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벨그라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A 벨그라노는 1905년 아르헨티나 코르도바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이다. 1908년부터 1957년까지 코르도바 지역 리그에서 14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고, 1968년 전국 토너먼트에 처음 참가했다. 1980년 코파 코르도바에서 우승했으며, 1991년 아르헨티나 1부 리그에 처음 진출했다. 2011년에는 라이벌 리버 플레이트를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꺾고 1부 리그로 승격되어 주목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A 벨그라노 - 에스타디오 마리오 알베르토 켐페스
에스타디오 마리오 알베르토 켐페스는 아르헨티나 코르도바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78년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어 여러 국제 스포츠 경기와 콘서트가 개최되는 폴로 데포르티보 켐페스 스포츠 단지의 중심 시설이다.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CA 우라칸
클럽 아틀레티코 우라칸은 1903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되어 항공 개척자의 기구에서 영감을 얻은 이름과 유니폼을 사용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 아마추어 시대 황금기와 '메노티 혁명' 시대를 거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재정난 등으로 부침을 겪었고, 코파 아르헨티나 우승와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으로 부활했으며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와 중요한 라이벌 관계를 가진 축구 클럽이다.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CA 리버 플레이트
190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된 아르헨티나 축구 클럽 CA 리버 플레이트는 "로스 밀리오나리오스"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프리메라 디비시온 최다 우승,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라 마키나" 시대, 2부 리그 강등 후 부활, 보카 주니어스와의 수페르클라시코 등으로 유명하고 축구 외 다양한 종목 팀을 운영한다. - 1905년 설립된 축구단 - CA 보카 주니어스
CA 보카 주니어스는 1905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보카 지역에서 창단된 아르헨티나 축구 클럽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강등된 적 없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6회 우승 등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파란색-금색 유니폼, 라 봄보네라 경기장, 리버 플레이트와의 수페르클라시코로 유명한 아르헨티나 대표 스포츠 클럽이다. - 1905년 설립된 축구단 - 클루브 리베르타드
클루브 리베르타드는 1905년 창단되어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5회 우승한 파라과이 축구의 3대 명문 클럽이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 진출과 코파 수다메리카나 준결승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고 축구 외에도 농구팀을 운영한다.
CA 벨그라노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클럽 명칭 | 클럽 아틀레티코 벨그라노 |
별칭 | 엘 피라타 (해적) 엘 셀레스테 (하늘색) 라 "B" (B) |
창단일 | 1905년 3월 19일 |
홈구장 | 엘 히간테 데 알베르디 |
수용 규모 | 38,000명 |
회장 | 루이스 파비안 아르티메 |
감독 | 후안 크루스 레알 |
리그 | 프리메라 디비시온 |
2023년 시즌 | 13위 |
웹사이트 | 벨그라노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상의: 하늘색 하의: 하늘색 양말: 하늘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빨간색 하의: 검은색 양말: 검은색 |
2. 역사
CA 벨그라노는 1905년 3월 19일 코르도바의 바리오 알베르디 지역에서 창단되었다.[2] 클럽의 이름은 아르헨티나의 역사적 인물인 마누엘 벨그라노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으며,[3] 팀의 상징색은 벨그라노가 직접 만든 아르헨티나 국기의 색상에서 유래했다.[3] 초대 회장은 아르투로 오르가스였다.[3]
클럽은 초창기 라몬 모레노에게 기증받은 땅에 자리를 잡았다. 창단 직후, 벨그라노는 인근 클럽들과 친선 경기를 가졌는데, 그중에는 같은 이름을 가진 클럽과의 경기도 있었다. 이 경기에서 승리한 팀이 팀 이름을 계속 사용할 권리를 얻게 되었고, 벨그라노 데 알베르디가 2-1로 승리하여 팀 이름을 지킬 수 있었다.
