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월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에는 내생군, 신라 시대에는 내성현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명주에 속했다가 1018년 영월로 개칭되었고, 1372년 군으로 승격되었다. 1895년 충주부 영월군, 1896년 강원도 영월군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2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영향으로 산악 지형이 많으며, 한강과 그 지류가 흐르고 석회암 지형이 발달하여 고씨굴, 선돌 등 다양한 지질 명소와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농림업, 광업이며, 텅스텐, 석회석 등이 생산되었으나 광산은 감소 추세이다. 철도와 도로를 통해 교통망이 연결되어 있으며, 동강뗏목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설치 - 오산우체국
    오산우체국은 1905년 오산우편소로 시작하여 오산우편국으로 변경, 사무관국으로 승격, 현재 청사 준공을 거쳐 오산시의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오산시 전 지역의 우편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 1905년 설치 - 평택우체국
    평택우체국은 1905년 평택임시우체소로 시작하여 현재 평택 지역의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을 관할하면서 우편물류, 지원, 경영지도, 영업, 고객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영월군 - 상동광산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한 상동광산은 텅스텐을 주로 생산하며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1980년대 채산성 악화로 폐광되었고, 2000년대 이후 재개발이 추진 중이다.
  • 영월군 - 동강
    동강은 4억 5천만 년 전에 형성된 석회암 지층을 기반으로 수달, 어름치, 동강할미꽃 등 멸종 위기 동식물이 서식하며, 정선 아리랑과 뗏목 문화가 발달한 지질학적, 생태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 1905년 폐지 - 시위대 (대한제국)
    시위대는 1895년 고종의 칙령으로 창설된 대한제국의 국왕 호위 군대였으나 을미사변 이후 해산, 아관파천 이후 재창설, 친위대와 통합, 1907년 군대 해산령에 따라 해산되었고, 해산에 반발한 병력은 의병에 합류하여 항일 의병 운동에 기여했다.
  • 1905년 폐지 - 제1군 (일본군)
    제1군 (일본군)은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중일 전쟁에 걸쳐 세 차례 편성되어 각 전쟁의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며, 1945년 중일 전쟁 중 타이위안에서 해체되었다.
영월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고유 명칭영월
로마자 표기Yeongwol-gun
한글영월군
한자寧越郡
Revised RomanizationYeongwol-gun
McCune-ReischauerYŏngwŏl-gun
종류
방언강원
위치강원도
면적1127.36km²
인구 (2024년 9월)36,955명
인구 밀도44.6명/km²
하위 행정 구역2읍 7면
영월군 휘장
영월군 깃발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관동
상위 자치 단체강원특별자치도
군수최명서 (국민의힘)
국회의원유상범(국민의힘,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군청 소재지영월읍 하송로 64 (하송5리 242)
상징
군목소나무
군화철쭉
군조까막딱따구리
기타
공식 홈페이지영월군청 홈페이지

2. 역사

영월군은 상고시대에는 삼한 중 진한에 속했다가[22] 이후 백제 시대(234년~286년)에는 백월, 고구려 시대(300년~331년)에는 내생군(奈生郡)이었다.[22] 신라 때 내성현이라 고쳤고, 신라 경덕왕 대인 757년에 평창군, 정선군과 동일하게 명주(溟州)(현재의 강릉시의 군 지역)에 속했다.[22] 통일신라 이후, 고려 때에는 동계에 속했으며,[22] 이후 고려 현종 대 행정구역이 정비가 되면서 1018년, 명주에 속현인 내성현을 지금의 영월로 고쳐 원주, 즉 중원부에 속하였다.[22] 고려 공민왕 21년(1372) 군으로 승격되었다.[22] 고려 공양왕 원년(1389)에 충청도로부터 강원도에 속하였다.[22]

조선 (1699년) 영월도호부로 지정되었다.[9]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영월군,[23][9] 1896년 8월 4일 강원도 영월군이 되었다.[24][10] 1905년 원주관할 주천현을 영월군으로 편입했다. 1906년 원주군 관할의 수주면(水周面)과 주천면(酒泉面)이 영월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8면(군내면, 양변면, 수주면, 하동면, 상동면, 북면, 서면, 남면)으로 개편되었다.[25][11] 1931년 3월 1일 양변면을 주천면으로 개칭하였다. 1937년 7월 1일 군내면을 영월면으로 개칭하였다. 1960년 1월 1일 영월면이 영월읍으로 승격하였다.[26][12] 1963년 1월 1일 봉화군 춘양면 덕구리, 천평리를 상동면에 편입하고,[27][13] 수주면 일부(현 횡성군 강림면)를 횡성군 안흥면에 편입하였다.[28][14]

