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기계화보병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0기계화보병사단은 1953년 2월 9일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휴전 이후 대간첩 작전을 수행하고 최전방 경계 임무를 맡았다.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차량화 보병 사단으로 전환된 후 기계화 보병 사단으로 개편되었다. 2019년 12월 1일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해체되어 제11기동사단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양평군 소재의 관공서 - 양평소방서
양평소방서는 경기도 양평군을 관할하며 2004년에 개서했고, 넓은 관할 구역과 많은 소방 인력 및 장비를 갖춘 소방서이다. - 양평군 소재의 관공서 - 한강물환경연구소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제11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참전 및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으며,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0기계화보병사단 | |
---|---|
기본 정보 | |
명칭 | 제20기계화보병사단 |
원어 명칭 | 第二十機械化步兵師團 |
로마자 표기 | ROKA 20th Mechanized Infantry Division |
통칭 | 결전부대 |
창설 | 1953년 2월 8일 |
해체 | 1958년 12월 24일 |
재편성 | 1959년 1월 1일 |
재해체 | 2019년 12월 1일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병과 | 보병 기갑 |
종류 | 기계화 보병 |
역할 | 군단 예비 전력 |
규모 | 사단 |
상급 부대 | 제7기동군단 |
본부 위치 | 경기도 양평군 |
군가 | 20사단가 |
마스코트 | (정보 없음) |
장비 | K-200 K-21 K1A1 K2 흑표 |
![]() | |
지휘관 | |
최종 지휘관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강인순 (육사 44기) |
주요 지휘관 | 소장 윤필용 |
참전 | |
주요 참전 | 한국 전쟁 광주 사건 |
기타 | |
관련 뉴스 | [김귀근의 병영톡톡] 병역자원 감소…2개 군단·6개 사단 해체 |
2. 역사
1958년 12월 24일, 사단이 해체되었다. 그러나 1959년 1월 1일, 경기 양주 신산리에서 제29사단이 제20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 1. 창설 및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말기, 한국군의 2차 증강계획에 따라 1953년 2월 9일 강원도 양양에서 제1교육여단을 기반으로 창설되었다.[6] 1953년 1월 1일, 양양 전진리에서 제60, 61, 62연대를 기반으로 제1교육여단이 창설되었고, 2월 6일 미군 제10군단에 배속되어 현리로 이동 후, 2월 8일 제20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창설 당시 결정적인 시간과 장소에서 결전을 통해 조국에 승리와 영광을 바칠 수 있는 든든한 부대라는 의미로 부대 애칭을 제정했다.938번 선우 고지와 크리스마스 고지를 방어하고 있던 중, 6월 10일 M-1 고지로 공격해 온 중공군 제60군 제33사단과 충돌하여 공방전을 벌인 끝에 22일에 격퇴하였다.[6] 또한 6월 14일부터 18일까지 1090고지(크리스마스 고지) 전투를 전개하여 중공군의 파상 공격을 격퇴했다.
1953년 3월 16일부터 4월 27일까지 부대 정비와 교육훈련을 실시했다. 1953년 5월 1일, 제10포병단을 편입하여 사단 포병단을 창설했다.
1953년 5월 15일, 양구로 이동하여 제7사단의 책임 지역을 인계받아 군단의 좌익 사단으로서 주 저항선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1953년 7월 4일부터 8일까지, 책임 지역을 미군 제45사단에 인계하고, 양구로 이동하여 부대 정비를 실시했다. 1953년 7월 9일부터 양구 북방의 미군 제40사단의 책임 지역(가칠봉 지구)을 인계받았다. 1953년 7월 14일부터 인민군 제15사단의 가칠봉 침공을 격퇴하고, 해당 고지를 확보했다.
휴전 후 12차례의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다.
