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공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공군은 1941년 극동 공군으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시기에 걸쳐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온 주일 미 공군의 핵심 전력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필리핀에서 일본군과 교전했으며, 이후 호주로 이동하여 조지 케니의 지휘 아래 일본군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한국 전쟁에서는 유엔군 주력 항공 전력으로 참전하여 압도적인 제공권을 확보하고 북한군과 중공군에 대한 폭격 임무를 수행했다. 냉전 이후에는 일본에 주둔하며 일본 항공자위대 및 대한민국 공군의 전력 증강에 기여했으며, 자연 재해 발생 시 구호 활동에도 참여했다. 현재는 가데나, 미사와, 요코타 공군 기지에 주요 부대를 두고 있으며,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보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 항공대의 서수공군 - 제7공군
    제7공군은 한반도 방어를 임무로 하는 미국 태평양 공군 예하 부대로, 오산 공군기지 등을 중심으로 전투기를 운용하며 한반도 유사시 작전 수행 및 연합 작전을 수행하고, 사령관은 주한 미군 부사령관 등을 겸임한다.
  • 미국 육군 항공대의 서수공군 - 제20공군
    제20공군은 B-29 폭격기를 운용하며 일본 본토를 폭격하고 원자 폭탄 투하를 통해 전쟁 종식에 기여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ICBM을 운용하며 미국의 핵 억지력을 담당해왔다.
  • 미국 공군의 서수공군 - 제7공군
    제7공군은 한반도 방어를 임무로 하는 미국 태평양 공군 예하 부대로, 오산 공군기지 등을 중심으로 전투기를 운용하며 한반도 유사시 작전 수행 및 연합 작전을 수행하고, 사령관은 주한 미군 부사령관 등을 겸임한다.
  • 미국 공군의 서수공군 - 제20공군
    제20공군은 B-29 폭격기를 운용하며 일본 본토를 폭격하고 원자 폭탄 투하를 통해 전쟁 종식에 기여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ICBM을 운용하며 미국의 핵 억지력을 담당해왔다.
  • 주일 미군의 부대 및 조직 - 주일 미국 육군
    주일 미국 육군은 1941년 극동 미 육군에서 시작되어 재건 후 1957년 공식 출범한 미 육군의 사령부로, 캠프 자마에 본부를 두고 일본 육상 자위대와 협력하며 주일 미군의 육군 구성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토모다치 작전을 수행했다.
  • 주일 미군의 부대 및 조직 - 제836수송대대
    제836수송대대는 1941년 창설된 미국 육군 수송 부대로, 주요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을 지원했으며 냉전 시대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 한국 전쟁 지원 공로로 공로부대표창을 수여받고 괌과 알래스카에 파견대를 두고 있다.
제5공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5공군 휘장
제5공군 휘장
창설일1941년 8월 16일
군종미국 공군 (1947년 9월 18일 – 현재)
[[파일:Seal of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War.png|23px]] 미국 육군 ([[파일:US Army Air Corps Hap Arnold Wings.svg|23px]] 미국 육군 항공대, 1941년 8월 16일 – 1947년 9월 18일)
종류서수 공군
역할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와 주일 미군에 전투 준비된 공군을 제공하고, 주일 미군의 공군 구성군 역할을 수행한다.
규모알 수 없음
지휘 체계[[파일:Pacific Air Forces.png|23px]] 태평양 공군
[[파일:US Indo-Pacific Command Seal.svg|23px]]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파일:Seal of the USFJ.svg|23px]] 주일 미군
본부요코타 비행장, 도쿄도, 일본
별명5AF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휘관
사령관중장 스티븐 F. 요스트
부사령관대령 존 M. 슈테
주임원사CMSgt 숀 E. 캠벨
주요 지휘관조지 케니
얼 E. 파트리지
새뮤얼 E. 앤더슨
리처드 마이어스
참전
주요 전투[[파일:Streamer APC.PNG|200px]]
제2차 세계 대전 - 아시아-태평양 전구
1942)|필리핀 전역]]