1913년, 벨그라노는 "리가 코르도베사"의 전신인 "누에바 페데라시온 코르도베사 데 푸트볼"의 창립 멤버 중 하나였다. 1914년 5월 17일, 탈레스와의 첫 클라시코 코르도베스 경기가 열렸으나, 벨그라노의 득점 이후 탈레스 선수들의 항의로 경기가 중단되었다.[4] 이후 벨그라노는 클라시코 코르도베스에서 8-1 대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현재까지도 양 팀 간의 경기에서 가장 큰 점수 차로 기록되고 있다.[5]
1933년 리가 코르도베사가 프로화된 후, 벨그라노는 프로화 원년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6] 1930년대는 벨그라노의 전성기로, 1934년을 제외하고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리그를 제패했다.[6] 1938년에는 볼리비아 원정을 떠나 4경기에서 3승 1무, 18득점을 기록했으며, 클루브 볼리바르를 상대로 6-0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6][7]
1940년부터 1957년까지 벨그라노는 '킨테토 데 오로'라고 불린 엑토르 카리조, 후스토 코리아, 오스카 ''모나'' 페랄타, 다르도 루세로, 프란시스코 가르시아로 구성된 강력한 공격진을 바탕으로 14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들은 코르도바 축구 역사상 최고의 공격진으로 평가받는다.[6]
1968년, 벨그라노는 처음으로 전국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9위를 기록했다. 1980년에는 플루미넨세(브라질), 세르베트(스위스), 부다페스트 혼베드(헝가리) 등이 참가한 국제 토너먼트인 코파 코르도바에서 에스타디오 마리오 알베르토 켐페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연장전 끝에 혼베드를 꺾고 우승했다.[8]
1991년, 벨그라노는 처음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했지만, 1996년 강등되었다. 1998년 재승격에 성공했지만, 2001년 다시 강등되었다. 2011년, 벨그라노는 리버 플레이트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리버 플레이트를 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로 강등시키고 1부 리그로 승격하는 파란을 일으켰다.[9][10]
2. 1. 창단 초기 (1905년 ~ 1930년대)

1905년 3월 19일, 코르도바 바리오 알베르디 지역의 10대 청소년 그룹이 벨그라노를 창단했다.[2] 초대 회장은 14세의 아르투로 오르가스였다.[3] 클럽 이름은 아르헨티나의 역사적 인물인 마누엘 벨그라노 장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3] 클럽 색상은 마누엘 벨그라노가 직접 디자인한 아르헨티나 국기에서 가져왔다.
1908년, 벨그라노는 코르도바 주 리그 2부에 참가하여 3시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1부 리그로 승격했다. 1913년에는 코르도바 축구 협회(리가 코르도베사)의 창립 멤버가 되었고, 첫 번째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14년 5월 17일, 탈레스 데 코르도바와 첫 번째 코르도바 더비(클라시코 코르도베스) 경기를 가졌다.[4] 이 경기에서 벨그라노의 포워드 호세 라스카노가 득점한 후, 탈레스 선수들이 골 판정에 항의하며 경기장을 떠나면서 경기가 중단되었다.[4]
1929년에는 아르헨티나 최초의 시멘트 구조 경기장인 에스타디오 히간테 데 알베르디를 완공했다.
2. 2. 코르도바 리그 지배 (1930년대 ~ 1960년대)
1933년 리가 코르도베사가 프로화되면서, CA 벨그라노는 프로화 이후 첫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6] 1930년대는 벨그라노의 전성기로, 1934년을 제외하고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모든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6] 1938년에는 볼리비아 투어를 통해 4경기에서 3승 1무, 18득점을 기록하며 국제 무대에서도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다.[6] 특히 클루브 볼리바르를 상대로 6-0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7]1940년부터 1957년까지 벨그라노는 '킨테토 데 오로'라 불리는 강력한 공격진을 앞세워 14번의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6] 이 공격진은 엑토르 카리조, 후스토 코리아, 오스카 ''모나'' 페랄타, 다르도 루세로, 프란시스코 가르시아로 구성되었으며, 코르도바 축구 역사상 최고의 공격진으로 평가받는다.[6]
2. 3. 전국 리그 참가와 승격, 강등 (1960년대 ~ 2000년대)
1968년, CA 벨그라노는 전국 토너먼트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9위를 기록했다. 1980년에는 플루미넨세(브라질), 세르베트(스위스), 부다페스트 혼베드(헝가리) 등이 참가한 국제 토너먼트인 코파 코르도바에서 우승했다. 에스타디오 마리오 알베르토 켐페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벨그라노는 연장전 끝에 혼베드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8]1986년, 벨그라노는 토르네오 델 인테리어에서 우승하며 프리메라 B 나시오날(2부 리그)로 승격했다. 1991년에는 처음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1부 리그)으로 승격했지만, 1996년에 다시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강등되었다. 1998년에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했으나, 2001-02 시즌 종료 후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9] 이후 벨그라노는 1부 리그와 2부 리그를 오가며 여러 시즌을 보냈다.