2. 2. 휴전 이후
1964년부터 휴전선 지역에 주둔하던 중,[7] 1977년 10월 20일, 강원도 철원에 주둔하고 있던 제60연대 1대대장이 무전병을 데리고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으로 월북하는 사건이 발생했다.[7] 이 사건으로 인해 1978년 제5사단과 임무를 교대하여 경기양평으로 주둔지를 옮겼다.[7]1980년 5월 17일, 사단장 박준병의 지휘 아래 60, 61, 62 연대와 사단 전차대대, 91 포병대대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 작전인 '충정 작전'에 동원되었다.[8] 이는 신군부의 강압적인 명령에 따른 것이었지만,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광주 시민들을 무력으로 진압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1981년 차량화 보병사단으로, 1983년에는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기계화 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제7기동군단에 예속 전환되었다.[9]
2009년 11월 31일, K-21 보병전투차량이 사단에 최초로 배치되었다.
2014년 7월, K2 흑표 전차가 사단에 최초로 실전 배치되었다.
휴전 이후 12차례의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다.
2. 3. 부대 해체
2019년 12월 1일,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제20기계화보병사단은 제11기계화보병사단과 통합되어 해체되었다.[6] 경기도 양평의 (구)20사단 사령부에는 강원도 양구에 있던 (구)제2보병사단 사령부가 이전해왔다. 양평종합훈련장(용문산 사격장)은 11사단이 담당하게 되었다.2. 4. 주둔지 이전 논의
2008년 1월, 양평군은 도시 발전을 위해 국방부에 군사 시설 이전을 제안했다. 이전 대상은 61여단 본부(옥천면 옥천리), 의무대대(양평읍 오빈리), 방공대대(용문면 다문리), 화생방대(용문면 광탄리) 주둔지였다. 민간 자본 1.05조원의 예산을 들여 부지를 인수하는 계획이었다.[10][11]국방부는 이 계획에 따라 2015년부터 방공대대와 화생방대는 용문면 광탄리로, 61여단 본부와 의무대는 옥천면 옥천리로 옮겨갈 예정이라고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10][11] 그러나 실제 이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부대가 해체되었다.
2. 5. 사건·사고
2004년 12월 9일, 신병교육대대에서 TNT 폭파 시범을 보이던 중 알 수 없는 이유로 폭발이 일어났다. 이 사고로 조교 정 일병이 사망하고, 교관 김 하사, 전 중사, 소대장 오 소위가 부상을 입었다. 당시 신병교육대에 있던 하사의 증언에 따르면, 조교가 TNT를 들고 있을 때 격발기를 눌러 사망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TNT 도선을 연결하였으나 소통 오류로 인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착각하여 발생한 사건이라고 한다. 사망한 정 일병과 부상자들은 경기 성남시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되었다.[12]3. 편성
2019년 부대 해체 직전까지 제20기계화보병사단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
- 사단 본부
- 제60기계화보병여단 "상승" (제8기계화보병사단으로 예속 변경)
- 제61기계화보병여단 "화랑" (제11기계화보병사단으로 예속 변경)
- 제62기계화보병여단 "돌격" (2019년 11월 30일부로 해체)
- 사단 포병 여단 "시그마"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보급수송대대
- 정찰대대
- 의무대대
- 정보통신대대
- 기갑수색대대
- 군사경찰대대
- 화생방지원대대
- 방공대대
- 본부대대
- 신병교육대대
3. 1. 전투 서열
- 사단 본부
- 제60기계화보병여단 "상승" (현재 제8기계화보병사단으로 예속 변경)
- * 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 * 제26전차대대 "악어"
- * 제32전차대대 "강병"
- * 제107기계화보병대대 "격파"
- 제61기계화보병여단 "화랑" (제11기계화보병사단으로 예속 변경)
