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군 (미국)은 1944년 6월 10일 로버트 아이켈버거 중장의 지휘 하에 편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일본 점령, 한국 전쟁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의 안보를 담당하고 있다. 2002년에는 미국 태평양 육군으로 배속되었으며, 2016년부터 사령부를 평택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했다. 제8군은 제2보병사단, 제1신호여단, 제19원정지속사령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으며, 윌러드 M. 벌러슨 3세 중장이 사령관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야전군 - 제10군 (미국) 제10군 (미국)은 1944년 창설되어 오키나와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육군과 해병대로 구성된 부대로, 일본 본토 침공 작전 참여 예정이었으나 일본 항복으로 작전이 취소되었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야전군 - 제6군 (미국) 제6군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기에 활약했으며, 현재는 미국 남부 육군과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미국의 야전군 - 제1군 (미국) 제1군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유럽 전선 참전, 훈련 부대 임무 수행 등을 거쳐 현재는 훈련 및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동부 및 서부 사단으로 나뉘어 훈련 여단을 운영한다.
미국의 야전군 - 제2군 (미국) 제2군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쳐 냉전 시기 병력 동원 및 훈련 임무를 수행했으며, 사이버전 임무를 수행하다 2017년 활동이 중단되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5공군 제5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 공군 부대로, 현재는 일본에 사령부를 두고 동아시아 안보와 재해 지원에 기여한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8240부대 8240부대는 한국 전쟁 중 미군의 지원 하에 한국인 유격 부대들을 통합하여 창설된 비정규전 수행 부대로, 후에 유엔군 유격부대로 개명되었고, 해체 후 그 유산은 제1공수특전단을 통해 육군특수전사령부로 이어졌다.
[[파일:Eighth United States Army DUI.png|center|100px]]
식별 기호 명칭
고유 부대 휘장
식별 기호 2
[[파일:Flag of the Eighth United States Army.svg|center|border|100px]]
식별 기호 2 명칭
깃발
식별 기호 4
[[파일:NATO Map Symbol - Unit Size - Army.svg|100px]] [[파일:Military Symbol - Friendly Unit (Solid Light 1.5x1 Frame)- AA - 8th US Army (FM 101-5-1, 1997 September 30).svg|100px]]
[[파일:Streamer_APC.PNG|200px]] 태평양 전쟁 [[파일:Korean_Service_Medal_-_Streamer.png|200px]] 한국 전쟁 [[파일:Presidential_Unit_Citation_(Philippines)_Streamer.png|200px]]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
다운폴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일본이 항복하면서 실제 전투는 없었고, 대신 일본 점령 임무에 투입되었다.[5]1945년8월 30일부터 일본에 도착하여 사령부를 요코하마시(요코하마 세관 본청사)에 설치했다.[6] 초기에는 이토이가와와 오다와라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서일본은 제6군, 동일본은 제8군이 담당했으나, 제6군이 철수하면서 제8군이 일본 점령의 주력이 되었다.
일본 점령이 안정화되고 미국의 전시 체제가 해제됨에 따라 제8군의 병력은 급속히 감소했다. 1945년 말 약 24만 명에서 1946년 말 약 5만 8천 명, 1948년 4월 말에는 약 4만 5천 명으로 줄었다. 1948년월턴 H. 워커 중장이 지휘관으로 취임하여 부대 전투력 확보를 위해 노력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한국의 독립으로 조선반도 남부에 주둔하던 미 제24군단도 복원되면서, 제8군은 극동에서 유일한 미 육군 부대가 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하자 미군의 주력으로 투입되었고, 이후 한국에 주둔을 계속하고 있다.[8][9]
한국 전쟁이 휴전으로 중단된 이후에도 제8군은 한반도에 남았다. 1957년 주한 미군이 창설되자, 제8군은 주한 육군 구성군 사령부로 예속되었다. 1977년 1월, 지미 카터 미합중국 대통령은 한반도에서의 미군 철수를 명령하였으나, 의회의 지원과 행정부 관료들의 저항으로 철회되었다.
