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7년만의 외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년만의 외출》은 1955년 개봉한 빌리 와일더 감독의 미국 코미디 영화이다. 톰 이웰이 결혼 7년 차에 외도에 대한 환상을 품는 남편 리처드 셔먼 역을, 메릴린 먼로가 셔먼의 윗집에 사는 매력적인 여성 역을 맡았다. 영화는 아내와 아들이 휴가를 떠난 후 혼자 남은 셔먼이 겪는 일들을 유머러스하게 그린다. 검열로 인해 원작 희곡과 내용이 달라졌지만, 먼로의 매력적인 모습과 유머 감각으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1956년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톰 이웰이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AFI의 100년...100번 웃긴 영화에서 51위에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빌리 와일더 감독 영화 - 잃어버린 주말
    《잃어버린 주말》은 알코올 중독자의 고통스러운 주말을 그린 영화로, 술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인공의 절망적인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제18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러 부문을 수상했다.
  • 빌리 와일더 감독 영화 -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는 빌리 와일더 감독의 1960년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승진을 위해 아파트를 제공하는 외로운 사무원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 비판과 인간애를 조화롭게 그려내어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고 아카데미 작품상 등을 수상하며 영화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로맨틱 코미디 영화 - 다세포 소녀
    다세포 소녀는 대한민국 무쓸모고등학교를 배경으로, 가난과 빚에 시달리는 소녀가 매춘, 자살 시도, 여장남자, 짝사랑하는 남학생과의 관계를 겪으며 학교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그리는 영화이다.
  • 로맨틱 코미디 영화 - 그날의 분위기 (영화)
    그날의 분위기는 201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유연석과 문채원이 부산으로 출장을 간 KTX에서 만나 24시간을 함께 보내는 이야기를 다루지만, 평론가들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955년 영화 - 아카딘 씨
    오슨 웰스가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1955년 영화 아카딘 씨는 백만장자 그레고리 아카딘이 자신의 과거를 숨기기 위해 고용한 밀수업자를 통해 어두운 비밀을 감추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등장인물과 여러 편집본 존재, 웰스의 창작 통제권 상실 등이 특징이다.
  • 1955년 영화 - 마티 (영화)
    1955년 델버트 맨 감독의 영화 《마티》는 브롱크스에 사는 34세 이탈리아계 미국인 정육점 주인 마티가 댄스홀에서 만난 평범한 여교사 클라라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과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7년만의 외출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릴린 먼로의 주름 스커트
마릴린 먼로의 주름 스커트
원제The Seven Year Ititch
감독빌리 와일더
각본조지 엑셀로드
빌리 와일더
원작조지 엑셀로드의 동명 무대극
제작빌리 와일더
찰스 K. 펠드먼
출연마릴린 먼로
톰 이웰
에블린 케이스
소니 터프츠
음악알프레드 뉴먼
촬영밀튼 R. 크래스너
편집휴 S. 파울러
제작사찰스 K. 펠드먼 그룹
20세기 폭스
배급사20세기 폭스
개봉일1955년 6월 3일
상영 시간105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1,800,000 달러
흥행 수입미국: 6,000,000 달러
전 세계: 12,000,000 달러
관련 링크
스타 채널일곱 번째 해의 가려움
더 리버마릴린 먼로, 훌쩍 스커트 명장면이 입체화 ─ 『일곱 번째 해의 가려움』에서

2. 줄거리

뉴욕의 한 출판사에서 근무하는 리처드 셔먼(톰 이웰)은 여름을 맞아 아내 헬렌과 아들 리키를 메인주로 휴가를 보내고 홀로 맨해튼 섬의 아파트에 남는다.[1] 많은 남편들이 가족이 떠나자마자 자유를 만끽하려 하지만, 리처드는 자신은 다를 것이라 다짐하며 금욕적인 생활을 계획한다. 그러나 위층에 금발의 매력적인 여성(메릴린 먼로)이 여름 동안 임시로 세 들어 살게 된 것을 알게 되면서 그의 결심은 흔들리기 시작한다.[2] 그녀는 상업 배우이자 전직 모델로, 극 중에서 이름은 밝혀지지 않는다.

