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 레냐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C 레냐노는 1913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2009-10 시즌 재정 문제로 리그에서 제외되었다가 2011년 ASD 레냐노 칼초 1913으로 재창단되었다. 2015년 클럽명과 엠블럼을 부활시켜 AC 레냐노로 변경했다. 세리에 A에 2번, 세리에 B에 여러 번 참가했으며, 세리에 C2, 캄피오나토 나치오날레 디레탄티, 세리에 D, 프리마 카테고리아, 프로모치오네 등 다양한 리그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롬바르디아주의 축구단 - US 크레모네세
US 크레모네세는 1903년에 창단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와 B, C1을 오가며 활동하다가 1992-93 시즌 앵글로-이탈리안 컵에서 우승했으며, 2022-23 시즌에는 세리에 A에 참가했었다. - 롬바르디아주의 축구단 - 아탈란타 BC
아탈란타 BC는 1907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코파 이탈리아 1회, 세리에 B 6회, UEFA 유로파 리그 1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2016년 이후 유소년 선수 기용을 통해 전성기를 맞이했다. - 세리에 D 구단 - AS 리보르노 칼초
AS 리보르노 칼초는 1915년에 창단되어 세리에 A 준우승 2회 기록을 보유하고, 세리에 A, B, C를 오가며 활동하다가 구단 파산으로 해체 후 재창단되어 현재 세리에 D에 소속되어 있다. - 세리에 D 구단 - 바레세 칼초
바레세 칼초는 1910년 창단되어 흰색과 보라색을 클럽 색상으로 사용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여러 차례 재창단을 거쳐 세리에 A에 진출하는 전성기를 누렸으나 재정 문제로 해산 후 A.S.D. 치타 디 바레세로 재창단되었다. - 1913년 설립된 축구단 - 해밀턴 원더러스 AFC
해밀턴 원더러스 AFC는 2015년 창단되어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하며, 2016년 뉴질랜드 내셔널 유스 리그에서 우승했고, 리키 허버트가 감독을 역임했다. - 1913년 설립된 축구단 - EC 주벤투지
EC 주벤투지는 1913년 브라질 카시아스두술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1994년 세리에 A 승격과 1999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을 통해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알프레도 자코니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AC 레냐노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아소치아치오네 칼초 딜레탄티스티카 레냐노 S.r.l. |
별칭 | I Lilla (라일락) |
창단 | 1913년 |
재창단 | 2011년 |
경기장 | 스타디오 조반니 마리, 레냐노, 밀라노, 이탈리아 |
수용 능력 | 5,000명 |
소유주 | 에네아 베네데토 |
회장 | 에네아 베네데토 |
감독 | 잔루카 자타린 |
리그 | 세리에 D |
시즌 | 2022-23 |
순위 | 세리에 D A조, 20팀 중 6위 |
웹사이트 | AC 레냐노 공식 웹사이트 |
색상 | 보라색 |
원어 명칭 | Associazione Calcio Legnano |
유니폼 | |
홈 | pattern_b1: _legnano1920h body1: pattern_la1: _legnano1920h leftarm1: D4AAFF pattern_ra1: _legnano1920h rightarm1: D4AAFF pattern_sh1: _legnano1718h shorts1: pattern_so1: socks1: |
원정 | pattern_b2: _legnano1920a body2: pattern_la2: _legnano1920a leftarm2: 000000 pattern_ra2: _legnano1920a rightarm2: pattern_sh2: _legnano1920a shorts2: pattern_so2: socks2: 0e0e0e |
써드 | pattern_b3: body3: pattern_la3: leftarm3: pattern_ra3: rightarm3: pattern_sh3: shorts3: pattern_so3: socks3: |
2. 역사
AC 레냐노는 1913년 1월 1일에 창설되었다. 2009-10 시즌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4부)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재정 문제로 인해 리그에서 제외되었다.[4]
2011년, '''ASD 레냐노 칼초 1913'''(아소차치오네 스포르티바 딜레탄티스티카 레냐노 칼초 1913/Associazione Sportiva Dilettantistica Legnano Calcio 1913it)으로 재창설되었다. 2011-12 시즌 프리마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 (8부)의 지로네 N에서 1위를 차지하며 프로모치오네 (7부)로 승격했다. 2012-13 시즌은 프로모치오네 롬바르디아의 지로네 A에서 1위를 차지하며 에첼렌차 (당시 6부/2014-15 시즌 이후 5부)로 승격했다.[4]
2015년, '''AC 레냐노'''의 클럽명과 엠블럼이 부활했다.[4][5]
2. 1. 창단 초기 (1913년 ~ 1930년대)
A.C. 레냐노는 1913년 F.C. 레냐노로 창단되었는데, 구단의 창단일은 공식적으로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1913년 1월 1일로 간단하게 기록된 옛 문서는 존재한다. 따라서 1913-14 시즌 ''테르차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주 지역 리그에서 공식적으로 첫 경기를 가졌기 때문에 리그 시작 전인 1월~8월 사이로 추측하고 있다.1919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부터 본격적으로 성적을 내기 시작했는데 현재의 AC 밀란, 인터밀란과도 같은 ''프리마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주 지역 리그에서 경쟁하며 오히려 더 좋은 성적들을 보여 주었다.
