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I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FIA는 1998년 다이빙 클럽을 모태로 2010년 한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프리다이빙 협회이다. PADI 프리다이빙 코스를 개발하고, 대한프리다이빙협회 설립을 지원했으며, SSI 코리아와 협력하여 프리다이빙 강사 교육을 진행했다. 수원여자대학교에 프리다이빙 정규 수업을 개설하고, 대한민국 해군, 해양경찰, 소방관 등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등 프리다이빙 보급에 기여했다. 자체 공인 기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ICE Freediving 잠영 대회를 개최하며, 프리다이빙 안전 장비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빙 - 스쿠버 장비
스쿠버 장비는 자가용 수중 호흡 장치로, 다이버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게 해주며, 개방회로식과 재호흡기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고, 다이빙 실린더, 레귤레이터, 하네스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이빙 - 동굴 다이빙
동굴 다이빙은 자연광이 없는 수중 동굴을 탐험하는 테크니컬 다이빙의 한 분야로, 레크리에이션과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나뉘며, 엄격한 안전 수칙 준수와 전문적인 교육이 필수적이다. - 1998년 설립된 단체 -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노동자, 사용자, 정부, 공익 대표가 노동 및 경제·사회 정책을 협의하고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로서, 노사정위원회에서 확대 개편되었으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노동시장 구조개선 등에 기여했다. - 1998년 설립된 단체 -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은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라 설립된 직업 교육 훈련 기관으로, 기능사 양성을 목표로 취업 희망자,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교육하며, 국가 기간 산업 및 신산업 분야의 기술 인력 양성에도 힘쓴다.
AFIA |
---|
2. 아피아 프리다이빙 역사
AFIA는 2012년부터 다이빙 전문 잡지 '해저여행'에 프리다이빙 칼럼을 연재하고, 프리다이빙 교재를 개발했다.[7][8][9] 한국 최초로 프리다이빙 대회를 주최하고 제주도에 최초 프리다이빙 센터를 설립, 해양 교육을 진행했다.
2011년 6월 AFIA는 PADI 프리다이빙 코스를 개발,[10] 전 세계 최초로 PADI 프리다이빙 코스를 교육하였다. 2012년 대한프리다이빙협회[11] 설립을 지원, 대한프리다이빙협회는 2013년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아이다 멤버 자격을 얻고 아이다 국제 대회[12]에 한국 국적 선수 등록이 가능하게 되었다.
2012년 SSI 코리아와 협력, 한국에서 SSI 프리다이빙 강사 후보생 사전 교육을 진행, 최초 SSI 강사 코스에 스탭 강사를 지원하였다.[13] 2013년 수원여자대학교와 세계 최초로 대학 정규 프리다이빙 수업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2016년 PADI 역사상 최초의 프리다이빙 대회를 한국 제주도에서 AFIA와 PADI 주최로 개최했다.[14]
AFIA는 대한민국 해군[15], 해양경찰[16], 소방관[17] 교육을 주관, 제주 한수풀해녀학교 교육[18], 경기도 청소년 레포츠 진로 교육[19]등 대외 활동으로 프리다이빙을 보급했다.
2022년 자체 공인 기록 시스템을 구축, 공인 기록을 인증 관리한다. 2022년 2월, 강원도 영월에서 얼음 밑을 통과하는 ICE Freediving 잠영 대회를 주최했다. 2023년 1월 2회 ICE freediving 대회가 주최, 얼음 밑 잠영 공인 기록은 60m이다. 모든 기록은 AFIA 공인 기록 웹사이트[20]에서 확인 가능하다.
초기 시설, 장비 인프라가 부족한 시점에서, 한국 최초로 프리다이빙 부이 안전장비를 개발 보급[21], 프리다이빙 안전 장비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 1. 설립 초기 (1998년 ~ 2010년)
아피아(AFIA)는 1998년부터 활동한 다이빙 클럽을 모태로, 2010년 한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프리다이빙 협회이다.2. 2. 협회 설립 및 발전 (2010년 ~ 현재)
아피아(AFIA)는 1998년부터 활동한 다이빙 클럽을 모태로 2010년 한국 최초로 설립된 프리다이빙 협회이다.2012년부터 다이빙 전문 잡지 '해저여행'[7]에 프리다이빙 칼럼을 연재[8]하고, 프리다이빙 교재를 개발[9]했다. 또한 한국 최초로 프리다이빙 대회를 주최하였으며, 제주도에 최초 프리다이빙 센터를 설립하여 해양 교육을 진행하였다.
2. 2. 1. PADI와의 협력
2011년 6월, AFIA는 PADI 프리다이빙 코스를 개발하여[10] 전 세계 최초로 PADI 프리다이빙 코스를 교육하였다. 2016년에는 PADI 역사상 최초의 프리다이빙 대회를 제주도에서 AFIA와 PADI가 공동 주최하였다.[14]2. 2. 2. 대한프리다이빙협회 지원
AFIA는 프리다이빙 대회 육성을 위해 비영리 협회 설립을 추진, 2012년 대한프리다이빙협회[11] 설립을 지원했다. AFIA는 대한프리다이빙협회에 시설, 인력 등 인프라를 지원했으며,[11] 대한프리다이빙협회는 2013년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아이다 멤버 자격을 획득하여 아이다 국제 대회[12]에 한국 국적으로 선수 등록이 가능하게 되었다.2. 2. 3. SSI와의 협력
AFIA는 2012년 SSI 코리아와 협력하여 한국에서 SSI 프리다이빙 강사 후보생 사전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한국에서 진행한 최초 SSI 강사 코스에 스탭 강사를 지원하였다.[13]2. 2. 4. 대학 및 공공기관 교육
AFIA는 2013년 수원여자대학교와 함께 세계 최초로 대학 정규 프리다이빙 수업을 개설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14]AFIA는 해군[15], 해양경찰[16], 소방관[17] 교육을 주관하였고, 제주 한수풀해녀학교 교육[18], 경기도 청소년을 위한 레포츠 진로 교육[19]등의 대외 활동을 통해 프리다이빙을 보급하였다.