2015년 12월, 한국 측에 전시작전통제권을 이양할 예정이었으나, 전시작전통제권 이양은 2020년대 중반까지 연기하기로 미한 양국이 2014년에 합의했다.[49]
다운폴 작전의 일환인 코로넷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일본이 항복함에 따라 실행되지 않았다.[5] 1945년 8월 30일, 제8군은 요코하마에 무혈 입성하여 점령 임무를 수행하였다.[6] 초기에는 요코하마에 사령부를 설치했다가, 이후 도쿄로 이전하였다.[6] 1946년 초부터 제8군은 일본 군정 임무를 부여받았다.[6]
4년간 점령 임무를 수행하면서 제8군은 치안 부대 수준으로 전력이 약화되었다.[7] 1948년 월턴 H. 워커 중장이 지휘관으로 취임하여 부대 전투력 확보를 위해 노력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 3. 한국 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면서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에 주둔하고 있던 제8군이 긴급 투입되었다.[8][9] 초기에는 훈련 부족과 장비 미비로 북한군에 밀렸으나, 부산 교두보를 확보하고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지휘 체계 효율성을 위해 제1군단과 제9군단을 재편성하여 예하 사단을 지휘하도록 하였다. 인천 상륙 작전을 통해 전세를 역전시키고 북진을 시작하였다.
1950년 7월 7일, 제8군 사령관 월턴 워커 중장과 한국 주둔 지상군 사령관 윌리엄 F. 딘 소장이 회담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군의 개입으로 청천강 전투에서 패배하고 평양을 내주며 후퇴하였다. 이 후퇴는 미군 역사상 가장 긴 후퇴로 기록되었다. 지프차 사고로 월턴 워커 대장이 사망한 이후, 매슈 리지웨이 중장이 지휘를 맡아 부대 전투력을 회복시켰다. 지평리 전투와 원주 제3차 전투에서 중공군을 저지하고, 서울을 재탈환하며 반격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1950년 11월 20일, 청천강 북쪽에서 제2보병사단과 함께 전투를 벌이던 미 육군 상사 클리블랜드가 기관총 부대원들에게 북한군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 사진 속 병사는 제임스 콕스 일병이다.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이임한 뒤, 리지웨이 장군이 극동 사령부 총사령관이 되었고,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이 8군 사령관을 맡았다. 이후 전쟁은 소모전 양상으로 교착되었다. 1951년 여름부터 판문점에서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2년간 국지전이 계속되었다. 1953년7월 27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제8군은 대한민국을 수호하는 데 성공하였다.[10]
2. 4. 냉전
한국 전쟁이 휴전으로 중단된 이후에도 제8군은 한반도에 남았다. 1957년 주한 미군이 창설되자, 제8군은 주한 육군 구성군 사령부로 예속되었다. 유럽과 베트남 전쟁에 많은 병사들이 파병되면서 점차 부대가 작아졌다. 1960년대에는 제1군단만이 제2보병사단과 제7보병사단을 예하에 두고 남아있었으나, 1971년 제7보병사단과 제1군단이 함께 철수하면서 제2보병사단만이 전방을 지키고 있다.[11]
1977년 1월, 지미 카터 미합중국 대통령은 한반도에서의 미군 철수를 명령하였다. 같은 해 3월, 카터 대통령은 "미군은 한반도에서 철수하지만, 제공권은 지속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의회의 지원과 행정부 관료들의 저항으로 이 제안은 철회되었다. 최종적으로 1개 연대와 약 2,600명의 부대원이 철수했다.[12]
이로써 제2보병사단만이 한반도에 남아 비무장지대를 감시하고, 한국군이 스스로 전투력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의 주한미군의 역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는 올가미 덫같은 역할로써, 전술핵을 보유함으로써 한국군과 함께 대응하는 유일한 미군 전투부대라는 역할을 수행한다. 1991년[13]에는 모든 미군 핵무기가 대한민국에서 철수되었다.