1973년 7월 1일 상동면상동읍으로 승격하였다.[29][15] 1986년 4월 1일 상동읍에서 녹전출장소(녹전리·직동리·이목리)와 석항출장소(석항리·연상리·화원리)를 분리해 중동면을 신설하였다. 2009년 10월 20일 서면을 한반도면으로, 하동면을 김삿갓면으로 개칭하였다.[16] 2016년 11월 15일 수주면을 무릉도원면으로 개칭하였다.[17] 2021년 11월 2일 중동면을 산솔면으로 개칭하였다.[18]

3. 지리

강원특별자치도의 남부에 위치하며 군의 동부에는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뻗고 남쪽에는 소백산맥이 여기서 갈려서 동서로 뻗는데 그 양 산맥의 여파가 군내 도처에 미쳐 산악이 중첩하고, 백운산·옥석산·백덕산 등이 솟아 있다. 중앙부는 한강과 그 지류 평창강·주천강 등이 영월 부근에서 합류하며, 평지는 영월분지 외엔 별로 없다. 조선 누층군석회암 지층이 발달한 관계로 곳곳에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있다. (영월군의 지질 문서 참고)

충청북도, 경상북도에 접하여 중부내륙지방에 속해 있다. 동쪽으로는 태백시, 서쪽으로는 원주시횡성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제천시단양군, 경상북도 영주시봉화군이 북쪽으로는 평창군정선군이 위치해 있다. 동강서강이 흐르고 있고, 법정이름은 동강한강이며 서강은 평창강이다. 영월읍에서 두 강이 합쳐 속칭 남한강이 시작된다. 남한강은 법정이름이 아니며 북한강에 대비된 이름, 영월시점(하송, 덕포, 팔괴리 경계점)에서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의 북한강합류점까지 216.7 km다. 영월읍 거운리에는 동강댐 건설이 추진되었으나 2000년 백지화되었다.

3. 1. 기후



영월군은 내륙 산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온의 교차가 큰 내륙성 기후이다. 연평균 기온은 11.2 °C, 1월 평균 기온은 -3.6 °C, 8월 평균 기온은 24.3 °C이다. 최고 기온 극값은 39.9℃(2018년 8월 1일), 최저 기온 극값은 -23.5℃(2001년 1월 16일)이다.[19][20] 연평균 강수량은 1,200mm이다.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55.811.818.824.428.129.229.925.520.011.94.2
평균 기온 (°C)-3.6-0.84.911.517.021.323.924.319.212.65.3-1.7
평균 최저 기온 (°C)-9.2-6.8-1.54.310.015.620.120.514.77.1-0.1-7.0
강수량 (mm)19.128.245.173.578.4137.1294.8280.4139.449.437.422.3
평균 강수일수 (≥ 0.1 mm)6.76.38.39.08.910.216.415.110.06.28.26.8
평균 상대 습도 (%)63.559.857.855.662.669.479.879.777.774.069.667.1
평균 일조시간179.9177.6202.2209.2225.9196.5138.8155.0155.9179.7151.5170.6


4. 지질

영월군은 대부분이 옥천 습곡대에 포함된다. 고생대조선 누층군은 영월군 중,서부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평안 누층군은 조금 분포하며,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은 영월군 극동부와 극서부 지역에 소규모 분포한다.[32]

== 선캄브리아기 ==

영월군의 지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영월군의 지질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고생대 조선 누층군과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

고생대 초기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퇴적암인 조선 누층군은 영월군에 넓게 분포한다. 영월군 동부 상동읍중동면 북부에 분포하는 태백층군과, 영월군 중서부 영월인편상구조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영월층군으로 구분된다.[22] 이 지층은 석회암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고씨 동굴과 같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을 다수 발달시킨다.[22]