고나 전투|파푸아]]




1945)|남부 필리핀]]
[[파일:Korean Service Medal - Streamer.png|200px]]
한국 전쟁





추계 공세

추계

추계
훈장
주요 훈장[[파일:Streamer PUC Army.PNG|200px]]
수훈 부대 표창


[[파일:US Air Force Outstanding Unit Award - Stremer.jpg|200px]]
미국 공군 우수 부대 표창
[[파일:Presidential Unit Citation (Philippines) Streamer.png|200px]]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
[[파일:Streamer KPUC.PNG|200px]]
한국 대통령 부대 표창

2. 역사

제5공군 책임구역, 1945-1947


태평양 전쟁 발발 전, 필리핀에 주둔한 미국 극동 육군(USAFFE)은 210대의 항공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다.[1] 1941년 10월, 긴박한 상황을 감안하여 극동 공군(Far East Air Force, FEAF)이 편성되었다. 태평양 전쟁 발발과 함께 FEAF는 큰 타격을 입고 오스트레일리아로 후퇴했다.

1942년 9월 18일 브리즈번에서 FEAF 내에 제5공군이 편성되었고, 사령관에는 조지 케니가 임명되었다. 제5공군은 P-39, P-40, B-25 등을 장비하고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에서 파푸아뉴기니에 걸쳐 주둔하며 일본군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한국 전쟁에서 주력 부대 및 사령부가 한반도로 이동하여 북한군과 전투를 벌였다.

냉전 시대 및 그 이후에는 일본에 주둔하며 항공자위대대한민국 공군과의 관계를 돈독히 했다. 2005년 6월에는 조지 케니를 기리는 케니 사령부가 제13공군에 창설되어 태평양 공군 전체의 전투를 지휘하게 되었으나(대한민국의 제7공군 제외), 제13공군 제1분견대가 2007년에 일본에 설립되어 613AOC 및 제5공군, 항공자위대와의 조정을 담당했다. 제13공군 폐지 후에는 제5공군이 그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100px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1차 필리핀 전역에서 제5공군은 처음으로 일본군과 교전했다.[1] 1941년 12월 17일부터 20일 사이에 필리핀 전투에서 살아남은 14대의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오스트레일리아 다윈으로 이동했는데, 이는 극동 항공대에서 유일하게 탈출한 항공기였다.[1] 1941년 12월 24일 필리핀에서 철수한 후, FEAF 본부는 호주로 이동하여 1942년 2월 5일 '''제5공군'''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대부분의 전투기는 자바의 비행장에 배치되었다.[1]

조지 케니 소장이 지휘를 맡게 되었고,[1] 제5공군은 뉴기니 전역 (1942–1945)과 필리핀 전역 (1944–45), 오키나와 전투 (1945)에서 일본군과 교전했다.[1]

1942년 9월, 제5공군에 배속된 비행단은 다음과 같다.

전투 비행단폭격 비행단



제5공군은 2개의 수송 비행대와 1개의 사진 비행대를 통제했으며, 1,602명의 장교와 18,116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1]

제5공군은 중앙 태평양의 제13공군, 하와이의 제7공군과 함께 1944년 8월 3일에 새로 창설된 '''미국 극동 공군''' (FEAF)에 배속되었다.[1] 1945년까지 이 세 개의 공군 부대는 태평양 전역에서 작전을 지원했다.[1]

V 전투 사령부야간 전투 부대V 폭격 사령부사진 정찰제54 수송 비행단
제3 ACG (P-51, C-47)제418 NFS제3 BG (L) (B-25, A-20)제6 RG (F-5, F-7)제2 CCG
제8 FG (P-40, P-38)제421 NFS제22 BG (M/H) (B-26 – B-24)제71 RG (B-25)제317 TCG
제35 FG (P-47, P-51)제547 NFS제38 BG (M) (B-25)제374 TCG (1943년만 해당)
제49 FG (P-40, P-47, P-38)제43 BG (H) (B-24)제375 TCG
제58 FG (P-47)제90 BG (H) (B-24)제433 TCG
제348 FG (P-47, P-51)제312 BG (L) (A-20)
제475 FG (P-38)제345 BG (M) (B-25)
제380 BG (H) (B-24)
제417 BG (L) (A-20)