어느 날, 여성이 실수로 발코니에서 화분을 떨어뜨려 리처드가 맞을 뻔한 사건을 계기로 두 사람은 만나게 된다. 리처드는 처음에는 화를 냈지만, 이내 그녀를 집으로 초대하여 음료수를 대접한다.[2] 그녀가 오기를 기다리는 동안, 리처드는 정신과 의사 브루베이커 박사가 쓴 책의 원고를 읽게 되는데, 이 책은 결혼 7년 차가 된 남성들이 외도를 하고 싶은 충동, 이른바 '7년만의 외출(Seven Year Itch)' 증상을 겪는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3] 공교롭게도 결혼 7년 차인 리처드는 이 내용에 깊이 공감하며 양심의 가책과 함께 복잡한 감정에 휩싸인다. 그는 비서, 간호사 등 여러 여성이 자신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상상을 하기도 하고, 윗집 여성이 라흐마니노프피아노 협주곡 2번 연주에 매료되는 팜므 파탈적인 모습을 상상하기도 한다.[4]

리처드 셔먼 역의 톰 이웰과 이름 없는 여성 역의 메릴린 먼로. 이웰은 브로드웨이 연극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


마침내 여성이 찾아오자, 리처드의 상상과는 달리 그녀는 순수하고 다소 천진한 모습이다. 그녀는 더위를 피하기 위해 속옷을 냉장고에 넣어둔다는 이야기를 하거나, 자신이 출연한 치약 광고에 대해 이야기한다. 리처드는 그녀와 함께 샴페인을 마시고 피아노 앞에 앉아 Chopsticks|젓가락 행진곡영어을 함께 연주한다. 분위기가 무르익자 리처드는 충동적으로 그녀에게 키스를 시도하지만, 균형을 잃고 피아노 의자에서 함께 넘어지는 어색한 상황이 벌어진다.[2][4] 죄책감을 느낀 리처드는 그녀에게 집으로 돌아가 달라고 부탁한다.

다음 날, 리처드는 직장에서 브루베이커 박사를 만나 자신의 심리 상태에 대해 상담하지만 별다른 해답을 얻지 못한다. 한편, 아내 헬렌이 휴가지에서 작가인 친구 톰 매켄지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는 아내가 매켄지와 바람을 피우고 있다는 망상에 사로잡힌다.[3] 이에 대한 반발심과 외로움으로 리처드는 다시 윗집 여성을 찾아가 저녁 식사와 영화 데이트를 제안한다. 두 사람은 에어컨이 나오는 극장에서 당시 개봉작인 ''검은 해안의 괴물''을 관람한다.[5] 영화를 보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여성이 지하철 환풍구 위에 서자 바람에 그녀의 흰색 홀터넥 드레스 치맛자락이 날리는 유명한 장면이 연출된다.[5] 리처드는 더위에 지친 그녀에게 다음 날 TV 출연을 위해 자신의 시원한 아파트에서 하룻밤 묵으라고 제안하고, 그녀는 침대에서, 리처드는 거실 소파에서 잠을 청한다.[4]

다음 날 아침, 리처드는 여전히 죄책감과 아내의 불륜에 대한 망상으로 괴로워한다. 그는 자신이 매력 없는 중년 남성이라 아내가 질투조차 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조하지만, 윗집 여성은 그가 충분히 매력적이라며 위로한다. 그때, 아들 리키가 휴가지에 두고 간 패들을 가지러 톰 매켄지가 아파트에 찾아온다. 아내와의 불륜 상대로 의심하던 매켄지의 등장에 이성을 잃은 리처드는 그를 때려눕힌다.[6] 이 사건을 계기로 정신을 차린 리처드는 더 이상 망상에 휘둘리지 않고 아내와 아들이 있는 메인주로 가기로 결심한다. 그는 윗집 여성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그녀는 리처드에게 격려의 키스를 해준다. 리처드는 아들의 패들을 챙겨 서둘러 기차역으로 향하며 아내에게 돌아간다.[6]