450px


원래 태백, 삼척 지역에 분포하는 태백층군은 백운산 향사대를 따라 영월군 동부 상동읍중동면 북부에 분포하며,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에 퇴적된 장산 규암층, 묘봉층, 대기층(풍촌석회암층), 화절층, 동점층, 두무골(두무동)층, 막골(막동)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월층군은 하부로부터 삼방산층, 마차리층, 와곡층, 문곡층, 영흥층으로 구성된다. 석회암 동굴인 고씨 동굴을 형성하고 있는 지층은 고생대 조선 누층군에 속하는 막동 석회암층(Omg)으로 약 4~5 억 년 전에 형성된 지층이며 지층이 퇴적된 후 오랜 세월 지하수의 용식 작용으로 막동 석회암층 내에 동굴이 형성되었다.[33]

영월층군은 영월읍을 중심으로 그 서부 지역에 분포하는 탄산염-규산쇄설성 퇴적암 복합체로서, 과거에는 하부로부터 삼방산층, 마차리층, 흥월리층, 삼태산층, 영흥층으로 구분되었으나 현재는 하부로부터 삼방산층, 마차리층, 와곡층, 문곡층, 영흥층으로 구성된다. 하부 3개 층은 캄브리아기에, 상부 2개 층은 오르도비스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최하부의 삼방산층만이 특징적으로 쇄설성 퇴적물을 포함하며, 상부 4개 층은 주로 탄산염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창단층 동편의 영월층군은 동쪽으로 각동 스러스트 단층, 북쪽으로 상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경계 지어질 것으로 생각되지만, 남서쪽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이 지역은 남북으로 발달해 있는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다시 동, 서편에 나타나는 암상의 종류가 다른 분포를 보인다.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 동쪽 지역에서는 상부 영월층군과 평안 누층군(영월탄전)의 암석이 함께 나타나지만, 서편 지역에서는 평안 누층군의 암석이 나타나지 않는다.[34]

== 고생대 평안 누층군과 영월탄전 ==

영월군 내에서 고생대 후기에 형성된 평안 누층군조선 누층군에 비해 소규모로 분포한다.[35] 그 중에서 두드러진 것은 소위 '''영월탄전'''이라 불리는 지역으로, 북면 마차리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발달한다.[35] 영월탄전의 평안 누층군은 홍점층과 사동층 (요봉층), 판교층, 밤치층, 석탄이 부존된 미탄층으로 구성되고 사동층 상위의 지층은 없다.[35] 이들 평안 누층군의 일반적인 주향은 남-북이며 서쪽으로 50~70° 경사한다.[35] 평안 누층군 서쪽에서는 사동층의 주향과 거의 평행하며 60° 내외로 경사하는 마차리 트러스트 단층이 사동층의 상부를 절단하는데 이 단층에 의하여 북부(영월군 북면 공기리-평창군 미탄면 율치리 경계 지역)에서는 사동층이 삼방산층마차리층과, 남부에서는 사동층과 홍점층이 마차리층과 단층으로 접하여 있다.[35]

== 광산과 지하 자원 ==

영월군은 지질 구조상 다양한 광물의 매장량이 풍부하여 영월탄전과 삼척탄전의 무연탄, 상동광산텅스텐, 조선누층군의 석회석을 비롯하여 , 아연, 몰리브덴, 비스무트, 니켈, 주석 등이 생산되어 삼척시의 삼척탄전과 함께 한국의 자원 보고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약 40년의 역사를 가진 영월탄전의 마사탄전이 1972년 9월 말에 폐산한 데 이어, 상동광산의 텅스텐 광산도 저렴한 중국산이 수입되면서 1992년 채굴을 중단했다.

상동광산 지질도


상동광산의 텅스텐, 비스무트, 몰리브덴, 순경광산의 주석, 삼척탄전의 일부인 옥동의 무연탄은 유명했지만, 석탄 합리화 정책으로 광산은 크게 감소했다. 무연탄 광산은 영월읍과 북면에 각각 1곳씩 있다. 40만kW의 영월 복합화력발전소와 무진장이라 할 만큼 풍부한 석회석은 인근 시멘트·석회 공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태백선의 개통 및 동선의 전철화는 지역 자원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지질 명소 ==

영월군에는 다음과 같은 지질 명소들이 있다.