창단 초기에는 이탈리아 축구사에서 널리 알려진 몇몇 선수들이 있었다. 1920년에는 골키퍼 안젤로 카메로니가 구단 처음으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또한 193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해 우승했던 루이지 알레만디도 1925년 유벤투스가 데려가기 전까지 구단에서 4시즌을 뛰었다.
2. 2. 세리에 A 승격과 강등 (1930년대 ~ 1950년대)
레냐노는 1930년 세리에 B에서 준우승하며 세리에 A 1930-31 시즌에 참가하여, 창단 후 처음으로 세리에 A 무대를 밟았다.[4] 이탈리아 축구 최상위 리그에서의 첫 경기는 제노아 C.F.C.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는 인상적인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레냐노는 세리에 A 첫 시즌을 18위로 마치며 곧바로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비록 리그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지만, 최종 준우승팀인 AS 로마와 1-1 무승부를 기록하고, SSC 나폴리를 원정에서 2-1로 꺾는 등 주목할 만한 성과도 있었다.이후 4시즌 동안 세리에 B 중위권에 머물던 레냐노는 1934-35 시즌 세리에 C로 강등되었다. 1936년 7월, 구단은 알비온인에게 매각되었고, 구단명은 '''A.C. 레냐노''' (Associazione Calcio regnano)로 변경되었다.[4] 세리에 C에서 두 차례 지역 리그로 강등되는 부침을 겪기도 했지만, 대체로 안정적인 시즌을 보냈다. 1946년에는 세리에 B로 복귀했다.

세리에 B 복귀 후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한 레냐노는 1950년, 20여 년 만에 세리에 A로 승격했다. 그러나 세리에 A 1951-52 시즌 최하위인 20위로 다시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가, 곧바로 준우승하며 재승격에 성공했다. 하지만 세리에 A 1953-54 시즌에서 또다시 최하위인 18위를 기록하며 세리에 A에서의 마지막 시즌을 보내고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4]
한편, 레냐노의 왼쪽 윙어 에밀리오 카프릴레는 1948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어 두 번의 국제 경기에 출전, 모두 득점에 성공하며 레냐노 선수 최초로 국가대표팀 득점을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2. 3. 슬럼프와 재창단 (1950년대 ~ 현재)
세리에 B로 복귀한 '''레냐노'''는 1950년 20여년만에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하지만 세리에 A 1951-52 시즌 최하위인 20위로 강등됐다가 곧바로 준우승하며 복귀하지만, 세리에 A 1953-54 시즌에서 또 다시 최하위인 18위로 세리에 B로 강등된다.1954-55 시즌 리그 3위를 차지하였지만, 1956-57 시즌 18위로 세리에 C로 강등 당했다. 이후 1974년까지 세리에 C에 머물렀으며, 1974년 세리에 D로 강등되었다. 세 시즌만에 세리에 C2로 복귀하였고, 세리에 C1에도 승격했지만, 2000년대까지 잦은 강등과 승격을 반복했다.