3. 등장인물


  • 메릴린 먼로 - 소녀 역 (이름 그대로 표기되었지만, 리처드 셔먼은 풍자적으로 "그녀가 메릴린 먼로일지도 몰라"라고 말한다.)
  • 톰 이웰 - 리처드 셔먼 역 (토미 이웰로 표기됨)
  • 에블린 키예스 - 헬렌 셔먼 역
  • 소니 터프츠 - 톰 매켄지 역
  • 로버트 스트라우스 - 크루훌릭 역
  • 오스카 호몰카 - 브루베이커 박사 역
  • 마거릿 채프먼 - 모리스 양 역
  • 빅터 무어 - 배관공 역
  • 도널드 맥브라이드 - 브래디 씨 역
  • 록산 - 엘레인 역
  • 캐롤린 존스 - 핀치 간호사 역
  • 톰 놀란 - 리키 셔먼 역 (크레딧 없음)
  • 도로 메란데 - 채식 식당 웨이트리스 역 (크레딧 없음)
  • 캐슬린 프리먼 - 채식 식당 여성 역 (크레딧 없음)
  • 듀크 피시먼 - 역의 통근자 역[3] (크레딧 없음)

3. 1. 주요 인물


  • '''톰 이웰''' - 리처드 셔먼 역: 뉴욕출판사에서 근무하는 중년 남성.[3] 아내 헬렌과 아들 리키가 여름 휴가를 떠난 사이 홀로 맨해튼 아파트에 남는다.[3] 결혼 7년 차를 맞아 '7년의 유혹'이라는 심리적 압박과 윗집에 새로 이사 온 매력적인 여성 사이에서 외도에 대한 환상과 죄책감으로 갈등한다.[3] 상상력이 풍부하며 여러 여성과의 로맨스를 망상하기도 한다.[3]
  • '''메릴린 먼로''' - 여인 (The Girl) 역: 리처드 셔먼의 아파트 위층에 여름 동안 세 들어 사는 젊고 매력적인 여성.[3] 이름은 작중 명확히 밝혀지지 않으며, '소녀' 또는 '여인'으로만 지칭된다.[3] 순수하고 다소 엉뚱한 성격의 소유자로, TV 광고 모델 및 달력 모델로 활동한다.[3] 리처드의 환상 속에서는 팜므 파탈로 그려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순진한 모습을 보인다.[3] 지하철 환풍구 위에서 흰색 홀터넥 드레스 자락이 날리는 장면은 영화의 상징적인 장면으로 남아있다.[3]
  • '''에블린 키예스''' - 헬렌 셔먼 역: 리처드의 아내. 아들 리키와 함께 메인주에서 여름 휴가를 보내고 있다.[3] 리처드의 망상 속에서는 친구 톰 매켄지와 불륜을 저지르는 것으로 의심받지만, 실제로는 남편에게 아들의 카약 노를 보내달라고 전화하는 등 평범한 아내의 모습을 보인다.[3]
  • '''소니 터프츠''' - 톰 매켄지 역: 셔먼 부부의 친구이자 작가. 헬렌과 함께 메인주에 머물고 있다.[3] 리처드는 그가 아내 헬렌과 불륜 관계일 것이라고 망상하지만, 실제로는 헬렌의 부탁으로 리처드의 아파트에 아들 리키의 카약 노를 찾으러 온다.[3]
  • '''로버트 스트라우스''' - 크루훌릭 역: 리처드가 사는 아파트의 관리인.[3] 리처드의 망상 속에서는 그의 바람기를 목격하고 아내에게 알릴지도 모르는 인물로 등장한다.[3]
  • '''오스카 호몰카''' - 브루베이커 박사 역: 정신과 의사. 남성들이 결혼 7년 차가 되면 외도를 하고 싶어 하는 심리 상태인 '7년의 유혹'(Seven Year Itch)에 대한 책의 원고를 쓴 인물이다.[3] 리처드는 그의 이론을 접하고 자신의 상황에 대입하며 더욱 갈등하게 된다.[3]