2. 5. 21세기
한반도는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지만, 종종 무장 충돌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 주한 미군의 역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는 올가미 덫과 같은 인계철선 역할을 하며, 군사적 목적보다는 정치적 목적이 크다. 이는 북한이 남침할 경우 사실상 미국을 공격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2003년 제8군은 부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배치하겠다고 발표하여 대한민국에서 큰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이 정책은 미군이 정치적인 목적보다는 좀 더 효율적으로 군사 행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50]
2002년 4월 25일, 존 휴그 미국 육군부 장관의 명령에 따라 제8군은 주한 미군에서 태평양 육군으로 배속되었다. 제8군은 여전히 한반도에서 작전 가능한 야전군으로 주둔하며, 새로운 야전군 임무를 부여받았다.[50]
2003년, 제2보병사단을 남쪽으로 이동시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2003년 6월 5일 한국과 미국 정부의 공동 성명에 따르면, 한강 북쪽, 비무장지대 바로 남쪽에 15개의 기지를 두고 있는 제2보병사단은 향후 몇 년 안에 두 단계로 한강 이남으로 이동할 가장 중요한 부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37] 2015년 현재, 제2보병사단의 한 여단은 동두천 근처 캠프 케이시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8군 사령부는 용산기지에 있었지만, 2019년까지 험프리스 기지로 남쪽으로 이동했다.[2] 2017년 4월 제8군 사령부는 용산에서 험프리스 기지로 이동을 시작했고 월턴 워커 장군 동상을 이전하는 기념식을 거행했다.[38] 군사령부는 2017년 7월부터 평택시의 캠프 험프리스에 주둔하고 있다.[48] 사령관은 한미연합군사령부 참모총장을 겸임한다. 주력 부대는 서울 남쪽 평택에 배치된 제2보병사단이다. 2018년 현재 주한미군의 개편이 진행 중이며, 험프리스 기지로 이전할 때까지 사령부가 주둔했던 서울특별시용산기지도 한국으로의 반환이 결정되었다.
2015년 12월에는 한국 측에 전시작전통제권을 이양할 예정이었기에, 제8군 사령부는 하와이에 있는 미국태평양육군 사령부에 통합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 전시작전통제권 이양은 2020년대 중반까지 연기하기로 미한 양국이 2014년에 합의했다.[49]
제8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6월 10일 로버트 아이켈버거 중장의 지휘 아래 편성되었다.[1]1944년 9월, 북부 뉴기니와 애드미럴티 제도에서 제6군과 교대하여 경비 임무를 수행했다. 12월에는 레이테 섬으로 이동했고, 1945년 1월에는 예하 부대가 루손섬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후 종전까지 필리핀에서 토벌 작전을 수행했다.[1]
다운폴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일본이 항복하면서 점령 임무로 변경되었다. 1945년8월 30일부터 일본에 도착하여 요코하마시(요코하마 세관 본청사)에 사령부를 설치했다.[1]
초기에는 이토이가와와 오다와라를 잇는 선 이서의 서일본을 제6군, 동일본을 제8군이 담당했다. 그러나 일본 점령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제6군에 복원 점수가 많은 부대가 많았던 이유로 제6군이 철수하면서 제8군이 서일본을 포함한 일본 점령의 주력이 되었다. 제8군은 일본 주둔 미 육군 부대를 모두 통괄하게 되었다.[1]
일본 점령 안정화와 미국의 전시 체제 해제에 따라 제8군도 복원이 진행되어, 1945년 말 약 24만 명이었던 병력이 1946년 말에는 약 5만 8천 명, 1948년 4월 말에는 약 4만 5천 명으로 감소했다.[1]
한국의 독립으로 조선반도 남부에 주둔하던 미 제24군단도 복원되면서, 제8군은 극동에서 유일한 미 육군 부대가 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시 미군의 주력으로 투입되었고, 이후 한국에 주둔하고 있다.[1]
