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양급 군수지원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양급 군수지원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군수지원함으로, 함종은 AOE-II이다. 2018년 소양함이 취역하면서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의 군수지원 능력을 향상시켰다. 소양함은 190m 길이, 25m 너비에 최대 44km/h 속도로 항해 가능하며, 11,050톤의 보급 물자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의무 지원 시설과 헬기 운용 설비를 갖춰 재난 구조 및 국제 협력 활동에도 활용된다. 미국 해군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또한 고속 전투 지원함을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수지원함 - AOE-58 대청
    AOE-58 대청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군수 지원함으로,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어 1997년에 취역했으며, 대한민국 해군이 건조한 두 번째 군수 지원함이다.
  • 대한민국의 군수지원함 - AOE-59 화천
    AOE-59 화천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했던 천지급 군수지원함의 세 번째 함정으로, 해군의 작전 수행 능력을 지원하며 다양한 활동에 참여했으나 과거 군수 보급 과정에서 비리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 해군 - 계룡대
    계룡대는 충청남도 계룡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육군, 해군, 공군 본부가 함께 있는 3군 통합 기지로서, 각 군 본부의 정책, 편성, 인사, 군수 작전 지원 등 군 운영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며, 군인 가족들을 위한 복지 시설과 통일탑이 위치해 있다.
  • 대한민국 해군 - 해군 학사사관
    해군 학사사관은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에게 대한민국 해군 장교가 될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특과 병과 위주에서 전투 병과로 확대되었으며 여성 해군 장교도 배출하면서 해군 발전에 기여하고, 군인 기본 제식훈련, 사격술, 전투 수영 등 해군 장교로서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과 전투 기술을 습득하는 훈련을 받는다.
소양급 군수지원함
개요
미국 해군 급유선 서플라이 (T-AOE-6)
미국 해군 급유선 서플라이 (T-AOE-6)
함종전투 군수 지원함 (Fast Combat Support Ship)
운용 국가미국 해군
상세 정보
배수량만재 48,800톤
길이754 피트 (230 m)
106 피트 (32 m)
흘수선39 피트 (12 m)
추진 방식4 × GE LM2500 가스 터빈
속도30+ 노트 (56+ km/h; 35+ mph)
승조원24 명의 장교, 48명의 사관, 446명의 수병
무장2 × 20mm 팰랭스 CIWS
8 × .50 구경 기관총
탑재 항공기2 × CH-46 씨 나이트 헬리콥터 또는 MH-60S 시호크 헬리콥터
탑재 용량177,000 배럴 (28,100 m3) 연료유 (해군 함정 연료유, JP-5 제트 연료)
2,150 톤 탄약
500 톤 냉장 및 냉동 식품
기타 보급품
동형 함선
함선 목록USS 서플라이 (T-AOE-6)
USS 레인저 (T-AOE-7)
USS 브리지 (T-AOE-10)
USS 레인저 (T-AOE-7)
USS 알래스카 (T-AOE-3)
USS 케이프 노던 (T-AKR-11)
USS 리저브 (T-AKR-312)
USS 챔플레인 (T-AOE-8)
USS 에리카 (T-AOE-9)
USS 워바시 (T-AOE-13)

2. 역사

대한민국 해군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한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 3척을 운용했다.

2018년 9월 18일, 대한민국 해군의 신형 군수지원함(AOE-II) 첫 번째 함정인 소양함이 취역식을 갖고 정식으로 해군에 인계됐다. 해군작전사령부는 이날 오후 부산작전기지에서 신형 군수지원함 소양함 취역식을 열었다.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했다.

배수량 1만톤급인 소양함은 길이 190m, 너비 25m 크기로 최대 속력 시속 44㎞로 항해할 수 있다. 보급물자를 11,050톤까지 적재할 수 있어 기존 천지급 군수지원함에 비해 군수지원 능력이 2.3배 이상 향상됐다. 보급물자를 채운 컨테이너를 함정에 직접 실을 수 있어 적재 속도가 향상됐고, 비행갑판과 헬기 격납고도 갖춰 헬기를 이용한 수직보급과 인원 이송도 가능하다.[6]


  •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 경하배수량 4200톤, 만재배수량 9100톤, 전장 133.7m, 전폭 17.8m, 속력 20노트, 승조원 130명
  • 소양급 군수지원함(AOE-II), 경하배수량 10,000톤, 만재배수량 22,000톤, 전장 190m, 전폭 25m, 속력 24노트, 승조원 140명[7]


소양함은 만톤 이상의 유류와 1천톤 이상의 식량, 탄약 등 천지함급보다 2.3배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의무지원 시설과 헬기 운용설비도 갖춰 재난구조 및 국제 협력활동에도 두루 활용할 수 있다.