3. 2. 조연


  • 에블린 키스 - 헬렌 셔먼 역 (리처드의 아내)
  • 소니 터프츠 - 톰 매켄지 역
  • 로버트 스트라우스 - 크루훌릭 역 (아파트 관리인)
  • 오스카 호몰카 - 브루베이커 박사 역 (심리학자)
  • 마거릿 채프먼 - 모리스 양 역 (리처드의 비서)
  • 빅터 무어 - 배관공 역
  • 도널드 맥브라이드 - 브래디 씨 역
  • 록산 - 엘레인 역
  • 캐롤린 존스 - 핀치 간호사 역
  • 톰 놀란 - 리키 셔먼 역 (리처드의 아들, 크레딧 없음)
  • 도로 메란데 - 채식 식당 웨이트리스 역 (크레딧 없음)
  • 캐슬린 프리먼 - 채식 식당 여성 역 (크레딧 없음)
  • 듀크 피시먼 - 역의 통근자 역[3] (크레딧 없음)

4. 제작 과정



《7년만의 외출》은 1954년 9월 1일부터 11월 4일까지 촬영되었다.[4] 이 영화는 빌리 와일더가 20세기 폭스에서 감독한 유일한 작품이다. 타이틀 그래픽 디자인은 솔 바스가 맡았는데, 그가 만든 추상적인 타이틀 시퀀스는 여러 리뷰에서 호평을 받았다. 당시 영화 타이틀 시퀀스가 언론 리뷰에서 언급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5] 리처드의 아파트 외부 촬영 장소는 맨해튼 61번가 동쪽 164번지였다.[4]

이 영화는 원작 연극과 비교하여 많은 부분이 수정되거나 삭제되었는데, 이는 당시 엄격했던 영화 제작 윤리 강령인 헤이스 코드의 영향이 컸다. 연극에서는 리처드 셔먼과 이름 없는 여인(The Girl)이 실제로 성관계를 갖지만, 영화에서는 불륜 관계가 암시적으로만 표현되고 직접적인 애정 행위는 키스 장면 세 번으로 축소되었다.[4] 원작에 등장했던 엘레인, 마리, 등장인물들의 내면 목소리 등은 삭제되었고, 대신 배관공, 핀치 양(캐롤린 존스), 웨이트리스(도로 메란데), 경비원 크루홀릭(로버트 스트라우스) 등의 캐릭터가 추가되었다.[4] 원작자인 조지 액설로드는 이러한 변경, 특히 결말 부분의 수정에 대해 "연극의 3막은 남자가 여자와 잠자리를 한 것에 대한 유쾌한 죄책감을 느끼는 내용이었지만, 영화에서는 그녀와 잠자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모든 죄책감은 아무 의미가 없었다"고 비판하며 아쉬움을 표했다.[9] 빌리 와일더 감독 역시 헤이스 코드 때문에 영화 제작에 제약이 많았다고 토로했다.[4]

먼로가 사진가들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으며, 흰색 홀터넥 드레스를 입고 있는데, 치맛단은 그녀가 서 있는 지하철 통풍구에서 나오는 바람에 의해 날리고 있다.
1954년 9월, 영화의 유명한 지하철 통풍구 장면을 촬영하는 동안 사진가들을 위해 포즈를 취하는 먼로


메릴린 먼로가 지하철 환풍구 위에서 흰색 홀터넥 드레스 자락을 날리는 장면은 영화의 상징적인 장면이 되었다. 이 장면은 뉴욕 트랜스-럭스 52번가 극장 앞 길거리와 20세기 폭스 스튜디오의 사운드 스테이지, 두 곳에서 촬영되었다.[4] 야외 촬영 당시 수많은 구경꾼과 언론이 몰려들어 소음이 심했지만, 결국 야외 촬영분과 스튜디오 촬영분 모두 영화에 사용되었다.[4][33] 흔히 알려진 스틸 사진 속 장면은 영화 촬영과는 별개로 홍보용 사진 촬영을 위해 연출된 것이다.[33] 먼로는 촬영 전 속옷을 두 겹으로 입었으나 강한 조명 탓에 속이 비쳤다고 전해지지만, 해당 필름은 영화에 사용되지 않았고 현재 행방을 알 수 없다.[33] 이 장면 촬영 당시 현장에 있었던 먼로의 남편 조 디마지오는 아내에게 쏟아지는 관심과 노출 장면에 크게 분노했으며, 이는 두 사람이 2주 뒤 이혼을 발표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6][7][8]

빌리 와일더 감독은 촬영 당시 먼로의 정신 상태가 불안정하여 지각이 잦았고, 대사를 자주 잊어버려 어려움을 겪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30번째 테이크에서야 겨우 대사를 말했는데, 그건 누구도 흉내 낼 수 없을 정도로 훌륭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5. 영화 속 상징

영화 속에는 주인공 리처드 셔먼의 내면적 갈등과 욕망, 그리고 그가 만나는 여성 캐릭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다양한 장치들이 등장한다.