2. 4. 리버 플레이트 강등과 영광의 시대 (2010년대 ~ 현재)
CA 벨그라노는 2010-11 시즌 프리메라 B 나시오날에서 4위를 기록하며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11년 6월 26일, 에스타디오 모누멘탈에서 리버 플레이트와 1-1로 비기며, 1차전 2-0 승리에 힘입어 합계 3-1로 리버 플레이트를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로 강등시키고 1부 리그로 승격했다.[9][10] 이는 아르헨티나 축구 역사상 가장 주목할 만한 경기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2011 아페르투라에서 벨그라노는 세사르 페레이라의 활약에 힘입어 4위를 기록했고, 2012 이니시알에서는 3위를 차지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2022년에는 프리메라 나시오날에서 우승하며 다시 한번 1부 리그로 승격했다.
3. 선수 명단
CA 벨그라노의 선수 명단은 2024년 8월 31일 기준이며,[11] 현역 선수와 임대 선수로 구성되어 있다.
'''현역 선수''' 목록은 #현역 선수 하위 섹션에서, '''임대 선수''' 목록은 #임대 선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CA 벨그라노를 거쳐 간 주요 선수들이다.
선수 | 국적 |
---|---|
루이스 파비안 알티메 | |
루이스 에르네스토 소사 | |
호세 루이스 비야레알 | |
후안 카를로스 에레디아 | |
로베르토 몬세라트 | |
카를로스 게리니 | |
베르나르도 코스 | |
미겔 델리야바예 | |
호세 라스카노 | |
토마스 쿠에야르 | |
후안 카를로스 마메리 | |
마리오 보라티 | |
마리아노 캄포도니코 | |
호세 루이스 쿠슈포 | |
세바스티안 부르스코 | |
카를로스 보시오 | |
헤르만 몬토야 | |
라울 알라이가다 | |
훌리오 세사르 비야그라 | |
헤르만 마르텔리오토 | |
마티아스 수아레스 | |
안토니오 수제이기르 | |
후안 스파리나 | |
프랑코 바스케스 | |
아드리안 아발로스 | |
노르베르토 테스타 | |
프로일란 알타미라노 | |
아벨 브라손 | |
호세 레이날디 | |
크리스티안 카르네로 | |
호세 마리아 수아레스 | |
이그나시오 로메로 | |
루비엘 킨타나 | |
오스왈도 아르딜레스 | |
알레한드로 렌보 | |
리바이에르 로드리게스 |
3. 1. 현역 선수
2024년 8월 31일 기준 선수 명단이다.[11]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이그나시오 치코 | |
2 | DF | 아니발 레기사몬 | |
6 | DF | 알레한드로 레볼라 (주장) | |
7 | FW | 마티아스 수아레즈 | |
8 | MF | 가브리엘 콤파뉴치 | |
9 | FW | 루카스 파세리니 | |
10 | MF | 마티아스 마린 | |
11 | FW | 브라이언 레예나 | |
12 | FW | 울리세스 산체스 | |
13 | DF | 니콜라스 메리아노 | |
14 | MF | 마티아스 팔라베시노 (코킴보 유니도에서 임대) | |
15 | MF | 루카스 메노시 | |
16 | MF | 에스테반 롤론 (보카 주니어스에서 임대) | |
19 | FW | 파블로 차바리아 | |
21 | MF | 이그나시오 타피아 | |
22 | FW | 우비타 페르난데스 | |
23 | MF | 파쿤도 키뇽 | |
24 | MF | 프란시스코 곤잘레스 메틸리 | |
25 | GK | 후안 에스피놀라 (올림피아에서 임대) | |
26 | FW | 파쿤도 렌시오니 | |
28 | GK | 마티아스 다니엘레 | |
29 | FW | 프랑코 하라 | |
33 | DF | 라파엘 델가도 | |
34 | MF | 헤로니모 에레디아 | |
35 | DF | 프란시스코 파셀로 | |
37 | DF | 마리아노 트로일로 | |
42 | MF | 헤레미아스 루코 | |
45 | MF | 아구스틴 발디 | |
53 | FW | 후안 마르틴 벨라스케스 |
3. 2. 임대 선수
포지션 | 국가 | 선수 | 임대 구단 |
---|---|---|---|
GK | ARG|후안 스트루미아es | 에스투디안테스 데 리오 콰르토 (2024년 12월 31일까지) | |
GK | ARG|마누엘 비센티니es | 콜론 (2024년 12월 31일까지) | |
DF | ARG|프랑코 비고es | 사르미엔토 (LB) (2024년 12월 31일까지) | |
DF | ARG|엘리아스 칼데론es | 데포르테스 코피아포 (2024년 12월 31일까지) | |
DF | ARG|루카스 디아르테es | 산 마르틴 (T) (2025년 12월 31일까지) | |
DF | CHI|알렉스 이바카체es | 에베르톤 (2025년 6월 30일까지) | |
DF | ARG|토비아스 오체가es | 인데펜디엔테 리바다비아 (2024년 12월 31일까지) | |
MF | ARG|발렌틴 바르베로es | 센트랄 노르테 (2024년 12월 31일까지) | |
MF | ARG|토마스 카스트로es | 미트레 (SdE) (2024년 12월 31일까지) | |
MF | ARG|티아고 크라베로es | 산 미겔 (2024년 12월 31일까지) | |
