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BIP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ABIP는 야구 통계 지표로, 인플레이된 타구(안타, 홈런, 희생플라이)가 안타가 될 확률을 나타낸다. 계산은 (안타 - 홈런) / (타수 - 삼진 - 홈런 + 희생플라이) 공식을 사용하며, 홈런과 삼진은 인플레이 상황이 아니므로 제외된다. BABIP는 운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타자의 경우 능력도 반영된다.
일반적으로 MLB에서 .300을 평균 BABIP로 간주하며, 투수의 경우 팀 수비, 구장 특성, 실력 등이 영향을 미친다. 타자는 빠른 발, 타격 능력, 타구의 질 등이 BABIP에 영향을 준다. BABIP는 세이버매트릭스 분석에서 투수의 특이한 시즌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다음 시즌 성적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xBABIP와 같은 파생 지표도 존재하며, BABIP는 운의 요소가 크지만, 타자의 경우 능력의 영향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ABIP | |
|---|---|
| 정의 | |
| 설명 | BABIP(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는 홈런을 제외한 인플레이 타구의 타율을 나타내는 야구 세이버메트릭스 지표이다. |
| 계산 | |
| 공식 | (안타 - 홈런) / (타수 - 삼진 - 홈런 + 희생플라이) |
| 특징 | |
| 영향 요인 | 수비 능력 운 타자의 능력 |
| 설명 | BABIP는 타자의 순수한 타격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높은 BABIP는 운이 좋았거나 좋은 수비 시프트가 없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낮은 BABIP는 운이 나빴거나 수비 시프트에 잘 막혔음을 의미할 수 있다. BABIP는 투수의 실력 측정에도 사용된다. |
| 역사 | |
| 창시자 | 보로스 매크라켄(Voros McCracken) |
| 기타 | |
| 높은 BABIP 기록 | 높은 BABIP는 운이 좋았음을 의미할 수 있다. |
2. 계산 방법
BABIP는 다음 공식을 통해 계산된다.[2]
BABIP는 투수와 타자 모두에게 적용되지만, 그 의미와 영향 요인은 다르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 평균 BABIP는 .300으로 간주된다.[2] BABIP는 홈런과 삼진을 제외하고 계산하며, 장기적으로 평균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운, 수비, 구장 특성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3],[4]
:'''BABIP = (안타 - 홈런) ÷ (타수 - 삼진 - 홈런 + 희생플라이)'''
::
여기서 H는 안타, HR은 홈런, AB는 타수, K는 삼진, SF는 희생 플라이를 나타낸다.[2]
이 식에서 홈런은 인플레이 상황이 아니고 홈런 그 자체로 플레이가 종료된 상황이므로 안타 수에서 홈런을 제외하였고, 삼진 또한 인플레이 상황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타수에서 제외되었다. 사사구와 고의 사구는 타수 기록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이미 제외되어 있다.
만일 한 선수가 381타수에 111 안타, 11 홈런, 50 삼진, 19 파울 아웃, 10개의 희생 플라이를 기록했다고 가정하면, 그 선수의 BABIP는 (111-11)/(381-50-11+10)=100/330=0.303 이다.
3. BABIP의 특징 및 영향 요인
BABIP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운(44%), 투구 능력(28%), 수비력(17%), 구장(11%) 등이 있다.[6] 타자의 BABIP는 투수보다 능력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NPB에서는 타구 비율, 플라이볼의 BABIP 등이 MLB와 다르므로, MLB에서의 BABIP 경향이 NPB에 그대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3. 1. 투수의 BABIP
투수의 BABIP는 일반적으로 .300 근처에 수렴하는 경향을 보인다. BABIP는 "홈런을 제외한 그라운드에 날아간 타구가 안타가 된 비율"을 의미하며, 홈런, 희생타 이외의 타구를 제외하고 계산된다.[5] 장기간의 BABIP 수치는 투수의 유형에 관계없이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평균값(약 .300 전후)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에는 운이나 아군 야수의 수비력이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5]
BABIP 발견의 계기는 1999년 그렉 매덕스와 케빈 밀우드의 성적 비교였다. 같은 팀이며 수비나 구장의 조건이 거의 같음에도 불구하고, 매덕스는 방어율이 예년보다 나빴고, 밀우드는 예년보다 좋았다.