1950년 6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해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미국 해군과 미국 공군이 빠르게 투입되었고, 지상전을 위한 미국 육군 투입도 필요하게 됐다. 일본에서 군정임무를 맡던 부대가 한반도에 긴급 투입되었지만, 훈련 부족과 장비 문제로 초기 미군은 패배를 겪었다.[1] 그러나 제8군 병력 증원으로 전선이 구축되었다. 조선인민군은 부산 교두보 전투 전선을 뚫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제8군은 지휘 효율성을 위해 제1군단과 제9군단을 미국 본토에서 재편성하여 한국으로 이동시켰다.[1]인천 상륙 작전으로 전황이 바뀌었고, 조선인민군은 후방 위협과 부산 작전 실패로 퇴각했다.[1]
국제연합군은 38도선 이북으로 퇴각하는 인민군을 추격하여 당초 목표를 달성했다. 그러나 이승만 대통령의 요청으로 북진을 시작하여 통일에 가까운 영토를 점령했다. 하지만 미군이 압록강에 이르자 중국인민지원군이 참전하여 전쟁 판도가 뒤집혔다.[1] 제8군은 청천강 전투에서 패배하여 평양을 내주고 남쪽으로 후퇴했다. 미국의 역사학자 클레이 블레어는 터키 여단의 후퇴로 제8군의 우측면이 무방비 상태가 되었다고 기술하며, 터키군을 "부서지고 도망만 갔던 상당히 과대평가 된, 너무나 미숙한 부대"라고 평가했다.[1] 미군 지휘관 폴 프리먼은 터키군이 무질서하게 도망쳤다고 말했다.[1]
미국 제8군의 패배는 미군 역사상 가장 긴 후퇴로 기록되었다. 월턴 워커 대장이 지프차 사고로 사망하고, 매슈 리지웨이 중장이 지휘를 맡았다. 중공군은 통신 효율성을 높여 미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미 공군의 지원폭격에도 중공군은 방어선을 돌파했고, 유엔군은 포위되지 않기 위해 후퇴했다. 중공군의 공세와 계속된 패전으로 미군의 사기는 떨어졌다.[1]
리지웨이 장군은 수개월에 걸쳐 제8군의 전투력을 향상시켰다. 그의 지휘 아래 지평리와 원주시에서 중공군의 진격을 저지했다. 이를 통해 반격의 발판을 마련하여 서울을 수복하고, 공산군을 북위 38도 이북으로 밀어냈다.[1]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이임 후, 리지웨이 장군이 극동 사령부 총사령관이 되었고,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이 8군을 맡았다. 한국 전쟁은 소모전 양상으로 교착되었다. 판문점에서 1951년 여름부터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지만 2년 동안 국지전이 계속되었다. 1952년 5월 12일 마크 웨인 클라크가 세번째 극동 사령관이 되었고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체결되어, 제8군은 남한을 지키는 데 성공했다. 65년이 지난 지금도 불안정한 휴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1]
다운폴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그 전에 일본이 항복했기 때문에 점령 임무에 사용되었다. 일본에는 1945년8월 30일부터 도착을 시작하여 사령부를 요코하마시(요코하마 세관 본청사)에 설치했다.
초기에는 이토이가와와 오다와라를 잇는 선 이서의 서일본을 제6군, 동일본을 제8군이 담당하기로 되어 있었고, 제8군은 동일본에 주둔했지만, 일본 점령이 원활하게 진행되었고, 제8군보다 일찍 창설된 제6군에 복원 점수가 많은 부대가 많았던 등의 이유로 제6군이 철수하고 제8군이 서일본을 포함한 일본 점령의 주력이 되어 일본에 주둔하는 모든 미 육군 부대를 통괄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 점령의 안정화와 미국의 전시 체제 해제에 따라 제8군도 급속히 복원이 진행되어, 1945년 말에는 약 24만 명에 달했던 병력이 불과 1년 후인 1946년 말에는 약 5만 8천 명이 되었고, 다시 1948년 4월 말에는 약 4만 5천 명이 되었다.
또한, 한국의 독립으로 조선반도 남부에 주둔하고 있던 미 제24군단도 복원되었기 때문에, 극동에서 유일한 미 육군 부대가 되었으므로, 한국 전쟁 발발에 있어서는 미군의 주력으로 투입되었고, 이후 조선반도(한국)에 주둔을 계속하고 있다.