  • 천연기념물 제413호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 영월군 북면 문곡리(인근에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이 있음)에 소재한다. 문곡리의 연덕천 주변에는 영흥층 지층으로 구성된 절벽이 있는데, 이 절벽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건열 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어 퇴적 당시의 환경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일반적으로 수온이 따뜻하고 햇빛이 잘 드는 적도 주변의 얕은 바다에서 만들어지는 화석으로, 이로부터 이들 스트로마톨라이트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고생대 적도의 바다에서 형성된 후 이곳까지 이동해 왔다는 것을 지시한다. 건열 구조는 퇴적물이 대기에 노출되어 물이 증발하여 마르면서 갈라지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퇴적 구조이다. 이것은 문곡리의 퇴적 지층이 형성된 곳이 매우 얕은 바다의 조간대 환경임을 말하고 있다.[36]
  • 명승 제76호 영월 선돌 : 영월 방절리 서강가의 절벽에 위치하며 마치 큰 칼로 절벽을 쪼갠 듯한 형상을 이룬 곳으로 높이 약 70 m 정도의 입석이다. 해당 지역은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이 분포하는 곳이며 인근에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이 지난다. 이처럼 거대한 바위가 수직으로 쪼개지는 것은 석회암의 특징이다. 석회암은 퇴적암으로 층을 이루면서 퇴적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선돌은 그 석회암 지층이 지각 변동에 의해 수평에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는 과정에서 벌어졌거나, 지층이 수직으로 세워진 후 오랜 세월 차별 침식을 받아 두 지층 사이의 암석이 풍화되었기 때문에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37]
  • 천연기념물 제219호 영월 고씨굴 : 남한강 근처 김삿갓면 진별리에 위치한 석회암 동굴이다. 1966년 4월 한국동굴학회가 이끄는 한-일 합동조사단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으며, 전체 길이는 약 6 km에 이른다. 동굴 주변의 지질은 조선 누층군 막동석회암층(Omg)과 고성셰일층(Ogl)으로 구성되어 있다.[22] 이 동굴은 석회암 지층에 발달한 절리를 따라 지하수가 흐르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석회암층을 용해시킨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고씨굴에는 다양한 모양의 종유석과 석순, 석주 등이 발달한다.[38]
  • 천연기념물 제543호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 무릉도원면 무릉리(인근에 방림 스러스트 단층이 있음)의 주천강 화강반암 위에 형성된 지형이다. 이 화강암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Jbgr)이다.[22]


== 단층 ==

영월군 내에는 여러 단층들이 존재한다. 북면과 남면 일대에는 영월인편상구조대(영월 스러스트 시스템)가 발달해 있으며, 이들은 주로 남-북 방향의 주향을 가지고 서쪽으로 경사하는 스러스트 단층들이다.[39] 야외에서는 스러스트 및 역단층, 단층암, 습곡 등이 관찰된다.[39] 김삿갓면 옥동리에서 이름이 유래된 옥동 단층정선군 예미리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까지 연장 100 km 이상 발달하는 북동-남서 주향의 단층이다. 옥동 단층은 북부 지역에서 정단층의 성격을 가지며, 선캄브리아기 기반암층과 고생대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의 경계를 따라 발달한다.

4. 1. [[선캄브리아기]]

영월군의 지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영월군의 지질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2. [[고생대]] 조선 누층군과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고생대 초기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퇴적암인 조선 누층군은 영월군에 넓게 분포한다. 영월군 동부 상동읍중동면 북부에 분포하는 태백층군과, 영월군 중서부 영월인편상구조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영월층군으로 구분된다.[22] 이 지층은 석회암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고씨 동굴과 같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을 다수 발달시킨다.[22]

원래 태백, 삼척 지역에 분포하는 태백층군은 백운산 향사대를 따라 영월군 동부 상동읍중동면 북부에 분포하며,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에 퇴적된 장산 규암층, 묘봉층, 대기층(풍촌석회암층), 화절층, 동점층, 두무골(두무동)층, 막골(막동)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월층군은 하부로부터 삼방산층, 마차리층, 와곡층, 문곡층, 영흥층으로 구성된다. 석회암 동굴인 고씨 동굴을 형성하고 있는 지층은 고생대 조선 누층군에 속하는 막동 석회암층(Omg)으로 약 4~5 억 년 전에 형성된 지층이며 지층이 퇴적된 후 오랜 세월 지하수의 용식 작용으로 막동 석회암층 내에 동굴이 형성되었다.[33]