1989년에는 CONI로부터 스포츠 훈장(''Stella d'oro al merito sportivo'')을 받았다.
2009-10 시즌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에서 3위를 기록,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패배 후 2010년 여름, 막대한 부채로 파산하여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에서 퇴출, 모든 리그 활동이 금지되며 해체된다.
2011년 7월 15일, '''A.S.D. 레냐노 칼초 1913'''으로 재창단되어 ''프리마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주 지역 리그 (그룹 N)에 참가하였다.[2] 이후 두 차례 승격하여 에첼렌차 롬바르디아주 지역 리그까지 승격했다.
2015년 5월 7일, '''A.S.D. 레냐노 칼초 1913'''은 '''A.C. 레냐노'''의 상표권을 되찾고 '''A.S.D. 레냐노'''로 구단명을 변경했다.[3] 2016년 세리에 D로 승격 후, '''A.C. 레냐노 S.S.D.'''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2016-17 시즌 15위로 강등되었으나, 2018-19 시즌 3위로 플레이오프 승리, 승격하여 현재 세리에 D (그룹 B)에 속해있다.
3. 선수
- 니콜라 프레이/Nicolas Frey프랑스어 2004-2005
- 루이지 리바/Luigi Rivait 1962-1963
- 발테르 노벨리노/Walter Novellinoit 1970-1972
- 마르코 시모네/Marco Simoneit 2005-2006
- 엘리아 레가티/Elia Legatiit 2006-2008
- 조나단 로시니/Jonathan Rossinide 2008-2009
'''역대 주요 선수'''
- 루이지 알레만디
- 아틸리오 데마리아
- 지지 리바
- 니콜라스 프레이
- 페드로 카마타
- 칼-에릭 팔메르
- 파올로 풀리치
- 다비데 폰톨란
- 체드릭 시도르프
- 마르코 시모네
- 헤르만 린데만
- 발테르 노벨리노
- 엘리아 레가티
- 조나단 로시니
3. 1. 역대 주요 선수
4. 역대 감독
1913년부터 현재까지 AC 레냐노의 감독 목록은 다음과 같다.
감독 | 임기 |
---|---|
아다모 보나치나/Adamo Bonacinaita | 1913–1914 |
파리아니/Farianiita | 1914–1915 |
프리모 콜롬보/Primo Colomboita | 1915–1917 |
니노 레세고티/Nino Resegottiita | 1916-1917 |
기술 위원회: 프리모 콜롬보/Primo Colomboita, 아다모 보나치나/Adamo Bonacinaita, 주세페 베네고니/Giuseppe Venegoniita | 1917–1919 |
프리모 콜롬보/Primo Colomboita | 1919–1923 |
임레 셰퍼/Imre Schafferhu | 1923–1925 |
프리모 콜롬보/Primo Colomboita | 1925–1927 |
임레 셰퍼/Imre Schafferhu | 1927–1928 |
아르망 할모스/Ármánd Halmoshu | 1928–1929 |
루이지 바르베시노/Luigi Barbesinoita | 1929–1931 |
오토 크라판/Otto Krappanhu | 1931–1933 |
프란체스코 라투아다/Francesco Rattiita, 비니치오 콜롬보/Vinicio Colomboita | 1933–1934 |
비니치오 콜롬보/Vinicio Colomboita | 1934–1935 |
엔리코 크로티/Enrico Crottiita | 1935–1945 |
아틸리오 데마리아ita | 1945–1946 |
로버트 윈클러/Róbert Winklerhu | 1946–1947 |
주세페 갈루치/Giuseppe Galluzziita | 1947–1949 |
우고 인노첸티/Ugo Innocentiita | 1949–1950 |
우고 인노첸티/Ugo Innocentiita 그리고 엑토르 푸리첼리/Héctor Puricelliit | 1950–1951 |
엑토르 푸리첼리/Héctor Puricelliit | 1951–1952 |
우고 인노첸티/Ugo Innocentiita, 엑토르 푸리첼리/Héctor Puricelliit | 1952–1953 |
주세페 갈루치/Giuseppe Galluzziita | 1953–1954 |