리처드는 아내와 아들이 여름 휴가를 떠난 사이, 비서, 간호사, 아내의 들러리 등 여러 여성이 자신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환상에 빠지지만, 이는 현실과 동떨어진 그의 불안감과 욕망을 반영한다. 특히 위층에 사는 이름 없는 여성(마릴린 먼로)을 팜므 파탈로 상상하며 라흐마니노프피아노 협주곡 2번을 연주하는 환상은 그의 낭만적 기대와 동시에 아내를 배신할지도 모른다는 죄책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윗집 여성의 등장은 발코니에서 떨어진 토마토 묘목으로 예고된다. 그녀가 처음 입고 등장하는 핑크색 파자마는 순수하고 천진한 이미지를 상징하지만, 이후 리처드의 아파트에 샴페인을 들고 와 갈아입는 매혹적인 흰색 드레스는 그녀의 숨겨진 매력과 리처드의 욕망을 자극하는 유혹을 상징한다.

음악 역시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리처드의 환상 속에서는 라흐마니노프의 웅장한 피아노 협주곡이 흘러나오지만, 현실에서 그가 여성과 함께 피아노 앞에 앉아 연주하는 곡은 젓가락 행진곡이다. 이는 그의 거창한 환상과 달리 서투르고 어색한 현실 속 유혹 시도를 대비시키며 코믹한 상황을 연출하고, 환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함께 피아노 의자에서 넘어지는 장면은 이러한 어색함을 극대화한다.

영화의 가장 유명한 장면인 지하철 환풍구 장면은 마릴린 먼로의 상징적인 이미지로 남았다. 검은 해안의 괴물 관람 후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여성이 지하철 환풍구 위에 서서 바람에 날리는 흰색 홀터넥 드레스 자락을 누르는 모습은 단순한 시각적 즐거움을 넘어, 억눌렸던 욕망의 분출, 순수함 속에 감춰진 관능미, 그리고 시대의 아이콘으로서 마릴린 먼로 자체를 상징하는 강력한 메타포로 작용한다.

5. 1. 지하철 환풍구 장면

(내용 없음)

5. 2. 7년 차의 권태

출판사 직원인 리처드 셔먼(톰 이웰)은 정신과 의사 브루베이커 박사가 쓴 원고를 읽게 된다. 원고에는 결혼 7년 차가 된 남성들이 다른 여성에게 끌리거나 외도를 하고 싶어하는 심리적 경향, 이른바 '7년 차 가려움(The Seven Year Itch)' 또는 '7년만의 외출' 증상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마침 결혼 7년 차였던 셔먼은 이 내용을 읽고 자신의 상황과 겹쳐보며 양심의 가책과 심리적 동요를 느낀다. 유혹에 저항하려는 그의 결심은 점차 약해지고, '7년의 유혹'에 굴복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힌다. 이후 사무실에서 직접 브루베이커 박사를 만나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하지만, 상담은 그의 고민을 해결하는 데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한다.

6. 평가

영화 "7년만의 외출"은 개봉 당시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 따르면, 31건의 평론 중 87%가 긍정적이었으며,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7.2점을 기록했다.[34]

주요 비평 내용을 살펴보면, ''뉴욕 타임스''는 영화의 핵심이 남자 주인공과 매력적인 여성 이웃 간의 관계이며, 특히 메릴린 먼로의 존재감이 영화 전체를 압도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당시 할리우드의 엄격한 제작 규정이었던 헤이스 코드의 제약으로 인해 원작의 핵심 주제인 불륜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 점을 한계로 지적했다.[12] 2015년 ''베니티 페어'' 역시 헤이스 코드의 제약을 비판하며, 먼로의 압도적인 매력이 영화의 다른 요소들을 가릴 정도라고 평가했다. 먼로의 캐릭터가 단순한 유혹자를 넘어, 영화의 근본적인 주제인 '지루함'을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13]

반면, 타임 아웃은 먼로가 매력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인간적인 면모가 부족해 보이며, 원작 희곡의 신선함이 시간이 지나면서 다소 진부하고 플롯이 꼬인 것처럼 보인다고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35]

6. 1. 흥행 및 비평

1955년 드라이브 인 극장 광고


이 영화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 북미 지역 박스 오피스에서 600만달러의 대여 수익을 올렸다.[14] 미국 영화 연구소(AFI)가 선정한 AFI 100대 코미디 영화 목록에서는 51위를 차지했다.