영월층군은 영월읍을 중심으로 그 서부 지역에 분포하는 탄산염-규산쇄설성 퇴적암 복합체로서, 과거에는 하부로부터 삼방산층, 마차리층, 흥월리층, 삼태산층, 영흥층으로 구분되었으나 현재는 하부로부터 삼방산층, 마차리층, 와곡층, 문곡층, 영흥층으로 구성된다. 하부 3개 층은 캄브리아기에, 상부 2개 층은 오르도비스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최하부의 삼방산층만이 특징적으로 쇄설성 퇴적물을 포함하며, 상부 4개 층은 주로 탄산염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창단층 동편의 영월층군은 동쪽으로 각동 스러스트 단층, 북쪽으로 상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경계 지어질 것으로 생각되지만, 남서쪽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이 지역은 남북으로 발달해 있는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다시 동, 서편에 나타나는 암상의 종류가 다른 분포를 보인다.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 동쪽 지역에서는 상부 영월층군과 평안 누층군(영월탄전)의 암석이 함께 나타나지만, 서편 지역에서는 평안 누층군의 암석이 나타나지 않는다.[34]

4. 3. [[고생대]] [[평안 누층군]]과 [[영월탄전]]

영월군 내에서 고생대 후기에 형성된 평안 누층군조선 누층군에 비해 소규모로 분포한다.[35] 그 중에서 두드러진 것은 소위 '''영월탄전'''이라 불리는 지역으로, 북면 마차리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발달한다.[35] 영월탄전의 평안 누층군은 홍점층과 사동층 (요봉층), 판교층, 밤치층, 석탄이 부존된 미탄층으로 구성되고 사동층 상위의 지층은 없다.[35] 이들 평안 누층군의 일반적인 주향은 남-북이며 서쪽으로 50~70° 경사한다.[35] 평안 누층군 서쪽에서는 사동층의 주향과 거의 평행하며 60° 내외로 경사하는 마차리 트러스트 단층이 사동층의 상부를 절단하는데 이 단층에 의하여 북부(영월군 북면 공기리-평창군 미탄면 율치리 경계 지역)에서는 사동층이 삼방산층마차리층과, 남부에서는 사동층과 홍점층이 마차리층과 단층으로 접하여 있다.[35]

4. 4. 광산과 지하 자원

영월군은 지질 구조상 다양한 광물의 매장량이 풍부하여 영월탄전과 삼척탄전의 무연탄, 상동광산텅스텐, 조선누층군의 석회석을 비롯하여 , 아연, 몰리브덴, 비스무트, 니켈, 주석 등이 생산되어 삼척시의 삼척탄전과 함께 한국의 자원 보고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약 40년의 역사를 가진 영월탄전의 마사탄전이 1972년 9월 말에 폐산한 데 이어, 상동광산의 텅스텐 광산도 저렴한 중국산이 수입되면서 1992년 채굴을 중단했다.

상동광산의 텅스텐, 비스무트, 몰리브덴, 순경광산의 주석, 삼척탄전의 일부인 옥동의 무연탄은 유명했지만, 석탄 합리화 정책으로 광산은 크게 감소했다. 무연탄 광산은 영월읍과 북면에 각각 1곳씩 있다. 40만kW의 영월 복합화력발전소와 무진장이라 할 만큼 풍부한 석회석은 인근 시멘트·석회 공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태백선의 개통 및 동선의 전철화는 지역 자원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4. 5. 지질 명소

영월군에는 다음과 같은 지질 명소들이 있다.