우고 인노첸티/Ugo Innocentiita | 1954–1957 |
마리오 지다리치/Mario Zidarichita | 1957–1959 |
레나토 피첸티니/Renato Picentiniita | 1959–1960 |
주세페 몰리나/Giuseppe Molinaita | 1960–1962 |
루치아노 루피/Luciano Lupiita | 1962–1963 |
파우스토 브라가/Fausto Bragaita | 1963–1964 |
루치아노 루피/Luciano Lupiita | 1964–1967 |
카를로 파치니/Carlo Facchiniita | 1967–1968 |
세르지오 레알리니/Sergio Realiniita | 1968–1969 |
카를로 파치니/Carlo Facchiniita | 1969–1970 |
카를로 파치니/Carlo Facchiniita, 루치아노 사시/Luciano Sassiita | 1970–1971 |
루치아노 사시/Luciano Sassiita | 1971–1973 |
루치아노 사시/Luciano Sassiita, 조반니 비젠틴/Giovanni Visentinita | 1973–1974 |
파우스토 브라가/Fausto Bragaita, 마리오 트레치/Mario Trezziita | 1974–1975 |
마리오 트레치/Mario Trezziita | 1975–1979 |
아델리오 크레스피/Adelio Crespiita | 1979–1980 |
피에트로 마로소/Pietro Marosoita | 1981–1983 |
피에트로 마로소/Pietro Marosoita, 로무알도 카포치/Romualdo Capocciita | 1983–1984 |
안드레아 발디노치/Andrea Valdinociita | 1984–1986 |
조반니 아르데마니/Giovanni Ardemagniita | 1986–1987 |
마우로 비치클리/Mauro Bicicliita | 1987–1988 |
조르지오 베네리/Giorgio Veneriita | 1989–1990 |
루치아노 마지스트렐리/Luciano Magistrelliita, 마우로 비치클리/Mauro Bicicliita | 1990–1991 |
아브라모 로세티/Abramo Rossettiita, 잔카를로 다노바/Giancarlo Danovaita | 1991–1992 |
마르코 토레사니/Marco Toresaniita | 1992–1993 |
루이지 발롱고/Luigi Ballongoita | 1993–1995 |
렌초 콘트라토/Renzo Contrattoita, 조반니 사키/Giovanni Sacchiita 그리고 마우로 비치클리/Mauro Bicicliita | 1995–1996 |
로리스 보니/Loris Boniita | 1996–1997 |
카를로 무라로/Carlo Muraroita | 1997–1998 |
잔 마르코 레몬디나/Gian Marco Remondinaita | 1998–1999 |
로베르토 바친/Roberto Bacchinita | 1999–2000 |
로베르토 바친/Roberto Bacchinita, 카를로 무라로/Carlo Muraroita, 에르네스티노 라멜라/Ernestino Ramellaita | 2000–2001 |
마리오 벨루초/Mario Belluzzoita, 에르네스티노 라멜라/Ernestino Ramellaita | 2001–2002 |
에르네스티노 라멜라/Ernestino Ramellaita, 안젤로 그레구치/Angelo Gregucciita | 2002–2003 |
피에르루이지 카시라기ita, 스테파노 디 키아라/Stefano Di Chiaraita | 2003–2004 |
스테파노 디 키아라/Stefano Di Chiaraita, 아르칸젤로 시안니마니코/Arcangelo Sciannimanicoita, 잔카를로 오디/Giancarlo Oddiita | 2004–2005 |
빈첸초 마이우리/Vincenzo Maiuriita 그리고 잔파올로 스파그눌로/Gianpaolo Spagnuloita, 잔파올로 스파그눌로/Gianpaolo Spagnuloita, 루치아노 미아니/Luciano Mianiita, 잔파올로 스파그눌로/Gianpaolo Spagnuloita 그리고 니콜라스 제나리엘리/Nicholas Gennarielliita | 2005–2006 |
잔프란코 모타/Gianfranco Mottaita | 2006–2007 |
클라우디오 가베타/Claudio Gavettaita, 에지디오 노타리스테파노/Egidio Notaristefanoita | 2007–2008 |