1950년 6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해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미국 해군과 미국 공군이 재빠르게 전투 작전에 투입됐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지상전을 수행해야 하는 미국 육군의 투입도 필요하게 됐다. 조선인민군의 공세를 저지하기 위해 일본 내에서 군정임무를 맡았던 부대가 한반도에 긴급투입되었지만, 부족한 훈련 수준과 장비는 전쟁 초기의 미군들이 뼈아픈 패배를 당하게 했다. 그러나 충분한 병력의 제8군이 도착하면서, 확고한 전선이 구축되었다. 인민군은 부산 교두보 전투 전선을 깨뜨리려고 했지만, 실패하고 만다. 같은 시간, 제8군은 지휘하기에 너무 많은 예하사단을 직접적인 지휘통제 효율성을 높이고자 부대체계를 개편하였다. 제1군단과 제9군단이 미국 본토에서 재편성되었으며, 제8군 예하 사단의 지휘를 위해 한국으로 상륙하였다. 교착상태에 빠졌던 전황은 육군과 해병대로 구성된 제10군단의 인천 상륙 작전을 통해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조선인민군은 이러한 후방의 위협과 부산에서의 작전실패로 인하여 퇴각하기 시작하였다.
인민군이 38도선 이북으로 퇴각하여 국제연합군은 결의에서 추구한 목적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반공통일론자였던 이승만 대통령의 요청에 의해 새로운 결의가 통과되면서 북진을 시작하였고, 파죽지세로 통일에 가까운 수준의 영토를 점령하였다. 그러나, 미군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경계인 압록강에 다다랐을 무렵, 중국인민지원군이 참전해 전쟁의 판도가 뒤집히고 말았다. 제8군은 청천강 전투에서 결정적인 패배로 평양을 내주고 다시 남쪽으로 후퇴했다. 미국의 역사학자 클레이 블레어는 터키 여단의 후퇴로 인하여, 제8군의 우측면이 완전히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었다고 기술하면서, 터키군을 "부서지고 도망만 갔던 상당히 과대평가 된, 너무나 미숙한 부대"라고 절하하였다. 미군 지휘관 폴 프리먼은 터키군들은 아무 방향으로나 내달리기 바빴다고 말했다.
미국 제8군의 패배는 미국 군대의 역사상 가장 길었던 후퇴로 기록되었다. 월턴 워커 대장이 지프차가 엎어지는 교통 사고로 사망하자, 뒤를 이어 매슈 리지웨이 중장이 지휘를 맡게 됐다. 간격을 좁힘으로써 통신의 효율성을 높혔던 중공군은, 미국 제8군을 압도함으로써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미국 공군의 지원폭격에도 불구하고, 중공군은 이내 방어선을 돌파하였으며, 유엔군은 포위당하지 않도록 신속히 후퇴하였다. 중공군의 공세는 계속해서 미군을 압박하였고, 계속되는 패전 끝에 미군의 사기와 단결력은 급격히 무너졌다.
리지웨이 장군이 제8군의 전투력을 효율적으로 올려놓는 데에는 수개월이 걸렸다. 결국 그의 리더쉽 하에 지평리와 원주시에서 중공군의 전진은 서서히 저지되었다. 이로써 중공군에 대한 반격의 발판이 마련되었고, 서울을 다시 수복할 수 있었으며, 공산군을 북위 38도 이북으로 밀어낼 수 있었다.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이임한 뒤, 그를 대신하여 리지웨이 장군이 극동 사령부 총사령관이 취임하였고,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이 8군을 맡게 되었다. 한국 전쟁의 1막이 그렇게 끝났으며, 전쟁은 소모전 양상으로 교착됐다. 휴전 협상이 판문점에서 1951년 여름부터 시작됐지만 2년 동안 국지전은 계속되었다. 1952년 5월 12일 마크 웨인 클라크가 세번째 극동 사령관이 되었고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은 맺어졌고, 제8군은 남한을 지키는 데 성공했다. 65년이 지난 지금, 불안정한 휴전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오래 유지되고 있다.
