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ther Ticket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nother Ticket》은 에릭 클랩튼의 1980년 앨범으로, 폴리도르 레코드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컨트리 음악가 앨버트 리가 참여했다. 이 앨범은 발매 당시 여러 국가에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뉴질랜드, 노르웨이, 미국에서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올뮤직의 윌리엄 뤼만은 이 앨범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롤링 스톤의 존 피커렐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이 앨범은 캐나다와 미국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톰 다우드가 프로듀싱한 음반 - A Night on the Town
로드 스튜어트가 1976년에 발표한 앨범 A Night on the Town은 〈Tonight's the Night (Gonna Be Alright)〉, 〈The First Cut Is the Deepest〉, 〈The Killing of Georgie〉 등의 히트곡을 포함하며 여러 국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2009년에 재발매되었다. - 톰 다우드가 프로듀싱한 음반 - Idlewild South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Idlewild South는 톰 다우드와의 협업으로 밴드의 음악적 역량을 강화하고 "In Memory of Elizabeth Reed", "Midnight Rider" 등의 대표곡을 수록, 빌보드 200 차트 38위까지 오르며 상업적 성공을 거둔 앨범으로, 밴드가 함께 사용했던 임대 캐빈의 별칭에서 제목을 따왔다. - RSO 레코드 음반 - Life in a Tin Can
비지스가 1973년에 발표한 앨범 "Life in a Tin Can"은 로스앤젤레스에서 녹음되었으나 혁신 부족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레코드 월드에서 "올해의 앨범"으로 선정되었으며, "Saw a New Morning"을 포함한 8곡과 여러 뮤지션의 참여가 특징이다. - RSO 레코드 음반 - Children of the World
Children of the World는 비지스가 1976년 9월에 발표한 앨범으로, 배리 깁이 칼 리처드슨과 함께 프로듀싱하여 You Should Be Dancing, Love So Right 등의 싱글을 히트시키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에릭 클랩튼의 음반 - 461 Ocean Boulevard
에릭 클랩튼이 헤로인 중독을 극복한 후 1974년에 발표한 두 번째 솔로 스튜디오 앨범인 461 Ocean Boulevard는 다양한 음악 스타일과 "I Shot the Sheriff" 커버 버전의 성공으로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에 포함되었다. - 에릭 클랩튼의 음반 - The Breeze: An Appreciation of JJ Cale
The Breeze: An Appreciation of JJ Cale은 에릭 클랩튼이 J.J. 케일에게 받은 음악적 영향에 대한 존경을 표하기 위해 톰 페티, 마크 노플러, 존 메이어, 윌리 넬슨 등 여러 음악가들과 함께 2014년에 발매한 트리뷰트 앨범으로, "Call Me the Breeze" 등의 곡들을 포함하여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여러 국가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 Another Ticket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앨범 정보 | |
| 이름 | Another Ticket (어나더 티켓) |
| 종류 | 스튜디오 앨범 |
| 아티스트 | 에릭 클랩튼 |
| 발매일 | 1981년 2월 20일 |
| 녹음 년도 | 1980년 |
| 장르 | 록 |
| 길이 | 38분 34초 |
| 레이블 | RSO |
| 프로듀서 | 톰 다우드 |
| 싱글 | |
| 싱글 1 | I Can't Stand It |
| 싱글 1 발매일 | 1981년 2월 13일 |
| 싱글 2 | Another Ticket (어나더 티켓) |
| 싱글 2 발매일 | 1981년 4월 10일 |
| 차트 성적 | |
| 뉴질랜드 | 3위 |
| 노르웨이 | 5위 |
| 미국 | 7위 |
| 영국 | 18위 |
| 스웨덴 | 26위 |
| 일본 | 27위 |
| 네덜란드 | 38위 |
| 앨범 순서 | |
| 이전 앨범 | Backless (1978) |
| 다음 앨범 | Money and Cigarettes (1983) |
2. 발매
이 음반은 폴리도르 레코드를 위한 에릭 클랩튼의 마지막 음반이었다. 원래 RSO 레코드에서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폴리도르 레코드사로 변경되었다. 《Another Ticket》은 바하마 나소의 컴퍼스 포인트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동료 기타리스트이자 컨트리 음악의 전설인 알버트 리가 참여했다.[21] [4]
《올뮤직》의 윌리엄 뤼만은 이 음반이 "불행", "너무 초라하지 않다"고 평가하며, "멋진 클랩튼"은 아니었지만, 그것보다 더 많은 주목을 받았어야 했다고 생각한다.[21] 《롤링 스톤》 저널리스트 존 피커렐라는 에릭 클랩튼이 진실되고 매우 비극적인 블루스 감성으로 매우 인기 있는 음악을 만드는 데 성공했으며, 그는 심장과 차트 모두를 같은 방식으로 연설한다고 평가했다.[22]
이 음반은 원래 축음기 음반과 음악 카세트로 발매되었다. 1990년에 콤팩트 디스크 포맷으로 발매되었고,[19] [2] 1996년에 디지털 음악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었다.[20] [3]
에릭 클랩튼 라이브 (1975년) 이후 오랜만에 톰 다우드가 프로듀스를 담당했다. 1979년 일본 공연에 동행했던 멤버에 게리 브루커(전 프로콜 하럼)를 더한 트윈 키보드(악기) 편성이었다. 본 작품의 레코딩 세션에서는 게리 브루커의 솔로 앨범 『Lead Me To The Water』(1982년, 일본 제목: 게리즈 드림)용 2곡도 레코딩되었다.[18]
3. 반응
이 음반은 여러 국가에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3. 1. 비평가들의 평가
《올뮤직》의 윌리엄 뤼만은 이 음반이 "불행", "너무 초라하지 않다"고 평가하며, "멋진 클랩튼"은 아니었지만, 그것보다 더 많은 주목을 받았어야 했다고 평가했다.[21] 《롤링 스톤》 저널리스트 존 피커렐라는 "살인에 관한 것이다. 한 예술가가 종종 야옹하고 있다고 비난하듯이, 에릭 클랩튼은 진실되고 매우 비극적인 블루스 감성으로 매우 인기 있는 음악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는 심장과 차트 모두를 같은 방식으로 연설한다. 바로 총알로 말이다."라고 평가했다.[22] 《레코드 월드》는 타이틀 곡에 대해 "가벼운 키보드 멜로디가 랩턴의 작은 테너를 뒷받침하고, 프로듀싱이 훌륭하다."라고 평했다.[6]
3. 2. 차트 성적
순위오스트레일리아 앨범 (Kent Music Report)[7] 30 캐나다 앨범[7] 20 네덜란드 앨범[7] 38 독일 앨범[7] 26 이탈리아 앨범 (Musica e Dischi)[8] 22 일본 앨범 (오리콘)[9] 27 뉴질랜드 앨범[7] 3 노르웨이 앨범[7] 5 스웨덴 앨범[7] 26 영국 앨범[7] 18 미국 빌보드 200[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