아틸리오 롬바르도/Attilio Lombardoita | 2008–2009 |
주세페 시엔차/Giuseppe Scienzaita | 2009–2010 |
마시모 로벨리니/Massimo Rovelliniita | 2011–2013 |
마시모 로벨리니/Massimo Rovelliniita, 알레산드로 체리/Alessandro Cerriita | 2013–2014 |
스테파노 디 지오이아/Stefano Di Gioiaita | 2014–현재 |
5. 수상 기록
'''세리에 C2'''
- '''우승 (2회)''': 1982–1983 (B조), 2006–2007 (A조)
'''캄피오나토 나치오날레 디레탄티'''
- '''우승''': 1992–1993 (A조)
'''세리에 D'''
- '''우승''': 1999–2000 (B조)
'''프리마 카테고리아'''
- '''우승''': 2011–2012 (N조)
'''프로모치오네'''
- '''우승''': 2012–2013 (A조)
'''프리마 카테고리아''':
- '''준우승 (2회)''': 1919–1920 (C조), 1920–1921 (D조)
'''프리마 디비시오네''':
- '''준우승 (2회)''': 1922–1923 (B조), 1927–1928 (B조)
'''세리에 B'''
- '''준우승 (3회)''': 1946–1947 (A조), 1950–1951, 1952–1953
'''세리에 D''':
- '''준우승 (2회)''': 1976–1977 (B조), 1977–1978 (B조)
'''캄피오나토 나치오날레 디레탄티''':
- '''준우승''': 1997–1998 (B조)
'''에첼렌차''':
- '''준우승''': 2013–2014 (A조)
- 2011-12 프리마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 지로네 N 1위
- 2012-13 프로모치오네 롬바르디아 지로네 A 1위
- 2013-14 에첼렌차 롬바르디아 지로네 A 2위
- 2014-15 에첼렌차 롬바르디아 지로네 A 4위
- 2015-16 에첼렌차 롬바르디아 지로네 A
5. 1. 리그
AC 레냐노는 세리에 C2에서 2회 (1982–1983 (B조), 2006–2007 (A조)), 캄피오나토 나치오날레 디레탄티에서 1회 (1992–1993 (A조)), 세리에 D에서 1회 (1999–2000 (B조)), 프리마 카테고리아에서 1회 (2011–2012 (N조)), 프로모치오네에서 1회 (2012–2013 (A조)) 우승을 차지했다.프리마 카테고리아에서 2회 (1919–1920 (C조), 1920–1921 (D조)), 프리마 디비시오네에서 2회 (1922–1923 (B조), 1927–1928 (B조)), 세리에 B에서 3회 (1946–1947 (A조), 1950–1951, 1952–1953), 세리에 D에서 2회 (1976–1977 (B조), 1977–1978 (B조)), 캄피오나토 나치오날레 디레탄티에서 1회 (1997–1998 (B조)), 에첼렌차에서 1회 (2013–2014 (A조))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1-12 프리마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 지로네 N 1위, 2012-13 프로모치오네 롬바르디아 지로네 A 1위, 2013-14 에첼렌차 롬바르디아 지로네 A 2위, 2014-15 에첼렌차 롬바르디아 지로네 A 4위를 기록했고, 2015-16 시즌에는 에첼렌차 롬바르디아 지로네 A에 참가했다.
5. 2.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Ripreso simbolo e nome AC LEGNANO
http://www.aclegnano[...]
[2]
웹사이트
Prima categoria lombarda girone "N" 2011/2012
http://www.asdlegnan[...]
[3]
웹사이트
Ripreso simbolo e nome AC LEGNANO
http://www.aclegnano[...]
[4]
웹사이트
Storia
http://www.aclegnano[...]
AC Legnano Calcio
2015-07-10
[5]
웹사이트
Ripreso simbolo e nome AC LEGNANO
http://www.aclegnano[...]
AC Legnano Calcio
2015-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