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G-993 서애류성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DG-993 서애류성룡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1990년대부터 추진한 한국형 구축함 개발(KDX)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건조된 세종대왕급 구축함 중 하나이다.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었으며, 2008년 11월 기공하여 2012년 8월 해군에 인도되어 실전 배치되었다. 서애류성룡함은 길이 165.9m, 만재 배수량 10,000톤 이상으로, SM-2 Block IIIB, 천룡 순항 미사일, SSM-700K 해성 등 다양한 무장과 AN/SPY-1D 대공 레이다 등 장비를 갖추고 있다. 2012년 북한 미사일 발사 실험에 대응하여 궤적을 탐지했으며, 환태평양 훈련(RIMPAC)에 참가하여 훈련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대왕급 구축함 - DDG-991 세종대왕
DDG-991 세종대왕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으로, 국방력 강화와 해군 기동함대 건설을 목표로 KDX-III 계획에 따라 건조되어 탄도 미사일 방어 임무를 수행하며 대한민국 해군의 핵심 전력으로 활약하고 있다. - 세종대왕급 구축함 - DDG-992 율곡이이
DDG-992 율곡이이는 율곡 이이의 이름을 딴 대한민국 해군 KDX-III 이지스 구축함으로, 2010년 취역하여 림팩 훈련 참가, 북한 미사일 발사 실험 대응 등의 활동을 했으며 SPY-1D(V) 레이더 등 최첨단 이지스 전투 체계와 다양한 무장을 갖추고 있다. - 2011년 선박 - FFG-811 인천
FFG-811 인천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호위함으로, 2011년 진수되어 2013년 취역했으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었다. - 2011년 선박 - USS 마이클 머피
USS 마이클 머피는 미국 해군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으로, 네이비 실 대위이자 명예 훈장 수훈자인 마이클 퍼트릭 머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다양한 연합 훈련과 임무 수행, 칼 빈슨 항모강습단 파견, 캐나다 해군 함정 구조 지원 등의 활동을 통해 해상 작전 능력을 향상시키고 여러 표창을 수상했다.
DDG-993 서애류성룡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함 정보 | |
함명 | 서애 류성룡 (서애류성룡/西厓柳成龍) |
함명 유래 | 서애 류성룡 |
함번 | DDG-993 |
소속 국가 | 대한민국 |
함종 | 구축함 |
급 | 세종대왕급 |
상태 | 현역 |
건조 정보 | |
건조 | 현대중공업 울산 조선소 |
진수 | 2011년 3월 24일 |
준공 | 2012년 8월 30일 |
제원 | |
기준 배수량 | 8,500톤 |
만재 배수량 | 10,000톤 |
길이 | 166m |
폭 | 21.4m |
흘수 | 6.25m |
추진 방식 | COGAG |
추진축 | 2축 |
속력 | 30노트 이상 |
항속 거리 | 5,500해리 |
항해 기간 | 30일 |
승조원 | 300명 |
레이더 및 센서 | |
레이더 | AN/SPY-1D(V) 다기능 레이다 |
사격 통제 레이다 | AN/SPG-62 |
소나 | DSQS-21BZ-M 함수 소나 SQR-220K 예인 소나 시스템 |
적외선 탐색 및 추적 시스템 | Sagem IRST |
전자전 및 기만체계 | |
전자전 장비 | LIG Nex1 SLQ-200K Sonata 전자전 장비 |
디코이 시스템 | SLQ-261K |
무장 | |
주포 | 1 x 5인치 (127mm)/L62 구경 Mk 45 Mod 4 함포 |
CIWS | 1 x 30mm 골키퍼 CIWS 1 x RAM Block 1 CIWS |
대함 미사일 | 16 x SSM-700K 해성 대함 미사일 |
어뢰 | 2 x 3연장 어뢰 발사관 (K745 청상어 어뢰용) |
수직 발사 시스템 | 80셀 Mk 41 VLS (SM-2 Block IIIB/IV용) 48셀 K-VLS |
K-VLS 운용 미사일 | K-ASROC 홍상어 현무 III 지상 공격 순항 미사일 |
함재기 | |
함재기 종류 | 2 x Super Lynx 또는 SH-60 Seahawk |
함재기 시설 | 격납고 및 헬리콥터 갑판 |
C4I | |
정보 시스템 | KNTDS/링크 11 + JTIDS/링크 16 |
전투 시스템 | Mk 7 AWS + ASWCS-K + SLQ-200 |
2. 건조 배경 및 과정
대한민국 해군은 1990년대부터 한국형 구축함 개발(KDX)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해군력을 증강해왔다.[2] DDG-993 서애류성룡함은 KDX 프로그램의 3단계 사업(KDX-III)으로 건조된 세종대왕급 구축함 중 하나이다.[2]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었으며, 2008년 11월 14일에 기공, 2010년 8월 31일에 실전 배치되었다. 2011년 3월 24일에는 국방부 장관 김관진, 해군참모총장 김성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수식을 거행했다.[4]
DDG-993영어 서애류성룡함은 한국형 구축함 개발 (KDX) 프로그램의 3단계 사업으로 건조되었으며, 대한민국 해군이 대양 해군으로 발전하는 능력 향상에 기여하도록 설계되었다.[2]
3. 제원 및 성능
서애류성룡함은 길이 165.9m, 폭 21.4m, 흘수 6.25m이며, 기준 배수량은 7650ton, 만재 배수량은 10000ton 이상이다.[1] 300명 내외의 승조원이 탑승하며, 최대 속력은 30노트, 항속거리는 5,500해리(약 10186km)이다.[1]제원 내용 기준 배수량 7650ton 만재 배수량 10000ton 이상 전장 165.9m 선폭 21.4m 흘수 6.25m 최대 속력 30노트 항속 거리 5,500해리 (약 10186km) 승조원 300명 내외