| 연도 | 매덕스 방어율 | 밀우드 방어율 | 매덕스 BABIP | 밀우드 BABIP |
|---|---|---|---|---|
| 1998 | 2.22 | 4.08 | .262 | .309 |
| 1999 | 3.57 | 2.68 | .324 | .235 |
| 2000 | 3.00 | 4.66 | .274 | .290 |
| 1998-2000 | 2.90 | 3.76 | .286 | .276 |
1999년 매덕스의 BABIP(.324)는 내셔널 리그에서 3번째로 높았고, 밀우드의 BABIP(.235)는 가장 낮았다. 이듬해 BABIP가 평균에 가까워진 밀우드의 방어율은 악화되었고, BABIP가 낮았던 매덕스의 방어율은 개선되었다. 이로부터 "인플레이가 된 타구가 안타가 될 확률은 장기적으로 보면 어떤 투수라도 큰 차이가 없고, 투수는 타구의 결과를 컨트롤할 수 없다"라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빌 제임스조차도 처음에는 의심했지만, 연구 결과 탈삼진율이나 사사구율이 비교적 안정적인 투수라도 BABIP에는 시즌마다 편차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맥크래켄은 홈런을 제외한 인플레이 타구가 아웃이 되는지 여부는 투수의 책임이 아니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DIPS라는 새로운 투수 평가 지표를 제창했다.
투수에게도 BABIP 경향은 존재한다. MLB에서는 내야 플라이를 포함한 플라이는 땅볼보다 아웃되기 쉬우므로, 플라이볼 비율이 높은 플라이볼 투수는 BABIP가 낮아지기 쉽다. 반대로 땅볼 비율이 높은 그라운드볼 투수는 BABIP가 높아지기 쉽지만, 땅볼 비율이 60%에 육박하는 수준의 투수는 땅볼의 BABIP가 낮아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카를로스 실바나 시드니 폰슨 등 공에 힘이 없는 투수는 높은 BABIP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또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2000년대 후반)처럼 투수의 BABIP가 예년 낮았던 구단이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처럼 투수의 BABIP가 예년 .310을 넘는 구단도 있어,[9] 야수의 수비력이나 구장의 특성이 BABIP 값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7]
NPB에서는 투수가 던진 스트레이트는 코스에 따라 BABIP에 차이가 나며,[10] 특히 스트라이크 존 한가운데 부근은 3할을 크게 넘기 때문에, 실투는 높은 BABIP로 이어지기 쉽다.
3. 1. 1. 한국 투수 사례: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메이저리그에서 BABIP의 영향을 크게 받은 투수 중 한 명이다. 2007년에는 평균 BABIP(.299)와 평균자책점 4.40을 기록했다. 2008년에는 BABIP가 .258로 낮아지면서 평균자책점도 2.90으로 좋아졌다. 이는 낮은 BABIP 덕분에 성적이 향상된 것으로, BABIP가 평균값으로 돌아오면 2007년과 비슷한 성적을 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그러나 2009년에는 BABIP가 .380으로 크게 상승하면서 평균자책점도 5.76으로 크게 나빠졌다. 이처럼 BABIP는 투수의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연도 | 평균자책점 | FIP | BABIP | 평균 BABIP |
|---|---|---|---|---|
| 2007 | 4.40 | 4.23 | .299 | .302 |
| 2008 | 2.90 | 4.03 | .258 | .297 |
| 2009 | 5.76 | 5.09 | .380 | .298 |
| 2010 | 4.69 | 4.05 | .284 | .291 |
| 2007-2010 | 4.18 | 4.21 | .293 | .297 |
BABIP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좋은 성적에도 BABIP가 .300을 크게 밑돌았던 경우에는 다음 해에도 비슷한 성적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반대로 성적이 나빠도 BABIP가 .300을 크게 웃돌고 있다면 다음 해의 성적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할 수 있다. 다만, 2008-2009 시즌의 마쓰자카처럼 투구 내용 자체가 변화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BABIP만을 판단 기준으로 삼는 것보다 DIPS 등과 함께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3. 2. 타자의 BABIP
BABIP는 타자가 친 타구가 안타가 될 확률을 나타내는 지표로, 투수보다 타자 개인의 능력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빠른 발, 정교한 타격, 강한 타구 등은 BABIP를 높이는 요인이다. 예를 들어 이치로나 아오키 노리치카처럼 1루까지 빠르게 도달하는 선수들은 평범한 땅볼 타구도 내야 안타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 BABIP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7]반면, 극단적인 수비 시프트는 타자의 BABIP를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타구 방향이 한쪽으로 치우친 타자의 경우, 수비 팀은 이를 예측하고 수비 위치를 조정하여 안타를 막을 확률을 높인다. 마크 테세이라의 사례는 수비 시프트가 BABIP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준다.