  • 천연기념물 제413호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 영월군 북면 문곡리(인근에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이 있음)에 소재한다. 문곡리의 연덕천 주변에는 영흥층 지층으로 구성된 절벽이 있는데, 이 절벽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건열 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어 퇴적 당시의 환경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일반적으로 수온이 따뜻하고 햇빛이 잘 드는 적도 주변의 얕은 바다에서 만들어지는 화석으로, 이로부터 이들 스트로마톨라이트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고생대 적도의 바다에서 형성된 후 이곳까지 이동해 왔다는 것을 지시한다. 건열 구조는 퇴적물이 대기에 노출되어 물이 증발하여 마르면서 갈라지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퇴적 구조이다. 이것은 문곡리의 퇴적 지층이 형성된 곳이 매우 얕은 바다의 조간대 환경임을 말하고 있다.[36]
  • 명승 제76호 영월 선돌 : 영월 방절리 서강가의 절벽에 위치하며 마치 큰 칼로 절벽을 쪼갠 듯한 형상을 이룬 곳으로 높이 약 70 m 정도의 입석이다. 해당 지역은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이 분포하는 곳이며 인근에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이 지난다. 이처럼 거대한 바위가 수직으로 쪼개지는 것은 석회암의 특징이다. 석회암은 퇴적암으로 층을 이루면서 퇴적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선돌은 그 석회암 지층이 지각 변동에 의해 수평에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는 과정에서 벌어졌거나, 지층이 수직으로 세워진 후 오랜 세월 차별 침식을 받아 두 지층 사이의 암석이 풍화되었기 때문에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37]
  • 천연기념물 제219호 영월 고씨굴 : 남한강 근처 김삿갓면 진별리에 위치한 석회암 동굴이다. 1966년 4월 한국동굴학회가 이끄는 한-일 합동조사단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으며, 전체 길이는 약 6 km에 이른다. 동굴 주변의 지질은 조선 누층군 막동석회암층(Omg)과 고성셰일층(Ogl)으로 구성되어 있다.[22] 이 동굴은 석회암 지층에 발달한 절리를 따라 지하수가 흐르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석회암층을 용해시킨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고씨굴에는 다양한 모양의 종유석과 석순, 석주 등이 발달한다.[38]
  • 천연기념물 제543호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 무릉도원면 무릉리(인근에 방림 스러스트 단층이 있음)의 주천강 화강반암 위에 형성된 지형이다. 이 화강암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Jbgr)이다.[22]

4. 6. [[단층]]

영월군 내에는 여러 단층들이 존재한다. 북면과 남면 일대에는 영월인편상구조대(영월 스러스트 시스템)가 발달해 있으며, 이들은 주로 남-북 방향의 주향을 가지고 서쪽으로 경사하는 스러스트 단층들이다.[39] 야외에서는 스러스트 및 역단층, 단층암, 습곡 등이 관찰된다.[39] 김삿갓면 옥동리에서 이름이 유래된 옥동 단층정선군 예미리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까지 연장 100 km 이상 발달하는 북동-남서 주향의 단층이다. 옥동 단층은 북부 지역에서 정단층의 성격을 가지며, 선캄브리아기 기반암층과 고생대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의 경계를 따라 발달한다.

5. 행정 구역

영월군의 행정 구역은 2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월군의 면적은 1,127.45 km2이며,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4만 0067 명, 세대수는 2만 0715 가구이다. 이 중 54%가 영월읍에 거주하고 있다. 텅스텐 광산이 있어서 1970년대에 인구가 4만 명이 넘었던 상동읍은 현재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읍이다.[40] 남녀 성비는 1.06이다.

이름한자면적(km2)인구세대행정구역
영월읍寧越邑172.4121,65010,349
|600px]]
상동읍上東邑139.51,157712
산솔면산솔面124.771,586878
김삿갓면(金-)面171.51,8161,036
북면北面111.342,3041,281
남면南面82.182,3381,336
한반도면[41]韓半島面69.873,1561,755
주천면酒泉面102.514,0282,195
무릉도원면武陵桃源面153.372,0321,173
영월군寧越郡1,127.4540,06720,715


  • 인구·세대는 2017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6. 인구

영월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42]

연도총인구
1966년124,659명
1970년123,619명
1975년112,563명
1980년95,495명
1985년81,861명
1990년65,595명
1995년47,720명
2000년43,732명
2005년36,979명
2010년34,880명


7. 산업

영월군은 산간 지형이라 경작지 면적이 작고 밭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 옥수수, 보리, 밀, 감자, 누에고치, 소, 닭, 염소, 꿀 등이다. 수목의 벌채가 비교적 적어 무성한 임삼이 많이 남아 있어 유용재와 신탄 산출이 적지 않으며, 특히 광산용 갱목을 다른 지방으로 공급하고 있다.

=== 광업 ===

영월군은 지질 구조상 다양한 광물의 매장량이 풍부하여 영월탄전과 삼척탄전의 무연탄, 상동광산텅스텐, 조선누층군의 석회석을 비롯하여 , 아연, 몰리브덴, 비스무트, 니켈, 주석 등이 생산되어 삼척시의 삼척탄전과 함께 한국의 자원 보고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약 40년의 역사를 가진 영월탄전의 마사탄전이 1972년 9월 말에 폐산한 데 이어, 상동광산의 텅스텐 광산도 저렴한 중국산이 수입되면서 1992년 채굴을 중단했다.