MF | ARG|산티아고 롱고es | 상파울루 (2025년 8월 29일까지) | |
MF | ARG|마리아노 미뇨es | 델핀 (2024년 12월 31일까지) | |
MF | ARG|헤로니모 토마세티es | 페로 카릴 오에스테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ARG|토마스 아티스es | 김나시아 이 티로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PAR|엘리아스 아얄라es | 김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데 후후이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ARG|다니엘 바레아es | 고도이 크루스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ARG|아구스틴 콜라조es | 알도시비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ARG|이보 코스탄티노es | 아틀란타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ARG|마르틴 가르네로네es | 산 루이스 데 키요타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ARG|곤살로 렌시나es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CHI|라우타로 파스트란es | 에베르톤 (2024년 12월 31일까지) |
4. 역대 감독
Luis Ernesto Sosa|루이스 에르네스토 소사es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아르헨티나 국적의 감독이므로, 국기 표기를 생략하고 다음과 같이 표로 정리한다.
이름 | 재임 기간 |
---|---|
세바스티안 비베르티 | 1977 |
리카르도 레사 | 1998-1999 |
레이날도 메를로 | 2000 |
구스타보 알파로 | 2001 |
카를로스 라마치오티 | 2001, 2005 |
네스토르 클라비오트 | 2005 |
마리오 그리골 | 2006-2007 |
프란시스코 페라로 | 2007 |
마리오 고메스 | 2007 |
블라스 히운타 | 2008-불명 |
오마르 라브루나 | 2009 |
호르헤 구존 | 2009-2010 |
Luis Ernesto Sosa|루이스 에르네스토 소사es | 2010 |
리카르도 시엘린스키 | 2011- |
5. 유니폼
1905년 클럽 창단 이후 홈 경기에서는 파란색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다. 어웨이 경기에서는 검정색, 노란색, 빨간색, 회색 등 다양한 색상의 유니폼을 착용한다.
기간 | 공급업체 | 가슴 스폰서 |
---|---|---|
1980-83 | Adidas|아디다스de | ? |
1983-85 | Bracco|브라코es Mercedes-Benz|메르세데스-벤츠de (자동차) | |
1985-86 | Topper|토퍼pt | Georgalos|헤오르가로스es |
1986-88 | ||
1988-90 | Luxa|룩사es | |
1990-92 | Bayer|바이엘de (제약) | |
1992-93 | Intercable|인터카브레es (공구) | |
1993-94 | Hummel|험멜da | |
1994-95 | Nanque|난케es | Esco|에스코es |
1995-96 | Le Coq Sportif|르꼬끄 스포르티브프랑스어 | |
1996-98 | Massima AFJP|마시마 AFJPes (은행) | |
1998-00 | Lotería de Córdoba|코르도바 복권es | |
2000-01 | Mitre|미트르영어 | CTI Móvil|CTI 모빌es (휴대 전화) |
2002 | TSU Cosméticos|TSU 코스메티코스es (화장품) India Seguros|인디아 세구로스es (보험 회사) | |
2003-04 | Tersuave|텔스아베es (페인트) Banco de Córdoba|코르도바 은행es | |
2004-05 | TBS|TBS프랑스어 | |
2005-06 | Lotto|로또it | |
2006-08 | Signia|시그니아es | |
2008-09 | Topper|토퍼pt | |
2009-10 | Tersuave|텔스아베es (페인트) Banco Julio|훌리오 은행es | |
2010- | Lotto|로또it | Tersuave|텔스아베es (페인트) Banco de Córdoba|코르도바 은행es |
6. 경기장
홈 구장은 에스타디오 히간테 데 알베르디이다. 1929년 3월 17일에 완공된 이 경기장은 아르헨티나 최초의 시멘트 구조 경기장이다.[1] 1997년에 개수 공사가 이루어져 프리메라 디비시온과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경기장 기준을 충족하게 되었다.[1]
7. 우승 기록
CA 벨그라노는 전국 대회와 지역 대회를 합쳐 총 42번 우승했다.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프리메라 나시오날 | 1 | 2022 |