[1]
뉴스
Enter the Dragon: Eighth Army unveils new emblem
http://www.army.mil/[...]
army.mil
2013-04-15
[1]
뉴스
Task Force Smith, July 1950, Battle of Osan, memorialized
http://www.army.mil/[...]
army.mil
[2]
웹사이트
Yongsan garrison move pushed back to 2019
http://discoveringko[...]
2013-06-30
[3]
웹사이트
History
https://8tharmy.kore[...]
Eighth Army
2023-02-12
[4]
서적
THEATER ARMY, CORPS, AND DIVISION OPERATIONS FM 3-94
United States Army
[5]
서적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The Campaigns of MacArthur in the Pacific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66
[6]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Occupation: GHQ AFPAC; 15 August 1945 to 31 March 1946 Only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U.S. Army
2024-02-13
[7]
서적
Annual Report of the Secretary of the Army: 1948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49
[8]
웹사이트
US Enters the Korean Conflict
https://www.archives[...] [9]
웹사이트
Korean War
http://www.history.c[...] [10]
뉴스
The National Defense Committee visits Eighth Army Headquarters
https://www.army.mil[...]
army.mil
2017-08-29
[11]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Addison-Wesley
[12]
서적
The Two Koreas
[13]
뉴스
U.S. DECIDES TO WITHDRAW A-WEAPONS FROM S. KOREA
https://www.washingt[...]
2022-03-20
[14]
웹사이트
Command and Staff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of the US Army
2020-06-28
[15]
웹사이트
17th Aviation Brigade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6]
웹사이트
Bring your Career to Korea!
https://books.google[...]
US Army Aviation Digest - July / August 1993
2020-06-28
[17]
웹사이트
1st Battalion, 501st Aviat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8]
웹사이트
2nd Battalion, 501st Aviat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9]
웹사이트
Signal Corps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0]
웹사이트
36th Signal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1]
웹사이트
41st Signal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2]
웹사이트
304th Signal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3]
웹사이트
307th Signal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4]
웹사이트
94th Military Police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5]
웹사이트
728th Military Police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6]
웹사이트
501st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7]
웹사이트
524th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8]
웹사이트
532nd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9]
웹사이트
3rd Battalion, 501st Aviat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0]
웹사이트
21st Transportation Compan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1]
웹사이트
8th Personnel Center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2]
웹사이트
516th Personnel Service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3]
웹사이트
175th Financial Management Support Center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4]
웹사이트
176th Finance Compan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5]
웹사이트
177th Finance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6]
웹사이트
23rd Chemical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7]
웹사이트
U.S. Forces Korea to start major realignment next year
https://www.google.c[...]
2003-06-09
[38]
뉴스
8th U.S. Army Starts Moving Out of Seoul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17-04-26
[39]
문서
The conventional military balance on the Korean peninsula
[40]
웹사이트
Team
https://www.army.mil[...]
19th Expeditionary Sustainment Command
2021-04-19
[41]
웹사이트
403rd Army Field Support Brigade (AFSB)
https://www.aschq.ar[...]
Army Sustainment Command
2021-04-19
[42]
웹사이트
Soldier Support Journal
https://books.google[...] [43]
웹사이트
EIGHTH ARMY BAND - History
https://www.bands.ar[...] [44]
웹사이트
Eighth Army Band - Eighth Army | The United States Army
https://8tharmy.kore[...]
8tharmy.korea.army.mil
2022-08-28
[45]
웹사이트
8th Army band readies for Wonju festival
https://www.stripes.[...] [46]
웹사이트
EIGHTH ARMY BAND - News
https://www.bands.ar[...] [47]
웹사이트
U.S. 8th Army Band's Ensemble Group, Alliance Brass Celebrates 99th Birthday in Mongolia
https://mn.usembassy[...]
2015-06-30
[48]
간행물
平成30年度版 防衛白書
[49]
뉴스
米韓、戦時作戦統制権移譲を再延期 韓国国防相「20年代半ば」
http://www.sankei.co[...]
産経ニュース
2014-10-24
[50]
뉴스
Eighth Army returns to operational roots in Korea
http://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Public Affairs
2012-04-25
[51]
웹인용
8th Army Band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6-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