범례: ACG - 공중 특공대, FG - 전투 비행단, NFS - 야간 전투 비행대, BG (L) - 경폭격 비행단, BG (M) - 중폭격 비행단, BG (H) - 중폭격 비행단, RG - 정찰 비행단, CCG - 전투 수송 비행단, TCG - 수송 비행단

전쟁이 끝났을 때 제5공군은 3,445번의 공중전 승리를 거두었으며, 국가 최고의 에이스인 리처드 봉 소령과 토마스 맥과이어 소령이 각각 40번과 38번의 승리를 거두며 제5공군의 10명의 명예 훈장 수훈자 중 두 명이 포함되었다.[1]

2.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1950년, 제5공군은 다시 소집되어 유엔군의 주력 전투 항공 사령부가 되었으며, 1953년 한국 휴전 협정 체결에 기여했다.[3]

1950년 6월 25일 이른 아침, 북한의 전면적인 남침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제5공군 부대는 서울 상공에서 공중 엄호를 제공했다. 제5공군 사령부는 1950년 12월 1일에 서울로 이전되었고, 1954년 9월 1일까지 대한민국에 주둔했다.[3]

한국전쟁에 참전 중인 제5공군의 F-86 세이버 전투기


최초의 제트기 전쟁에서 제5공군에 배속된 부대는 14.5 대 1의 승리 비율을 기록했다. 1953년 휴전 협정이 체결될 즈음, 제5공군은 62만 5천 번 이상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북한 및 중국 항공기 953대를 격추했고, 근접 항공 지원으로 적군 사상자의 47%를 차지했다.[3]

백마고지 전투에서 제5공군은 745회 출격했다. 네이팜탄 358발을 포함해 폭탄 2700발을 백마고지에 투하했다.[1]

38명의 전투기 조종사가 에이스로 확인되었으며, 여기에는 미국 최초의 제트 에이스인 제임스 자바라 중령과 16번의 격추를 기록한 한국 전쟁 에이스인 조셉 매코넬 대위가 포함되었다. 또한 4개의 명예 훈장이 제5공군 구성원에게 수여되었다. 주목할 만한 다른 조종사로는 교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5공군에서 비행한 해병대 존 글렌 소령이 있다.[3]

제5공군 사진 분석가가 적의 대공포 포대 위치를 설명하며 전투 폭격기 공격 계획을 세우고 있다. 1952년

2. 3. 냉전

한국 전쟁 종전 이후, 제5공군은 일본으로 이동하여 주일 미 공군의 핵심 전력으로 자리 잡았다. 제5공군은 일본 항공자위대와 대한민국 공군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이러한 노력은 통킹만 사건으로 베트남 전쟁이 시작되기 전까지 10년 동안 지속되었다.

제5공군은 남베트남과 라오스에서 8년 동안의 전투 작전 기간 동안 항공기, 항공 승무원, 지원 인력 및 물품을 제공했다. 1986년 제7공군이 창설되면서, 제5공군은 한반도를 떠나 일본과의 관계를 지속하는 데 집중했다.