토르네오 델 인테리어 | 1 | 1986 |
토르네오 레히오날 | 1 | 1985-86 |
코르도바 축구 리그 | 27 | 1913, 1914, 1917, 1919, 1920, 1929, 1930, 1931, 1932, 1933, 1935, 1936, 1937, 1940, 1946, 1947, 1950, 1952, 1954, 1955, 1957, 1970, 1971, 1973, 1984, 1985, 2013 |
코르도바 축구 리그 2부 | 3 | 1908, 1909, 1910 |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주 챔피언십 | 3 | 1983, 1984, 1985 |
코르도바 축구 리그 분류 챔피언십 | 6 | 1968, 1970, 1971, 1972, 1973, 1974 |
코르도바 축구 리그 준비 챔피언십 | 5 | 1936, 1941, 1943, 1947, 1949 |
레나 빅토리아 컵 | 3 | 1914, 1916, 1917 |
코르도바 축구 리그 시드랄 챔피언십 | 1 | 1931 |
가스 & 차베스 컵 | 1 | 1924 |
반데라 챔피언십 | 1 | 1916 |
벨레스 사르스필드 챔피언십 | 1 | 1915 |
코르도바 연합 챔피언십 | 1 | 1956 |
에스티물로 챔피언십 | 1 | 1914 |
아르헨티나 컵 | 1 | 1914 |
코르도바 축구 리그 시작 챔피언십 | 1 | 1962 |
코르도바 축구 리그 클라우수라 챔피언십 | 1 | 1966 |
선발 챔피언십 | 1 | 1973 |
선택 챔피언십 | 1 | 1975 |
코르도바 축구 리그 아페르투라 챔피언십 | 1 | 1978 |
7. 1. 전국 대회
- '''프리메라 나시오날'''
- * '''우승 (1):''' 2022
- '''토르네오 델 인테리어'''
- * '''우승 (1):''' 1986
- '''토르네오 레히오날'''
- * '''우승 (1):''' 1985-86
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비고 | |
---|---|---|---|---|---|---|---|---|---|---|---|
2003-04 | 아페르투라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2 | 19 | 8 | 5 | 6 | 24 | 19 | 29 | |
클라우수라 | 8 | 19 | 7 | 7 | 5 | 22 | 15 | 28 | |||
2004-05 | 아페르투라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13 | 19 | 6 | 7 | 6 | 19 | 21 | 25 | |
클라우수라 | 5 | 19 | 8 | 4 | 7 | 22 | 23 | 28 | |||
2005-06 | 아페르투라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7 | 19 | 7 | 6 | 6 | 19 | 20 | 27 | |
클라우수라 | 2 | 19 | 11 | 2 | 6 | 29 | 19 | 35 |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승격 | ||
2006-07 | 아페르투라 | 프리메라 디비시온 | 12 | 19 | 6 | 5 | 8 | 18 | 24 | 23 | |
클라우수라 | 17 | 19 | 4 | 6 | 9 | 24 | 27 | 18 | 평균 승점으로 강등 | ||
2007-08 | 통산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4 | 38 | 15 | 11 | 12 | 45 | 41 | 56 | |
2008-09 | 통산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4 | 38 | 17 | 11 | 10 | 36 | 29 | 62 | |
2009-10 | 통산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6 | 38 | 15 | 12 | 11 | 47 | 41 | 57 | |
2010-11 | 통산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4 | 38 | 15 | 14 | 9 | 53 | 37 | 59 |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승격 |
2011-12 | 아페르투라 | 프리메라 디비시온 | 4 | 19 | 8 | 7 | 4 | 21 | 16 | 31 | |
클라우수라 | 14 | 19 | 6 | 6 | 7 | 17 | 20 | 24 | |||
2012-13 | 이니시알 | 프리메라 디비시온 | 3 | 19 | 10 | 6 | 3 | 22 | 13 | 36 | |
피날 |
7. 2. 지역 대회
CA 벨그라노는 1913년 "리가 코르도베사"의 전신인 "누에바 페데라시온 코르도베사 데 푸트볼"의 창립 멤버 중 하나였다.[4] 1933년 리가 코르도베사가 프로화되면서 벨그라노는 이 새로운 시대의 첫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6] 1930년대는 1934년을 제외하고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모든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팀의 강력한 지배력이 두드러졌다.[6]1940년부터 1957년까지 벨그라노는 ''킨테토 데 오로''라는 별명을 가진 강력한 공격진을 앞세워 14번의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6]