2. 2. 5. 자체 기록 시스템 및 대회 개최
AFIA는 2022년 국내 유일의 자체 공인 기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인 기록을 인증, 관리하고 있다. 2022년 2월에는 세계 최초로 강원도 영월에서 얼음 밑을 통과하는 ICE Freediving 잠영 대회를 개최하였다. 2023년 1월에도 제2회 ICE Freediving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현재 얼음 밑 잠영 공인 기록은 60m이다. 모든 기록은 AFIA 공인 기록 웹사이트[20]에서 확인할 수 있다.2. 2. 6. 안전 장비 개발
AFIA는 대한민국 최초로 프리다이빙 부이 안전 장비를 개발하여 보급했으며[21], 프리다이빙 안전 장비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참조
[1]
기타
AFIA 대표. 수원여자대학교 스포츠지도과 겸임교수(현 2021년 기준). Apnea Academy(이탈리아) Instructor(2010년), PADI Freediving Specialty Instructor(2011년), AIDA Instructor(2011년), SSI Freediving Instructor(2011년), AIDA Instructor Trainer 아시아인 최초(2014년), PADI Freediving Trainer 세계 최초(2014년), AFIA Diving Course Director(현 2021년 기준)
[2]
기타
제1회 AFIA 프리다이빙 대회, 장소: 서울 삼원휴스포, 2011년4월24일, 선수13명 참가, 최초 기록 인증 STA 5’20” DYN 115m
2011-04-24
[3]
웹사이트
수원여자대학교 스포츠지도과(레저스포츠과) 2013년 세계 최초 프리다이빙 수업 개설 현재 2021년 운영 중.
http://www.swwu-spor[...]
[4]
기타
AFIA 안전관리요원의 자격 인정 수중 단체 지정서(제25호) 해양경찰청장 2017.09.19,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6조제4항
2017-09-19
[5]
기타
AFIA 수중레저교육자 교육 인정단체(2017-29) 지정, 해양수산부 고시 제2017-129호. 2017.09.18
2017-09-18
[6]
기타
민간자격등록증 제2017-004089호, 등록자격관리자: 아피아(AFIA), 자격 종목 및 등급: 프리다이빙, 프리다이버, 세프티프리다이버, 프리다이버지도자
[7]
간행물
해저여행 격월간 다이빙 전문 잡지
www.undersea.co.kr
신광식
1995-01-06
[8]
기타
프리다이빙 칼럼 2012~2014년 연재. 해저여행 2012년 5/6월호 통권 제108호부터 2014년1/2월호 통권 제118호까지 연재, ISSN 1599-7278
[9]
서적
프리다이빙 프리다이버 매뉴얼
아피아
2020-02-28
[10]
기타
세계 최초 PADI freediver instructor(노명호#477312) 2011월6월10일 Drew Richardson 회장, PADI Worldwide 로부터 인증
2011-06-10
[11]
기타
대한프리다이빙협회 비영리단체 (고유번호:212-82-68633) 지정:2012년12월17일, 발기인 6인, 대표자:노명호
2012-12-17
[12]
기타
제3회 AFIA 프리다이빙 대회, 한국 최초 AIDA KOREA 인증 대회, 2013년4월28일 개최 / 해저여행 2013년 11/12월호 제121호 ‘국제 공인 프리다이빙 대회’ 칼럼 p194~197, ISSN 1599-7278
2013-04-28
[13]
기타
SSI 최초 프리다이빙 강사 코스, 2012년10월 강원도 고성 개최 / 해저여행 2012년 11/12월호 제111호 협회 소식 p195, ISSN 1599-7278
2012-10
[14]
기타
PADI 프리다이빙 대회. 주최: AFIA, PADI, 제주특별자치도 수중핀수영협회, 장소: 제주 해군기지 김영관 센터 수영장, 일시: 2016년11월26일 개최
2016-11-26
[15]
기타
해군2함대 프리다이빙 1, 2차 교육 완료(2016년) / 국방부장관 한민구 감사장(제208호) 2016.12.31 수상 / 해군2함대 사령관 소장 부석종 감사패 2016.09.09 수상
2016
[16]
기타
해양경찰 교육원(여수) 프리다이빙 교육 2016년9월
2016-09
[17]
기타
소방관 1급 인명구조사 양성과정. AFIA 커리큘럼 교육 2018년7월 / 소방공무원 신규 임용자. AFIA 커리큘럼 교육 2021년9월
2018-07
[18]
기타
제주 한수풀 해녀학교, 프리다이빙 과정 출강 2018년
2018
[19]
기타
성남시 청소년 재단 주관, 청소년 진로 맨토 교육 레저스포츠 부문 강연 활동 (2012~2015년)
2012-2015
[20]
웹사이트
공인 기록 확인
https://afia.kr/reco[...]
[21]
기타
한국 최초 프리다이빙 부이 제작 보급(2010년)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