 1950년 9월 11일부터 1953년 6월 14일까지 활동했다.
  • 제44대항공기포병여단 (임시): 1953년 6월 15일, 제10대항공기포병단을 대체하였다.
  • 제501통신정찰단: 1951년 7월 15일부터 휴전 시까지 활동했다.
  • 제8046부대 (병기야전단): 1950년 8월부터 1951년 11월 10일까지 활동했다.
  • 제59병기단: 1951년 11월 11일, 제8046부대를 대체하여 휴전 시까지 활동했다.
  • 제8137부대 (헌병단): 1951년 10월 7일부터 휴전 시까지 활동했다.
  • 제8202부대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 1949년 7월 1일부터 휴전 시까지 활동했다.
  • 부산 기지사령부: 1950년 7월 4일 창설되어 7월 12일까지 존속했다.
  • 부산 군수사령부: 1950년 7월 13일 부산 기지사령부에서 개편되어 9월 18일까지 존속했다.
  • 제2군수사령부: 1950년 9월 19일 부산 군수사령부에서 개편되어 1952년 11월 1일 해산되었다.
  • 제3군수사령부: 1950년 10월 10일 창설되어 1953년 3월 20일 해산되었다.
  • 제8006부대 (KCOMZ): 1952년 8월 1일 창설되어 1955년 7월 해산되었다.

3. 1. [[제1군단 (미국)|제1군단]]

6.25 전쟁 당시 제8군 제1군단 전투 서열
부대기간비고
제16공병전투단1950년 11월
제1169공병전투단1950년 11월 ~ 1955년 1월 20일본토 귀환
제51통신대대
제303교신정찰대대
제352교신정찰중대
제622헌병중대
제3경항공반
제10육군우편부대
제556공병기술첩보대
부대기간비고
제1기병사단1950년 ~ 1951년 2월, 1951년 4월 ~ 1951년 12월
제2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제3보병사단1951년 1월 ~ 1953년 1월
제7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제24보병사단1950년 9월 13일 ~ 1951년 1월
제25보병사단1951년 1월 ~ 1952년 3월, 1953년 1월 ~ 휴전
제45보병사단1951년 1월 ~ 1953년 1월
제1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제27보병여단1950년 9월 13일 ~ 1951년 4월 27일해체
제1영국연방사단1952년 3월 ~ 1953년 1월
제1보병사단1950년 9월 13일 ~ 1951년 4월, 1952년 3월 ~ 휴전
제2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제8보병사단1952년 3월 ~ 1953년 1월
제9보병사단1952년 3월 ~ 1953년 1월
제25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3. 2. [[제9군단 (미국)|제9군단]]

3. 3. [[제10군단 (미국)|제10군단]]

부대기간
제3군수사령부1950년 9월 19일 ~ 12월
제19공병전투단
제4통신대대
제301교신정찰대대
제330교신정찰중대
제88헌병중대
제5경항공반
제507육군우편부대
제557공병기술첩보대



미국
부대기간
제2보병사단1951년 4월 ~ 1952년 3월
제3보병사단1950년 9월 24일 ~ 1951년 4월
제7보병사단1950년 9월 24일 ~ 1951년 4월
제25보병사단1952년 3월 ~ 1953년 1월
제40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제45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제1해병사단1950년 10월 24일 ~ 1950년 12월, 1953년 1월



대한민국
부대기간
제2보병사단1950년 10월 ~ 1952년 3월
제5보병사단1950년 10월 ~ 1951년 4월
제7보병사단1951년 4월 ~ 휴전
제8보병사단1950년 10월 ~ 1951년 4월; ? ~ 1952년 3월
제12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제20보병사단1953년 1월 ~ 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