리뷰 집계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32명의 비평가 리뷰를 기준으로 84%의 신선도와 평균 7.2/10점의 평점을 기록했다.[1] 개봉 당시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뉴욕 타임스''는 영화의 핵심이 남자 주인공 리처드 셔먼(톰 이웰)과 매력적인 이웃 여성(메릴린 먼로)의 관계에 있으며, 특히 먼로가 영화 전체를 압도한다고 평했다. 이는 원작 희곡에서 셔먼의 우스꽝스러운 불안감을 강조했던 것과는 다른 접근 방식으로, 평론가는 먼로의 연기가 이웰을 능가하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고 지적했다.[12] 1955년 ''버라이어티''의 초기 리뷰 역시 대체로 긍정적이었다.[15] 일부 비평가들은 상상력이 풍부한 리처드 셔먼 캐릭터를 제임스 서버의 단편 소설 "월터 미티의 은밀한 생활"의 주인공에 비유하기도 했다.[16]

하지만 많은 비평가들은 당시 할리우드의 엄격한 제작 윤리 강령이었던 헤이스 코드로 인해 원작의 핵심 주제인 '불륜'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 점에 아쉬움을 표했다. ''뉴욕 타임스''는 이러한 제약 때문에 주인공의 욕망이 충족되지 못하고 그의 고뇌가 다소 희극적으로만 그려지는 한계를 지적했다.[12] ''버라이어티'' 역시 셔먼이 결국 유혹을 이겨내고 순결하게 남는 결말에 실망감을 드러냈다.[15]

2015년 ''베니티 페어''의 미카 네이선 또한 헤이스 코드의 도덕적 제약을 비판하며, 먼로의 압도적인 매력과 카리스마가 영화의 다른 요소들을 가릴 정도라고 분석했다. 네이선은 먼로의 캐릭터가 단순히 유혹적인 존재를 넘어, 금지된 욕망보다는 일상의 '지루함'이라는 영화의 근본적인 주제를 반영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13]

타임 아웃은 "먼로는 자신의 매력을 너무 드러내서, 생생한 인간성을 잃어버린 것처럼 보인다. 또한 조지 액설로드의 연극은 1950년대에는 신선하고 아슬아슬했지만, 지금은 조금 뻔하고 플롯을 너무 꼬아놓은 것처럼 보인다"라고 평가했다.[35]

감독인 빌리 와일더 본인도 훗날 이 영화를 "아무것도 아닌 영화"라고 평가절하하며 헤이스 코드의 제약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아내가 아이와 함께 여름 휴가를 떠난 동안 뉴욕에 혼자 남겨진 남편이 그 여자와 불륜을 저지르지 않는 한,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그렇게 할 수 없었고, 그래서 나는 속박당했다. 전혀 효과가 없었고, 나는 이 영화를 만들지 않았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말하며 아쉬움을 나타냈다.[17]

6. 2. 수상 내역

제13회 골든 글로브상에서 톰 이웰이 남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부문)을 수상했다.[30] 또한 미국 영화 연구소(AFI)가 선정한 100대 코미디 영화에서 '''51위'''에 올랐다.