- * 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 * 제12전차대대 "질풍"
- * 제108기계화보병대대 "철마"
- * 제110기계화보병대대 "사자" (2019년 말 해체)
- 제62기계화보병여단 "돌격" (2019년 11월 30일부로 해체)
- * 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 * 제31전차대대 "비호" (2019년 10월 31일 해체)
- * 제109기계화보병대대 "백마" (2019년 11월 30일 해체)
- * 제111기계화보병대대 "무적번개" (제61기계화보병여단으로 예속 변경)
- 사단 포병 여단 "시그마"
- * 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
- * 제69포병대대 "맹호"(해체)
- * 제70포병대대 "백곰" (해체)
- * 제78포병대대 "승리"
- * 제91포병대대 "백호"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보급수송대대
- 정찰대대
- 의무대대
- 정보통신대대
- 기갑수색대대
- 군사경찰대대
- 화생방지원대대
- 방공대대
- 본부대대
- 신병교육대대
3. 2. 장비
4. 역대 지휘관
대 | 성명 | 재임 기간 | 출신교·기 | 전직 | 후직 | 비고 |
---|---|---|---|---|---|---|
1 | 유흥수 | 1953.2.9 | 육군사관학교(군영) 1기 | 제6사단 부사단장 | 육군보병학교 부교장 | |
2 | 송석하 | 1953.3.27 | 중훈 5기 경찰 간부후보생(경사) 2기 | |||
3 | 김상복 | 1955.7[2] - 1956 | 육군사관학교(군영) 1기 | 육군본부 인사국장 | 국방대학원 입학 | |
4 | 박현수 | 1956 - 1957 | 육군사관학교(군영) 1기 | 제2사단장 | 제6군단 부사령관 | |
5 | 이정석 | 1957 - 1959 | 육군사관학교(군영) 1기 | 제2사단장 | ||
6 | 문형태 | 1959 | 경찰 간부후보생(경사) 2기 | 제2사단장 | 작전참모 부장 | |
7 | 유근창 | 1960 | 경찰 간부후보생(경사) 2기 | 인사참모 부장 | 국방부 병무국장 | |
8 | 김안일 | 1961 - 1962.3 | 경찰 간부후보생(경사) 2기 | |||
9 | 최대명 | 1962.3 | 경찰 간부후보생(경사) 5기 | 육군사관학교 교수부장 | 제1군단 부군단장 | |
10 | 김종환 | 1963 - 1964 | 경찰 간부후보생(경사) 4기 | 합동참모본부 전략정보국장 | ||
11 | 박희동 | 1964[3] | 경찰 간부후보생(경사) 3기 | 제30사단장 | 제1군단장 | |
김인화 | 1974[4] | 육군사관학교 9기 | 방공여단장 | |||
박준병 | 1979 | 육군사관학교 12기 |
참조
[1]
뉴스
[주간조선] 육군 최정예 20기계화보병사단 역사 속으로
https://www.chosun.c[...]
2019-03-03
[2]
뉴스
第17代参謀次長 金相福中将(“17대 참모차장 김상복 중장”)
http://news.joins.co[...]
1968-02-16
[3]
웹사이트
육군대장 박희동(朴熙東)
https://dnc.go.kr/_p[...]
国立大田顕忠院
2024-02-13
[4]
웹사이트
육군준장 김인화(金仁華)
https://dnc.go.kr/_p[...]
国立大田顕忠院
2024-02-13
[5]
뉴스
"[김귀근의 병영톡톡] 병역자원 감소…2개 군단·6개 사단 해체"
https://news.naver.c[...]
2019-09-21
[6]
웹인용
M-1 고지 전투( 1953.6.10 - 23)
http://www.army.mil.[...]
대한민국 육군
2014-05-06
[7]
간행물
비무장지대 철책절단사건 현장 30년 秘史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5-01-01
[8]
웹인용
20사단 충정 작전보고 국방부 원자료 전문
http://altair.chonna[...]
5.18 연구소
2007-05-30
[9]
웹인용
"'긴급제안' 한국군, 평시 신속결정작전 펼칠 기갑군단 창설하라"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7-08-01
[10]
뉴스
양평,양서 방공부대 이전“탄력”-세계적 관광명소 기폭제!
http://www.ypnews.kr[...]
양평 백운신문
2011-07-28
[11]
뉴스
양평 도심 군부대 '외곽으로'
http://www.itimes.co[...]
인천일보
2008-02-12
[12]
뉴스
신병훈련장 폭발사고 1명 사망-5명 부상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4-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