상동광산의 중석·창연·휘수연, 순경광산의 주석, 삼척탄전의 일부인 옥동(玉洞)의 무연탄은 유명하였으나 석탄합리화정책에 따라 광산은 많이 줄었다. 무연탄 광산은 영월읍과 북면에 각각 1개 소가 있다. 40만 kW의 영월복합화력발전소와 무진장의 석회석은 부근의 시멘트·석회 공업 발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편, 태백선(함백선)의 개통과 이의 전철화는 이 지역 자원개발에 더욱더 박차를 가하고 있다.

=== 특산물 ===

인진쑥, 신령버섯, 청결고춧가루, 정든고추장, 영월참기름, 영월더덕, 청결미, 영월사과, 그랜채소, 잡곡, 토종대추, 취나물, 꿀, 칡국수, 버섯, 묵, 한우고기, 메주, 생광석, 목공예품, 영월칡술, 칡녹말 등이 유명하다.

7. 1. 농림업

영월군은 산간 지형이라 경작지 면적이 작고 밭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 옥수수, 보리, 밀, 감자, 누에고치, 소, 닭, 염소, 꿀 등이다. 수목의 벌채가 비교적 적어 무성한 임삼이 많이 남아 있어 유용재와 신탄 산출이 적지 않으며, 특히 광산용 갱목을 다른 지방으로 공급하고 있다.

7. 2. 광업

영월군은 지질 구조상 다양한 광물의 매장량이 풍부하여 영월탄전과 삼척탄전의 무연탄, 상동광산텅스텐, 조선누층군의 석회석을 비롯하여 , 아연, 몰리브덴, 비스무트, 니켈, 주석 등이 생산되어 삼척시의 삼척탄전과 함께 한국의 자원 보고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약 40년의 역사를 가진 영월탄전의 마사탄전이 1972년 9월 말에 폐산한 데 이어, 상동광산의 텅스텐 광산도 저렴한 중국산이 수입되면서 1992년 채굴을 중단했다.

상동광산의 중석·창연·휘수연, 순경광산의 주석, 삼척탄전의 일부인 옥동(玉洞)의 무연탄은 유명하였으나 석탄합리화정책에 따라 광산은 많이 줄었다. 무연탄 광산은 영월읍과 북면에 각각 1개 소가 있다. 40만 kW의 영월복합화력발전소와 무진장의 석회석은 부근의 시멘트·석회 공업 발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편, 태백선(함백선)의 개통과 이의 전철화는 이 지역 자원개발에 더욱더 박차를 가하고 있다.

7. 3. 특산물

인진쑥, 신령버섯, 청결고춧가루, 정든고추장, 영월참기름, 영월더덕, 청결미, 영월사과, 그랜채소, 잡곡, 토종대추, 취나물, 꿀, 칡국수, 버섯, 묵, 한우고기, 메주, 생광석, 목공예품, 영월칡술, 칡녹말 등이 유명하다.

8. 관광

장릉(영월읍), 어로연, 영월입석(영월읍), 영월 고씨굴(김삿갓면), 김삿갓유적지(김삿갓면), 청령포(영월읍), 영월다하누마을(주천면), 별마로천문대(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영월읍), 봉래산(영월읍), 한반도 지형(한반도면), 법흥사(무릉도원면), 동강, 강원도탄광문화마을(북면) 등이 영월군의 명소이다.

영월군에서는 매년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7] 동강뗏목축제와 동강국제사진제, 김삿갓문화제 등이 대표적이다. 동강국제사진제는 동강사진상 수상작 전시, 국제 공모전, 사진기자 전시, 강원도 사진작가 전시 등의 행사로 구성된다.[7] 동강사진박물관에서 개최되지만, 사진제 기간에는 영월군 전역에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8. 1. 명소

영월군의 명소로는 장릉(영월읍), 어로연, 영월입석(영월읍), 영월 고씨굴(김삿갓면), 김삿갓유적지(김삿갓면), 청령포(영월읍), 영월다하누마을(주천면), 별마로천문대(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영월읍), 봉래산(영월읍), 한반도 지형(한반도면), 법흥사(무릉도원면), 동강, 강원도탄광문화마을(북면) 등이 있다.