2. 4. 냉전 이후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1997년 슈퍼 태풍 파카 등 자연재해 발생 시 구호 활동에 참여하여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다.[4] 2019년 4월 21일, 공군부는 요코타 공군기지에 제5공군의 항공우주작전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4]

2024년 현재 제5공군의 주요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4]

비행단기지주요 임무
제18비행단가데나 공군 기지 (오키나와현)F-15 전투기, 보잉 KC-135 공중 급유기, E-3 조기경보통제기, HH-60G 페이브 호크 구조 헬리콥터 운용
제35전투비행단미사와 공군 기지적 방공망 제압에 특화된 블록 50 F-16 2개 비행대대 운용
제374수송비행단요코타 공군 기지수송 임무



2017년 두 명의 미국 해군 사령관의 연구에 따르면, 일본 내 공군 기지에 대한 중국의 기습 탄도 미사일 공격이 발생할 경우, 분쟁 초기 몇 시간 안에 200대 이상의 미군 항공기가 지상에 갇히거나 파괴될 수 있다고 한다.[5]

3. 주요 구성 부대

현재 제5공군은 일본 요코타 공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예하에 제18비행단(가데나 공군 기지), 제35전투비행단(미사와 공군 기지), 제374수송비행단(요코타 공군 기지)을 두고 있다.[4]

비행단기지주요 운용 기종
제18비행단가데나 공군 기지F-15C/D, KC-135, E-3B/C, HH-60, MC-130H/P, WC-135
제35전투비행단미사와 공군 기지F-16C/D
제374수송비행단요코타 공군 기지C-130J-30



제18비행단미국 공군 최대 규모의 전투 비행단으로, 서태평양에서 중요한 전투 능력과 존재감을 보여준다. 제35전투비행단은 적 방공망 제압 임무를 수행하며, 제374수송비행단은 수송 임무를 담당한다.

3. 1. 제18비행단 (가데나 공군기지)

제18비행단오키나와현 가데나 공군기지에 주둔하며, 미국 공군 최대 규모의 전투 비행단이다.[4] F-15C/D 전투기, KC-135 공중급유기, E-3B/C 조기경보기, HH-60 구조 헬기 등 다양한 항공 전력을 보유하여 서태평양에서 중요한 전투 능력과 존재감을 보여준다.[4]

3. 2. 제35전투비행단 (미사와 공군기지)

아오모리현 미사와 공군기지에 주둔하며, F-16C/D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다.[4] 1984년 7월 1일부터 1994년 10월 31일까지 제432전술 전투 비행단이 미사와 공군 기지에서 F-16을 운용했다. 비행단이 해산되면서 해당 인력, 항공기 및 기타 자산은 제35전투비행단을 재편성하는 데 사용되었다.[4] 제35전투비행단은 적 방공망 제압에 특화된 블록 50 F-16C/D 변종으로 무장한 2개 비행대대를 보유하고 있다.[4]

3. 3. 제374항공수송비행단 (요코타 공군기지)

제374항공수송비행단은 도쿄도 요코타 비행장에 주둔하며, C-130J-30 수송기를 운용하고 있다.[4]