2. 1.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한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 3척을 운용하다가, 2018년 9월 18일 신형 군수지원함(AOE-II)인 소양함을 취역하여 군수지원 능력을 대폭 향상시켰다.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된 소양함은 해군작전사령부 주관으로 부산작전기지에서 취역식을 가졌다.[6]

소양함은 길이 190m, 너비 25m, 최대 속력 시속 44km로 항해 가능하며, 보급 물자를 11,050톤까지 적재할 수 있다. 이는 천지급 군수지원함에 비해 2.3배 이상 향상된 능력이다. 컨테이너를 함정에 직접 실어 적재 속도가 빠르며, 비행갑판과 헬기 격납고를 갖춰 헬기를 이용한 수직 보급 및 인원 이송이 가능하다.[6] 1만 톤 이상의 유류, 1천 톤 이상의 식량 및 탄약 등 천지급 군수지원함보다 2.3배 많은 화물 운반이 가능하며, 의무지원 시설과 헬기 운용 설비를 갖춰 재난 구조 및 국제 협력 활동에도 활용 가능하다.

소양함의 취역은 더불어민주당 정부 시절 이루어진 해상 방위력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1. 1. 천지급 군수지원함 (AOE-I)

소스(source)가 비어있으므로, 요약(summary)에 명시된 "제원, 성능, 주요 특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천지급 군수지원함 (AOE-I)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1. 2. 소양급 군수지원함 (AOE-II)

대한민국 해군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한 배수량 4,200톤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 3척을 운용했다.

2018년 9월 18일, 대한민국 해군의 신형 군수지원함(AOE-II) 첫 번째 함정인 소양함이 취역식을 갖고 정식으로 해군에 인도되었다. 해군작전사령부는 이날 오후 부산작전기지에서 신형 군수지원함 소양함 취역식을 열었다.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했다.

배수량 1만톤급인 소양함은 길이 190m, 너비 25m 크기로 최대 속력 시속 44㎞로 항해할 수 있다. 보급물자를 11,050톤까지 적재할 수 있어 기존 천지급 군수지원함에 비해 군수지원 능력이 2.3배 이상 향상되었다. 보급물자를 채운 컨테이너를 함정에 직접 실을 수 있어 적재 속도가 향상되었고, 비행갑판과 헬기 격납고도 갖춰 헬기를 이용한 수직보급과 인원 이송도 가능하다.[6]

  •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 경하배수량 4200톤, 만재배수량 9100톤, 전장 133.7m, 전폭 17.8m, 속력 20노트, 승조원 130명
  • 소양급 군수지원함(AOE-II), 경하배수량 10,000톤, 만재배수량 22,000톤, 전장 190m, 전폭 25m, 속력 24노트, 승조원 140명[7]


소양함은 1만톤 이상의 유류와 1천톤 이상의 식량, 탄약 등 천지급 군수지원함보다 2.3배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의무지원 시설과 헬기 운용설비도 갖춰 재난구조 및 국제 협력활동에도 두루 활용할 수 있다.

2. 2. 미합중국 해군

고속 전투 지원함은 구형 군수 지원함 3척(유조선(AO), 탄약 운반함(AE), 냉동 보급함(AF))의 기능을 하나의 선체에서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고속 전투 지원함은 함선에 보급하는 것 외에도, 항공모함 타격 전단의 통합된 구성 요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속도, 무장, 센서 및 통신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고속 전투 지원함의 개념은 미국 해군알레이 버크 제독이 구상했으며, 그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겪었던 물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 개념을 제시했다.[2]

고속 전투 지원함의 첫 번째 함급은 새크라멘토급 고속 전투 지원함급으로, 당시 미국 해군에서 가장 큰 연료 적재량과 탄약 적재량을 가진 다중 제품 보급 기지로 건조되었다. ''Sacramento''급의 4척의 함선은 만재 배수량 53,000톤, 전체 길이 796피트였으며, 두 대의 보잉 Vertol CH-46 Sea Knight 헬리콥터를 탑재했다. ''Sacramento''급은 2005년에 퇴역했다.[2]