일부 분석가들은 서애류성룡함의 크기와 무장 탑재량이 구축함보다는 순양함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5]
3. 1. 추진 체계
GE LM2500 (COGAG) 엔진 4기를 탑재하여 최대 30노트의 속력을 낼 수 있다.[1] 항속거리는 5500nmi이다.[1]
3. 2. 무장
3. 3. 장비
DDG-993 서애류성룡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베이스라인 7, 1단계)과 AN/SPY-1D 다기능 레이더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다.[1]
4. 주요 활동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건조된 DDG-993 서애류성룡은 2011년 3월 24일 국방부 장관 김관진, 해군참모총장 김성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수식을 거행했다.[9]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2012년 3월 항해 중 소나 보호 장치인 윈도우가 파손되었다. 해당 부품 가격은 약 10억원이며, 해상 쓰레기 등 부유물을 피해 항해하도록 방위사업청이 지시했다. 파손 부분 교체는 2013년 2월에 부품을 입수하여 같은 해 8월경에 완료될 예정이었다.[9]
4. 1. 실전 배치
2012년 8월 30일 해군에 인도되어 실전 배치되었다.[9]4. 2. 2012년 북한 미사일 발사 탐지
2012년 12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한 모든 이지스함이 출동하여 불측의 사태에 대비하였다. 같은 달 12일, 미사일이 발사되어 오키나와 서쪽 상공을 통과한 미사일의 궤적을 탐지하였다.[10]4. 3. 환태평양 훈련 (RIMPAC) 참가
DDG-993 서애류성룡함은 2014년 ROKS ''왕건''함, ROKS ''이순신''함과 함께 환태평양 훈련(RIMPAC)에 참가하여 함대공 미사일로 표적을 요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6][11]2020년 8월 17일, ROKS ''충무공 이순신''함과 함께 DDG-993 서애류성룡함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축소된 해상 훈련으로 진행된 2020년 환태평양 훈련(RIMPAC)에 참가하기 위해 하와이로 출항했다.[7]
4. 4. 기타 훈련
2014년 환태평양 훈련(RIMPAC)에 DDG-993 서애류성룡함, ROKS ''왕건''함, ROKS ''이순신''함이 참가했다.[6]2020년 8월 17일, ROKS ''충무공 이순신''함과 함께 DDG-993 서애류성룡함은 축소된 해상 훈련으로 진행된 2020년 환태평양 훈련(RIMPAC)에 참가하기 위해 하와이로 출항했다.[7]
5. 사건/사고
2012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한 모든 이지스함이 출동하였다. 같은 달 12일, 발사된 미사일이 오키나와 서쪽 상공을 통과할 때 미사일 궤적을 탐지했다.[10]
2014년에는 환태평양 훈련(RIMPAC)에 참가하여 함대공 미사일로 표적을 요격했다.[11]
5. 1. 소나 보호 장치 파손 (2012년)
2012년 3월, 항해 중 소나 보호 장치인 윈도우가 파손된 사실이 밝혀졌다. 해당 부품 가격은 10억원으로, 방위사업청은 해상 쓰레기 등 부유물을 피해 항해하도록 지시했다. 파손 부품 교체는 2013년 8월경에 완료되었다.[9]참조
[1]
웹사이트
Sejong the Great Class / KDX-III Class Destroyer
https://www.naval-te[...]
2020-08-07
[2]
웹사이트
Sejong the Great Sejongdaewang KDX-III Class AEGIS Destroyer Republic of Korea ROK Navy 세종대왕급 구축함 Yulgok Yi I Seoae Yu Seong-ryong Hyundai Heavy Industries HHI DSME 대한민국 해군 datasheet pictures photos video specifications
https://www.navyreco[...]
2020-08-07
[3]
웹사이트
HD HYUNDAI HEAVY INDUSTRIES NAVAL & SPECIAL SHIPS BUSINESS UNIT
http://naval-special[...]
2024-07-28
[4]
웹사이트
Koreas KDX-III AEGIS Destroyers
http://www.defensein[...]
2010-03-08
[5]
문서
Sejong the Great Class Guided Missile Destroyer.
http://www.military-[...]
[6]
웹사이트
RIMPAC 2014: participating vessels by country
https://www.naval-te[...]
2020-08-07
[7]
뉴스
Scaled-Back, At-Sea RIMPAC 2020 Exercise Kicks Off Near Hawaii
https://news.usni.or[...]
USNI News
2020-08-17
[8]
뉴스
1兆3000億ウォンの韓国のイージス艦「西エ柳成龍」(1)
https://japanese.joi[...]
2012-08-31
[9]
뉴스
韓国軍:イージス艦のソナー保護装置破損、対策は…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2-10-11
[10]
뉴스
北朝鮮ミサイル発射 韓米当局の情報判断に問題点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2-12-12
[11]
뉴스
イージス駆逐艦「柳成龍」、2発の標的同時迎撃に成功=韓国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4-07-07
[12]
뉴스
해군 세 번째 이지스함 함명 '유성룡함' 확정
http://ytn.co.kr/_ln[...]
YTN
2011-02-08
[13]
뉴스
세 번째 이지스함 '서애 유성룡함' 진수
http://news.sbs.co.k[...]
2011-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