4. 역대 사령관

번호사령관임기
초상화이름취임일퇴임일재임 기간
1--헨리 B. 클라게트1941년 9월 20일1941년 10월 7일
2--루이스 H. 브레레톤1941년 10월 7일1942년 2월 24일
3--조지 C. 케니1942년 9월 3일1944년 6월 15일
4--에니스 C. 화이트헤드1944년 6월 15일1945년 10월 4일
5--케네스 B. 울프1945년 10월 4일1948년 1월 16일
6--토마스 D. 화이트1948년 1월 16일1948년 10월 6일
7--얼 E. 파트리지1948년 10월 6일1951년 5월 21일
8--에드워드 J. 팀버레이크1951년 5월 21일1951년 6월 1일
9--프랭크 F. 에베레스트1951년 6월 1일1952년 5월 30일
10--글렌 O. 바커스1952년 5월 30일1953년 5월 31일
11--새뮤얼 E. 앤더슨1953년 5월 31일1954년 6월 1일
12--로저 M. 레이미1954년 6월 1일1956년 6월 20일
13--프레데릭 H. 스미스 주니어1956년 6월 20일1958년 8월 4일
14--로버트 W. 번스1958년 8월 4일1961년 7월 6일
---로버트 F. 테이트1961년 7월 6일1961년 8월 2일
15--제이콥 E. 스마트1961년 8월 2일1963년 7월 30일
16--모리스 A. 프레스턴1963년 7월 30일1966년 8월 1일
17--세스 J. 매키1966년 8월 1일1968년 7월 13일
18--토머스 K. 맥기1968년 7월 13일1970년 2월 24일
19--고든 M. 그레이엄1970년 2월 24일1972년 11월 15일
20--로버트 E. 퍼슬리1972년 11월 15일1974년 3월 1일
---에드워드 P. 맥네프1974년 3월 1일1974년 5월 8일
21--월터 T. 갤리건1974년 5월 8일1977년 6월 22일
22--조지 G. 러빙 주니어1977년 6월 22일1979년 6월 14일
23
윌리엄 H. 진 주니어1979년 6월 14일1981년 8월 5일
24--찰스 L. 도넬리 주니어1981년 8월 5일1984년 7월 19일
25--에드워드 L. 티시에1984년 7월 19일1988년 1월 22일
26--제임스 B. 데이비스1988년 1월 22일1991년 7월 18일
---제임스 M. 존스턴 3세1991년 7월 18일1991년 8월 9일
27--리처드 E. 홀리1991년 8월 9일1993년 11월 13일
28--리처드 B. 마이어스1993년 11월 13일1996년 6월 18일
29--랄프 E. 에버하트1996년 6월 18일1997년 6월 27일
30--존 B. 홀 주니어1997년 6월 27일1999년 9월 3일
31--폴 V. 헤스터1999년 9월 3일2001년 11월 19일
32--토머스 C. 와스코우2001년 11월 19일2005년 2월 10일
33--브루스 A. 라이트2005년 2월 10일2008년 2월 25일
34--에드워드 A. 라이스 주니어2008년 2월 25일2010년 10월~
35--버튼 M. 필드2010년 10월2012년 7월 20일~
36--살바토레 A. 안젤렐라2012년 7월 20일2015년 6월 5일
37--존 L. 돌란2015년 6월 5일2016년 10월 6일
38--제리 P. 마르티네즈2016년 10월 6일2019년 2월 5일
39--케빈 B. 슈나이더2019년 2월 5일2021년 8월 27일
40--리키 N. 루프2021년 8월 27일2024년 10월 8일
41--스티븐 F. 조스트2024년 10월 8일


5. 계보


  • 1941년 8월 16일, '''필리핀 지부 공군'''으로 창설되었다.[1]
  • 1941년 11월 16일, '''극동공군'''으로 재지정되었다.[1]
  • 1942년 2월 5일, '''제5공군(5 Air Force영어)'''으로 재지정되었다.[1]
  • 1942년 9월 18일, '''제5공군(Fifth Air Force영어)'''으로 재지정되었다.[1]

6. 배속

기간상위 부대
1941년 9월 20일미국 육군 필리핀 지부
1941년 12월 23일주오스트레일리아 미군
1942년 1월 5일주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육군 (재지정)
1942년 2월 23일미국-영국-네덜란드-오스트레일리아 사령부 (ABDACOM)
1942년 11월 2일남서태평양 지역 연합공군
1944년 6월 15일극동공군 (임시)
1944년 8월 3일극동공군
1945년 12월 6일미국 육군 태평양 항공사령부 (재지정)
1947년 1월 1일극동공군 (재지정)
1957년 7월 1일 ~ 현재태평양 공군 (재지정)[1]


참조

[1] 웹사이트 Fifth Air Force (PACAF) http://www.afhra.af.[...]
[2] 웹사이트 5TH AIR FORCE http://www.5af.pacaf[...]
[3] 웹사이트 Fact Sheet 5th Air Force http://www.5af.pacaf[...] 5th Air Force Public Affairs 2012-04-23
[4] 웹사이트 5th Air Force https://www.5af.paca[...]
[5] 논문 First Strike: China’s Missile Threat to U.S. Bases in Asia https://s3.amazonaws[...] 2017-09-16
[6] 웹사이트 History Wing/6100/Support, 1-1-1962 - 6/30-1962 http://www.airforce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