8. 2. 축제

영월군에서는 매년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7] 동강뗏목축제와 동강국제사진제, 김삿갓문화제 등이 대표적이다. 동강국제사진제는 동강사진상 수상작 전시, 국제 공모전, 사진기자 전시, 강원도 사진작가 전시 등의 행사로 구성된다.[7] 동강사진박물관에서 개최되지만, 사진제 기간에는 영월군 전역에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9. 교통

영월역


철도는 태백선제천으로부터 분기되어 군내를 횡단하여 정선군에 이른다. 또한 도로는 원주·횡성·평창·정선·태백·제천·단양·봉화 등에 연결되기는 하나 아직 교통이 불편하다.

=== 철도 ===

태백선이 통과하며, 여객 영업은 쌍룡역, 영월역에서 담당한다.

태백선의 노선은 쌍룡역 - 연당역 - 청냉포역 - 영월역 - 탄부역 - 연하역 - 석항역 순으로 이어진다.

=== 도로 ===

31번 국도, 38번 국도, 59번 국도, 28번 국가지원지방도, 82번 국가지원지방도, 88번 국가지원지방도가 영월군을 통과한다. 38번 국도는 4차선 도로이며, 쌍용-영월-석항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이다.

=== 버스 ===

영월군에는 영월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9. 1. 철도

태백선이 통과하며, 여객 영업은 쌍룡역, 영월역에서 담당한다.

태백선의 노선은 쌍룡역 - 연당역 - 청냉포역 - 영월역 - 탄부역 - 연하역 - 석항역 순으로 이어진다.

9. 2. 도로

31번 국도, 38번 국도, 59번 국도, 28번 국가지원지방도, 82번 국가지원지방도, 88번 국가지원지방도가 영월군을 통과한다. 38번 국도는 4차선 도로이며, 쌍용-영월-석항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이다.

9. 3. 버스

영월군에는 영월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10. 교육

상동고등학교, 주천고등학교, 영월공업고등학교, 영월고등학교, 마차고등학교, 석정여자고등학교가 있다.

10. 1. 고등학교

상동고등학교, 주천고등학교, 영월공업고등학교, 영월고등학교, 마차고등학교, 석정여자고등학교가 있다.

11. 출신 인물

엄정주(엄정주)와 이희도(이희도), 장승대(장승대) 등이 영월군 출신 인물이다.

12. 자매 도시

국가도시
일본/日本일본어
25px
홋카이도
25px
히가시카와정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25px
서울특별시
25px
성북구
25px
용산구
25px
은평구
25px
종로구
25px
경기도
25px
남양주시
25px
안양시
25px
하남시
25px
인천광역시
25px
계양구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뉴스 A hamlet rich in history and art https://archive.toda[...] 2011-06-01
[3] 웹사이트 Far from Home https://www.pbs.org/[...]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7] 뉴스 [Travel Bits] Festivals, sights around Korea http://www.koreahera[...] 2018-06-23
[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9]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ko: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1895-05-26
[10]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법률 법률 제539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0-01-01
[13]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4]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5]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6] 법률 寧越郡条例第2011号 2009-10-09
[17] 법률 寧越郡条例第2409号 2016-11-04
[18] 뉴스 ‘박수근마을리’, ‘산솔면’ 등 특색살린 행정 명칭 변경 잇따라···지역 브랜드 강화 기대 https://www.khan.co.[...] 2021-12-23
[19]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월(12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20]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월(12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2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2] 일반텍스트
[23]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24]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6] 법률 법률 제539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0-01-01
[27]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28]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9]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3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월(12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3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월(12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32]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3] 저널 고씨동굴지역의 현황 조사 https://scienceon.ki[...] 1986
[34] 웹인용 영월트러스트시스템의 구조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Structural geometry of the Yeongwol thrust system, Taebaeksan zone, Korea) http://www.riss.kr/s[...]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35] 웹인용 태백산지구 지하자원 조사보고서 : 석탄편 https://data.kigam.r[...] 대한지질학회 1962
[36] 서적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 답사기
[37] 서적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 답사기
[38] 서적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 답사기
[39] 웹인용 국내 육상 CO2 지중저장 파일럿 저장소 선정 연구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4-07-01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7월 1일로 가정
[40] 웹인용 영월군의 일반현황 http://www.yw.go.kr/[...] 2012-04-20
[41] text
[42]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