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기동함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6기동함대는 대한민국 해군이 구상한 기동함대로, 일본 해상자위대의 88함대를 참고하여 이지스 구축함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으로 구성될 계획이었다. 2005년 국방개혁 2020 발표로 예산 문제로 인해 1개 기동전단으로 축소되었고, 2010년 제7기동전단이 창설되어 제주 해군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2012년 방위사업청의 '해상전력 증강방안'에 따라 2030년까지 3개 기동전단으로 구성된 기동함대 창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2025년 제7기동전단을 기동함대사령부로 개편하여 3개의 기동전단을 예하에 둘 예정이다. 현재는 구축함 6척, 헬기 6대로 구성된 1개 기동전단을 운영하며,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KDDX 소형 이지스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등으로 구성된다.
한국 해군은 일본 해상자위대의 88함대를 참고하여 이지스 구축함 6척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12척으로 구성된 66기동함대를 구상했으나, 노무현 정부 시절 예산 문제로 1개 기동전단으로 축소되었다. 2010년 제7기동전단이 창설되었고, 2012년에는 주변국 해양 분쟁 억제를 위해 3개 기동전단으로 구성된 기동함대 창설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 이후 해군은 3개 해역함대와 1개 기동함대(3개 기동전단)로의 구조 변화를 꾀하고 있다.
2. 역사
2. 1. 초기 구상 및 창설
한국 해군은 일본 해상자위대의 88함대를 참고하여 이지스 구축함 6척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12척으로 구성된 66기동함대를 구상했다. 그러나 2005년 9월 13일 노무현 정부가 국방개혁 2020을 발표하면서 예산 문제로 1개 기동전단 조성으로 규모가 축소되었다.[1]
2010년 2월 1일, 제7기동전단이 창설되어 제주 해군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전단장은 해군 준장, 전대장은 해군 대령이다.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이후 기동함대 창설 계획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연도 | 내용 |
---|---|
1990년 | 3개 기동전단으로 구성된 전략기동함대 창설 계획 |
2005년 | 국방부가 국방 예산 등을 이유로 기동함대 대신 1개 기동전단을 창설하는 것으로 계획 전면 수정[2] |
2010년 2월 1일 | 제7기동전단 창설 |
2011년 12월 31일 | 방위사업청의 중-일 해군력 증강에 대응한 중장기 해상전력 강화 방안 연구 예산 5억원 국회 통과[3] |
2013년 2월 7일 | 최윤희 해군참모총장이 세미나에서 천안함 침몰 사건을 계기로 3개 기동전단 재추진[4] |
2013년 12월 10일 | 이지스함 3척 추가 건조 발표[5] |
2022년 7월 15일 | 해군 제6항공전단을 해군항공사령부로 개편 |
2022년 7월 28일 |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 진수식[6] |
2025년 | 해군 제7기동전단을 기동함대사령부로 개편 (예정). 주변국과 초국가적·비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며, 예하에 3개 기동전단을 둘 예정. |
2. 2. 기동함대 확장 계획
2012년 10월, 방위사업청은 '해상전력 증강방안'을 통해 2030년까지 최소 3개 기동전단으로 구성된 기동함대를 창설해야 한다고 분석했다.[1] 2019년, 해군은 3개 해역함대와 1개 기동함대(3개 기동전단)로의 구조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연도 | 내용 |
---|---|
1990년 | 3개 기동전단으로 구성된 전략기동함대 창설 계획 |
2005년 | 국방부가 국방예산 등을 이유로 기동함대 대신 1개 기동전단을 창설하는 것으로 계획을 전면 수정.[2] |
2010년 2월 1일 | 제7기동전단 창설. |
2011년 12월 31일 | 방위사업청의 중-일 해군력 증강에 대응한 중장기 해상전력 강화 방안 연구예산 5억원 국회통과[3] |
2013년 2월 7일 | 최윤희 해군참모총장이 세미나에서 천안함 침몰 사건을 계기로, 3개 기동전단 재추진키로 했다.[4] |
2013년 12월 10일 | 이지스함 3척 추가 건조 발표.[5] |
2022년 7월 15일 | 해군 제6항공전단을 해군항공사령부로 개편. |
2022년 7월 28일 |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 진수식.[6] |
2025년 | 해군 제7기동전단을 기동함대사령부로 개편. 주변국과 초국가적·비군사적 위협에 대응. 예하에 3개 기동전단 |
66기동함대는 구축함 6척과 헬기 6대로 1개 기동전단을 구성하여 전 세계를 타격할 수 있는 대한민국 해군의 대양해군 기동함대이다. 현재 1개 기동전단이 운용 중이며, 향후 3개 기동전단으로 확장될 계획이다. 지원 전력으로는 독도급 대형수송함 2척, 대한민국 대형수송함-II 사업 3척, 장보고급 잠수함 9척, 손원일급 잠수함 9척,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9척, 천지급 군수지원함 3척, 소양급 군수지원함 1척, 해상초계기, 각 지역함대 호위함 등이 있다.