3. 2. 1. 한국 타자 사례: 이치로, 추신수, 최지만
이치로는 빠른 발을 이용해 높은 BABIP를 기록한 대표적인 선수이다. 2004년 이치로는 262 안타 중 홈런은 8개였고, 삼진은 63개, 희생플라이는 3개였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한 2004년 이치로의 BABIP는 .399였다.[7]추신수와 최지만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작성할 수 없다.
마크 테세이라는 타구의 절반 이상을 당겨치는 풀 히터였는데, 2009년까지 .300 전후였던 BABIP가 2010년 이후 수비 시프트가 철저하게 시행되면서 .250 전후로 하락했다.
| 연도 | 양타석 | 우타석 | 좌타석 |
|---|---|---|---|
| 2003-2009 | .338 | .384 | .317 |
| 2010-2013 | .274 | .281 | .271 |
| 통산 | .318 | .351 | .303 |
4. BABIP 활용 및 주의점
BABIP는 선수의 성적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BABIP는 지속적으로 높거나 낮은 수치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투수에게는 더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세이버매트릭스 분석에서 경고 신호로 사용된다. 따라서 BABIP는 투수의 특이한 시즌을 찾아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통계적 지표와 마찬가지로 BABIP가 극도로 높은(나쁜) 투수는 다음 시즌에 개선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BABIP가 극도로 낮은(좋은) 투수는 다음 시즌에 악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투수의 BABIP는 시즌별로 다를 수 있지만, 통산 BABIP 수치를 보면 투수 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다. BABIP는 "홈런을 제외한 그라운드에 날아간 타구가 안타가 된 비율"을 나타내며, 홈런 이외의 안타에서 홈런, 희생타 이외의 타구를 제외하고 계산된다[5]. 투수의 BABIP를 볼 경우, 분모에 희생타를 더하는 경우도 있다. 장기간의 BABIP 수치는 투수의 유형에 관계없이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평균값(연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300 전후를 유지)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에는 운이나 아군 야수의 수비력이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BABIP 발견의 계기가 된 것은 1999년의 그렉 매덕스와 케빈 밀우드의 성적이다. 같은 팀이며 수비나 구장의 조건이 거의 같음에도 불구하고, 이 해 매덕스는 방어율이 예년보다 나쁜 3.57, 밀우드는 예년보다 좋은 2.68이었다.
| 연도 | 매덕스 방어율 | 밀우드 방어율 | 매덕스 BABIP | 밀우드 BABIP |
|---|---|---|---|---|
| 1998 | 2.22 | 4.08 | .262 | .309 |
| 1999 | 3.57 | 2.68 | .324 | .235 |
| 2000 | 3.00 | 4.66 | .274 | .290 |
| 1998-2000 | 2.90 | 3.76 | .286 | .276 |
1999년 매덕스의 BABIP(.324)는 내셔널 리그에서 3번째로 높았고, 밀우드의 BABIP(.235)는 가장 낮은 수치였다. 이듬해 BABIP가 .290으로 평균에 가까워진 밀우드의 방어율은 4.66으로 악화되었고, BABIP가 .274였던 매덕스의 방어율은 3.00으로 개선되었다.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사례를 보면, 2007년은 평균적인 BABIP(.299)로 평균자책점은 4.40이었지만, 2008년은 평균을 크게 밑도는 BABIP(.258)로 평균자책점은 2.90이었다. 이로부터 2008년의 성적 향상은 낮은 BABIP 덕분이며, BABIP(운)가 평균값으로 돌아오면 2007년과 비슷한 성적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 다음 해인 2009년은 BABIP .380이라는 불운을 겪어 평균자책점 5.76으로 마무리되었다.
| 연도 | 평균자책점 | FIP | BABIP | 평균 BABIP |
|---|---|---|---|---|
| 2007 | 4.40 | 4.23 | .299 | .302 |
| 2008 | 2.90 | 4.03 | .258 | .297 |
| 2009 | 5.76 | 5.09 | .380 | .298 |
| 2010 | 4.69 | 4.05 | .284 | .291 |
| 2007-2010 | 4.18 | 4.21 | .293 | .297 |
BABIP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좋은 성적에도 BABIP가 .300을 크게 밑돌았던 경우에는 다음 해에도 비슷한 성적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반대로 성적이 나빠도 BABIP가 .300을 크게 웃돌고 있다면 다음 해의 성적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할 수 있다.