벨그라노의 지역 대회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코르도바 축구 리그 | 27 | 1913, 1914, 1917, 1919, 1920, 1929, 1930, 1931, 1932, 1933, 1935, 1936, 1937, 1940, 1946, 1947, 1950, 1952, 1954, 1955, 1957, 1970, 1971, 1973, 1984, 1985, 2013 |
코르도바 축구 리그 2부 | 3 | 1908, 1909, 1910 |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주 챔피언십 | 3 | 1983, 1984, 1985 |
코르도바 축구 리그 분류 챔피언십 | 6 | 1968, 1970, 1971, 1972, 1973, 1974 |
코르도바 축구 리그 준비 챔피언십 | 5 | 1936, 1941, 1943, 1947, 1949 |
레나 빅토리아 컵 | 3 | 1914, 1916, 1917 |
코르도바 축구 리그 시드랄 챔피언십 | 1 | 1931 |
가스 & 차베스 컵 | 1 | 1924 |
반데라 챔피언십 | 1 | 1916 |
벨레스 사르스필드 챔피언십 | 1 | 1915 |
코르도바 연합 챔피언십 | 1 | 1956 |
에스티물로 챔피언십 | 1 | 1914 |
아르헨티나 컵 | 1 | 1914 |
코르도바 축구 리그 시작 챔피언십 | 1 | 1962 |
코르도바 축구 리그 클라우수라 챔피언십 | 1 | 1966 |
선발 챔피언십 | 1 | 1973 |
선택 챔피언십 | 1 | 1975 |
코르도바 축구 리그 아페르투라 챔피언십 | 1 | 1978 |
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 | 31 | 1913, 1914, 1917, 1919, 1920, 1929, 1930, 1931, 1932, 1933, 1935, 1936, 1937, 1940, 1944, 1945, 1946, 1947, 1949, 1950, 1951, 1952, 1954, 1955, 1957, 1970, 1971, 1973, 1984, 1985, 2003 |
세군다 디비시온 리가 코르도베사 | 3 | 1908, 1909, 1910 |
우니온 코르도베사 데 푸트볼 | 1 | 1956 |
프리메라 디비시온 ACF | 2 | 1984, 1985 |
캄페오나토 프로빈시알 ACF | 3 | 1983, 1984, 1985 |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lavoz.co[...]
[2]
웹사이트
CA Belgrano de Córdoba
https://int.soccerwa[...]
Global Sports Media
2014-02-20
[3]
웹사이트
La historia de Belgrano
https://www.tribunap[...]
2023-09-21
[4]
웹사이트
A 109 años del primer clásico oficial entre Belgrano y Talleres: supuesto gol en offside, reclamo y abandono
https://canalshowspo[...]
2023-05-17
[5]
웹사이트
Clásico cordobés: se cumplen 109 años de rivalidad entre Belgrano y Talleres
https://www.marcainf[...]
2023-05-17
[6]
웹사이트
Linea de Tiempo
https://www.belgrano[...]
2023-09-21
[7]
웹사이트
Primer viaje internacional
https://www.belgrano[...]
2023-09-21
[8]
웹사이트
Copa Cordoba 1980
https://www.rsssf.or[...]
2023-12-19
[9]
뉴스
Argentina's River Plate lose historic relegation fight
https://www.bbc.com/[...]
BBC News
2011-06-26
[10]
웹사이트
Riots compound River Plate's relegation misery
http://edition.cnn.c[...]
2011-06-28
[11]
웹사이트
Plantel de Belgrano
https://www.espn.com[...]
2023-07-26
[12]
문서
Argentina. Torneo del Interior. Lista de Campeones y Clubes Promovidos.
http://rsssf.com/tab[...]
[13]
웹사이트
Plantel de Belgrano
https://www.espn.com[...]
2023-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