3. 구성
3. 1. 현재 (1개 기동전단)
구축함 6척, 헬기 6대로 1개 기동전단을 구성하여 전 세계를 타격하는 대양해군 기동함대이다.
함급 | 수량 | 비고 |
---|---|---|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 1척 | 경하배수량 7650ton, 만재배수량 10000ton |
정조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 1척 | |
KDDX | 2척 | 경하배수량 6000ton, 만재배수량 8000ton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 2척 | 경하배수량 4500ton, 만재배수량 5500ton, RIM-66 스탠더드 SM-2 32발 |
3. 2. 확장 계획 (3개 기동전단)
3개의 기동전단이 완성되면, 각 기동전단은 다음으로 구성될 것이다.함종 | 함명 | 수량 | 비고 |
---|---|---|---|
백령도함 | 한국 차기 항공모함 | 1척 | |
독도급 대형수송함 | 독도함, 마라도함 | 1척 | 함대 기함, 전대장(대령) |
구축함 |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 1척 | 경하배수량 7,650톤, 만재배수량 10,000톤 |
구축함 | 정조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 1척 | |
구축함 | KDDX | 2척 | 소형 이지스 구축함, 경하배수량 6,000톤, 만재배수량 8,000톤 |
구축함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 2척 | 경하배수량 4,500톤, 만재배수량 5,500톤, SM-2 32발 |
잠수함 |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 1척 | |
군수지원함 | 천지급 군수지원함 | 1척 |
3. 3. 지원 전력
- 독도급 대형수송함 2척 (독도함, 마라도함)
- 대한민국 대형수송함-II 사업 3척 (백령도함)
- 장보고급 잠수함 9척
- 손원일급 잠수함 9척
-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9척
- 천지급 군수지원함 3척
- 소양급 군수지원함 1척
- 해상초계기
- 각 지역함대 호위함
4. 기타 사항
미국 해군은 항공모함 곁에 항상 대규모 구축함을 배치하지는 않으며, 때로는 1척의 이지스 순양함과 2척의 이지스 구축함만으로 구성하기도 한다.
4. 1. 지휘 체계
현재 한국 해군의 기동전단 지휘 체계는 미 해군과 차이가 있다. 미 해군은 항공모함 함장이 해군 대령이며, 항공모함이 함대 기함으로 사용되어 함대 사령관(해군 소장)이 탑승한다. 그러나 한국 해군은 66함대의 함대 기함인 이지스함 함장이 해군 중령이며, 함대 사령관으로 전대장(해군 대령)이 탑승한다.[1] 따라서 향후 독도함과 66함대가 함께 기동함대로 편성되어 작전할 경우, 독도함 함장(해군 대령)보다 높은 계급의 함대 사령관이 탑승할 것으로 예상된다.[2]4. 2. 항공모함 운용


김영삼 대통령은 군사정부 시절 야당 지도자로 투쟁하다 대통령에 취임한 후, 육군 하나회를 숙청하고 육군 출신 국방장관을 배제, 해군참모총장을 직접 지휘하여 3개 항공모함 기동함대 구축을 지시했다.
1991년 걸프전 당시, 프랑스 해군은 미국을 제외한 서방 연합군 중 유일하게 클레망소급 항공모함 1척과 구축함 1척으로 구성된 항공모함 기동함대를 파병했다.
한국 해군은 독도함에 F-35B 수직이착륙기를 배치하고, 대한민국 대형수송함-II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참조
[1]
뉴스
“독도-이어도 방어 3개 기동전단 필요”
https://n.news.naver[...]
내일신문
2012-10-08
[2]
뉴스
병력은 줄이고 국방력은 강화
https://n.news.naver[...]
국정브리핑
2005-09-14
[3]
뉴스
中-日 해군력 증강 맞서 ‘독도-이어도 함대’만든다.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2-01-07
[4]
뉴스
“독도-이어도 방어 3개 기동전단 필요”
https://n.news.naver[...]
내일신문
2013-02-07
[5]
뉴스
<軍, 이지스함 6척으로 확대…"해양주권 수호 차원"(종합)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13-12-10
[6]
뉴스
‘신의 방패’ 정조대왕함…첫 8200t급 이지스함 필살기는
https://www.hani.co.[...]
한겨레신문
2022-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