BABIP는 운의 요소가 크지만(44%), 투구 능력(28%), 수비력(17%), 구장(11%) 등 다른 요인들도 BABIP에 영향을 미친다[6]. 특히 타자의 BABIP는 비교적 능력이 반영되기 쉽다.
4. 1. xBABIP
200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뜬공, 땅볼, 라인 드라이브의 BABIP는 각각 .15, .24, .73이다.[11] 이처럼 타구의 성질에 따라 BABIP의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각 타구의 비율에 앞서 언급한 BABIP를 곱하여 수비에 의존하지 않는 BABIP의 기대값을 구할 수 있다. 이 기대값을 '''xBABIP'''(expected BABIP)라고 부른다. xBABIP는 배트볼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개인이 산출하기는 어렵다.- xBABIP = 뜬공 비율 × 평균 뜬공 BABIP + 땅볼 비율 × 평균 땅볼 BABIP + 라인 드라이브 비율 × 평균 라인 드라이브 BABIP
4. 2. BABIP의 한계
BABIP는 완벽한 지표가 아니며, 다른 세이버메트릭스 지표(예: DIPS)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다. BABIP는 운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44%), 투구 능력(28%), 수비력(17%), 구장(11%) 등 다른 요인들도 BABIP에 영향을 미친다[6].이치로나 아오키 노리치카처럼 발이 빠른 선수들은 내야 안타를 많이 만들어 BABIP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7]. 반대로, 타구 방향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타자는 수비 시프트에 의해 BABIP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크 테세이라는 2010년 이후 수비 시프트가 강화되면서 BABIP가 .300 전후에서 .250 전후로 하락했다[8].
| 연도 | 양타석 | 우타석 | 좌타석 |
|---|---|---|---|
| 2003-2009 | .338 | .384 | .317 |
| 2010-2013 | .274 | .281 | .271 |
| 통산 | .318 | .351 | .303 |
투수의 경우, MLB에서는 플라이볼 투수는 BABIP가 낮고, 그라운드볼 투수는 BABIP가 높은 경향이 있다. 하지만 땅볼 비율이 매우 높은 투수는 땅볼 BABIP가 낮아지는 경향도 있다. 팀 허드슨이나 브랜든 웹과 같은 그라운드볼 투수들은 통산 BABIP가 낮은 편이다.
NPB(일본 프로야구)는 MLB(메이저리그)와 타구 비율, BABIP 경향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BABIP를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한다. 카를로스 실바나 시드니 폰슨처럼 구위가 약한 투수는 BABIP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7].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처럼 팀 수비력이 좋거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처럼 구장 특성상 투수 BABIP가 낮거나 높은 경우도 있다[9][7]. 실력이 부족한 투수는 BABIP가 높게 나타난다.
NPB에서는 투수가 던진 스트레이트가 스트라이크 존 한가운데로 몰리면 BABIP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The Ten Highest BABIPs since 1945
https://community.fa[...]
2013-06-04
[2]
웹사이트
BABIP
https://library.fang[...]
2010-02-10
[3]
웹사이트
The Luckiest Season Ever and the Quest for a .400 BABIP
https://grantland.co[...]
2012-05-17
[4]
웹사이트
The True Nature of 'Luck' For Pitchers
http://www.fantasyba[...]
2010-05-30
[5]
웹사이트
BABIPとは?
https://spaia.jp/glo[...]
【SPAIA】スパイア
2020-11-16
[6]
웹사이트
SOLVING DIPS
http://www.tangotige[...]
Erik Allen, Arvin Hsu, Tom/Tangotiger, et al
2013-12-19
[7]
간행물
セイバーメトリクス入門講座「BABIP」
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2010-07
[8]
간행물
月刊スラッガー
2011-05
[9]
서적
プロ野球 本当の実力がわかる本 セイバーメトリクスで見るプロ野球
日刊スポーツ出版社
[10]
웹사이트
スピードとコントロールの効能
http://archive.baseb[...]
BaseBallLab Archives
2014-07-26
[11]
웹사이트
Expected BABIP for Pitchers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