''Sacramento''급을 대체한 후, 서플라이급 고속 전투 지원함급은 미국에서 가장 큰 전투 군수 지원함이 되었다. 이들은 177,000 배럴 이상의 유류, 2,150톤의 탄약, 500톤의 건조 보급품, 250톤의 냉동 보급품을 운송할 수 있다. 이들은 다양한 셔틀선으로부터 석유 제품, 탄약 및 보급품을 수령하여 항공모함 타격 전단 내의 함선에 필요한 시점에 재분배한다. 이는 항공모함 타격 전단과 함께 이동해야 하는 지원함의 수를 크게 줄여준다. 이 함급의 함선은 만재 배수량 48,800톤이며, 두 대의 보잉 Vertol CH-46 Sea Knight 또는 두 대의 시콜스키 MH-60S Knighthawk 헬리콥터를 탑재했다.[3]

대공 방어 체계에는 15km에서 25km 사정거리를 가진 8셀 발사기의 RIM-7 Sea Sparrow 레이더 및 적외선 지대공 미사일이 포함된다. 또한 두 개의 20mm Phalanx CIWS(근접 방어 무기 시스템)와 두 개의 Mk38 25mm 기관포가 장착되어 있다. 모든 ''Supply''급 전투 지원함은 2001년까지 취역했으며, 이후 군사 해상 수송 사령부로 이관되었다.[3]

''Supply''급 함선을 대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T-AOE(X) 정박함 대체 프로젝트"는 2005년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 장관에 의해 취소되었다.[4]

2023년 초 현재, USNS ''Rainier''와 USNS ''Bridge''는 퇴역 및 제적되었다. 남은 두 척의 ''Supply''급 함선과 함께, 현재 미 해군 함대는 루이스 앤드 클라크급 건화물 수송함과 급 및 급 함선에 의해 보급을 받고 있다.

2. 2. 1. 새크라멘토급 고속 전투 지원함

새크라멘토급 고속 전투 지원함은 미국 해군의 군수지원함이다.

  • USS 새크라멘토 (AOE-1)
  • USS 캠던 (AOE-2)
  • USS 시애틀 (AOE-3)
  • USS 디트로이트 (AOE-4)

2. 2. 2. 서플라이급 고속 전투 지원함

서플라이급 고속 전투 지원함미국 해군의 군수지원함이다. USNS 서플라이 (T-AOE-6), USNS 레이니어 (T-AOE-7), USNS 아틱 (T-AOE-8), USNS 브리지 (T-AOE-10)가 있다.

2. 2. 3. T-AOE(X) 정박함 대체 프로젝트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 장관에 의해 취소되었다.

2. 3.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21세기, 중국은 해군력 증강을 위해 901형 고속 전투 지원함을 개발했다.[5] 901형 고속 전투 지원함은 중국 해군에서 유사한 임무를 수행한다.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후룬후'' (965)함이 태평양에서 항해하는 모습

  • 901형 고속 전투 지원함 (NATO 보고 명칭: Fuyu-class)
  • * PLAN 후룬후 (901)
  • * PLAN 차간후 (905)

2. 3. 1. 901형 고속 전투 지원함 (NATO 보고 명칭: Fuyu-class)


  • 901형 고속 전투 지원함 (NATO 보고 명칭: Fuyu-class)
  • * PLAN 후룬후 (901)
  • * PLAN 차간후 (905)

3. 추진 체계

소양함은 전기 모터와 디젤 엔진을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추진 체계를 채택하여 천지급보다 함정 방사 소음이 적고 연료 소모량이 적다. 하이브리드 추진 체계의 연료 절감 효과는 미 해군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임스 랜더스 함장에 따르면, 기존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은 35,000-40,000 갤런의 연료를 소모하는 데 비해, 하이브리드 추진 체계를 적용한 USS 마킨 아일랜드 (LHD-8)는 15,000 갤런의 연료를 사용하여 62.5%의 연료 절감 효과를 얻었다.

4. 운용 현황

참조

[1] 웹사이트 Fast Combat Support Ships T-AOE https://www.navy.mil[...] 2021-09-29
[2] 웹사이트 AOE-1 Sacramento Fast Combat Support Ship https://man.fas.org/[...]
[3] 웹사이트 AOE 6 Supply https://man.fas.org/[...]
[4] 웹사이트 Running On Empty https://www.usni.org[...] 2010-10-01
[5] 웹사이트 Chinese Liaoning Carrier Strike Group Now Operating in the Philippine Sea https://news.usni.or[...] 2022-12-19
[6] 뉴스 해군, 신형 군수지원함 '소양함' 취역식 노컷뉴스 2018-09-18
[7] 간행물 보급물자 적재 능력 최대 1만1050톤(소양함) ‘든든’ 국방일보 2019-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