7. 기타

영화에 사용된 마릴린 먼로의 흰색 드레스는 2011년 캘리포니아주에서 옥션에 출품되어 459.99999999999994만달러(약 3.7억)에 낙찰되었다.[36]

참조

[1] 웹사이트 The Seven Year Itch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3-12-12
[2] 웹사이트 The Ties That Unbind https://www.psycholo[...] Psychology Today 2000-01-01
[3] 웹사이트 Duke Fishman https://www.allmovie[...] 2024-10-12
[4] 웹사이트 George Axelrod and The Great American Sex Farce | Theatre http://thecad.net/Th[...] 2023-01-06
[5] 서적 Saul Bass : Anatomy of Film Design. https://www.worldcat[...]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
[6] 웹사이트 Inside Marilyn Monroe and Joe DiMaggio's Roller Coaster Romance https://www.biograph[...] 2020-11-17
[7] 웹사이트 The Shocking Story You Never Knew Behind Marilyn Monroe's Skirt Scene https://scifidimensi[...] 2021-08-29
[8] 웹사이트 The Truth Behind the Marilyn Monroe Dress Scene https://factsverse.c[...] 2021-07-03
[9] 간행물 The Difference of George Axelrod https://archive.org/[...] 1968
[10] 문서 Moving Image Section – Motion Picture, Broadcasting and Recorded Sound Division http://memory.loc.go[...] The Library of Congress 2011-01-05
[11] 서적 The silent cinema reader https://books.google[...] 2004
[12] 웹사이트 'The Seven Year Itch': Marilyn Monroe, Tom Ewell Star at State https://archive.nyti[...] 2024-02-25
[13] 간행물 The 60-Year Itch: Re-watching The Seven Year Itch on Its 60th Anniversary https://www.vanityfa[...] 2024-02-25
[14] 뉴스 All Time Domestic Champs Variety 1960-01-06
[15] 웹사이트 The Seven Year Itch https://www.variety.[...] 1955-01-01
[16] 서적 In the Long Run: A Cultural History of Broadway's Hit Plays Routledge
[17] 웹사이트 Conversations with Billy Wilder http://gointothestor[...] 2024-06-14
[18] 웹사이트 8th Annual DGA Awards: Honoring Outstanding Directorial Achievement for 1955 – Winners and Nominees – Feature Film http://www.dga.org/A[...] Directors Guild of America 2014-11-10
[19] 웹사이트 The Envelope: Past Winners Database – 1955 13th Golden Globe Awards http://theenvelope.l[...] 2014-11-10
[20] 웹사이트 The 13th Annual Golden Globe Awards (1956) https://goldenglobes[...] hfpa.org 2023-12-12
[21] 웹사이트 BAFTA Awards http://awards.bafta.[...]
[22] 서적 Marilyn Monroe: Her Films, Her Lif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4-24
[23] 웹사이트 AFI's 100 Years...100 Laughs http://www.afi.com/D[...] American Film Institute 2016-08-27
[24] 뉴스 The Best 1,000 Movies Ever Made https://www.nytimes.[...] 2013-12-07
[25] 웹사이트 The Seven Year Itch(1955) https://www.imdb.com[...] IMDb 2021-04-27
[26] 웹사이트 The Seven Year Itch (1955)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ザ・ナンバーズ (ウェブサイト) 2021-04-27
[27] 뉴스 マリリン・モンロー、ふわりスカートの名シーンが立体化 ─ 『七年目の浮気 』より https://theriver.jp/[...] 2021-04-27
[28] 웹사이트 七年目の浮気 https://www.star-ch.[...] スターチャンネル 2021-04-27
[29] 웹사이트 七年目の浮気(テレビ吹替音声収録)HDリマスター版 [DVD] https://www.amazon.c[...] amazon.co.jp 2021-04-27
[30] 웹사이트 七年目の浮気 https://www.wowow.co[...] WOWOW 2016-12-11
[31] 웹사이트 2017年1月 月間番組表 https://www.wowow.co[...] WOWOW 2021-04-27
[32] 뉴스 マリリン・モンロー出演作の吹替版、4作品がWOWOWでオンエア https://natalie.mu/e[...] 2021-04-27
[33] 문서 ビリー・ワイルダー アルファベータ 2006年
[34] 웹사이트 The Seven Year Itch (1955)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1-04-27
[35] 웹사이트 The Seven Year Itch 1955, directed by Billy Wilder {{!}} Film review https://www.timeout.[...] タイムアウト (雑誌) 2021-04-27
[36] 뉴스 モンローのドレス3.7億円で落札 舞い上がるスカート http://www.asahi.com[...] 2011-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